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181Y1 - 유아용 슬링 - Google Patents

유아용 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181Y1
KR200345181Y1 KR20-2003-0038628U KR20030038628U KR200345181Y1 KR 200345181 Y1 KR200345181 Y1 KR 200345181Y1 KR 20030038628 U KR20030038628 U KR 20030038628U KR 200345181 Y1 KR200345181 Y1 KR 200345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ling
inlet
pa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혁
Original Assignee
오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혁 filed Critical 오민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1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110)와 5 내지 8cm 의 폭의 내부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성된 받침부(12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일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어깨벨트(130); 상기 어깨벨트(130)의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140)와 매듭결합되어 유아가 상기 본체부(100)에 안착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150); 상기 받침부(120)의 상방에 위치하여 유아의 다리가 인입되며 상기 받침부(120)의 폭에 상응하는 넓이로 형성된, 내부 쿠션 부재를 구비한 제 1인입패드(210) 및 제 2인입패드(220); 상기 제 1 및 제 2 인입패드(210, 220) 사이에는 높이 2 내지 3 cm 의 내부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2 내지 7cm 길이로 형성된 보호부(230)가 상기 받침부(120)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아의 다리를 보다 편안한 상태로 슬링 본체 내부에 안착하여 유아의 편안함을 부각시킬 수 있는 인입패드가 제공되어 유아가 슬링에서 떨어지거나 흘러내리는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이에 따른 부모의 불안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슬링{SLING FOR BABY}
본 고안은 유아용 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유아의 다리의 위치가 더 이상 허벅지로 내려가지 않고 슬링 내에 고정하는 안전패드 및 아기의 안전과 편안한 상태를 더욱 보장하는 링패드가 구비된 유아용 슬링에 관한 것이다.
베이비 슬링이란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포대기로 널리 알려져 있는 유아용 보조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진 두개의 고리를 갖고 있으며 그 고리에 걸려져 있는 긴 천의 중앙 부위는 유아를 수용할 수 있는 아기 수용부로서 형성이 되고 그 천의 꼬리부는 다시 두개의 고리를 버클 끈이 통과하는 방식으로 매듭을 짓게 되어 유아가 아기 수용부위에 수용되면 매듭부위가 단단하게 잠기어 안전한 유아용 캐리어가 형성되며, 특히 보호자의 한쪽 어깨에 메고 유아를 앞으로 안거나 옆 또는 뒤로 업는 등의 여러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공중의 장소에서도 노출 없이 편한 자세로 모유를 수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대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앙아시아 및 미국, 유럽에서도 이러한 유아용 슬링은 간편한 구성으로 인해 알루미늄 플레임으로 이루어진 유아용 캐리어보다 용이하고 손쉽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현재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실링 또는 포대기가 다수의 실용신안으로 등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 등록실용신안 0315982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등록실용신안 0315982호)의 사시도로서 상기 기술이 제공하는 슬링의 전체 구성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양 측면 지지부(2)는 특수한 솜을 사용하여 아기 수용부(1)에 아기를 넣을때 엉덩이와 다리사이에 걸쳐지는 압력을 이완시키고 보호해준다. 그리고 양쪽지지부(2) 내면에 안전띠(6)가 부착되어 아기를 아기수용부(1)에 넣으면서 아기의 양다리를 안전띠(6)로 통과시켜 착용하면 더더욱 안전하게 아기를 안을 수 있다. 어깨부(3)와 고리부(4)는 착용자의 어깨부분에 마찰되는 압력을 최소화 하기위해 어깨부분(3)은 별도의 봉제를 하지 않고 가장 편안한 두께의 쿠션내장재(7)를 사용하여 고리부(4)와 연결시켰다. 또한 착용자가 한쪽어깨로만 집중되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어깨부(3)의 폭과 길이의 조절을 통하여 인체에 맞게 설계하였다. 꼬리부(5)와 고리부(4)의 결합은 한쌍의 고리부(4)의 고리와 꼬리부(5)를 걸림케 해 아기수용부(1)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아기 수용부의 양쪽 지지부(2)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꼬리부(5)의 넓은 원단을 차곡차곡 접음으로써 양쪽 지지부(2)를 조절하는데 자유로울 수 있다. 착용시 고리부(4)는 착용자의 어깨쇄골 바로 밑에 위치해야 아기 몸무게에 대한 압박을 해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상기 기술의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다른 구성 요소는 이미 시중에 유통되는 일반 포대기 또는 슬링에서 볼 수 있는 구조이고, 안전띠 역시 과거부터 유아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기능을 해왔던 포대기의 여분의 끈과 동일한 개념이라고 보여지며, 안전띠가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 어린이의 안전을 실제 도모할 수 있는지 아무런 설명이 없어 단지 유아의 다리를 인출하는 기능 이외 별 다른 장점을 찾아 볼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설명한 종래 기술의 유아용 슬링에서의 유아의 다리를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부분이 불편하고 유아의 급소를 압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고 보다 푹신하고 편안한 인입 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슬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안전 패드를 이루는 다리 인출부가 서로 가까운 위치에 붙어 있기 때문에 이를 벌려서 아기의 다리를 넣어야 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별도의 링패드를 제공하여 유아의 다리를 안전패드에 용이하게 인입할 뿐 아니라 자체의 쿠션으로 유아의 급소나 하체부위를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슬링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슬링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인입패드와 받침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링패드의 사용상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부 150: 연결부
110: 등받이부 210: 제 1인입패드
120: 받침부 220: 제 2인입패드
130: 어깨밴드 230: 보호부
140: 고리부 250: 링패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슬링은 유아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110)와 5 내지 8cm 의 폭의 내부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성된 받침부(12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일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어깨벨트(130); 상기 어깨벨트(130)의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140)와 매듭결합되어 유아가 상기 본체부(100)에 안착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150); 상기 받침부(120)의 상방에 위치하여 유아의 다리가 인입되며 상기 받침부(120)의 폭에 상응하는 넓이로 형성된, 내부 쿠션 부재를 구비한 제 1인입패드(210) 및 제 2인입패드(220); 상기 제 1 및 제 2 인입패드(210, 220) 사이에는 높이 2 내지 3 cm 의 내부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2 내지 7cm 길이로 형성된 보호부(230)가 상기 받침부(120)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슬링은 대략 3 내지 5cm의 폭과 10 내지 20cm의 길이로 구성되고, 내부에 쿠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230)에 탈부착 가능한 링패드(250)를 더 포함하여 유아의 사타구니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링패드(250)는 양측에 밸크로 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양측을 벨크로 체결하면 원형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해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슬링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보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슬링은 일반적인 유아용 슬링에서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본체부(100)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등받이부(110), 받침부(120) 등으로 구성된다. 등받이부(110)는 유아의 몸체 대부분이 유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중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필수 구성 요소이다. 이 등받이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유아의 머리, 목이나 엉덩이를 받쳐주기 위하여 또한, 등받이부(110)가 유아를 안착했을 때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탄력있는 시트안감이나 내장 쿠션재가 사용되는 받침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부(120)는 등받이부(110)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이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어깨벨트(130)를 부모의 선택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멜 수 있도록 구성하려면 등받이부(110)의 상하 방향성이 없어야 되므로 등받이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동일한 시트안감을 제공하여 부모의 선택으로 상부 또는 하부가 유아의 머리 또는 엉덩이가 안착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체부(100)는 유아용 슬링에서 필수적인 구성 수단이므로 더 이상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본체부(100)의 일측부에는 본체부(100)와 연결되면서 부모 등의 사용자가 어깨에 지지하여 유아를 업거나 앉을 수 있도록 어깨벨트(130)가 구비되고, 일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어깨벨트(130)의 종단에는 타측과 연결되기 위한 수단인 고리부(140)가 제공된다. 이러한 고리부(140)는 본체부의 타측부에서 형성된 연결부(150)와 매듭결합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부모 등의 사용자가 어깨벨트(130)를 어깨에 메고 유아를 본체부(100)에 수용한 다음, 연결부(150)를 고리부(140)에 연결하여 매듭지으면 안정하게 유아를 본체부(100)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150)는 부모의 어깨 및 유아의 안착 상태에 따라 고리와 결합되는 동안 길이 조절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0)에서 연결부를 연결해주는 부위는 주름이 잡혀 있어 본체부(100)가 유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용이하게 갖도록 해준다.
본 고안의 본체부(100)에 형성된 양측 받침부(120)에는 유아의 두 다리를 인입할 수 있는 제 1인입패드(210) 및 제 2인입패드(220)가 형성되어 이 인입패드(210, 220)들 내에 유아의 양 다리를 인입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인입패드(210, 220)의 정면도이다.
유아용 슬링의 기본적인 목적은 유아의 엉덩이가 본체부 등의 천에 걸쳐서 유아가본체부에서 빠지지 않고 보모의 품 안에 밀착하게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도 3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인입패드(210, 220)는 이러한 원리를 보완하여 유아의 다리가 본체부(100)에서 흘러내려가 더 이상 유아의 허벅지 이하로 빠지지 않도록 유아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1인입패드(210)와 제 2인입패드(220)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보호부(230)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제 1인입패드(210)와 제 2인입패드(220)가 서로 붙어 있을 경우 유아의 급소가 사타구니가 압박을 받아 유아의 건강에 위험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거리를 주는 것이 좋으나 너무 그 거리가 넓을 경우에는 유아의 안착 상태가 오히려 불안정해지고 유아 또한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으므로 제 1인입패드(210)와 제 2인입패드(220)는 2 내지 7c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보호부(230) 사이에 구성된다.
인입패드(210, 220)와 보호부(230)는 모두 내부에 쿠션부재를 삽입하여 유아의 다리 및 사타구니를 충분히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보호부(230)는 유아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밀착하고 유아의 중력을 지탱하는 부위이므로 2 내지 3 cm의 두툼한 내부 쿠션부재를 더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아가 심하게 다리를 뻗거나 슬링에 안착한 상태에서 일어나 유아의 급소에 압박을 주더라도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호부(230)의 기능으로 유아의 안전을 보장할 수가 있다.
인입패드(210, 220)는 아래의 받침부(120)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어 인입패드(210, 220)와 받침부(120)를 겹쳐 유아의 다리를 인입함 없이 통상적인 슬링의 용도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받침부(120)와 인입패드(210, 220)는 대략 5 내지 8cm 의 폭으로 구성되는것이 유아의 신체 구성을 고려하여 보았을 때 적합하다.
인입패드(210, 220)나 받침부(120)는 천과 내부쿠션 부재로 구성되어 외관상 두툼한 상태로 되어 있고 소재 자체의 성질로 탄성력이 없다. 따라서, 부모가 유아의 다리를 인입패드(210, 220)에 넣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는 인입패드(210, 220)를 벌리고 다른 한 손으로는 유아의 다리를 그 내부에 인입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는 링패드(250)를 본 고안에서는 추가로 제공한다.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링패드(250)를 인입패드(210, 220) 사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링패드(250)는 대략 3 내지 5cm의 폭과 10 내지 20cm 의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받침부(120)와 인입패드(210, 22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쿠션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양측부에는 벨크로 테이프(미도시)가 구비되어 양측을 벨크로 체결방식을 통해 결합하면 링패드(25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띠 형상이 된다.
이러한 링패드(250)를 인입패드(210, 220) 사이, 구체적으로 인인패드(210, 220)사이에 존재하는 보호부(230)를 감싸는 방식으로 벨크로 체결을 하면 인입패드(210, 220)와 받침부(120)가 벌어져 공간 확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부모 등의 사용자가 유아의 다리를 인입패드(210, 220) 사이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링패드(250)는 보호부(230) 사이에서 원형 형상이 되고 자체의 쿠션 부재로 인하여 유아의 급소나 사타구니를 2중으로 보호해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링패드(250)는 벨크로 체결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여 보호부(230) 사이에 부착한 상태로 보관할 수도 있고, 이 보관이 불편하면 고리부(140) 등의 다른 부위에 부착하여 사용 상태 및 보관 상태의 다양성을 꾀하도록 하였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슬링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슬링에는 유아의 다리를 보다 편안한 상태로 슬링 본체 내부에 안착하여 유아의 편안함을 부각시킬 수 있는 인입패드가 제공되어 유아가 슬링에서 떨어지거나 흘러내리는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이에 따른 부모의 불안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인입패드는 내부 쿠션 부재를 포함하여 유아의 급소 및 사타구니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제공하며, 본체에 밀착하는 구조로 되어 유아의 다리를 인입하지 않고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더불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링패드로 인하여 부모가 유아의 다리를 넣으면서 인입패드를 벌리는 불편함을 방지하였고 이러한 링패드의 제공으로 유아의 급소나 사타구니를 이중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아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110)와 5 내지 8cm 의 폭의 내부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등받이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성된 받침부(12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일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어깨벨트(130);
    상기 어깨벨트(130)의 일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140)와 매듭결합되어 유아가 상기 본체부(100)에 안착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150);
    상기 받침부(120)의 상방에 위치하여 유아의 다리가 인입되며 상기 받침부(120)의 폭에 상응하는 넓이로 형성된, 내부 쿠션 부재를 구비한 제 1인입패드(210) 및 제 2인입패드(220);
    상기 제 1 및 제 2 인입패드(210, 220) 사이에는 높이 2 내지 3 cm 의 내부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2 내지 7cm 길이로 형성된 보호부(230)가 상기 받침부(120)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슬링.
  2. 제 1항에 있어서,
    대략 3 내지 5cm의 폭과 10 내지 20cm 의 길이로 구성되고, 내부에 쿠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230)에 탈부착 가능한 링패드(250)를 더 포함하여 유아의 사타구니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슬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패드(250)는 양측에 밸크로 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링패드(250)의 양측을 벨크로 체결하면 원형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슬링.
KR20-2003-0038628U 2003-05-01 2003-12-11 유아용 슬링 KR2003451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075 2003-05-01
KR20030028075 2003-05-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181Y1 true KR200345181Y1 (ko) 2004-03-16

Family

ID=4934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628U KR200345181Y1 (ko) 2003-05-01 2003-12-11 유아용 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003651U1 (de) 2015-06-10 2016-09-15 Minimonkey B.V. Kindertrageeinrichtung vom Schlingenty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003651U1 (de) 2015-06-10 2016-09-15 Minimonkey B.V. Kindertrageeinrichtung vom Schlingenty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6152A (en) Baby carrier with head support
US5178309A (en) Infant carrier and harness combination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CA2757731C (en) Child carrier
US6112960A (en) Combination sling carrier and cushion
KR200450651Y1 (ko) 유아용 힙시트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69068Y1 (ko)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
KR101426751B1 (ko) 유아용 포대기
US4458834A (en) Infant carrier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JP3170974U (ja) ベビーキャリア
CA1332928C (en) Baby carrier
CN207220454U (zh) 用于婴幼儿坐躺的一体化多功能出行包
WO1998026695A1 (en) Baby sleeping position restraint
KR200345181Y1 (ko) 유아용 슬링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JP3131283U (ja) ベビーキャリア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200291528Y1 (ko) 아기포대기
US20230190008A1 (en) Baby carrier
KR20100025420A (ko) 아기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