KR20180012677A - 영아용 속싸개 - Google Patents

영아용 속싸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677A
KR20180012677A KR1020160171342A KR20160171342A KR20180012677A KR 20180012677 A KR20180012677 A KR 20180012677A KR 1020160171342 A KR1020160171342 A KR 1020160171342A KR 20160171342 A KR20160171342 A KR 20160171342A KR 20180012677 A KR20180012677 A KR 20180012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headrest
body wrapping
wrapping part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307B1 (ko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이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진 filed Critical 이종진
Publication of KR20180012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41B13/065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with sleep positioning fe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41B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를 포함해서 영아의 몸을 감싸서 안정적인 수면의 보장 및 유모차에서 편안한 앉음 자세의 제공은 물론 영아의 다룸에 있어 안정적이고 편리성이 보장되는 등의 다기능이 보장되는 영아용 속싸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방에 구비된 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한 몸체 싸개부(100)와, 상기 몸체 싸개부의 상측에서 영아의 허리까지 연장 형성된 등판 받침부(210) 및 상기 등판부의 상측 전방에 구비된 머리 받침부(250)로 이루어진 등판 머리 받침부(200)를 포함하는 영아용 속싸개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영아용 속싸개{Inner wrapper for baby}
본 발명은 신생아를 포함해서 영아의 몸을 감싸서 안정적인 수면의 보장 및 유모차에서 편안한 앉음 자세의 제공은 물론 영아의 다룸에 있어 안정적이고 편리성이 보장되는 등의 다기능이 보장되는 영아용 속싸개에 관한 것이다.
영아 및 신생아는 몸의 보온을 위해서 배냇저고리와 같은 보온 옷을 입힌 후에 얇은 속싸개로 감싸고 이렇게 감산 속싸개 외부에 두꺼운 겉싸개로 안면부분을 제외하고 감싼 상태로 싸게 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렇게 영아의 몸의 보온을 위해서 행해지는 작업은 번거롭고 노고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외부의 소리에 민감한 영아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안락한 수면을 유지하도록 겉싸개는 몸 전체를 감사 압박하는 상태로 감싸고 결속밴드로 동여 맴으로서 매회마다 많은 노고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한 번의 작업에 의해 영아를 감싸 보온과 동시에 안정적인 수면을 제공할 수 있는 속싸개가 다수의 기술로 개시되었다.
이러한 속싸개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 내지 3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필요한 부분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속싸개와 방수요는 물론 겉싸개가 분리 가능한 '유아 보호용 싸개'가 개시 되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유아의 팔, 몸통의 고정 및 다리와 엉덩이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독립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인체 공학적 유아 속싸개'가 개시 되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몸통부의 전면에서부터 허리부의 전면과 다리부의 전면과 후면을 지나 허리부의 후면까지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부가 형성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따라 다리부가 양측으로 갈라지는 형태로 변형 가능한 '영유아 기능성 속싸개'가 개시되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은 속싸개, 방수요, 겉싸개의 구성요소를 분리해서 세탁이 가능하도록 한 이점은 있으나, 각각의 영아의 감싸는 작업과 결속이 복잡하다.
특허문헌 2는 영유아의 팔을 고정할 수 있는 팔 주머니를 형성하고 있으나, 팔의 고정을 위해 인위적으로 팔을 굽혀서 주머니에 넣는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3은 착용 상태에서도 기저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포대기나 띠로 바로 업거나 안을 수 있고 카시트나 유모차에도 바로 앉힐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안정적인 수면을 위한 양팔을 결속 기능이 없고 유모차에서 눕히거나 앉음 시에 안락한 수면을 위한 쿠션의 받침기능이 없다.
한국등록특허 10-0717968(2007.05.08. 등록) 한국공개특허 10-2015-0027801(2015.03.12. 공개) 한국등록특허 10-1584240(2016.01.0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단점을 해결하고자 영아의 머리부터 허리까지 받쳐주는 등판 받침부를 구비하여 눕힌 상태에서 안락한 수면을 제공할 수 있는 영아용 속싸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아의 키에 맞게 몸체 싸개부의 하단을 접어 붙일 수 있어 편리성이 보장되는 영아용 속싸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 싸개부의 개폐수단인 지퍼의 내측에 보호대를 구비하여 개폐에 따른 씹힘을 방지하여 편리성이 보장되는 영아용 속싸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 싸개부의 내부에 영아의 팔이나 몸통을 편안하게 동여맬 수 있는 유동방지용 밴드를 구비하여 영아의 외부소음에도 놀람이 없이 안정적인 수면을 제공할 수 있는 영아용 속싸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 싸개부의 내부에 영아의 엉덩이 위치부분에 포켓을 형성하고 쿠션받침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영아를 유모차에서 앉혀 놓을 때, 의자받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영아용 속싸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 싸개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머리 받침부에 받침쿠션을 구비하여 누운 상태에서 안정적인 받침에 의해 안락한 수면이 제공할 수 있는 영아용 속싸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방에 구비된 지퍼에 의해 개폐가능한 몸체 싸개부와, 상기 몸체 싸개부의 배면에 그 상측에서 영아의 허리까지 연장 형성된 등판 받침부 및 상기 등판부의 상측 전방에 일체로 구비된 머리 받침부로 이루어진 등판 머리 받침부를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등판 머리 받침부는 몸체 싸개부의 배면에 복수의 스냅단추나 암수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몸체 싸개부의 내측에는 영아의 몸체나 양팔을 편안하게 동여맬 수 있는 유동방지용 밴드를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몸체 싸개부는 그 하측을 접어 영아의 키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싸개부의 앞판의 중앙 양측과 이에 결합하는 하측 양측에 구비된 암수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를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몸체 싸개부의 내부에 영아의 엉덩이 위치부분에 포켓을 형성하고 쿠션받침을 삽입 구비한 엉덩이 받침부를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등판 머리 받침부를 구성하는 등판 받침부는 포켓을 형성하여 분리 가능한 쿠션 패드가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는 도넛타입 쿠션 패드가 봉제 되어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 싸개부의 내부에 유동방지용 밴드를 구비하여 영아의 팔이나 몸체를 간편하게 결속한 상태로 보온 속싸개의 제공에 의해 영아의 안락한 수면을 보장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등판 및 머리받침에 안락한 쿠션을 제공하여 장시간 수면에 따른 안락함을 지속할 수 있으며, 영아를 유모차에서 앉혀 놓을 때 의자 받침 기능에 의해 안락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아의 키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생후부터 3개월까지는 등판 머리 받침부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등판 머리 받침부가 필요없는 생후 100일경부터 6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영아용 속싸개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몸체 싸개부와 등판 머리 받침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 싸개부에서 등판 머리 받침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스냅단추를 마련하여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몸체 싸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몸체 싸개부에 구비된 엉덩이 받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발췌 사시도이다.
도 7은 몸체 싸개부의 지퍼 내측에 구비된 보호대 구성을 보여주는 발췌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등판 머리 받침부의 구성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구성요소인 등판 머리 받침부를 구성하는 등판받침부와 머리받침부에 의해 형성된 포켓에 쿠션패드의 삽입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아의 키에 맞게 몸체 싸개부의 하단을 접어 붙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영아의 키에 맞게 몸체 싸개부의 접기 전, 후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전면 방향 및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몸체 싸개부와 등판 머리 받침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아용 속싸개는 전방에 구비된 지퍼(110)에 의해 개폐 가능한 몸체 싸개부(100)와, 몸체 싸개부(100)의 상측에서 영아의 허리까지 연장 형성된 등판 받침부(210) 및 등판부(210)의 상측 전방에 일체로 구비된 머리 받침부(250)로 이루어진 등판 머리 받침부(200)로 크게 구분된다.
이때, 몸체 싸개부(100) 및 등판 머리 받침부(200)는 영아의 민감한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순면 직물지의 겉감으로 제공됨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 싸개부에서 등판 머리 받침부(200)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등판 머리 받침부(200)가 몸체 싸개부(100)에서 선택적으로 떼어낼 수 있는 탈부착수단을 부가한 것이다. 부언하면, 상기 몸체 싸개부(100)의 배면과 등판 머리 받침부(200)의 상면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마다 쌍을 이루는 스냅단추(130a, 211a)가 복수개 배치된다. 여기서는, 탈부착수단을 스냅단추(130a, 211a)로 마련하였으나 암수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여타의 다른 탈부착으로 대체 가능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상기와 같은 등판 머리 받침부(200)의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신생아, 즉 생후부터 3개월까지는 목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기 때문에 등판 머리 받침부(200)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영아가 목을 가누는 생후 90일경부터 6개월까지는 등판 머리 받침부(200)를 떼어낸 후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영아용 속싸개를 재구매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영아용 속싸개의 활용성의 증대는 물론 사용수명연장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몸체 싸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 싸개부(100)는 2개로 등분 분할되어 상호간의 내측이 지퍼(110)의 봉제에 의해 결합된 앞판(120)과, 앞판(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뒤판(130)이 앞판(120)의 상부의 목 위치부분에 형성된 반원형홈(121)을 제외하고 테두리재(122)에 의해 봉제되어 결합된다. 이때, 반원형홈(121) 역시 테두리재(122)에 의해 봉제로 마감 처리된다.
이렇게 몸체 싸개부(100)는 앞판(120)과 뒤판(130)에 의해 영아의 몸체를 감싸는 주머니 형태를 형성하고, 지퍼(110)의 개방에 의해 영아의 몸체를 넣은 상태로 지퍼(110)를 닫아 보온할 수 있다.
지퍼(110)는 선원기술에 제시된 것과 같이, 닫힌 상태에서 영아의 손이나 얼굴에 상처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 가리개(111)를 구비하고, 이 가리개(111)의 내측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측에 보호대(112)를 구비하여 지퍼(110)의 개폐에 따른 영아 옷의 씹힘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앞판(120)은 그 하측을 접어 영아의 키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중앙 양측과 이에 결합하는 하측 양측에 구비된 암수의 벨크로 테이프(123, 124)를 구비하여 도 10 및 사용상태도로 도시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아의 키에 맞게 몸체 싸개부(100)의 하단을 접어 붙이는 과정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뒤판(130)은 내부의 상측에 영아의 몸체나 양팔을 편안하게 동여맬 수 있는 한 쌍의 유동방지용 밴드(131, 131)가 배치된 상태에서 테두리재(122)와 같이 봉제되어 몸체 싸개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물론, 한 쌍의 유동방지용 밴드(131)의 선단에는 상호 간이 결속될 수 있는 암수의 벨크로 테이프(132,133)가 봉제에 의해 구비된다.
또한, 뒤판(130)은 내부에 영아의 엉덩이 위치부분에 포켓(136)을 형성하고 쿠션받침(137)을 삽입 구비한 엉덩이 받침부(135)가 형성된다.
여기서, 엉덩이 받침부(13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뒤판(13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땀배출이 제공되는 일자형 개구(138)를 구성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자형 개구(138)의 외측에 포켓(136)를 구비하고 쿠션받침(137)을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등판 머리 받침부의 구성부재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이 구성요소인 등판 머리 받침부를 구성하는 등판받침부와 머리받침부에 의해 형성된 포켓에 쿠션패드의 삽입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등판 머리 받침부(200)는 등판받침부(210)와 이 등판받침부(210)의 전면에 머리받침부(250)가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로 봉제되어 포켓(201)을 형성하고 이의 내부에 쿠션패드(220)가 삽입되고, 머리받침부(250)는 도넛형 쿠션패드(260)가 봉제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등판 머리 받침부(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등판받침부(210)는 영아의 머리에서 허리까지 받침되는 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전면판(211)과 후면판(212)의 상측에 개구부을 갖도록 봉제된 상태로 몸체 싸개부(100)의 배면에 전면판(211)이 영아의 머리받침을 할 수 있도록 돌출된 상태로 봉제된다.
여기서, 전면판(211)은 겉판(213)과 내판(214)이 테두리재(215)에 의해 봉제 마감으로 구성되되, 겉판(213)과 내판(214) 사이에 도너형 쿠션패드(260)이 배치된 상태에서 봉제에 의해 고정되어 머리받침부(250)를 형성한다.
그리고 후면판(212)은 단일직물지로서 테두리재(216)으로 봉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판(211)과 후면판(212)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봉제되어 내부에 포켓(201)을 형성하고 쿠션패드(220)을 삽입하여 등판 머리 받침부(200)를 구성한다.
이러한 등판 머리 받침부(200)는 몸체 싸개부(100)을 구성하는 뒤판(130)에 테두리재(215,216)를 동시에 봉제된다.
쿠션패드(260)는 전면판(211)과 후면판(212)의 개방부 측에 각 테두리재(215)(216)에 봉제된 암수의 벨크로 테이프(217)(218)에 의해 포켓(201)은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적용된 엉덩이 받침부(135)의 쿠션받침(137) 및 등판받침부(210)의 쿠션패드(220), 머리받침부(250)의 쿠션패드(260)는 탄력성 및 복원성이 보장되는 고밀도 스폰지나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특징은 전술한 설명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첫째, 등판 받침부(210)에 의해 목을 가누지 못하는 영아의 머리부터 허리까지 받쳐줌으로써 편안하게 앉거나 뉘운 상태에서도 편안한 수면이 보장된다.
둘째, 등판 머리 받침부(200)를 떼어낸 후 사용 가능하므로 영아가 목을 가누는 생후 90일경부터 6개월까지도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영아용 속싸개를 재구매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어 영아용 속싸개의 활용성의 증대는 물론 사용수명이 연장된다.
세째, 몸체 싸개부(100)의 하단을 접어서 영아의 키에 맞게 조절한 상태에서 유모차에 눕힐 수 있다.
네째, 몸체 싸개부(100)의 개폐수단인 지퍼(110)의 내측에 보호대(112)를 구비하여 지퍼(110)의 개폐에 따른 씹힘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몸체 싸개부(100)의 내부에 영아의 팔이나 몸통을 편안하게 동여맬 수 있는 유동방지용 밴드(131)를 구비하여 영아의 외부소음에도 놀람이 없이 안정적인 수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몸체 싸개부(100)의 내부에 영아의 엉덩이 위치부분을 편하게 받침하여 엉덩이 받침부(135)를 구성하여 영아를 유모차에서 앉혀 놓을 때, 의자받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곱째, 몸체 싸개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머리 받침부(250)에 받침쿠션은 도넛형 쿠션패드(260)로 구비하여 영유가를 반듯이 눕힌 상태에서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안정적인 받침에 의한 안락한 수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몸체 싸개부 110 : 지퍼
112 : 보호대 120 : 앞판
130 : 뒤판 131 : 유동방지용 밴드
135 : 엉덩이 받침부 137 : 쿠션받침
136 : 포켓 200 : 등판 머리 받침부
201 : 포켓 210 : 등판받침부
220, 260 : 쿠션패드 250 : 머리받침부

Claims (6)

  1. 전방에 구비된 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한 몸체 싸개부와, 상기 몸체 싸개부의 상측에서 영아의 허리까지 연장 형성된 등판 받침부 및 상기 등판부의 상측 전방에 구비된 머리 받침부로 이루어진 등판 머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영아용 속싸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 머리 받침부는 몸체 싸개부의 배면에 복수의 스냅단추나 암수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속싸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싸개부의 내측에는 영아의 몸체나 양팔을 편안하게 동여맬 수 있는 유동방지용 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 싸개부는 그 하측을 접어 영아의 키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싸개부의 앞판의 중앙 양측과 이에 결합하는 하측 양측에 암수의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속싸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 머리 받침부를 구성하는 등판 받침부는 포켓을 형성하여 분리 가능한 쿠션 패드가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는 도넛타입 쿠션 패드가 봉제 되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속싸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싸개부의 내부나 외부로서 상기 뒤판의 영아의 엉덩이 위치부분에 포켓을 형성하고 쿠션받침을 삽입 구비한 엉덩이 받침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속싸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싸개부는 상기 지퍼 내측에 보호대를 구비하여 개폐에 따른 씹힘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속싸개.
KR1020160171342A 2016-07-27 2016-12-15 영아용 속싸개 KR101922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51 2016-07-27
KR20160095551 2016-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677A true KR20180012677A (ko) 2018-02-06
KR101922307B1 KR101922307B1 (ko) 2018-11-26

Family

ID=6122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342A KR101922307B1 (ko) 2016-07-27 2016-12-15 영아용 속싸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83Y1 (ko) 2021-02-08 2022-07-21 송은경 영아용 기능성 감싸개
KR20230140881A (ko) 2022-03-30 2023-10-10 스칸디맘 주식회사 영아용 속싸개
KR20240000367U (ko) 2022-08-18 2024-02-27 배효정 하체 겉싸개가 결합된 신생아용 속싸개
KR200496971Y1 (ko) * 2023-01-17 2023-06-21 김태양 영유아용 기능성 속싸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091U (ja) * 1999-01-28 1999-09-14 株式会社キムラタン 幼児被服
KR200433802Y1 (ko) * 2006-09-30 2006-12-13 박현희 유아용 포대기
KR20110007495U (ko) * 2010-01-21 2011-07-27 김옥휘 유아용 머리보호 의복
KR20120023732A (ko) * 2009-05-01 2012-03-13 트리보로 퀼트 매뉴팩츄어링 코포레이션 포대기 담요
KR20160006672A (ko) * 2013-03-11 2016-01-19 스티븐 페이퍼노 신생아 및 유아용 목, 척추, 및 척수 지지 디바이스, 및 이를 위한 블랭킷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091B2 (ja) * 1993-03-03 2000-07-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リアル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1091U (ja) * 1999-01-28 1999-09-14 株式会社キムラタン 幼児被服
KR200433802Y1 (ko) * 2006-09-30 2006-12-13 박현희 유아용 포대기
KR20120023732A (ko) * 2009-05-01 2012-03-13 트리보로 퀼트 매뉴팩츄어링 코포레이션 포대기 담요
KR20110007495U (ko) * 2010-01-21 2011-07-27 김옥휘 유아용 머리보호 의복
KR20160006672A (ko) * 2013-03-11 2016-01-19 스티븐 페이퍼노 신생아 및 유아용 목, 척추, 및 척수 지지 디바이스, 및 이를 위한 블랭킷 어셈블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61091호(1999.09.1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307B1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21532B2 (en) A Baby Carrier
US6598771B2 (en) Infant carrier
WO2019146810A1 (ko) 영아용 속싸개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WO2012079787A1 (en) Child carrier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KR101318405B1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KR101447831B1 (ko)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101918822B1 (ko)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KR200487262Y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100517903B1 (ko) 다기능 유아용 포대기
TWM517571U (zh) 雙肩背嬰幼兒揹巾
KR200345181Y1 (ko) 유아용 슬링
JP3107643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130001093U (ko) 수유 쿠션
JP2023082266A (ja) 子守帯
KR200364185Y1 (ko) 다기능 유아용 포대기
KR20090131902A (ko) 다기능 유아용 포대기
KR20100025420A (ko) 아기띠
TWM560840U (zh) 嬰兒揹袋構造
KR20130003691U (ko) 수유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