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183B1 - 아기 업개 - Google Patents

아기 업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183B1
KR101433183B1 KR1020070031933A KR20070031933A KR101433183B1 KR 101433183 B1 KR101433183 B1 KR 101433183B1 KR 1020070031933 A KR1020070031933 A KR 1020070031933A KR 20070031933 A KR20070031933 A KR 20070031933A KR 101433183 B1 KR101433183 B1 KR 10143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delete delete
posture
lin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746A (ko
Inventor
사키코 미나미
유코 모리구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99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67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99291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67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99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680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99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6722B2/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uckl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아기 업개(1)는 아기와 접촉하면서 아기를 받치는 선 자세 받침 시트(11)를 갖는다. 받침 시트(11)는 아기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에 매립된 완충 부재를 구비한다. 완충 부재는 자체 완충력을 줄이는 경감부를 갖는다. 선 자세 받침 시트(11)는 선 자세의 아기를 받치도록 사용되며, 접촉부는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 안쪽 부분과 접촉하는 다리 개방부(100)이다.
아기, 업개, 누운 자세, 선 자세, 받침, 어깨띠

Description

아기 업개{BABY CARRI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 업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아기 업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누운 자세 받침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뒤로 돌린 앞 메기의 선 자세 받침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앞으로 향한 앞 메기의 선 자세 받침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보통 뒤 메기(업음) 받침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교차 띠를 이용한 뒤 메기 받침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1의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선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체결구가 열려 있는 어깨띠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2는 체결구가 닫혀 있는 어깨띠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3은 머리 지지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뒷면 덮개가 젖혀져 열린 머리 지지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연결 띠가 결합 해제된 머리 지지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결합된 연결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회전 버클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회전 버클의 밑면도이다.
도 19는 분리된 회전 버클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회전 버클의 회전 전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다리 지지 띠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1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25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6은 최소 길이인 머리 지지 띠 둘레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최대 길이인 머리 지지 띠 둘레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결합 해제된 연결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29는 연결 띠 커버를 밀어 넣은 상태의 연결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30은 수납 중인 연결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31은 수납 완료된 연결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32는 다리 개방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후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A-A 선을 따라 자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34는 변형된 다리 개방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후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B-B 선을 따라 자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36은 가동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7은 변형된 가동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8은 무게 조절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후면도이다.
도 39는 종래의 아기 업개의 다리 개방부 둘레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개방부 둘레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1은 머리 부분의 고정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42는 결합된 띠 결합기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3은 결합 해제된 상태의 띠 결합기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4는 수납 자루가 수납된 포켓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45는 수납 자루가 포켓에서 나온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46은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수납 절차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선 자세 받침 시트 수납 절차에 후속하는 정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의 선 자세 받침 시트 수납 절차에 후속하는 정면도이다.
도 49는 수납이 완료된 후의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50은 유모차의 가로 핸들에 부착된 수납 자루의 사시도이다.
도 51은 가방 손잡이에 부착된 수납 자루의 사시도이다.
도 52는 도 44의 C-C 선을 따라 자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53은 연결 띠의 변형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4는 연결 띠가 도 53의 상태로부터 수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5는 수납 완료된 도 53의 연결 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6은 연결 띠의 다른 변형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7은 수납 완료된 도 56의 연결 띠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8은 앞쪽 천과 뒤쪽 천을 연결하는 부부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9는 탈착 구조체의 제1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0은 탈착 구조체의 제2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1은 탈착 구조체의 제2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2는 탈착 구조체의 제3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3은 탈착 구조체의 제4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4는 탈착 구조체의 제4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5는 탈착 구조체의 제5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6은 탈착 구조체의 제5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7은 탈착 구조체의 제6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8은 탈착 구조체의 제6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69는 탈착 구조체의 제7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70은 수납 자루가 나온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폴더 구조체의 변형례를 보여준다.
도 71은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수납 절차를 보여준다.
도 72는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도 71에 후속하는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수납 절차를 보여준다.
도 73은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도 72에 후속하는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수납 절차를 보여준다.
도 74는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도 73에 후속하는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수납 절차를 보여준다.
도 75는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도 74에 후속하는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수납 절차를 보여준다.
도 76은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속박 띠가 제공된 폴더 구조체의 변형례를 보여준다.
도 77은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속박 띠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제공된 홀더 구조체의 변형례를 보여준다.
도 78은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속박 띠가 제공된 폴더 구조체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준다.
도 79는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로서, 속박 띠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제공된 홀더 구조체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준다.
도 80은 버튼과 훅이 제공된 폴더 구조체의 또 다른 변형례의 정면도이다.
도 81은 버튼과 완전히 접힌 상태의 훅이 제공된 폴더 구조체의 또 다른 변형례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 아기 업개 10: 선 자세 받침 시트
11: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 13: 어깨띠
15: 옆구리띠 16: 다리 지지 띠
50: 누운 자세 받침 시트 51: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
53: 속박 띠 54: 띠 결합기
100: 다리 개방부
본 발명은 아기를 받치기 위해 사용되는 아기 업개(baby carrier) 기술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2가지 방식, 즉, 누운 자세 받침(lying position holding)과 선 자세 받침(upright position holding) 방식으로 아기 업개를 이용해 아기를 받칠 수 있다. 누운 자세 받침의 경우, 아기는 수평으로 누운 자세로 받쳐지고, 선 자세 받침의 경우, 아기는 수직으로 선 자세로 받쳐진다. 아기가 자람에 따라, 아기를 받치는 방식은 보통 누운 자세 받침에서 선 자세 받침으로 전환된다. 머리를 든 상태를 유지할 만큼 목이 튼튼하지 않은 아기는 보통 누운 자세로 받친다. 머리를 든 상태를 유지할 만큼 목이 튼튼한 아기는 선 자세로 받친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면, 사용자가 누운 자세 받침과 선 자세 받침 사이에서 받침 방식을 전환할 수 있는 아기 업개가 제안되었다. 일례로서, 선 자세 받침을 위해 채용된 선 자세 받침 시트와 누운 자세 받침을 위해 채용된 누운 자세 받침 시트를 포함하는 아기 업개가 있는데, 선 자세 받침에는 선 자세 받침 시트만이 유용하며, 누운 자세 받침 시트는 선 자세 받침 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누운 자세 받침에 유용하다(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4-181268호 참조).
종래기술의 아기 업개는 선 자세 받침 시트의 뒷면(아기 쪽의 면)과 옆면에 부착된 훅들, 및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뒷면(선 자세 받침 시트와 접촉된 면)과 옆면에 부착된 훅들을 포함한다. 훅은 누운 자세 받침 시트가 선 자세 받침 시트에 부착될 때 서로 분리 가능하게 맞물린다.
또한, 사용자가 선 자세의 아기를 받칠 수 있도록, 종래기술의 아기 업개는 예컨대 업개 본체 및 어깨띠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아기를 업개 본체에 앉히고( 또는 눕히고) 어깨띠를 사용해 업개 본체를 자신의 어깨에 매단다. 사용자는 그와 같인 아기 업개를 사용해 2개의 서로 다른 선 자세로 본체를 운반할 수 있다. 즉, 한 자세는 아기가 (사용자를 향해) 뒤를 보고 있는 뒤로 돌린 자세(뒤로 돌은 앞 메기)이고 다른 자세는 아기가 앞을 보고 있는 앞으로 향한 자세(앞으로 향한 앞 메기)이다.
아기를 뒤로 돌린 자세로 받치는 동안 아기의 무게는 주로 아기의 엉덩이로부터 업개 본체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업개 본체는 아기의 엉덩이와 접촉하는 부분(이하 다리 개방부라고 한다)으로 아기의 엉덩이를 확실히 지지해야 한다. 특히, 아기가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흔들리더라도 움직이는 아기에 꼭 맞는 상태를 유지하고 아기의 엉덩이를 편안히 지지하도록, 다리 개방부가 미리 정해진 치수보다 큰 폭을 유지하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아기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 받칠 때, 허벅지 안쪽과 그 둘레 부분이 다리 개방부와 접촉한다. 허벅지 안쪽 또는 그 둘레 부분 사이의 간격은 엉덩이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다. 다리 개방부의 폭이 뒤로 돌린 자세 받침과 앞으로 향한 자세 받침 양쪽에서 동일하다면, 다리 개방부는 아기의 허벅지 안쪽을 압박하여 아기에게 불편한 느낌을 줄 것이다.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리 개방부의 폭을 조절하는 몇 가지 구조들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제안된 구조는 다리 개방부에 부착된 체결구(fastener)를 포함하며, 체결구는 아기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 받칠 때 다리 개방부의 폭을 좁힌다. 다른 구조는 다리 개방부의 안쪽에 배치된 완충 부재를 포함한 다. 아기를 앞으로 향한 자세로 받칠 때, 완충 부재의 유연성이 다리 개방부로부터 아기의 허벅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킨다.
업개 본체는 상단에 머리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머리 지지부는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여 아기가 뒤로 너무 많이 기대지 않도록 해준다. 머리 지지부는 넓은 띠 모양의 부재이고, 머리 지지 띠와 체결 부재의 단부가 서로 부착되어 있다. 머리 지지 띠는 체결 부재에 의해 업개 본체와 어깨띠에 연결됨으로써, 머리 지지부를 업개 본체와 어깨띠에 연결한다.
머리 지지부를 갖는 종래기술의 아기 업개는 머리 지지 띠와 체결 부재가 아기를 건드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머리 지지 덮개를 더 포함한다. 종래의 머리 지지 덮개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판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머리 지지 띠와 체결 부재의 뒷면(아기 쪽의 면)에 배치된다. 다른 종래기술의 머리 지지 덮개는 관 형태로 구성된다. 머리 지지 띠와 체결 부재는 관 형태의 머리 지지 덮개를 통과하며, 머리 지지 덮개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인다.
또한, 전술한 구성을 갖도록 제안된 몇몇 머리 지지부에서, 오른쪽 길이와 왼쪽 길이는 조절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는 사다리 모양의 체결구인 래더 록(ladder lock)으로 구성된다. 래더 록에 머리 지지 띠를 삽입한 양을 조절하여 업개 본체와 머리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선 자세 받침 시트는 오른쪽 어깨끈과 왼쪽 어깨끈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 띠와 버클을 포함한다. 연결 띠는 예컨대 벨트 형태로 구성되고, 오른쪽과 왼쪽 어깨띠 가운데 하나에 부착된다. 버클은 연결 띠의 자유단에 부착된 암 버클과 오른쪽과 왼쪽 어깨띠 가운데 다른 하나에 부착된 수 버클을 포함한다. 수 버클이 연결끈의 단부에 배치된 암 버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면, 오른쪽과 왼쪽 어깨띠는 연결 띠와 버클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결합된 상태에서, 오른쪽 어깨띠와 왼쪽 어깨띠는 서로 고정된 거리를 유지한다. 그에 따라, 어깨띠는 사용자의 어깨에서 잘 벗겨지지 않고 사용자는 아기 업개를 수월하게 걸칠 수 있다. 또한, 버클이 측부 버클로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버클의 측부에 배치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암 버클을 수 버클로부터 풀어 어깨띠를 결합 해제할 수 있다.
연결 띠와 버클 위에는 이들을 덮어 이들이 아기를 건드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버클 덮개가 배치된다. 버클 덮개는 예컨대 얇은 판 또는 천 형태로 구성된다. 천 형태의 덮개는 둘로 접을 수 있고, 연결 띠와 버클은 접은 버클 덮개 내부에 배치될 수 있어서, 연결 띠와 버클은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덮일 수 있다. 또한, 버클 덮개의 안쪽면에는 훅과 면 체결구와 같은 체결구가 부착된다. 버클 덮개는 체결구에 의해 연결 띠에 고정되고, 체결구는 버클 덮개의 양단을 서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종래에는, 등이 충분히 튼튼하지 않아 선 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아기들을 위해 아기 업개를 설계할 때, 아기 업개는 비교적 높은 강성으로 아기의 등을 받쳐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기 업개는 업개 본체 안에 판지와 같은 강성 재료를 사용하여 높은 강성을 가져야 한다. 한편, 등이 충분히 튼튼해서 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아기들을 위한 아기 업개가 특히 높은 강성으로 아기의 등을 보호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그와 같은 아기 업개의 업개 본체는 판지를 사용하지 않고 연질 섬유로만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외출 중에 필요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가 아기 업개를 콤팩트한 형태로 접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아기 업개를 구성하라는 사용자들로부터의 높은 요구가 있다.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등이 충분히 강하지 않아 선 자세를 지지할 수 없는 아기들을 위해 설계된 아기 업개를 위해 강한 아기 업개 수납 구조가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아기 업개는 허리 자루(waist bag)와 같은 자루와 일체로 형성되고, 아기 업개와 자루는 각각 앞쪽과 뒤쪽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아기 업개로 아기를 받칠 때, 사용자는 아기 업개를 밖으로 내놓는다. 사용자가 아기 업개로 아기를 받치지 않을 때, 사용자는 구조를 뒤집어 자루를 밖으로 노출시키고 아기 업개를 콤팩트한 형태로 접어 자루 안에 밀어 넣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아기 업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 업개를 사용하여 받치는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기 업개를 사용하여 아기를 받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업개는 예컨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아기 업개는 아기와 접촉하면서 아기를 받치는 받침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시트는 아기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에 매립된 완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 부재는 자체 완충력을 줄이는 경감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아기 업개는 선 자세의 아기를 받치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및 누운 자세의 아기를 받치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선 자세 받침 시트와 상기 누운 자세 받침 시트는 서로 탈착 가능하고, 상기 선 자세 받침 시트와 상기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뒷면은 서로 접촉하며, 상기 누운 자세 받침 시트는 제1 체결구를 갖고, 상기 선 자세 받침 시트와 상기 누운 자세 받침 시트 가운데 하나는 상기 제1 체결구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2 체결구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구는 상기 선 자세 받침 시트의 뒷면과 상기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앞면에서 가려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아기 업개는 아기의 몸통을 받치기 위한 시트 본체;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시트 본체의 단부에 배치된 머리 지지부; 상기 시트 본체를 매달기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어깨띠; 및 상기 머리 지지부를 상기 시트 본체 또는 상기 어깨띠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의 앞면은 앞면 덮개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이고, 상기 연결구의 뒷면은 뒷면 덮개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인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아기 업개는 아기의 몸통을 덮는 시트 본체; 상기 시트 본체에 부착된 한 쌍의 어깨띠; 상기 한 쌍의 어깨띠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띠; 상기 연결 띠를 상기 어깨띠에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하기 위한 탈착 구조체; 및 상기 연결 띠를 둘러싸고, 상기 연결 띠로부터 상기 탈착 구조체로 연장되어 상기 탈착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관형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탈착 구조체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연결 띠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아기를 받치기 위한 아기 업개는 상기 아기 업개를 속박하기 위한 폴더; 및 상기 폴더를 자유로이 꺼낼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아기 업개 안에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업개(baby carrier)의 여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아기 업개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고 이어서 아기 업개의 각 부분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실시예의 변형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아기 업개의 기본 구조
먼저, 아기 업개의 기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 업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아기 업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아기 업개(1)는 아기를 받치기 위한 받침 장치이다. 아기 업개(1)는 사용자(예컨대 아기의 엄마 또는 아빠)가 걸치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 및 이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누운 위치 받침 시트(50)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도 1에 도시한 X-방향, Y-방향 및 Z-방향은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각각 오른쪽( 또는 우측), 앞쪽( 또는 전방) 및 위쪽( 또는 상방)을 나타낼 것이다. 이들의 반대 방향은 각각 왼쪽( 또는 좌측), 뒤쪽( 또는 후방) 및 아래쪽( 또는 후방)을 나타낼 것이다. 서로 접촉하게 되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면과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면은 뒷면이라고 할 것이고, 뒷면 반대쪽의 면은 앞면이라고 할 것이다. 필요한 경우,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은 각각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라고 할 것이다.
아기 업개(1)의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아기를 받칠 수 있다. 받침 방식은 크게 3개 범주, 즉, “누운 자세 받침(lying position holding),” “선 자세 받침(upright position holding)” 및 “뒤 메기(업음)(back loading)”으로 분류할 수 있다. “뒤 메기”는 “보통 뒤 메기”와 “교차 띠를 이용한 뒤 메기”로 더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합쳐서 5개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아기를 받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아기를 받치기 위한 5개의 받침 방식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누운 위치 받침” 방식으로 아기를 받칠 때, 아기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리를 사용자의 앞쪽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뻗고 누운 자세로 받쳐진다. 사용자가 “선 자세 받침” 방식으로 받칠 때, 아기는 사용자의 앞쪽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선 자세로 받쳐진다. 또한, “뒤로 돌린 선 자세 받침 ”에서 아기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 쪽을) 뒤로 돌린 자세로 받쳐지는데 반해 “앞으로 향한 선 자세 받침”에서 아기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앞으로 향한 자세로 받쳐진다. “뒤 메기”에서 사용자는 아기를 실질적으로 선 자세로 자신의 등에 업게 된다. 또한, “보통 뒤 메기”에서 사용자는 후술하는 한 쌍의 어깨 띠, 즉,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오른쪽 어깨띠와 왼쪽 어깨띠(도 6에 도시 안함)를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하여 걸치게 된다. 반면, “교차 띠를 이용한 뒤 메기”에서 사용자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어깨띠를 서로 교차시켜 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아기는 목이 충분히 튼튼하지 못하므로 생후 수개월 동안 머리를 든 자세로 받칠 수 없다. 따라서, 누운 자세의 아기를 받치게 된다. 아기의 목이 충분히 튼튼해 진 후에, 선 자세의 아기를 받치게 된다. 사용자가 실시예에 따른 아기 업개(1)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누운 자세의 아기를 받친 때에만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를 선 자세 받침 시트(50)에 부착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를 떼어내고 선 자세 받침 시트(10)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 업개(1)는 융통성이 높아 편리하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기본 구조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기본 구조를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1의 선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크게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 머리 지지부(12), 복수의 어깨띠(13), 연결 띠(14), 옆구리띠;(15) 및 다리 지지 띠(16)로 이루어진다. 머리 지지부(12), 어깨띠(13), 연결 띠(14), 옆구리띠(15) 및 다리 지지 띠(16)는 각각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에 부착된다.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를 수용하는 수용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아기를 직접 지지하기 위한 받침면을 형성한다.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기본 구조 부재이다.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가 전술한 기능을 이행하는 한,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일반적으로 길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판 모양으로 형성된다.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아기의 목으로부터 가랑이까지의 부분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해당하는 길이와 아기의 몸통의 폭에 실질적으로 해당하는 폭을 갖는다.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아기 받침 방식의 변경을 수용하고 아기의 움직임을 따라가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면 좋다. 예컨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우레탄과 같은 푹신한 부재를 포함하고, 이 푹신한 부재의 앞면과 뒷면은 각각 덮개 천과 받침 천으로 덮인다. (푹신한 부재, 덮개 천 및 받침 천은 도 8 내지 10에 도시되지 않는다.) 아기의 상반신에 해당하는 덮개 천과 받침 천의 일부는 아기를 더 안락하게 하고 아기 업개(1)의 설계를 개선하도록 통기성이 뛰어난 망포(그물 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머리 지지부(12)는 아기의 머리의 무게를 수용하고 아기가 너무 뒤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머리 지지물이다. 머리 지지부(12)가 그 기능을 이행하는 한, 머리 지지부(12)는 어떠한 형태라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머리 지지부(12)는 보통 수평으로 긴 띠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머리 지지부(12)는 아기의 머리를 머리의 상부까지 덮는 높이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다. 머리 지지부(12)는 덮개 천과 망포의 받침 천으로 덮인 푹신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머리 지지부(12)에는 부드러움이 확보되고, 아기의 안락함과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향상된다. 머리 지지부(12)의 하부 가장자리는 봉합선(17)을 따라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상부 가장자리와 봉합되어 있다. 머리 지지부(12)는 봉합선(17)에서 앞쪽으로 접힐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앞으로 향한 받침의 경우,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 위로 개방 공간이 존재하고 앞으로 향한 아기의 얼굴이 가려지지 않으므로, 아기의 편안함이 향상될 수 있다.
어깨띠(13)는 사용자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가해지는 아기의 무게를 매달기 방식으로 받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자신의 어깨 둘레에 걸치는 지지물이다. 어깨띠(13)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오른쪽과 왼쪽에 모두 제공된다. 어깨띠(13)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로부터 돌출하여 사용자의 어깨 둘레를 돌아 사용자의 가슴 또는 등에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어깨띠(13)는 옆구리띠(15) 또는 다리 지지 띠(16)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무게가 어깨띠(13)에 의해 분산되어 사용자가 느끼는 무게를 경감시키게 된다. 또한, 도 11에 어깨띠(13)의 확대 정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체결구(18)가 길이 방향 으로 어깨띠(13)의 중심에 인접하여 각각의 어깨띠(13)의 서로 다른 측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2개 즉 한 쌍의 어깨띠(13)는 체결구(1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하나의 더 넓은 띠 모양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은 누운 자세 받침의 경우에 한 쪽 어깨에만 어깨띠(13)를 두르는 때에는, 더 넓은 어깨띠(13)는 여간해서는 어깨에서 벗겨지지 않고 무게를 더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부담이 더 경감될 수 있다.
도 8 내지 10으로 돌아가면, 전술한 구성을 갖는 머리 지지부(12)와 어깨띠(13)는 머리 지지 띠(2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13은 머리 지지 띠(20)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후술하는 뒷면 덮개(72)가 젖혀져 열린 머리 지지 띠(20)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결합 해제된 머리 지지 띠(20)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머리 지지 띠(20)는 머리 지지부(12)와 어깨띠(1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이고, 머리 지지부(12)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머리 지지 띠(20)는 선 위치 받침 시트 본체(11)로부터 돌출한 띠 모양의 띠 본체(21), 길이 조절을 위해 채용되어 띠 본체(21)의 자유단에 배치된 사다리 모양의 체결구인 래더 록(ladder lock)(22) 및 이 래더 록(22)과 일체로 형성되어 래더 록(22)의 단부에 배치된 훅(23)을 포함한다. 한편, 어깨띠(13)의 훅(2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링(24)이 배치된다. 훅(23)이 링(24)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면, 머리 지지부(12)는 아기의 머리의 무게가 어깨띠(13)에 의해 지지되도록 어깨띠(13)에 연결되어, 아기의 머리를 더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또한, 머리 지지부(12)와 어깨띠(13)가 전술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때에, 한 쌍의 어깨띠(13)는 이들 사이의 소정 거리로 상부 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래더 록(22)에 삽입된 띠 본체(21)의 양이 바뀌는 때에,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로부터 돌출한 띠 본체(21)의 일부의 길이를 조절하고, 머리 지지부(12)와 어깨띠(1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아기를 수용하는 공간의 크기를 아기의 개월 수와 신체 치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머리 지지부(12)가 어깨띠(13)에 연결되는 때에,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 머리 지지부(12) 및 어깨띠(13)는 팔 구멍(25)을 형성하고, 팔 구멍(25)은 도 9와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들 3개의 부재로 둘러싸인 개방부로서, 아기가 팔을 팔 구멍(25)에 자유로이 넣을 수 있다.
도 8과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 띠(14)는 오른쪽 및 왼쪽 어깨띠(1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이다. (도 8과 9에서 연결 띠(14)는 후술하는 포켓(90)에 수납되어 있다.) 도 16은 연결된 연결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연결 띠(14)는 어깨띠(13) 가운데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왼쪽 어깨띠(13))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에 연결된 위치 가까이 배치되고, 하나의 어깨띠(13)로부터 다른 어깨띠(13)(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어깨띠(13))로 연장된 띠 모양 부재로 형성된다. 암 버클(26)이 연결 띠(14)의 자유단에 배치되고, 수 버클(27)이 다른 쪽 어깨띠(13)(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어깨띠(13))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에 연결된 위치 가까이에서 암 버클(2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6에서, 수 버클(27)은 암 버클(26)에 수납되어 있다.)
암 버클(26)에는 수 버클(27)을 수납하는 공간(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이 공간 내에는 맞물림 돌기(boss)(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수 버클(27)이 공간 안으로 삽입되는 때에, 맞물림 돌기는 수 버클(27)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린다. 따라서, 오른쪽 및 왼쪽 어깨띠(13)는 이들 사이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연결 띠(1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부담을 더 경감시킬 수 있다. 암 버클(26)에는 조작부(26a)가 있다. 조작부(26a)를 눌러 암 버클(26)을 탄성 변형시키면, 수 버클(27)은 맞물림 돌기로부터 해제되고, 어깨띠(13)는 연결 띠(14)에 의한 연결에서 해제된다.
도 8과 9를 다시 참조하면, 옆구리띠(15)는 어깨띠(13)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이다. 옆구리띠(15)의 상단은 후술하는 회전 버클(30)에 의해 어깨띠(13)의 단부에 연결된다. 옆구리띠(15)의 하단은 래더 록(28)에 의해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하단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따라 래더 록(28)에 삽입된 옆구리띠(15)의 양을 변경하여 어깨띠(13)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오른쪽 및 왼쪽 옆구리띠(15) 가운데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띠(15))의 하단 가까이에 결박용 고무(29)가 제공된다. 결박용 고무(29)는 원형 탄성 부재이다. 다른 옆구리띠(15)(본 실시예에서는 왼쪽 옆구리띠(15))의 하단이 결박용 고무(29)를 통과하게 되는 때에, 오른쪽 및 왼쪽 옆구리띠(15)의 하단은 서로 결박되어, 옆구리띠(15)는 느슨하게 늘어져 사용자를 방해하는 일이 없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어깨띠(13)와 옆구리띠(15)는 도 9에 도시한 회전 버클(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17은 회전 버클(30)의 정면도이고, 도 18은 회전 버클(30)의 밑면도이며, 도 19는 분리 상태인 회전 버클(30)의 (일부 분해한) 사시도이다. 회전 버클(30)은 수 버클(31)과 암 버클(32)을 포함한다. 하나의 어깨띠(13)(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어깨띠(13))와 하나의 옆구리띠(15)(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옆구리띠(15))가 수 버클(3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다른 어깨띠(13)(본 실시예에서는 왼쪽 어깨띠(13))와 다른 옆구리띠(15)(본 실시예에서는 왼쪽 옆구리띠(15))가 암 버클(3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수 버클(31)과 암 버클(32)이 서로 연결되는 때에, 오른쪽 어깨띠(13)와 왼쪽 어깨띠(13)는 사용자의 앞쪽에서 서로 연결되어,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교차한 띠를 이용한 뒤 메기가 가능해져서, 사용자의 부담을 더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7 내지 1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 버클(31)은 일체로 형성된 기부(33)와 (혀 모양의) 텅(34)을 포함한다. 기부(33)는 어깨띠(13)가 연결될 수 있는 링(33a)과, 옆구리띠(15)가 연결될 수 있는 슬릿(33b)을 갖는다. 텅(34)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조작부(34a)가 텅(34)의 원형 부분 안쪽에 제공된다. 조작부(34a)가 눌리지 않으면, 조작부(34a)는 텅(34)보다 약간 멀리 뒤쪽으로(사용자의 옆구리 쪽으로) 돌출한다. 조작부(34a)는 앞쪽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암 버클(32)은 일체로 형성된 기부(35)와 소켓(36)을 포함한다. 기부(35)는 어깨띠(13)가 연결될 수 있는 링(35a)과 옆구리띠(15)가 연결될 수 있는 슬릿(35b)을 갖는다. 소켓(36)은 수 버클(31)의 텅(34)을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공간(36a)을 갖는다. 텅(34)은 공간(36a) 안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공간 뒤쪽에는 링(36b)이 배치된다. 텅(34)이 공간(36a) 안으로 삽입되는 때에, 텅(34)의 조작부(34a)는 링(36b)의 구멍을 통해 뒤쪽을 향해 돌출하고, 링(36b)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린다. 따라서, 수 버클(31)과 암 버클(32)은 서로 연결된다. 연결된 상태에서, 수 버클(31)은 미리 정해진 범위만큼 수직 평면(사용자의 가슴을 따라 연장된 평면)에서 암 버클(32)에 대해 조작부(34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따라 어깨띠(13)와 옆구리띠(15)의 교차 각도를 조절하여, 아기 업개를 자신에 더 잘 맞게 할 수 있다. 도 20은 회전 버클(30)의 정면도이다. 도 20에서, 가상선은 회전하기 전의 회전 버클(30)을 나타내고, 실선은 회전한 후의 회전 버클(30)을 나타낸다. 회전 버클(30)이 연결 상태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조작부(34a)를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누른다면, 조작부(34a)는 탄성 변형을 겪어 링(36b)으로부터 풀려, 수 버클(31)은 암 버클(32)과의 맞물림에서 해제된다. 조작부(34a)는 회전 버클(30)의 뒤쪽에 배치되므로, 회전 버클(30)을 앞쪽으로부터 누르는 실수를 해도 수 버클(31)은 암 버클(32)로부터 풀리지 않는다.
도 8과 9를 다시 참조하면, 다리 지지 띠(16)는 아기의 다리 부분을 둘러싸고, 매달기 방식으로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에 의해 아기의 엉덩이로부터 전달되는 아기의 무게를 수용하도록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측부와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이다. 도 21은 다리 지지 띠(16)의 정면도이다. 다리 지지 띠(16)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하단에 부착된 다리 지지 띠 본체(40)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와 어깨띠(13)가 서로 연결된 위치에 인접한 부분에 다리 지지 띠 본체(40)를 연결하는 고무로 된 신축 띠(41)를 포함한다. 아기의 움직 임을 따라 신장하는 신축 띠(41)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41)의 하부가 항상 아기 몸의 엉덩이 부분에 들어맞도록 할 수 있다. 신축 띠(41) 둘레에는 띠 덮개(42)가 배치된다. 띠 덮개(42)는 신축 띠(41)가 노출되지 않도록 신축 띠(41)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는다. 따라서, 신축 띠(41)의 신축 상태와 무관하게, 띠 덮개(42)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측부 및 하단부가 다리 지지 띠(16)에 의해 서로 연결되면,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와 다리 지지 띠(16)로 둘러싸인 개방부에 의해 다리 구멍(43)이 형성된다. 아기는 다리를 자유로이 다리 구멍에 넣을 수 있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기본 구조
도 1과 2에 도시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기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2는 도 1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1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정면도이며, 도 24는 도 1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후면도이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 머리 보호부(52), 속박 띠(holding strap, 53) 및 띠 결합기(54)를 포함한다. 머리 보호부(52), 속박 띠(53) 및 띠 결합기(54)는 각각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에 부착된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는 아기를 직접 수용하는 수용면을 형성한다. 누운 자세 받침 본체(51)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기본적인 구조 부재이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가 전술한 기능을 이행하는 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는 수직으로 길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아기의 몸 전체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길이와 폭을 갖는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는 아기의 목이 머리를 지지할 만큼 충분히 튼튼하지 않을 때 적절한 형태로 아기를 받치고 유지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 좋다. 예컨대,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는 도 25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수직 단면도로 도시한 것과 같이 심 재료(core material)인 하드보드(55)로 형성된다. 고경질 하드보드(55)를 사용하면 누운 자세 받침의 경우 실질적으로 수평 자세로 아기를 지지할 수 있고 아기의 등뼈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포 부재(56)가 하드보드(55)의 앞면에 배치되어 덮개 천(57)으로 덮이는 반면 우레탄과 같은 재료의 푹신한 부재(58)가 하드보드(55)의 뒷면에 배치되어 받침 천(59)으로 덮임으로써, 아기의 편안함이 향상된다. 관통공인 복수의 통기공(55a)이 하드보드(55)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되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통기 특성과 그에 따른 아기의 편안함이 더 향상된다.
도 22 내지 24를 다시 참조하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오른쪽과 왼쪽의 아기의 팔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개부(60)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아기는 절개부(60)를 통해 바깥으로 팔을 뻗을 수 있어, 아기의 편안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앞쪽에는 속박 띠(53) 이외의 다른 부재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앞쪽은 개방 공간이며, 그에 따라 아기가 누운 자세로 있는 동안 아기의 열은 효율적으로 밖으로 나갈 수 있고, 아기의 편안함은 더 향상될 수 있다.
머리 보호부(52)는 누운 자세 받침의 경우 아기의 머리를 뒤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이다. 머리 보호부(52)는 아기의 머리 모양에 해당하는 반쪽 사발 모양으로 형성되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상부 가장자리에 봉합된다. 머리 보호부(52)는 하드보드(도시 생략)로 구성된다. 개구부들(도시 생략)이 하드보드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되어, 머리 보호부(52)의 통기 특성과 그에 따른 아기의 편안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머리 보호부(52)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로부터 별개로 제조되고, 나중에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에 봉합된다. 따라서, 머리 보호부(52)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 가능하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가 변형되거나 하는 것은 머리 보호부(52)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서, 머리 보호부(52)의 변형이 방지되고, 아기의 머리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속박 띠(53)는 누운 자세 받침의 경우 아기의 몸통을 위쪽으로부터 고정하는 것으로,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오른쪽과 왼쪽 가운데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에 부착된다. 속박 띠(53)는 아기의 몸통 위로 연장되어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오른쪽과 왼쪽 가운데 다른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에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도 2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 훅(61)이 속박 띠(53)의 자유단에 부착되고, 암 훅(62)이 수 훅(6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오른쪽과 왼쪽 가운데 다른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왼쪽)에 부착된다. 수 훅(61)이 암 훅(62)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면, 속박 띠(53)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를 가로질러 고정되도록 속박될 수 있다. 따라서, 속박 띠(53)는 아기의 몸통을 고정할 수 있다.
도 22 내지 24를 다시 참조하면, 띠 결합기(54)는 전술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10)의 옆구리띠(15)와 다리 지지 띠(16)를 결박하는 결합기이다. 띠 결합기(54)는 정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T자 형태로 형성되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하부 가장자리에 봉합된다. 띠 결합기(54)가 관 형태로 접히면, 다리 지지 띠(16)와 옆구리띠(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띠 결합기(54)의 관 형태에 의해 형성된 공간 안에 수납될 수 있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각각의 부분의 상세한 설명: 머리 지지 띠(20)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각각의 부분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머리 지지 띠(20)를 설명한다. 도 13 내지 15를 다시 참조하면, 머리 지지 띠(20)는 띠 커버(70)로 덮여 있다. 띠 커버(70)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일체부처럼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표면의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부터 연장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판 모양의 앞쪽 덮개(71)와, 이 앞쪽 덮개(71)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판 모양의 뒤쪽 덮개(72)를 포함한다.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머리 지지 띠(20)는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 사이에 수납된다.
구체적으로는 머리 지지 띠(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되면, 머리 지지 띠(20)의 앞면과 뒷면은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로 각각 덮여, 머리 지지 띠(20)는 띠 덮개(70)의 접힌 상태와 무관하게 덮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머리 지지부(12)가 도 4와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 있으면, 머리 지지 띠(20)의 뒷면은 뒤쪽 덮개(72)로 덮일 수 있어서, 머리 지지 띠(20)가 아기를 건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띠(12)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히면, 머리 지지 띠(20)의 앞면은 앞쪽 덮개(71)로 덮여, 머리 지지 띠(20)가 아기를 건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에서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는 도시되지 않았다.) 동시에, 머리 지지 띠(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방지되므로,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머리 지지 띠(20)를 더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덮도록 다양한 띠 덮개(7)가 고안된다. 예컨대, 도 13 내지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뒤쪽 덮개(72)의 상부 가장자리를 봉합선(73)을 따라 앞쪽 덮개(71)의 상부 가장자리에 봉합하는 것에 의해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는 서로 고정된다. 뒤쪽 덮개(72)는 도 14와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봉합선(73)으로부터 위로 젖혀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뒤쪽 덮개(72)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고정시키기만 하여도 머리 지지 띠(2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종래의 아기 업개의 관형 덮개를 당기는 등의 성가신 조작을 할 필요가 없고, 손을 머리 지지 띠(20)로 뻗어 용이하고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 지지 띠(20)는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으로 덮인다. 사용자가 전술한 암 훅(71a)과 수 훅(72a)으로 고정하는 것을 잊은 때에도, 머리 지지 띠(20)가 아이를 건드리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암 훅(71a)이 도 14와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뒷면(뒤쪽 덮 개(72)를 향한 면) 상의 앞쪽 덮개(71)의 하단부에 제공된다. 또한, 앞면(앞쪽 덮개(71)를 향한 면) 상의 뒤쪽 덮개(72)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암 훅(7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수 훅(72a)이 제공된다. 수 훅(72a)이 암 훅(71a)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면,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는 하단부가 서로 고정되어, 머리 지지 띠(20)가 훨씬 더 확실히 덮일 수 있다. 또한, 암 훅(71a)과 수 훅(72a)이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므로, 암 훅(71a)과 수 훅(72a)은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가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닫히는 때에 띠 덮개(70) 안쪽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암 훅(71a)과 수 훅(72a)이 아기를 건드리는 일이 없고, 훅의 노출에 따른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래더 록(22)에 삽입되는 띠 본체(21)의 양을 바꾸면 머리 지지부(12)로부터 돌출한 머리 지지 띠(20)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6은 최소 길이인 머리 지지 띠 둘레의 일부의 정면도이며, 도 27은 최대 길이인 머리 지지 띠 둘레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머리 지지 띠(20)는 봉합부를 조절하면 머리 지지 띠(20)의 길이의 바뀜에 무관하게 덮개(70)로 덮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는 띠 본체(21)의 최소 길이(L1)를 초과하고 띠 본체(21)의 최대 길이(L2)를 초과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머리 지지 띠(20)가 최대 길이만큼 연장된 때라도, 머리 지지 띠(20)는 덮여 아기를 건드리는 일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머리 지지 띠(20)의 돌출량이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되면, 때때로 띠 본 체(21)의 일부가 쓸데없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은 띠 본체(21)의 잔여부(21a)는 래더 록(22)에서 뒤로 접히고, 머리 지지부(12)로 안내되며, 도 2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띠 덮개(70) 밖으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머리 지지부(12)는 머리 지지 띠(20)의 부착 위치 가까이에 자루 모양 띠 포켓(12a)을 구비한다. 띠 포켓(12a)은 머리 지지부(12)의 단부에 형성된 공간이며, 잔여부(21a)의 최대 길이(L3)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띠 포켓(12a)은 머리 지지 띠(20) 쪽의 일면에 개구(12b)가 형성된다. 띠 본체(21)의 잔여부(21a)는 개구(12b)를 통해 띠 포켓(12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띠 본체(21)의 일부가 남더라도, 잔여부(21a)는 띠 포켓(12a)에 간단히 삽입되어 가려진 상태가 됨으로써, 아기를 건드리는 일이 없게 되고 아기가 잔여부(21a)를 만지작거리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 사이에 형성된 공간(74)은 띠 포켓(12a)의 공간(75)과 실질적으로 이음매 없이 통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공간(74)에 수납된 머리 지지 띠(20)의 잔여부(21a)는 밖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공간(75)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어서, 전체 머리 지지 띠(20)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가릴 수 있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각각의 부분의 상세한 구조: 연결 띠(14)
(연결 벨트라고도 하는) 연결 띠(14)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8은 연결 해제된 연결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 띠(14)와 암 버클(26)은 연결 띠 덮개(80)로 덮여 있다. 연결 띠 덮개(80)는 덮개 천(81)(후술하는 도 30에만 도시)과 받침 천(82)으로 관 모양으로 형성된다. 연결 띠(14)와 암 버클(26)이 관 형태의 공간에 삽입되면, 연결 띠(14)와 암 버클(26)은 연결 띠 덮개(80)로 둘러싸여 가려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연결 띠(14)와 암 버클(26)이 아기를 건드리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6a)를 갖는 암 버클(26)이 가려진 상태이므로, 아기가 조작부(26a)를 만지작거리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 띠 덮개(80)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수 버클(27)이 개방 단부로부터 삽입되면, 수 버클(27)은 암 버클(26)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린다. 수 버클(27)은 도 16에 도시한 맞물림 상태에서 암 버클(26) 안에 있게 되므로, 수 버클(27)은 암 버클(26)과 함께 이와 유사하게 연결 띠 커버(80)로 덮일 수 있다.
사용자가 수 버클(27)과 암 버클(26)을 서로 맞물리려고 하거나 암 버클(26)의 조작부(26a)를 조작하여 풀려고 하는 때에, 사용자는 연결 띠 덮개(80)를 어깨띠(13)의 측부 쪽으로 당겨 암 버클(26)을 개방시킬 수 있다. 하지만, 암 버클(26)이 연결 띠 덮개(80)로 덮이기만 한 때에는, 연결 띠 덮개(80)를 당기는 것은 성가시다. 또한, 사용자가 암 버클(26)을 노출시킨 후에 연결 띠 덮개(8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잊은 경우, 암 버클(26)은 노출된 채로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띠 덮개(80)를 스스로 원 형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불편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연결 띠 덮개(80)는 도 2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암 버클(26) 가까이에서 봉합선(83)을 따라 연결 띠(14)에 봉합된다. 사용자가 도 29에 도시한 것과 같 이 연결 띠 덮개(80)를 당기면, 연결 띠 덮개(80)의 이동은 봉합선(83)에서 제한되고, 연결 띠 덮개(80)의 단부로부터 봉합선(83)까지의 부분만이 빠져나올 수 있다. (도 28과 29에서, 연결 띠 덮개(80)의 이동 가능 범위는 R1로 나타내고, 이동 불가 범위는 R2로 나타낸다.) 연결 띠 덮개(80)가 단부에서 짧은 범위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면, 연결 띠 덮개(80)의 단부의 반발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을 연결 띠 덮개(80)에서 떼기만 해도 연결 띠 덮개(80)는 그 반발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원상태로 복귀하여 도 16과 2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암 버클(26)을 덮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 띠 덮개(80)를 원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도 암 버클(26)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아기를 위한 아기 업개의 안전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암 버클(26)과 수 버클(27)을 위해 맞물림 구조체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버튼 훅 또는 측방 해제 버클(SR 버클)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해제 버클을 사용한다. 사용자가 암 버클(26)의 앞면(아기의 옆면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된 조작부(26a)를 누르면, 암 버클(26)은 수 버클(27)로부터 풀릴 수 있다. 그와 같은 조작부(26a)는 앞쪽으로부터만 조작 가능하므로, 뒤쪽으로부터 아기가 조작부(26a)를 실수로 조작하는 것이 방지되어, 아기 업개의 안정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수 버클(27)과 암 버클(27)을 맞물리게 하려고, 사용자는 연결 띠(14)를 비틀어 수 버클(27)을 암 버클(26)에 삽입할 때 적합하지 않은 쪽이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연결 띠 덮개(80)는 어느 쪽이 앞쪽이고 뒤쪽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갖는다. 식별자는 예컨대 연결 띠 덮개(80)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배치된 마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띠 덮개(80)의 앞면과 뒷면은 식별자 기능을 하게 되는 서로 다른 재료의 천으로 덮여 있다.
구체적으로, 망포가 연결 띠 덮개(80)의 덮개 천(81)으로 사용되고, 망포 이외의 천이 연결 띠 덮개(80)의 받침 천(82)으로 사용된다. (도면에 서로 다른 천 재료가 도시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 띠 덮개(80)의 앞면과 뒷면을 수월하게 눈으로 구별할 수 있고, 수 버클(27)을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하여 암 버클(26)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아기의 측부 쪽의 덮개 천(81)이 통기성이 좋은 망포로 이루어지므로, 아기는 덮개 천(81)이 건드리더라도 편안한 느낌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조작부(26a)를 덮는 받침 천(82)이 비교적 얇은 받침 천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받침 천(82)을 통해 조작부(26a)와 닿을 때 편안함이 커지고, 그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조작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 버클(27)이 정확한 방향으로 암 버클(26)에 삽입될 때만 수 버클(27)과 암 버클(26)이 서로 맞물리도록 수 버클(27)과 암 버클(26)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연결 띠(14)는 선 자세 받침의 경우에만 채용되며 누운 자세 받침의 경우에는 필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아기 업개(1)는 누운 자세 받침에서 연결 띠(14)를 수납하는 수납 구조체를 포함한다. 도 30은 수납 중인 연결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며, 도 31은 수납 완료된 연결 띠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연결 띠(14)가 수납되는 자루 모양 포켓(90)이 연결 띠(14)가 부착된 어깨띠(13) 가운데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왼쪽 어깨띠(13))에 형성된다. 또한, 수 버클(27)이 수납되는 자루 모양 포켓(91)이 수 버클(27)이 부착된 어깨띠(13) 가운데 다른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어깨띠(13))에 형성된다. 포켓(90, 91)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어깨띠(13)의 부착 위치 가까이에 형성된다. 포켓(90, 91)은 연결 띠(14) 또는 수 버클(27) 맞은편 면에 각각 개구(90a, 9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 띠(14) 또는 수 버클(27)은 개구(90a, 91a)를 통해 포켓(90, 9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띠(14)와 수 버클(27)이 사용되지 않을 때, 이들은 가려진 상태로 포켓에 수납될 수 있어서, 연결 띠(14)와 수 버클(27)이 다른 동작을 방해하고 사용자와 아기를 건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띠(14)가 포켓(90)에 완전히 수납되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서와 같이 연결 띠(14)의 전체 길이가 어깨띠(13)의 전체 폭보다 길 때, 연결 띠(14)는 어깨띠(13)에 수직 방향으로 포켓에 삽입된다면 포켓(90)에 완전히 수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포켓(90)은 어깨띠(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사각형 공간이 된다. 구체적으로, 포켓(90)은 도 3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연결 띠(14)의 전체 길이(L4)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고 연결 띠(14)의 기부 둘레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연결 띠(14)는 연결 띠(14)의 단부가 도 3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아래를 향하도록 접히면 도 3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포켓(90)에 수납될 수 있고, 그 단부는 개구(90a)에 삽입되고 어깨띠(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포켓(90) 안으로 더 밀려들어 간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각각의 부분의 상세한 구조: 다리 개방부
도 10의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다리 개방부(10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다리 개방부(100)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하단부이며, 도 4에 도시한 뒤로 돌린 앞 메기의 경우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고 도 5에 도시한 앞으로 향한 앞 메기의 경우 허벅지 안쪽을 받친다. 본 실시예의 다리 개방부(100)의 융통성을 개선하도록 다리 개방부(100)를 다양하게 안출함으로써, 다리 개방부(100)는 다리 개방부(100)가 접촉하는 부분들의 변화를 맞출 수 있다. 도 32는 다리 개방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후면도이며, 도 33은 도 32의 A-A 선을 따라 자른 수직 단면도이다.
다리 개방부(100)의 오른쪽 및 왼쪽 부분(101, 102)은 아기의 허벅지 형태에 들어맞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아기의 다리가 만곡된 부분(101, 102)에 의해 지지되면, 아기는 다리를 편히 뻗을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리 개방부(100)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다른 부분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되고, 푹신한 부재(103)는 앞면과 뒷면이 앞쪽 천(104)과 뒤쪽 천(105)에 의해 각각 덮인 완충 부재의 역할을 한다. 푹신한 부재(103)는 아기를 받치기 위해 필요한 강성을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부여하는 구조 부재이며, 아기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 가능하여 아기의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완충 부재이기도 하다.
다리 개방부(100)의 중심 둘레의 푹신한 부재(103)의 일부(도 32에 점선으로 도시한 부분)에는 개구(106)가 형성된다. 개구(106)는 푹신한 부재(103)의 완충력을 줄이는 완충력 경감부이다. 도 34는 변형된 다리 개방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후면도이며, 도 35는 도 34의 B-B 선을 따라 자른 수직 단면도이다. 푹신한 부재(103)의 완충력은 개구(106)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리 개방부(100)에서 푹신한 부재(103)의 전체 완충력이 줄어든다. 앞으로 향한 앞 메기의 경우, 아기의 엉덩이가 아닌 허벅지 안쪽 부분은 다리 개방부(100)에 닿아 다리 개방부(100)를 도 34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 된다. 푹신한 부재(103)의 반발력이 개구(106)에서 줄게 되므로, 푹신한 부재(103)는 비교적 쉽게 변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아기의 허벅지 안쪽 부분이 과도하게 압박되지 않고, 다리 개방부(100)는 허벅지 안쪽 부분에 해당하는 폭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106)의 존재는 다리 개방부(100)의 통기 특성을 더욱 향상시켜 아기의 편안함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개구(106)의 전면 형태가 다리 개방부(100)와 마찬가지로 아기의 허벅지의 형태와 합치하는 사다리꼴이므로, 푹신한 부재(103)는 아기의 다리에 순응하는 형태로 변형되어, 아기의 다리에 제대로 꼭 맞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2 내지 3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리 개방부(100)의 양쪽에는 가동부(107)가 제공된다. 가동부(107)는 아기의 움직임을 따라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도 3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리 개방부(100)의 각각의 부분에는 봉합선(108)이 제공된다. 푹신한 부재(103)는 도 3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봉합선(108)을 따라 구분되어 가동부(107)를 형성한다. 도 36은 가동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며, 도 37은 변형된 가동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푹신한 부재(103)가 구분되므로, 푹신한 부재(103)의 강성도 역시 구분되어, 가동부(107)의 강성이 감소한다. 따라서, 가동부(107)는 아기 에 의해 다리 개방부(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아기에 해당하는 폭을 유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봉합선(108)이 도 32와 3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아기의 다리의 형태와 어울리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가동부(107)는 아기의 다리에 해당하는 형태로 변형되도록 움직임으로써, 다리에 맞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전후 이동을 갖는 전술한 무게 경감 구조체와 함께, 상하 이동을 갖는 무게 경감 구조체를 제공한다. 도 38은 무게 조절부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후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리 개방부(100)는 무게 조절부(107a)를 갖는다. 무게 조절부(107a)는 다리 개방부(100)를 아래로 팽창시고 아기의 무게가 다리 개방부(100)에 가해져 생기는 장력을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한다.
구체적으로, 무게 조절부(107a)는 다리 개방부(100)의 하단의 연장부로부터 형성된다. 다리 개방부(100)의 하단은 다리 개방부(100)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미리 정해진 길이로 아래로 연장된다. 연장된 구조체에 의해 다리 개방부(100)의 측부은 더 긴 길이(L5), 즉, 다리 개방부의 원래 길이(L6)와 무게 조절부(107a)의 길이의 합(L5=L6+L7)을 갖게 된다. 무게 조절부(107a)의 형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통상, 아기는 도 39에 개략도로 도시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L6)를 갖는 다리 개방부(100)에 걸려있게 된다.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 안쪽 부분은 현수 방식으로 다리 개방부(100)의 오른쪽과 왼쪽 부분에 의해 받쳐진다. 아기의 무게(F)는 다리 개방부(100)의 오른쪽과 왼쪽 부분으로 직접 전달되어,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 안쪽 부분을 압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40의 개략도로 도시한 것과 같은 무게 조절부(107a)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현수 상태로 다리 개방부(100)의 오른쪽과 왼쪽 부분에 가해진 장력은 종래의 다리 개방부(100)의 장력에 비해 경감되고, 다리 개방부(100)의 오른쪽과 왼쪽 부분에 가해지는 무게가 감소한다. 그러면, 무게(F)가 가해지는 지점은 감소한 양만큼 오른쪽과 왼쪽으로부터 중심(안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아기의 엉덩이 또는 넓적다리 안쪽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되어, 아기의 편안함이 향상될 수 있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대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탈착 구조체
다리 부분의 고정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술한 것과 같은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하단에 띠 결합기(54)가 제공된다. 도 42는 결합된 띠 결합기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43은 결합 해제된 상태의 띠 결합기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띠 결합기(54)는 대체로 T자형 정면 형태를 갖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하부 가장자리에 봉합된다. 띠 결합기(54)는 왼쪽 단부 앞면(뒷면)의 수 후크(54a)와 이 수 후크(54a)에 대응하는 위치의 오른쪽 단부 뒷면(앞면)의 암 후크(54b)를 갖는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고정되고, 띠 결합기(54)는 다리 지지 띠(16)와 옆구리 지지 띠(15)의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삽입되고, 띠 결합기(54)의 뒷면은 다리 지지 띠(16) 및 옆구리 지지 띠(15)와 접촉하게 되며, 띠 결합기(54)는 관 형태로 접힌다. 그에 따라, 다리 지지 띠(16)와 옆구리 지지 띠(15)는 관 형태의 내부 공간 안에 수납될 수 있다. 전술한 형태의 띠 결합기(54)의 오른쪽 및 왼쪽 단부는 서로 중첩되고, 수 훅(54a)과 암 훅(54b)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수 훅(54a)이 암 훅(54b)에 압박되고 암 훅(54b)과 맞물릴 때, 띠 결합기(54)는 도 42에 도시한 관 모양의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옆구리띠(15)와 다리 지지 띠(16)가 띠 결합기(54)에 의해 함께 결박될 수 있으므로, 옆구리띠(15), 다리 지지 띠(16) 및 그 잔여부를 사용자나 아기 등이 잡는 것이 방지되고, 아기 업개(1)의 외양이 더 깔끔해져 설계 품질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띠 결합기(54)가 내부의 하드보드 없이 앞쪽 천과 뒤쪽 천으로 구성되므로, 띠 결합기(54)는 아기에게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또한, 띠 결합기(54)가 다리 지지 띠(16)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때, 다리 지지 띠(16)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하단으로부터 앞쪽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일어설 수 있어서, 다리 지지 띠(16)가 오른쪽, 왼쪽 또는 위쪽으로 당겨지거나 아기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폴더 구조체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폴더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후 수개월의 아기는 보통 선 자세로 받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아기 업개(1)는 사용자가 선 자세 받침의 경우 선 자세 받침 시트(10)로만 아기를 받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누운 자세 받침의 경우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강성은 하드보드(55)의 사용에 의해 확보되지만,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하드보드(55)와 같은 고경질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가요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아기 업개(1)는 사용자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로만 수월하게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휴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 구조체는 사용자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콤팩트하게 접어서 접힌 시트를 수월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폴더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4는 수납 자루(storing bag)가 수납된 포켓 둘레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며, 도 45는 수납 자루가 포켓에서 나온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앞면의 하부 가장자리 위치(도 4에 도시한 선 자세로 받친 아기의 다리 사이의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 포켓(120)이 형성되어 있다. 포켓(120)에는 수납 자루(121)가 자유롭게 꺼낼 수 있는 상태로 수납된다. 수납 자루(121)는 미리 정해진 수납 상태로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수납하는 폴더이다. 수납 자루(121)는 포켓(120)의 개구(120a)를 통해 포켓(120)에서 꺼낼 수 있다. 수납 자루(121)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수납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갖는 자루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수납 자루(121)는 실질적으로 직사각의 연속 형태(rectangular-solid shape)로 구성된다. 수납 자루(121)의 한 쪽에는 개구(121a)가 형성되어 있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개구(121a)를 통해 수납 자루(12)에 출입할 수 있다.
수납 자루(121)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포켓(120)에 수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나갈 때 수납 자루(121)를 두고 가는 일이 없게 된다. 동시에, 사용자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수납 자루(121)를 쉽게 꺼내어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접고 수납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수납 자루(121)에 수납된 채로 운반함으로써 콤팩트한 형태로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운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 자루(121)가 망포로 형성되므로, 수납 자루(121)는 콤팩트한 형태로 접힐 수 있어 아기에게 불쾌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또한, 개구(121a)를 개폐하도록 수납 자루(121)의 개구에는 끈(121b)이 부착된다. 사용자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가 수납 자루(121)에 수납된 상태로 끈(121b)을 당겨 개구(121a)를 닫음으로써, 선 자세 받침 시트(10)가 수납 자루(12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더욱 쉽게 운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아기 업개(1)는 사용자가 나갈 때 수납 자루(121)를 두고 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수납 자루(121)에 수월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봉합부를 채용한다. 구체적으로, 포켓(120)과 수납 자루(121)는 연결 띠(12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띠(122)는 일단이 포켓(120)의 안쪽 면에 봉합 및 고정되고 타단이 수납 자루(121)에 봉합 및 고정된다. 따라서, 수납 자루(121)는 항상 선 자세 받침 시트(10)로 운반되고 사용자가 수납 자루(121)를 두고 가는 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예시적인 수납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수납 자루(121)를 도 4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 자세 받침 시트(10) 아래에 둔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어깨띠(13)를 도 4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안쪽으로 접는다. 사용자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도 4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몇 차례(예컨대 3번) 접는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도 4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납 자루(121) 안쪽에 수납시킬 수 있다. (도 48과 49에서,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가상선으로 표시된다.)
일단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수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수납 자루(121)를 수월하게 운반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끈(121b)을 이용하여 수납 자루(121) 어깨에 매달거나, 도 5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납 자루(121)를 S자형 훅(123)을 이용하여 유모차의 가로 핸들에 매달 수 있다. S자형 후크는 끈(121b)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끈(121b)이 다른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폐쇄 고리(loop) 또는 개방 고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개폐 훅(124)이 끈(121b)에 부착될 수 있다. 수납 자루(121)는 예컨대 가방 손잡이에 매달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자루(121)가 더욱 편리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위한 수납 자루(121)의 수납 구조를 다르게 안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포켓(120)이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앞면에 제공된다. 따라서, 수납 자루(121)는 아기를 직접 건드리지 않게 되어, 수납 자루(121)와 그 안에 수납된 포켓(121)이 아기에게 불쾌한 느낌을 주는 것이 방지되고, 아기의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켓(120)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하부 가장자리에 제공된다. 그에 따라, 포켓(120)은 아기의 오른쪽 다리와 왼쪽 다리 사이에 가려 선 자세 받침의 경우 앞쪽에서 알아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아기 업개(1)는 깔끔한 외양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포켓(120)은 길이 방향으로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하단에 제공된다. 따라서, 수납 자루(121)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단부에 수월하게 배치될 수 있고,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수납이 훨씬 더 쉬워질 수 있다.
도 52는 도 44의 C-C 선을 따라 자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5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포켓(120)의 개구(120a)는 포켓(120)의 일단(120b)과 타단(120c)이 조금 서로 겹친 상태로 형성된다. 개구(120a)가 겹친 부분에서 개폐되므로, 수납 자루(121)가 포켓(120)에서 노출되거나 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의 변형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전술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조 및 요소는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변형 또는 개선될 수 있다. 이하 일부 변형례가 기재된다.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의 해당 요소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필요한 경우 선행 기재에서 채용한 것과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낼 것이다.
실시예의 변형: 머리 지지부의 연결부
먼저, 머리 지지부의 연결부의 변형례가 기재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머리 지지부(12)와 어깨띠(13)는 도 13 내지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머리 지지 띠(20)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달리, 머리 지지 띠(20)는 머리 지지부(12)를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에 연결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머리 지지부(12)의 연결부의 구조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구조에 따라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에 적용될 수 있다.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가 평탄한 판 형태 이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들은 3차원 형태를 갖도록 주름지게 절단될 수 있다.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를 연결하는 구조체는 암 훅(71a)과 수 훅(72a)으로 형성된 것과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의 내면에 각각 표면 체결구가 제공되거나, 머리 지지 띠(20)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표면 체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머리 지지 띠(20)의 잔여부가 수납되는 띠 포켓(12a)은 전술한 것과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띠 포켓(12a)은 머리 지지부(12)의 뒷면에 배치되거나 뒤쪽 덮개(72)의 내면에 제공될 수 있다. 머리 지지부(12)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가 머리 지지 띠(20)에 의해 연결될 때, 띠 포켓(12a)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의 변형: 연결 띠
연결 띠의 변형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53은 연결 띠의 변형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사각의 연속 형태 포켓(130)이 어깨띠(13)에 제공되어, 연결 띠(14)가 어깨띠(13)에 부착된 위치 가까이에서 어깨띠(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슷하게, 연결 띠(14)는 도 5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어깨띠(13)의 측부에서 접혀 연결 띠(14)의 말단으로부터 포켓(130)에 삽입되면 도 5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포켓(130)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2개의 연결 띠(131)가 각각 오른쪽과 왼쪽 어깨띠(13)에 부착될 수 있고, 포켓(132)은 연결 띠(131)가 부착되는 위치 가까이에서 어깨띠(13)에 각각 제공된다. 이어, 각각의 연결 띠(131)의 길이는 도 16의 연결 띠(14)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연결 띠(131)의 길이는 어깨띠(13)의 폭 이내가 된다. 연결 띠(131)가 접혀 어깨띠(13)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포켓(132)에 삽입되면, 연결 띠(131)는 도 5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납될 수 있다.
실시예의 변형: 다리 개방부
다리 개방부의 변형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에 도시한 다리 개방부(100)는 푹신한 부재(103)에 형성된 개구(106)를 갖는다. 하지만, 개구(106)의 형태는 도 32에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개구(106)는 슬릿 형태 또는 관통공 형태를 할 수 있다. 푹신한 부재(103)의 변형의 향상을 위해, 개구(106) 이외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푹신한 부재(103)의 일부는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푹신한 부재(103)와 다른 것으로서 가요성이 더 큰 부재를 향상된 변형성이 요구되는 푹신한 부재(103)의 일부에 매립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조는 다리 개방부(100) 이외의 부분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그와 같은 구조가 변형성을 향상시키도록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 안의 아기의 가슴에 대응하는 부분에 적용되면,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아기의 가슴과 팔의 움직임에 따라 완만하게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덮개 천(104)과 받침 천(105)이 연결된 부분(즉, 봉합 선(109))은 도 3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측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경질인 봉합선(109)은 아기의 발을 건드려 아기에게 불쾌한 느낌을 줄 수 있다. 그와 같은 불편을 제거하기 위해, 봉합선(109)의 일부는 도 5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앞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 천(105)은 덮개 천(104)보다 넓게 절단되고, 앞면 쪽에 드러나도록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측부 둘레를 감싸며, 앞면 쪽에 덮개 천(104)과 봉합되어 봉합선(13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봉합선(133)은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앞면 상에 있고 아기를 건드리지 않게 되어,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봉합선(133)을 활용하여 가동부(107)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 천(104)과 받침 천(105)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가동부(107)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봉합선과 합치한다. 그에 따라, 하나의 봉합선(133)의 형성은 가동부(107)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봉합부와 아기 다리 사이의 접촉을 방지한다.
실시예의 변형: 탈착 구조체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대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탈착(부착/분리) 구조체의 제1 내지 제7 변형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59는 탈착 구조체의 제1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140)의 상부 모퉁이에 가까운 위치에 수 훅(140a)이 제공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한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암 훅(71a)이 수 훅(140a)에 대응하는 왼쪽과 오른쪽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140)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 위에 배치되고, 수 훅(140a)과 암 훅(71a)이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수 훅(140a)과 암 훅(71a)은 띠 덮개(70)로 덮여 있고,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앞면 쪽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탈착 구조체의 제2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60은 탈착 구조체의 제2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며, 도 61은 탈착 구조체의 제2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뒷면에는 고정용 챙(141)이 제공된다. 고정용 챙(141)은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뒷면을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가리도록 상부 가장자리부터 약 1/3 부분에 이르도록 형성된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 위에 배치되고, 고정용 챙(141)이 머리 지지부(12)의 위쪽으로부터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뒷면 위에 배치되면, 머리 지지부(12)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위쪽 부분은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와 고정용 챙(141) 사이에 개재된다. 그에 따라,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그에 따라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용 챙(141)의 앞면(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와 마주보는 면)에는 말단 인접 위치에 수 훅(141a)이 제공된다. 한편, 선 자세 받침 시트 본 체(11)의 앞면에는 수 훅(14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암 훅(11a)이 제공된다. 수 훅(141a)이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암 훅(11a)과 맞물리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확실히 고정된다. 수 훅(141a)과 암 훅(11a)이 고정용 챙(141)으로 덮이므로, 수 훅(141a)과 암 훅(11a)은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앞면 쪽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탈착 구조체의 제3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62는 탈착 구조체의 제3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뒷면에 고정용 챙(143)이 제공된다. 고정용 챙(143)은 대체로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에 걸친 부분을 덮는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 위에 놓이고, 고정용 챙(143)이 머리 보호부(12)의 위쪽으로부터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뒷면 쪽 위에 놓이게 되면, 머리 지지부(12)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고정용 챙(14)으로 덮일 수 있다. 덮인 상태에서, 머리 지지부(12)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와 고정용 챙(143)에 의해 실질적으로 완전히 개재되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와 고정용 챙(143)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보다 조금 더 넓게 형성된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 위에 놓이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와 고정용 챙(143)의 측부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측부(구체적으로는 도 9에 팔 구멍(25)과 다리 구멍(43)의 위치로 나타냄)보다 각각 더 널리 돌출한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돌출하는 부분에는, 암 훅(51a)과 면 체결구(51b)가 뒷면에 제공된다. 고정용 챙(143)이 돌출하는 부분에는, 수 훅(143a)과 면 체결구(143b)가 앞면(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와 마주한 면)의 암 훅(51a)과 면 체결구(51b)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암 훅(51a) 및 면 체결구(51b)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수 훅(143a) 및 면 체결구(143b)와 분리 가능하게 각각 맞물리면,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에 의해 개재되어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 암 훅(51a), 수 훅(143a) 및 면 체결구(51b, 143b)는 고정용 챙(143)으로 덮이고,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앞쪽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탈착 구조체의 제4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63은 탈착 구조체의 제4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도 64는 탈착 구조체의 제4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에 고정용 챙(144)이 제공되어 상부 가장자리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뒷면을 덮는다. 고정용 챙(144) 뒷면에는 한 쌍의 암 훅(144a)과 한 쌍의 수 훅(144b)이 있다. 암 훅(144a)과 수 훅(144b)은 접기선(144c)을 중심으로 선대칭되게 배치된다. 고정용 챙(144)이 챙 고리(14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머리 지지부(12)의 상부 가장자리에 링 모양의 챙 고리(145)가 제공된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 위에 놓인 후에, 고정용 챙(144)이 챙 고리(145)를 통과하게 한다. 이어, 고정용 챙(144)을 접기선(144c)을 따라 둘로 접어, 챙 고리(145)가 고정용 챙(144)에 의해 개재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서 잘 분리되지 않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접은 상태에서, 암 훅(144a)과 수 훅(144b)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한다. 그에 따라, 수 훅(144b)이 암 훅(144a)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암 훅(144a)과 수 훅(144b)은 고정용 챙(144)으로 덮이고,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앞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탈착 구조체의 제5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65는 탈착 구조체의 제5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며, 도 66은 탈착 구조체의 제5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에는 뒷면의 중심을 향해 왼쪽과 오른쪽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속박 띠(146)가 제공된다. 각각의 속박 띠(146)의 뒷면(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와 마주보는 면)에는 수 훅(146a)이 제공된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앞면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띠 모양의 그물 덮개(147)가 제공된다. 그물 덮개(147)는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만 봉합되고, 오른쪽과 왼쪽 가장자리는 자유로이 개폐될 수 있는 복수의 개구(147a)를 형성한다. 또한,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앞면에는, 수 훅(146a)의 위치에 대응하고 그물 덮개(147)로 덮인 위치에 암 훅(147b)이 제공된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를 선 자세 받침 시트(10) 위에 놓은 다음, 속박 띠(146)를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측부으로부터 앞쪽으로 이어지게 하고 개구(147a)를 통해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와 그물 덮개(147) 사이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는 속박 띠(146)에 의해 속박되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삽입된 상태에서, 수 훅(146a)과 암 훅(147b)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수 훅(146a)이 분리 가능하게 암 훅(147b)과 맞물리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된 상태에서, 속박 띠(146)와 수 훅(146a)은 그물 덮개(147)로 덮이고, 앞쪽이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암 훅(147b)도 역시 그물 덮개(147)로 덮이므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가 분리될 때 암 훅(147b)의 앞쪽에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탈착 구조체의 제6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67은 탈착 구조체의 제6 변형례에 따른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후면도이며, 도 68은 탈착 구조체의 제6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뒷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용 챙(148)이 제공되어 있다. 고정용 챙(148)의 앞면(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와 마주보는 면)에는 수 훅(148a)이 제공된다. 또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본체(51)의 뒷면에는, 암 훅(51a)이 수 훅(148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한편,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뒷면에는 그물 포켓(149)이 제공된다. 그물 포켓(149)의 오른쪽과 왼쪽에는 고정용 챙(148)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149a)가 각각 형성된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를 선 자세 받침 시트(10) 위에 놓은 다음, 고정용 챙(148)을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측부로부터 앞면으로 돌려 개구(149a)를 통해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와 그물 포켓(149) 사이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그물 포켓(149)는 고정용 챙(148)에 의해 유지될 수 있어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서 잘 분리되지 않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삽입한 상태에서, 수 훅(148a)과 암 훅(51a)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 혹(148a)이 분리 가능하게 암 훅(51a)과 맞물리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용 챙(148)은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뒤쪽에 배치되어, 고정용 챙(148), 수 훅(148a) 등은 앞쪽에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탈착 구조체의 제7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69는 탈착 구조체의 제7 변형례에 따른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정면도이다. 제7 변형례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6 변형례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제7 변형례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앞면에 그물 포켓(15)에 원형 챙 고리(150a)가 형성된 점에서 제6 실시예와 차이가 난다. 챙 고리(150a)는 도 67의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고정용 챙(14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뒤쪽으로 불룩하게 부풀어 오를 수 있다. 도 67에 도시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를 선 자세 받침 시트(10) 위에 놓은 다음, 고정용 플랩(148)을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측부으로부터 앞쪽으로 돌려, 챙 고리(150a)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챙 고리(150a)는 고정용 챙(148)에 의해 속박되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로부터 잘 분리하지 않게 되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상태에서, 도 67의 수 훅(148a)과 암 훅(51a)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 훅(148a)이 분리 가능하게 암 훅(51a)과 맞물리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용 챙(148)은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뒤쪽에 배치되고, 고정용 챙(148), 수 훅(148a) 등은 앞쪽에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실시예의 변형: 폴더 구조체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폴더 구조체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실시예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납 자루(121)의 위치는 수납 자루(121)가 선 자세 받침 시트에 제공되어 수납될 때 변경 가능하다. 도 70은 폴더 구조체의 변형례를 보여주며, 수납 자루가 나온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정면도이다. 도 70에 도시한 변형례에서, 전술한 포켓(120)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뒷면에 배치되고, 수납 자루(121)는 포켓(120)에 자유로이 그로부터 꺼낼 수 있고 다시 넣을 수 있도록 수납된다.
변형례에서, 연결 띠(122)는 개구(121a) 반대쪽에서 수납 자루(121)에 고정되어,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수납 자루(121)에 더 수월하게 수납될 수 있다. 연결 띠(122)를 그와 같이 배치하는 이유는 이하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수납 절차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할 것이다. 먼저,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어깨띠(13)를 도 7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안쪽으로 접는다. 이어,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몇 번(예컨대 3회) 길이 방향을 따라 접는다. (도 72 내지 75에서,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가상선으로 나타난다.) 접은 상태에서, 수납 자루(121)의 개구(121a) 반대쪽을 선 자세 받침 시트(10)와 접촉시킨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접촉 상태인 수납 자루(121)를 개구(121a)와 마주보는 쪽부터 눌러 수납 자루(121)를 도 7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뒤집고, 뒤집힌 수납 자루(121)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점차 덮게 된다. 이에 따라,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도 7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월하게 수납 자루(121)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도 70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포켓(120)은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뒷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아기를 누운 자세 또는 선 자세로 받치는 가에 무관하게, 포켓(120)은 앞쪽에서 노출되지 않아서, 아기 업개(1)의 외양이 만족할만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포켓(120)은 높은 통기성을 갖도록 망포로 형성되므로, 아기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포켓(120)은 엉덩이 부근의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뒷면이나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앞면에 배치되거나, 어깨띠(13)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도 7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납 자루(121)를 대신하여, 선 자세 받침 시트를 접힌 상태로 유지하는 속박 띠(151)가 제공될 수 있다. 속박 띠(151)는 접은 선 자세 받침 시트를 3회 결박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면 체결구(151a)가 속박 띠(151)의 양단에 배치된다. 속박 띠(151)를 그물 포켓(120)에서 꺼내 선 자세 받침 시트(10) 둘레로 세 번 감고, 속박 띠(151)의 양단을 면 체결구(151a)에 의해 서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도 7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은 상태로 속박될 수 있다. (도 77에서,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가상선으로 나타내었다.) 이와 달리, 속박 띠(151)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속박 띠(151)의 탄성력에 의해 선 자세 받침 시트의 속박이 가능하고, 면 체결구(151a)는 필요 없다.
또한, 도 7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중심 가까이에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측부에 한 쌍의 속박 띠(152)가 제공될 수 있다. 속박 띠(152)는 아기를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로서,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접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폴더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속박 띠(152)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3회 결박시킬 길이로 형성되며, 수 버클(152a)과 암 버클(152b)은 각각 양단에 배치된다. 속박 띠(152)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둘레에 3회 감기고, 속박 띠(152)의 양단이 수 버클(152a)과 암 버클(152b)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도 7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힌 상태로 속박될 수 있다. (도 79에서,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가상선으로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선 자세 받침 시트(10)가 아기를 받치기 위해서도 채용된 속박 띠(152)를 사용하여 속박되면,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속박하기 위한 전용 부재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훨씬 더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머리 지지부(12)의 상부 가장자리에 훅(153)이 제공될 수 있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선 자세 받침 시트 본체(11)의 앞면에는, 훅(153)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버튼(154)이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접힌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서 훅(153)에 대응하는 위치(변형례에서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가 3회 접히고, 훅(153)이 버튼(154)과 맞물리면,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도 8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힌 상태로 속박될 수 있다. 특히, 훅(153)이 고무로 된 경우, 훅(153)은 그 위치가 훅(153)으로부터 약간 벗어난 때에도 탄성 신장되어 버튼(154)과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속박 동작을 훨씬 더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의 변형: 과제 및 효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하지 않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거나, 전술하지 않은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의 일부를 해결할 수 있거나, 전술한 효과의 일부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다리 개방부 등이 아기의 움직임을 완전히 따라가지 못하는 때라도, 종래의 제품과 비교해 다리 개방부가 따라갈 수 있는 범위와 다리 개방부의 용량이 개선되거나, 본 발명이 상이한 수단으로 종래 제품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한, 과제가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선 자세 받침 시트와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탈착 구조체를 완전히 가릴 수 없는 때라도, 종래 제품에 비해 더 넓은 범위가 가려질 수 있거나, 종래 수단과 다른 수단에 의해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과제가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머리 지지부를 어깨띠에 연결하는 연결구가 앞쪽 덮개와 뒤쪽 덮개 가운데 적어도 하나로 완전히 덮일 수 없는 때라도, 종래 제품에 비해 덮인 범위 또는 개폐 동작성이 개선되거나, 종래 수단과 다른 수단을 통해 유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과제가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예컨대, 사용자가 버클 덮개를 닫는 것을 잊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을 때라도, 종래 제품에 비해 그와 같은 상황의 가능성과 빈도가 감소되거나, 종래 수단과 다른 수단을 통해 유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과제가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가 폴더를 두고 나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을 때라도, 종래 제품에 비해 그와 같은 상황의 가능성과 빈도가 감소되거나, 종래 수단과 다른 수단을 통해 유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과제가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의 변형: 기타
실시예 및 이들의 변형례에 관해 전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구조, 치수, 재료 또는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 및 그 변형례의 효과와 장점을 아래에 약술한다. 실시예 및 그 변형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참조 부호가 아래에 괄호로 표시했지만, 본 발명은 참조 번호로 지시한 요소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 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모든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4-181268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종래의 아기 업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다리 개방부는 체결구로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는 앞으로 향한 앞 메기와 뒤로 돌리 앞 메기 사이에서 받침 방식을 변경할 때마다 체결구를 조작해야 한다. 사용자에게 체결구의 조작은 성가신 일이어서 체결구의 체결 또는 해제를 잊을 수도 있다. 한편, 푹신한 부재가 다리 개방부에 배치된 때, 체결구와 관련된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푹신 부재의 배치로는 다리 개방부의 폭 방향 변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실시예에 따르면, 경감부는 완충 부재의 완충력을 줄여서, 접촉부가 아기의 움직임에 의해 압박될 때, 접촉부는 비교적 수월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 업개는 아기의 신체 일부를 불필요하게 압박하는 일 없이 아기의 신체 일부에 해당하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의 가용성이 완충력의 경감에 의해 향상되므로, 아무런 특정 조작 없이도 변형된 구조의 접촉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다리 개방부의 체결구를 체결시키는 것과 같은 종래에 필요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르면, 경감부(106)는 완충 부재(103)의 완충력을 경감시킴으로써, 접촉부(100)가 아기의 움직임에 의해 압박될 때, 접촉부(100)는 비교적 수월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 업개는 아기의 신체 일부를 불필요하게 압박하는 일 없이 아기의 신체 일부에 해당하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103)의 가용성이 완충 부재(103)의 완충력의 경감에 의해 향상되므로, 아무런 특정 조작 없이도 변형된 구조의 접촉부(100)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다리 개방부의 체결구를 체결시키는 것과 같은 종래에 필요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받침 시트(10)는 누운 자세로 아기를 받치기 위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또는 선 자세의 아기를 받치기 위한 선 자세 받침 시트(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00)는 아기의 신체 일부가 접촉할 수 있는 모든 부분일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아기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 안쪽 부분이 닿는 다리 개방부(100)일 수 있다. 특히,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대해, 다리 개방부(100)는 뒤로 돌린 앞 메기와 앞으로 향한 앞 메기의 경우 아기의 서로 다른 부분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것과 같은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다리 개방부(100)의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경감부(106)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경감부(106)는 완충 부재(103)에 형성된 개구(106)일 수 있다. 이 경우, 경감부(106)는 완충 부재(103)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으로서 형성되므로, 접촉부(100)는 아기의 움직임에 의해 압박될 때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개구(106)를 형성하기만 하여도 경감부(106)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경감부(106)는 저가에 수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106)의 제공은 받침 시트(10)의 통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의 편안함도 역시 향상될 수 있다.
경감부(106)를 형성하는 다른 방식은 완충 부재(103) 안쪽에 얇은 부분을 완충부(106)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완충 부재(103)는 경감부(106)에서 얇아진다. 이에 따라, 접촉부(100)는 아기의 움직임에 의해 압박될 때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103)가 얇아지므로, 받침 시트(10)의 통기성이 향상되어, 아기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감부(106)의 외형은 접촉부(100)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촉부(100)는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접촉부(100)의 외형이 아기의 다리 부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면, 접촉부(100)는 아기의 다리 부분에 대응하는 형태로부터 변형되어, 접촉부는 아기의 다리 부분에 꼭 맞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봉합선(108)은 접촉부(100)의 측부에 제공될 수 있고, 접촉부(100)의 측부(107)는 봉합선(108)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100)의 측부(107)는 아기가 접촉부(100)를 압박함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여, 아기에 대응하는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아기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아기의 움직임에 따라 접촉부(100)의 측부(107)를 움직이기 위한 특별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다리 개방부의 체결구의 체결과 같은 종래에 요구되는 작업이 필 요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아기와 닿은 접촉부(100)의 뒷면은 받침 천(105)으로 덮이면 바람직하고, 접촉부(100)의 뒷면과 마주한 앞면은 덮개 천(104)으로 덮이면 바람직하며, 덮개 천(104)과 받침 천(105)의 서로 연결된 부분은 접촉부(100)의 앞면에 위치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덮개 천(104)과 받침 천(105)의 서로 연결된 연결부(133)는 아기와 닿지 않도록 될 수 있어,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133)가 접촉부(100) 앞면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연결부(133)는 접촉부(100)의 측부 가까이에 위치한 봉합선(108)과 짝을 이룬다. 그러면, 하나의 봉합선(108)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가동부(107)를 형성하기에 충분하고, 동시에 연결부(133)가 아기의 다리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로 다수의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촉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받침 시트(10)의 하부 가장자리 가까이에 제공될 수 있어, 접촉부(100)는 아기의 엉덩이 또는 허벅지 안쪽 부분을 수용할 수 있고, 접촉부(100)의 측부(107)에는 무게 조절부(107a)가 길이 방향으로 측부(107)를 따라 하단 쪽으로 연장된 요소로서 제공되어, 접촉부(100)에 가해지는 무게는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전달된다. 그려면, 매달림에 의해 접촉부(100)의 측부(107)에 가해지는 장력이 경감되고, 측부(107)에 가해지는 무게가 줄어든다. 무게는 받침 시트(10)의 오른쪽과 왼쪽으로부터 중심으로(안쪽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 안쪽의 부분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어서, 아기의 편안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가 누운 자세 받침 시트를 선 자세 받침 시트에 부착하는 종래의 아기 업개를 채용하는 경우, 시트의 측부에 배치된 훅은 때때로 아기를 건드리며, 사용자가 선 자세 받침 시트만을 사용하는 종래의 아기 업개를 채용하는 경우, 선 자세 받침 시트의 뒷면에 배치된 훅은 때때로 아기를 건드린다. 따라서, 종래의 아기 업개는 아기에게 불편한 느낌을 준다.
또한, 종래의 아기 업개에서, 누운 자세 받침 시트가 선 자세 받침 시트에 부착되더라도, 선 자세 받침 시트에 부착된 다양한 형태의 띠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에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띠들은 제한 없이 누운 자세 받침 시트 둘레로 움직이고, 아기 업개의 사용자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고 아기를 건드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는 제1 체결구와 제2 체결구가 아기를 건드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체결구가 선 자세 받침 시트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1 및 제2 체결구는 아기 업개의 앞쪽에 노출되지 않아, 아기 업개의 설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띠들과 그 잔여부는 사용자, 아기 등에 닿지 않고, 아기 업개의 외양이 깔끔해지고 아기 업개의 설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띠 결합기가 띠들을 결박하여 띠들이 미리 정해진 각도로 누운 자세 받침 시트로부터 일어설 수 있게 해주므로, 띠들이 오른쪽, 왼쪽 또는 위쪽으로 당겨져 아기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아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아기 업개(1)는 선 자세의 아기를 받치기 위한 선 자세 받침 시트(10)와 누운 자세의 아기를 받치기 위한 누운 자세 받침 시 트(50)를 포함하며, 선 자세 받침 시트(10)와 누운 자세 받침 시트950)는 서로의 뒷면이 닿은 상태로 서로 탈착될 수 있다.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제1 체결구(111a, 112a, 140a, 141a, 143a, 143b, 144a, 146a, 148a)를 갖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와 선 자세 받침 시트(10) 가운데 하나는 제1 체결구(111a, 112a, 140a, 141a, 143a, 143b, 144a, 146a, 148a)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제2 체결구(71a, 72a, 11a, 51a, 51b, 144b, 147b)를 갖는다. 제1 체결구(111a, 112a, 140a, 141a, 143a, 143b, 144a, 146a, 148a)와 제2 체결구(71a, 72a, 11a, 51a, 51b, 144b, 147b)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뒷면과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앞면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 자세 받침 시트(10)를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구(111a, 112a, 140a, 141a, 143a, 143b, 144a, 146a, 148a)와 제2 체결구(71a, 72a, 11a, 51a, 51b, 144b, 147b)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앞면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제1 체결구(111a, 112a, 140a, 141a, 143a, 143b, 144a, 146a, 148a)와 제2 체결구(71a, 72a, 11a, 51a, 51b, 144b, 147b)는 아기를 건드리는 것이 방지되어, 아기의 편안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체결구(111a, 112a, 140a, 141a, 143a, 143b, 144a, 146a, 148a)와 제2 체결구(71a, 72a, 11a, 51a, 51b, 144b, 147b)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제1 체결구(111a, 112a, 140a, 141a, 143a, 143b, 144a, 146a, 148a)와 제2 체결구(71a, 72a, 11a, 51a, 51b, 144b, 147b)는 아기 업개(1)의 앞면에 노출되지 않고,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유리한 효과를 구현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구조체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뒷면에 배치된 제1 체결구(111a, 112a, 140a), 제2 체결구(71a, 72a) 및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뒷면에 배치된 제2 체결구(71a, 72a)를 덮기 위한 덮개(71, 72)를 포함한다.
제1 체결구(111a, 112a, 140a)와 제2 체결구(71a, 72a)는 본 발명에서 뒷면에 배치되므로, 제1 체결구(111a, 112a, 140a)와 제2 체결구(71a, 72a)는 아기 업개(1)의 앞면에 노출되지 않고,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구(111a, 112a, 140a)와 제2 체결구(71a, 72a)가 덮개(71, 72)로 덮이므로, 제1 체결구(111a, 112a, 140a)와 제2 체결구(71a, 72a)가 아기를 건드리는 것이 방지되어, 아기의 편안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컨대,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측부로 돌출한 제1 돌출부(111) 및 이 제1 돌출부(111)의 뒷면에 배치된 제1 체결구(111a)를 구비하고,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제1 돌출부(11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한 제2 돌출부(71)와 제1 체결구(111a)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 돌출부(71)의 뒷면에 배치된 제2 체결구(71a)를 구비하며, 제2 체결구(71a)의 뒷면은 덮개(71)를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72)로 덮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부(111)가 제2 돌출부(71)와 겹쳐질 때, 제1 체결구(111a)와 제2 체결구(71a)는 서로 고정된다. 제1 체결구(111a)와 제2 체결구(71a)가 뒤쪽에 배치되므로, 제1 체결구(111a)와 제2 체결구(71a)는 아기 업개(1)의 앞쪽에서 노출되는 일이 없어,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체결구(71a)는 덮개(72)가 개폐 가능하 게 되도록 덮개(72)로 덮이므로, 이들 요소가 아기를 건드리는 일은 없어서, 아기의 편안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뒷면에 배치된 제1 체결구(140a)를 구비할 수 있고,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제1 체결구(140a)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71) 및 제1 체결구(14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71)의 뒷면에 배치된 제2 체결구(71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체결구(71a)의 뒷면은 덮개(72)가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72)에 덮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체결구(140a)가 돌출부(71)와 겹칠 때, 제1 체결구(140a)와 제2 체결구(71a)는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구(140a)와 제2 체결구(71a)는 뒤쪽에 배치되므로, 아기 업개(1)의 앞쪽에 노출되는 일이 없어서,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체결구(71a)는 덮개(72)가 개폐될 수 있도록 덮개(72)로 덮이므로, 제2 체결구(71a)가 아기를 건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아기의 편안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유리한 효과를 구현하는 다른 구체적인 구조체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를 포함하며, 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뒷면으로부터 누운 자세 받침 시트(10) 쪽으로 연장된 연장부(141, 143, 144, 146, 148) 및 이 연장부(141, 143, 144, 146, 148)에 제공된 제1 체결구(141a, 143a, 143b, 144a, 146a, 148a)를 구비한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체결구(141a, 143a, 143b, 144a, 146a, 148a)와 제2 체결구(11a, 51a, 51b, 144b, 147b)가 서로 고정되도록 연장부(141, 143, 144, 146, 148)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 자세 받침 시트(10)가 연장부(141, 143, 144, 146, 148)로 덮이면,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연장부(141, 143, 144, 146, 148) 사이에 개재될 수 있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부착 작업이 훨씬 더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조체를 훨씬 더 구체화하기 위해, 예컨대,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연장부(141)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상단부를 실질적으로 덮는 고정용 챙(141)으로 형성되고, 제1 체결구(141a)는 고정용 챙(141)의 앞면에 배치되며, 제2 체결구(11a)는 제1 체결구(141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앞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상단부가 실질적으로 고정용 챙(141)으로 덮이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구(141a)와 제2 체결구(11a)가 고정용 챙(141)으로 덮이므로, 제1 체결구(141a)와 제2 체결구(11a)는 앞쪽과 뒤쪽 어디에서도 노출되지 않을 수 있어서, 아기의 편안함과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연장부(143)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상단부로부터 중심부까지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덮고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측부으로 돌출하는 고정용 챙(143)으로서 형성되고, 제1 체결구(143a, 143b)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용 챙(143)의 앞면에 제공되며, 제2 체결구(51a, 51b)는 제1 체결구(143a, 143b)에 대응하는 위치에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뒷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용 챙이 누운 자세 받침 시트(10)의 상단부로부터 중심부까지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덮으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구(143a, 143b)와 제2 체결구(51a, 51b)는 고정용 챙(143)으로 덮이므로, 제1 체결구(143a, 143b)와 제2 체결구(51a, 51b)는 앞쪽과 뒤쪽 어느 쪽으로도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아기의 편안함과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연장부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상단부에 제공되고, 제1 및 제2 체결구(144a, 144b)는 챙(144)의 뒷면에 제공되며, 챙(144)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챙 고리(145)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상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체결구(144a)와 제2 체결구(144b)는 챙(144)이 챙 고리(145)에 삽입되어 접히면 상호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챙(144)이 챙 고리(145)에 삽입되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챙(144)이 접히면 제1 및 제2 체결구(144a, 144b)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제1 및 제2 체결구(144a, 144b)는 챙(144) 안쪽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체결구(144a, 144b)는 앞쪽과 뒤쪽 어느 쪽으로도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아기의 편안함과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연장부(146)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오른쪽과 왼쪽으로부터 연장되어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앞면의 일부를 가리는 쌍을 이룬 속박 띠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동시에, 제1 체결구(146a)는 속박 띠(146)의 뒷면에 각각 제공되고, 제2 체결구(147b)는 제1 체결구(146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앞면에 각각 제공되며, 제2 체결구(147b)를 덮는 덮개(147)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짝을 이룬 속박 띠(146)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앞면의 일부를 덮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구(146a)와 제2 체결구(147b)는 앞쪽과 뒤쪽 어느 쪽으로도 노출되지 않으므로, 아기의 편안함과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연장부(148)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뒷면에 배치된 챙(148)으로서 형성되고, 제1 체결구(148a)는 챙(148)의 앞면에 제공되고, 제2 체결구(51a)는 제1 체결구(148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뒷면에 배치되며, 챙(148)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챙 고리(149, 150a)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뒷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체결구(148a)와 제2 체결구(51a)는 챙(148)이 챙 고리(149, 150a)에 삽입되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챙(148)이 챙 고리(149, 150a)에 삽입되면,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구(148a)와 제2 체결구(51a)가 챙(148)으로 덮이므로, 제1 및 제2 체결구(148a, 51a)는 앞쪽과 뒤쪽 어느 쪽으로도 노출되지 않아, 아기의 편안함과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조체에 추가 또는 전수한 구조체를 대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업개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맞물린 면 체결구(113)가 선 자세 받침 시트의 뒷면과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뒷면에 구성한다. 이 경우,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면 체결구(113)를 사용하여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면 체결구(113)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와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뒷면에 제공되므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가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부착되면 앞쪽과 뒤쪽 어느 쪽에서도 노출되지 않게 되어, 아기의 편안함과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조체에 추가되거나 이를 대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업개는 선 자세의 아기를 받치기 위한 선 자세 받침 시트(10)와 누운 자세의 아기를 받치기 위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를 포함하며,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복수의 띠(15, 16)를 갖고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는 띠(15, 16) 쪽으로 돌출하여 띠(15, 16)를 결박시키는 띠 결합기(54)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띠(15, 16)는 띠 결합기(54)에 의해 결박되므로, 띠(15, 16) 또는 이들의 잔여부는 사용자, 아기 등에게 걸리지 않고, 아기 업개(1)의 외양은 깔끔해져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띠(15, 16)가 띠 결합기(54)에 의해 속박되면, 띠(15, 16)는 미리 정해진 각도로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로부터 일어설 수 있다. 이에 따라, 띠(15, 16)가 오른쪽, 왼쪽 또는 위쪽으로 당겨져 아기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구조체를 더 구체적으로 특정하면, 선 자세 받침 시트(10)는 선 자세 받침 시트(10)의 하부 가장자리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사용자 쪽으로 연장한 옆구리띠(15)와 사용자의 다리 위로 연장한 다리 지지 띠(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띠 결합기(54)는 누운 자세받침 시트(50)로부터 하부 가장자리 가까운 부분으로 연장되어, 하부 가장자리 가까운 위치에서 옆구리띠(15)와 다리 지지 띠(1)를 결합시킨다. 이 경우, 옆구리띠(15)와 다리 지지 띠(16)는 띠결합기(54)에 의해 결박되고, 옆구리띠(15), 다리 지지 띠(16)와 이들의 잔여부가 사용자, 아기 등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며, 아기 업개(1)의 외양은 깔끔해져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띠 결합기(54)가 다리 지지 띠(16)를 속박할 때에, 다리 지지 띠(16)는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미리 정해진 각도로 앞쪽으로 일어설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 지지 띠(16)가 오른쪽, 왼쪽 또는 위쪽으로 당겨져 아기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아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아기 업개에서와 같이, 머리 지지 덮개가 머리 지지 띠와 체결구의 아기 쪽에만 배치되고, 머리 지지부는 앞쪽으로 접히고, 머리 지지 띠와 체결구의 위치 관계는, 머리 지지 덮개가 뒤집혀, 머리 지지 띠와 체결구가 아기 쪽으로 드러내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머리 지지 띠와 체결구가 관 모양의 머리 지지 덮개로 덮이면, 머리 지지 띠와 체결구가 아기 쪽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더라도, 사용자는 체결구를 조작하기 위해 관 모양의 머리 지지 덮개를 체결구 가까운 위치까지 당겨야 한다. 이에 따라, 체결구의 조작이 번거롭고, 사용자는 체결구를 조작한 머리 지지 덮개를 원위치로 당기는 것을 잊을 수 있다. 따라서, 체 결구 또는 머리 지지 띠가 아기 쪽 도는 앞쪽에 노출되어 아기 업개의 설계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아기 업개의 경우, 머리 지지 덮개는 머리 지지부의 평균 길이에 맞춘 길이로 형성된다. 머리 지지부의 길이가 리더 록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되거나 최대 길이로 조절되면, 머리 지지 덮개는 머리 지지부를 덮을 만큼 충분히 길지 않게 된다. 그렇게 되면, 머리 지지 띠 또는 체결구는 때때로 머리 지지 덮개 밖으로 삐져나온다. 반면에, 머리 지지부의 길이가 최소로 조절되면, 체결구는 머리 지지 덮개 안쪽 깊이 파묻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가 손으로 체결구를 잡아 조작하기가 어렵게 되거나, 머리 지지 띠의 잔여부가 머리 지지 덮개에서 빠져나와 아기 쪽으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구의 앞면과 뒷면은 어느 쪽도 노출되지 않도록 덮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구는 머리 지지부의 접힌 상태와 무관하게 아기 쪽(뒤쪽)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아기를 건드리지 않게 되어, 아기의 편안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연결구가 앞쪽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아기 업개의 설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구의 잔여부가 수납부에 수납되고, 아기 쪽(뒤쪽)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아기를 건드리는 것이 방지되어, 아기의 편안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잔여부가 앞쪽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아기 업개의 설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아기 업개(1)는 아기의 몸통 부분을 받치기 위한 시트 본체(11),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시트 본체(11)의 단부에 제공된 머리 지지부(12), 시트 본체(11)를 매달기 방식으로 지지하는 어깨띠(13) 및 머리 지지부(12)를 시트 본체(11) 또는 어깨띠(13)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0)를 포함한다. 또, 연결구(20)의 앞면을 실질적으로 덮는 앞쪽 덮개(71)와 연결구(20)의 뒷면을 실질적으로 덮는 뒤쪽 덮개(72)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구(20)의 앞면과 뒷면 양쪽이 덮여 가려지게 되므로, 연결구(20)는 머리 지지부(12)의 접힌 상태에 무관하게 아기 쪽(뒤쪽)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아기를 건드리는 것이 방지되어, 아기의 편안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동시에, 연결구(20)가 앞쪽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아기 업개의 설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덮개 구조체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어떠한 구성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앞쪽 덮개(71)의 상부와 뒤쪽 덮개(72)의 상부는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의 하부는 서로 개방/폐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의 하부를 연결하는 덮개 연결구(71a, 72a)가 제공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덮개 구조체에서,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는 상부가 서로 고정되고, 그 하부는 개폐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결구(20)를 조작한 후 자신의 손을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로부터 뗄 때,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는 자체 무게로 아래로 드리워져 연결구(20)를 덮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덮게 연결구(71a, 72a)를 체결하는 것을 잊은 때에도, 연결구(20)는 아기 쪽(뒤쪽)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는 덮게 연결구(71a, 72a)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는 서로 더욱 확실히 고정되어, 연결구(20)가 아기 쪽(뒤쪽)으로 노출되는 것을 더욱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덮개 구조체에서, 덮개 연결구(71a, 72a)가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제공된다. 그렇게 되면, 덮개 연결구(71a, 72a) 자체는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에 의해 덮여서, 덮게 연결구(71a, 72a)가 아기 쪽(뒤쪽)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아기의 편안함이 더욱 향상되고, 아기 업개의 설계 품질은 개선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구(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기(22)를 제공하여, 연결구(20)를 따라 있는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 상의 연결구(20)의 길이를 연결구(20)의 조절 가능한 최대 길이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20)의 길이는 길이 조절기(2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길이 조절기(22)가 제공되면, 머리 지지부(12)와 시트 본체(11) 사이 또는 머리 지지부(12)와 어깨띠(1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서, 아기가 수용되는 공간의 크기를 아기의 생후 월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연결구의 길이가 길이 조절기(22)에 의해 최대 길이로 조절된 때라도, 앞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가 최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연결구(20)가 아기 쪽(뒤쪽) 또는 앞쪽으로 노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업개(1)는 아기의 몸통 부분을 받치기 위한 시트 본체(11),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시트 본체(11)의 단부에 제공된 머리 지지부(12), 시트 본체(11)를 매달기 방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어깨띠(13) 및 머리 지지부(12)를 시트 본체(11) 또는 어깨띠(13)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0)를 포함한다. 또, 연결구(20)의 잔여부를 머리 지지부(12), 시트 본체(11) 또는 어깨띠(13)에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2a)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구(20)의 잔여부는 수납부(12a)에 수납될 수 있으므로, 잔여부가 아기 쪽(뒤쪽)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잔여부가 아기를 건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잔여부가 앞쪽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기 업개의 설계 품질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수납부(12a)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어떠한 구성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수납부(12a)는 시트 본체(11) 또는 어깨띠(13) 쪽의 머리 지지부(12)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구(20)는 머리 지지부(12)로부터 시트 본체(11) 또는 어깨띠(13)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연결구(20)의 잔여부는 머리 지지부(12)로 되접힌다. 잔여부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머리 지지부(12) 측부의 단부에 제공된 수납부(12a)에 직접 삽입되어, 훨씬 더 원활하게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아기 업개는 연결구(20)의 앞면을 덮는 앞쪽 덮개(71)와 연결구(20)의 뒷면을 덮는 뒤쪽 덮개(72)를 구비하며, 수납부(12a)는 압쪽 덮개(71)와 뒤쪽 덮개(72) 사이에 형성된 공간(74)과 통하는 공간(75)으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연결구(20)는 공간(74) 안에 가려지고, 잔여부는 공간(74)과 통하는 공간(75)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연결구(20)로부터 잔여부에 이르는 범위를 덮는 연속 수납 공간 구조체가 형성되어, 연결구(20)로부터 잔여부에 이르는 전체 길이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가려질 수 있다.
종래의 덮개 구조체의 경우, 연결 띠를 사용해야 할 때 버클 덮개가 열릴 수 있도록 고정된 훅 또는 면 체결구를 풀어야 한다. 또한, 버클 덮개를 조작한 후, 버클 덮개를 다시 닫고, 체결구를 맞물려 고정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경우, 연결 띠를 부착하기 위해 여러 번 조작해야하고, 연결 띠의 부착 작업은 번거롭다. 또한, 버클을 조작한 후 사용자가 버클 덮개를 닫는 것을 잊을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연결 띠를 부착할 때 연결 띠를 비틀 가능성이 있고, 사용자는 연결 띠가 비틀린 것을 알아채지 못한 채 버클을 고정시켜 연결 띠를 거꾸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경우, 측부 버클이 버클로서 채용된다. 따라서, 선 자세 받침 시트로 아기를 받치는 때에, 아기는 버클의 측부로 손을 뻗어 버클을 해제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띠가 선 자세 받침의 경우에만 사용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연결 띠는 누운 자세 받침의 경우 아기의 앞쪽이나 옆쪽으로 늘어질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연결 띠는 누운 자세 받침의 부착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아기를 건드릴 수 있다.
한편, 덮개는 실시예의 탈착 구조체 가까운 위치에서 연결 띠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덮개 단부에서의 반발력이 증가할 수 있고, 덮개는 사용자가 손을 덮개에서 빼기만 해도 자체 반발력에 의해 자연스레 원위치로 복귀하여 탈착 구조체를 덮게 된다. 따라서, 덮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도 탈착 구조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아기의 안전을 더욱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누운 자세 받침의 경우 사용하지 않은 연결 띠 또는 탈착 구조체가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으므로, 연결 띠 또는 탈착 구조체는 아기 위로 또는 옆으로 늘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 띠 또는 탈착 구조체가 누운 자세 받침 시트의 부착과 같은 사용자의 동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띠가 아기를 건드리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아기 업개(1)는 아기의 몸통을 덮는 시트 본체(11), 이 시트 본체(11)에 부착된 한 쌍의 어깨띠(13), 이들 어깨띠(13)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띠(14) 및 연결 띠(14)를 어깨띠(13)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는 탈착 구조체(26, 27)를 포함한다. 또, 연결 띠(14)를 둘러싸, 연결 띠(14)로부터 탈착 구조체(26, 27)로 연장되어 탈착 구조체(26, 27)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관형 덮개(80)가 더 제공되며, 관형 덮개(80)는 탈착 구조체(26, 27)에 가까운 위치에서 연결 띠(14)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형 덮개(80)가 탈착 구조체(26, 27)에 가까운 위치에서 연결 띠(14)에 고정되므로, 관형 덮개(80)는 사용자가 손을 관형 덮개(80)에서 빼기만 해도 자체 반발력에 의해 자연스레 원위치로 복귀하여 탈착 구조체(26, 27)를 덮게 된다. 따라서, 관형 덮개(8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도 탈착 구조체(26, 27)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아기의 안전을 더욱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바람직하게는, 탈착 구조체(26, 27)는 연결 띠(14)에 부착된 제1 탈착 요소(26)와, 어깨띠(13)에 부착되어 제1 탈착 요소(26)에 분리 가능하게 맞물린 제2 탈착 요소(27)를 포함하며, 탈착 구조체(26, 27)의 탈착 동작을 위한 동작 요소(26a)가 제1 탈착 요소(26)에 배치되고, 관형 덮개(80)는 적어도 제1 탈착 요소(26)를 덮는다. 이 경우, 동작 요소(26a)를 갖는 제1 탈착 요소(26)가 관형 덮개(80)에 의해 덮이므로, 동작 요소(26a)는 노출되지 않게 되어, 아기가 동작 요소(26a)를 만지작거리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탈착 구조체(26, 27)의 탈착 동작을 위한 동작 요소(26a)가 탈착 구조체(26, 27)의 시트 본체(11)와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동작 요소(26a)는 아기 반대쪽을 향하게 되어, 아기가 동작 요소(26a)를 만지작거리는 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시트 본체(11)와 마주보는 면은 얇은 천(82)으로만 덮이면 좋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는 동작 요소(26a)를 얇은 천(82)을 통해서만 조작하게 되어, 관형 덮개(80)를 접지 않고도 동작 요소(26a)를 수월하게 조작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형 덮개(80)에는 관형 덮개(80)의 앞면과 뒷면을 식별 가능하게 해주는 식별자(81, 82)가 제공될 수 있다. 앞면은 시트 본체(11)와 마주하고, 뒷면은 시트 본체(11)의 측면이다. 이 경우, 관형 덮개(80)의 앞면과 뒷면은 식별자(81, 82)에 따라 수월하게 식별될 수 있고, 연결 띠(14)와 부착/분리 구조체(26, 27)는 정확한 방향(앞뒤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별자(81, 82)는 관형 덮개(80)의 앞면을 덮는 제1 천(82)과 관형 덮개(80)의 뒷면을 덮는 제2 천(81)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천(82)과 제2 천(81)은 서로 다른 종류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식별자(81, 8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천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특정한 표지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연결 띠(14)와 부착/분리 구조체(26, 27)의 앞뒤 방향을 간단한 구조에 기초하여 수월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2 천(81)은 망포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아기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2 천(81)이 망포로 이루어지면, 관형 덮개(80)의 통기성과 감촉을 개선할 수 있어,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업개는 아기의 몸통 부분을 덮기 위한 시트 본체(11), 이 시트 본체(11)에 부착된 복수의 어깨띠(13), 이들 어깨띠(13)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띠(14) 및 연결 띠(14)를 어깨띠(13)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는 탈착 구조체(26, 27)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 띠(14) 또는 탈착 구조체(26, 27)를 (넣고 뺄 수 있도록) 수납 및 배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부(90, 91)가 어깨띠(13)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운 자세 받침에 사용되지 않는 연결 띠(14) 또는 탈착 구조체(26, 27)는 수납부(90, 91)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띠(14) 또는 탈착 구조체(26, 27)는 아기 위로 또는 옆으로 늘어지지 않아서, 연결 띠(14) 또는 탈착 구조체(26, 27)가 누운 자세 받침 시트(50)의 부착과 같은 작업을 하는 사용자를 방해하거나 연결 띠(14)가 아기를 건드리는 것이 방지된다.
수납부(90, 91)의 구체적인 구성으로 어떠한 구조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수납부(90, 91)는 어깨띠(13)에 제공된 자루 모양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고, 개구(90a, 91a)가 다른 어깨띠(13)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어깨띠(13) -연 결 띠(14)의 측단부 또는 탈착 구조체(26, 27)는 수납부(90, 91)의 내부에 부착되는데, 이때 연결 띠(14) 또는 탈착 구조체(26, 27)는 개구(90a, 91a)를 통해 수납부(90, 91)로부터 꺼낼 수 있게 배치된다. 이 경우, 연결 띠(14) 또는 탈착 구조체(26, 27)는 개구(90a, 91a)를 통해 수납부(90, 91)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90, 91)는 어깨띠(13) 바깥면의, 연결 띠(14)의 기부 가까운 위치에, 어깨띠(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사각의 연속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연결 띠(14)의 폭이 어깨띠(13)의 폭보다 큰 경우라도 연결 띠(13)는 어깨띠(13)의 바깥면에 제공된 수납부(130)에 연결 띠(14)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어깨띠(13)의 길이 방향으로 수납될 수 있어서, 연결 띠(14)는 어깨띠(13)의 폭과 무관하게 전체 길이에 걸쳐 가려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띠(131)는 하나의 어깨띠(13)에 제공된 제1 띠(131) 및 이 제1 띠(1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다른 어깨띠(13)에 제공된 제2 띠(131)로 형성되고, 제1 띠(131) 또는 제2 띠(131)는 연결 띠(131)의 기부에 가까운 어깨띠(13) 안의 위치에서 어깨띠(13)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수납부(132)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띠(131)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길이의 제1 띠(131)와 제2 띠(131)로 나누어져서, 각각의 어깨띠(131)의 폭은 더 짧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연결 띠(131)가 어깨띠(13)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될 때라도, 각각의 연결 띠(131)는 길이 전체가 가려질 수 있다.
또한, 등을 세울 만큼 등이 튼튼한 아기를 위해 채용된 종래의 아기 업개의 경우, 아기 업개 본체 자체는 낮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아기 업개 본체와 자루는 각각 단일 부분의 앞쪽과 뒤쪽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등을 세울 만큼 등이 튼튼하지 않은 아기를 위해 채용된 종래의 아기 업개의 경우, 아기 업개 본체 자체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크다. 따라서, 아기 업개 본체 자체를 자루로서 사용하기는 어렵고, 종래의 수납 구조체는 그와 같은 아기 업개에 직접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와 같은 아기 업개를 운반할 때, 사용자는 아기 업개를 개별적인 수납 자루에 수납하여 개별적으로 운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필요성은 사용자에게는 성가신 일이로, 사용자가 자루를 아기 업개와 함께 운반하는 것을 잊을 가능성이 있다. 다른 경우, 사용자는 예컨대 특정한 수납 자루 없이 아기 업개를 접어 유모차의 자루에 넣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아기 업개가 때때로 자루에서 삐져나오는 성가신 일이 생긴다.
한편, 실시예의 아기 업개에서, 폴더는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어, 항상 아기 업개와 함께 운반되어 사용자가 폴더를 두고 가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기 업개를 폴더로 확실히 속박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아기 업개(1)는 아기를 받치는 아기 업개(1)로서, 아기 업개(1)를 속박하기 위한 폴더(121, 151) 및 이 폴더(121, 151)를 자유로이 넣고 꺼낼 수 있도록 아기 업개(1)에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121, 151)가 수납부(120)에 수납되므로, 폴더(121, 151)는 항상 아기 업개(1)와 함께 운반될 수 있고, 사용자가 폴더(121, 151)를 두고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할 때 폴더(121, 151)로 아기 업개를 확실히 속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폴더(121, 151)의 구체적인 구성으로 어떠한 구성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더(121)는 아기 업개(1)를 수납하는 수납 자루(121)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기 업개(1)는 수납 자루(121)에 수납되어 운반될 수 있다.
또한, 수납 자루(121)의 개구(121a)를 내키는 대로 개폐할 수 있도록 부착 끈(121b)이 수납 자루(121)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121a)는 부착 끈(121b)으로 폐쇄되어서, 아기 업개(1)가 빠지거나 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더(151)는 아기 업개(1)를 접은 상태로 결박하게 되는 수납띠(151)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아기 업개(1)는 접힌 상태로 수납띠(151)로 결박되어 운반될 수 있다.
더욱이, 폴더(121, 151)를 수납부(120)에 연결하는 연결구(122)가 제공되면 좋다. 이 경우, 폴더(121, 151)는 연결구(122)에 의해 수납부(120)에 연결되므로, 사용자가 수납부(121, 151)를 두고 가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폴더(121, 151)가 수납부(120)에서 빠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121, 151)를 수월하고도 확실하게 운반할 수 있다.
수납부(1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아기 업개(1)의 앞면에 단부 가까이에 배치되면 바람직하지만 다른 어떠한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부(120)는 아기를 직접 건드리지 않으므로, 수납부(120)와 그 안에 수납된 폴더(121)가 아기에게 불쾌한 느낌을 주지 않으며, 아기의 편안함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또 한, 수납부(120)는 길이 방향 단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므로, 수납부(120)는 바깥에서 알아챌 수 없고, 그에 따라 아기 업개(1)의 외양은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아기 업개(1)의 하단(즉, 선 자세로 받쳐진 아기의 오른쪽과 왼쪽 다리 사이의 위치)에 수납부(120)가 배치될 때, 수납부(120)는 아기의 오른쪽과 왼쪽 다리 사이에 감춰지고 정면에서 알아챌 수 없다. 그에 따라, 아기 업개(1)의 외양은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20)는 길이 방향으로 단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아기 업개(1)의 단부에 수월하게 배치될 수 있어서, 아기 업개(1)의 수납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수납부(120)는 아기 업개(10)의 아기와 닿게 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납부(120)는 아기 쪽에 위치하게 되어 밖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에 따라 아기 업개(1)의 설계 품질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폴더(121)와 수납부(120)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망포로 형성되면 좋다. 이 경우, 폴더(121)와 수납부(120)는 얇게 형성될 수 있어서, 특히 수납부(120)가 아기 쪽에 위치할 때 아기에게 불쾌한 느낌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폴더(121)와 수납부(120)의 통기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개구(120a)가 수납부(120)에 형성되어 개구(120a)를 통해 폴더(121, 151)를 수납부(120)에 넣고 꺼낼 수 있다. 개구(120a)는 서로 마주하며 겹쳐진 한 쌍의 천(120b, 120c)으로 형성될 수 있어, 개구(120a)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들 천(120b, 120c)이 겹쳐질 때, 개구(120a)는 닫힘으로써, 원치 않는 노출 과 폴더(121, 151)가 수납부(12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개폐 구조체는 체결구와 같은 특별한 개폐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한 쌍의 천(120b, 120c)을 겹쳐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개폐 구조체를 수월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구조체는 아기 쪽에 배치되더라도 아기에게 불쾌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또한, 폴더는 수납 자루 이외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아기를 받치기 위한 아기 업개(1)는 아기를 받치기 위한 받침 시트(10)와 받침 시트(10)의 오른쪽과 왼쪽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속박 띠(15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 시트(10)는 속박 띠(152)에 의해 접힌 상태로 결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속박 띠(152)는 받침 시트(10)의 오른쪽과 왼쪽을 연결시키면서 받침 시트(10)를 결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속박 띠(152)는 복수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속박 전용 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아기 업개(1)는 더욱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속박 띠(152)가 받침 시트(10)에 제공되므로, 속박 띠(152)는 항상 아기 업개(1)를 따라 운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속박 띠(152)를 두고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아기를 받치기 위한 아기 업개(1)는 아기를 받치기 위한 받침 시트(10), 이 받침 시트(10)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체결구(153) 및 받침 시트(10)의 타단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체결구(154)를 포함한다. 받침 시트(10)는 제1 체결구(153)와 제2 체결구(154)로 접힌 상태로 속박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 시트(10)는 제1 및 제2 체결구(153, 154)로 속박될 수 있어서, 아기 업개(1)를 수월하게 운반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 체결구(153, 154)가 받침 시트(10)에 제공되므로, 제1 및 제2 체결구(153, 154)는 항상 아기 업개(1)와 함께 운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및 제2 체결구(153, 154)를 두고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기 업개를 사용하여 받치는 아기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기 업개를 사용하여 아기를 받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06년 3월 31일에 선행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제2006-099290, 2006-099291, 2006-099292, 2006-099293 및 2006-099294호의 우선권 향유를 주장하며, 이들 문헌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Claims (52)

  1. 아기와 접촉하면서 아기를 받치는 받침 시트(holding seat)를 포함하는 아기 업개(baby carrier)에 있어서,
    상기 받침 시트는 아기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에 매립된 완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 부재는 자체 완충력을 줄이는 경감부(relieving portion)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측부 가까이에 봉합선을 갖고, 상기 접촉부의 측부는 상기 봉합선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접촉부의 뒷면은 아기와 접촉하고 받침 천으로 덮이고,
    상기 뒷면과 마주보는 상기 접촉부의 앞면은 덮개 천으로 덮이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받침 천과 상기 덮개 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 천과 상기 받침 천은 상기 접촉부의 앞면에 위치한 연결부에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덮개 천과 상기 받침 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봉합선과 합치하고,
    상기 접촉부(100)의 양측부는 상기 봉합선(108)을 따라 가동부(107)를 가지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봉합선(108)을 따라 구분되며, 상기 받침 천(105), 상기 덮개 천(104) 및 상기 완충 부재(103)는 함께 봉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업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시트는 선 자세의 아기를 받치도록 사용되는 선 자세 받침 시트(upright-position holding seat)이며,
    상기 접촉부는 아기의 엉덩이와 허벅지 안쪽 부분과 접촉하는 다리 개방부(leg-opening por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업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감부는 상기 완충 부재에 형성된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업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감부는 상기 완충 부재의 얇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업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감부는 상기 접촉부의 외형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업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KR1020070031933A 2006-03-31 2007-03-30 아기 업개 KR101433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99291 2006-03-31
JPJP-P-2006-00099294 2006-03-31
JP2006099293A JP5026723B2 (ja) 2006-03-31 2006-03-31 子守帯
JP2006099291A JP5026721B2 (ja) 2006-03-31 2006-03-31 子守帯
JPJP-P-2006-00099292 2006-03-31
JP2006099290A JP5026720B2 (ja) 2006-03-31 2006-03-31 子守帯
JPJP-P-2006-00099293 2006-03-31
JP2006099294A JP2007268077A (ja) 2006-03-31 2006-03-31 子守帯
JP2006099292A JP5026722B2 (ja) 2006-03-31 2006-03-31 子守帯
JPJP-P-2006-00099290 2006-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746A KR20070098746A (ko) 2007-10-05
KR101433183B1 true KR101433183B1 (ko) 2014-08-22

Family

ID=3805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933A KR101433183B1 (ko) 2006-03-31 2007-03-30 아기 업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84403A1 (ko)
JP (1) JP5026720B2 (ko)
KR (1) KR101433183B1 (ko)
CN (1) CN101044945B (ko)
GB (5) GB2476592B (ko)
HK (1) HK1105566A1 (ko)
TW (3) TWI5275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6720B2 (ja) * 2006-03-31 2012-09-19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US7766199B1 (en) * 2009-07-24 2010-08-03 Gabriela Caperon Baby carrier
JP5479813B2 (ja) * 2009-08-13 2014-04-23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US20110062195A1 (en) * 2009-09-11 2011-03-17 Petunia Pickle Bottom Corporation Child carrier with removable liner
US20110101051A1 (en) * 2009-11-02 2011-05-05 Parness Michael A Infant carrier with leg straps
US9545159B2 (en) 2010-05-27 2017-01-17 Suling Wang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US20140296045A1 (en) * 2011-06-02 2014-10-02 Smiling Sling Pty Limited Exercise apparatus
JP5848575B2 (ja) 2011-10-13 2016-01-27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JP5809072B2 (ja) * 2012-01-19 2015-11-10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ベビーキャリア
JP2013212295A (ja) * 2012-04-03 2013-10-17 Lucky Kogyo Kk ベビーキャリア
US9038868B2 (en) * 2012-06-09 2015-05-26 Dawn Amber Pitre Poiani Twin baby carrier
JP6366897B2 (ja) * 2013-03-14 2018-08-01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JP6271137B2 (ja) * 2013-03-14 2018-01-31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US9877595B2 (en) 2013-03-20 2018-01-30 Suling Wang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KR101529628B1 (ko) * 2013-06-17 2015-06-22 박솔 대상물을 짊어지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엑스 체결형 아기띠
TWI519246B (zh) * 2013-06-20 2016-02-01 劉淑貞 具減震系統的彈跳式揹巾
US10045634B2 (en) * 2014-12-02 2018-08-14 Blue Box Opco Llc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US9314113B1 (en) 2015-01-15 2016-04-19 Lisbeth Hals Lehan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US10194731B2 (en) * 2015-07-10 2019-02-05 The North Face Apparel Corp. Stowable and adjustable sternum strap
US20170135497A1 (en) * 2015-07-13 2017-05-18 Christian Brodin Carri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973309B2 (en) * 2015-12-28 2021-04-13 Creola Thomas Jacket and combination backpack
US10555620B2 (en) 2017-02-10 2020-02-11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11389011B2 (en) 2017-02-10 2022-07-19 The Boppy Company, Llc Newborn carrier
US10264894B2 (en) 2017-02-10 2019-04-23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US11272791B2 (en) * 2018-10-15 2022-03-15 Angelique N. Warner Multiple position baby carrier
JP6933954B2 (ja) * 2017-10-26 2021-09-08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子守帯
WO2020041510A1 (en) 2018-08-21 2020-02-27 K9 Sport Sack, LLC Bottom-entry pet carrying backpack
USD882244S1 (en) 2018-12-28 2020-04-28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NL2022903B1 (en) * 2019-04-09 2021-06-28 Maxi Miliaan Bv Carrying device
US11134794B2 (en) 2019-05-20 2021-10-05 Cuk Llc Child carrier pack
USD910309S1 (en) 2019-07-24 2021-02-16 The Boppy Company, Llc Component for baby carrier
EP3995051B1 (en) * 2020-11-04 2023-09-13 Overtea Sa Child carrier
WO2024044066A1 (en) * 2022-08-24 2024-02-29 Wildbird, Llc Baby carrier
KR102617396B1 (ko) * 2023-03-07 2023-12-28 주식회사 라안 아기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842A (ja) * 1995-10-06 1997-04-15 Aprica Kassai Inc クッション構造
JPH11276311A (ja) * 1998-01-28 1999-10-12 Aprica Kassai Inc ベビーキャリア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用ヘッドサポート
JP2004181268A (ja) * 2004-03-29 2004-07-02 Aprica Kassai Inc 子守帯および使用者装着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5944A (en) * 1958-01-07 1962-11-27 Georgia R Liebendorfer Nursing bottle holder
US3391413A (en) * 1965-03-04 1968-07-09 Samuel P. Crane Spacer sheet and cushion
DE1288262B (de) * 1966-01-12 1969-01-30 Higuchi Takeo Am Ruecken tragbarer Sitz fuer Kleinkinder
US3575326A (en) * 1968-05-27 1971-04-20 Walter G Chappell Infant carrier
US4467945A (en) * 1983-12-23 1984-08-28 Schaapveld Junice A Baby carrier
GB8500264D0 (en) * 1985-01-05 1985-02-13 Davies J Seat belt pad
US4961251A (en) * 1989-04-13 1990-10-09 Ann Smith Flexible safety belt buckle guard
JPH0994136A (ja) * 1995-09-29 1997-04-08 Aprica Kassai Inc 乳幼児キャリア
JP3026388U (ja) * 1995-12-27 1996-07-12 長沢幸株式会社 乳幼児保持具
US5848741A (en) * 1996-10-25 1998-12-15 Evenflo Company, Inc. Soft-sided infant carrier with canopy
US5699555A (en) * 1996-11-22 1997-12-23 Schunter; Christine K. Child's waistbelt and leash for protection against abduction of a child
JP3669612B2 (ja) * 1997-07-29 2005-07-13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ブリッジベルト移動式ベビーキャリア
FR2778832B1 (fr) * 1998-05-25 2001-02-23 Lafuma Sa Porte-bebe a dos
JP2958891B1 (ja) * 1998-09-29 1999-10-06 務 宮越 腰痛対策用補助寝具
JP2000225041A (ja) * 1999-02-08 2000-08-15 Aprica Kassai Inc 乳幼児キャリア用ヘッドサポ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乳幼児キャリア
JP4233167B2 (ja) * 1999-03-01 2009-03-04 コンビ株式会社 乳児用ヘッドキープおよび該乳児用ヘッドキープ付き子守帯
JP3079903U (ja) * 2001-02-28 2001-09-07 日本エイテックス株式会社 抱っこ用と背負い用に変更し得る子守帯
JP2002282097A (ja) * 2001-03-26 2002-10-02 Combi Corp 乳児用ヘッドキープ、乳児用ヘッドキープ付き子守帯および横抱き子守帯
FR2824715B1 (fr) * 2001-05-15 2004-02-13 Plastitemple Porte-bebe ventral d'un nouveau type
JP3990876B2 (ja) * 2001-06-18 2007-10-17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敷材および敷材付ベビーキャリア
JP3925923B2 (ja) * 2003-01-21 2007-06-06 良子 宮下 乳幼児用スリング
JP2004236736A (ja) * 2003-02-04 2004-08-26 Aprica Kassai Inc 子守帯
US7004363B2 (en) * 2003-03-21 2006-02-28 Tumi, Inc. Shoulder strap pad
FR2857833A1 (fr) * 2003-07-25 2005-01-28 Salomon Sa Boucle cachee
JP2005118475A (ja) * 2003-10-20 2005-05-12 Combi Corp 子守帯
KR20070011232A (ko) * 2003-10-20 2007-01-2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베이비 밴드
US7739754B2 (en) * 2004-03-29 2010-06-22 Louis Garneau Sports Inc. Seat pad for cyclist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GB0408171D0 (en) * 2004-04-13 2004-05-19 Fyfe Cathryn J All-purpose child carrier
SG116652A1 (en) * 2004-04-30 2005-11-28 Combi Co Infant carrier.
JP2007215551A (ja) * 2004-08-30 2007-08-30 Nippon Eitekkusu Kk ベビーキャリア
JP2006075441A (ja) * 2004-09-10 2006-03-23 Nagasawa Ko Kk 子守帯
JP2007111482A (ja) * 2005-09-21 2007-05-10 Aprica Kassai Inc スリング式子守帯
JP5026720B2 (ja) * 2006-03-31 2012-09-19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WO2007146866A2 (en) * 2006-06-09 2007-12-21 Heartbeat Products, Llc Device for carrying a child
US20080121674A1 (en) * 2006-11-28 2008-05-29 Fu-Yuan Yang Three-dimensional ventilating pad for backp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842A (ja) * 1995-10-06 1997-04-15 Aprica Kassai Inc クッション構造
JPH11276311A (ja) * 1998-01-28 1999-10-12 Aprica Kassai Inc ベビーキャリア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用ヘッドサポート
JP2004181268A (ja) * 2004-03-29 2004-07-02 Aprica Kassai Inc 子守帯および使用者装着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36735A (en) 2007-10-03
GB2476591A (en) 2011-06-29
GB201102020D0 (en) 2011-03-23
TW200735819A (en) 2007-10-01
TWI452983B (zh) 2014-09-21
TWI527541B (zh) 2016-04-01
US20070284403A1 (en) 2007-12-13
GB2476401A (en) 2011-06-22
GB2476401B (en) 2011-09-14
CN101044945B (zh) 2012-01-18
TWI549632B (zh) 2016-09-21
JP2007268073A (ja) 2007-10-18
HK1105566A1 (en) 2008-02-22
TW201350059A (zh) 2013-12-16
GB0706220D0 (en) 2007-05-09
GB2476591B (en) 2011-09-14
GB201102022D0 (en) 2011-03-23
GB201102018D0 (en) 2011-03-23
TW201350060A (zh) 2013-12-16
CN101044945A (zh) 2007-10-03
GB2436735B (en) 2011-05-18
GB201102027D0 (en) 2011-03-23
GB2476592B (en) 2011-09-14
KR20070098746A (ko) 2007-10-05
GB2476402A (en) 2011-06-22
GB2476592A (en) 2011-06-29
JP5026720B2 (ja) 2012-09-19
GB2476402B (en)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83B1 (ko) 아기 업개
TWI344830B (en) Nursing belt
EP2688446B1 (en) Travel nursing pillow
US7331073B2 (en) Back support attachment for nursing pillows
EP1767125B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US7430774B2 (en) Peripherals for multi-use pillows and methods
KR101046634B1 (ko) 허리가방이 구비된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WO2007002394A2 (en) Nursing support pillows and methods
JP2004181268A (ja) 子守帯および使用者装着部材
JP5026723B2 (ja) 子守帯
JP3148444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JP2005120552A (ja) 子守帯
JP5026722B2 (ja) 子守帯
JP3131283U (ja) ベビーキャリア
JP5026721B2 (ja) 子守帯
JP3127392U (ja) ベビーキャリア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JP2007268077A (ja) 子守帯
CN211459563U (zh) 便携式婴儿床中床
JP3136266B2 (ja)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JP3107643U (ja) ベビーキャリア
JP2005118471A (ja) 子守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08

Effective date: 201406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