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232A - 베이비 밴드 - Google Patents

베이비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232A
KR20070011232A KR1020067007480A KR20067007480A KR20070011232A KR 20070011232 A KR20070011232 A KR 20070011232A KR 1020067007480 A KR1020067007480 A KR 1020067007480A KR 20067007480 A KR20067007480 A KR 20067007480A KR 20070011232 A KR20070011232 A KR 2007001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and
seat
belt
baby
ban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꼬 모리구찌
요시꼬 시라이시
도시로오 요시에
유따까 우끼쯔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598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184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598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184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59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12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598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205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598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184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598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4635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359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12772A/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사용자(201)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2)와, 유아(200)를 가로로 안은 자세로 유지하도록 베이비 밴드 본체(1)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3)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3)는 머리부 지지부(42a)를 구비한 시트 본체(40)와, 머리부 지지부(42a)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57)에 의해 강성이 부여된 현수 보드(41)를 구비하고, 현수 보드(41)를 거쳐서 머리부 지지부(42a)의 폭방향 양측이 베이비 밴드 본체(2)로부터 현수되어 지지된다.
베이비 밴드, 머리부 지지부, 시트 본체, 심재, 현수 보드

Description

베이비 밴드{BABY BAND}
본 발명은 베이비 밴드 본체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 가로로 안기용 시트 등의 어태치먼트를 조합하여 유아를 세로로 안기, 업기, 가로로 안기 등의 원하는 자세로 유지하는 베이비 밴드 및 그것에 사용하는 연결 구조, 고정측 버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가슴 또는 등 중 어느 한 곳에 맞대고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를 자루형으로 구성하고, 그 자루형 부분에 유아를 수용하여 상기 유아를 세로로 안기 또는 업기 상태로 지지하도록 한 베이비 밴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0-24558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282097호 공보 참조). 이들 문헌에 기재된 베이비 밴드에서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유아용 머리 유지부)의 머리부 지지부의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아암을 돌출시키고, 이들 아암을 사용자가 장착하고 있는 베이비 밴드 본체의 어깨띠부에 걸고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현수하여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베이비 밴드에서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유아의 등 및 가랑이를 각각 지지하는 등 맞댐부 및 가랑이 맞댐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양 부 사이에는 조정 파스너가 설치되고, 그 조정 파스너를 결합하거나, 또는 그 결합을 해제 함으로써 베이비 밴드 본체의 하부의 길이를 변화시키고, 그것에 의해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가랑이 맞댐부의 깊이를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베이비 밴드에서는 베이비 밴드의 어깨띠 등을 상대 부품의 고정부에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한 쌍의 암수 버클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베이비 밴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갖고 있다.
종래의 베이비 밴드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현수할 때의 하중이 한 쌍의 아암을 거쳐서 머리부 지지부의 양측에 작용하기 때문에, 머리부 지지부의 양측이 중앙에 비해 들어 올려진다. 이로 인해, 유아의 머리부 주위의 공간이 좁아져 거주성이 손상되는 일이 있다.
종래의 베이비 밴드 본체는 봉제품이고, 그 내부에는 쿠션재와 같은 유연한 재료가 채워져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베이비 밴드 본체를 사용자의 어깨 주위 및 허리 주위에 각각 고정해도 베이비 밴드 본체가 사용 시의 하중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어,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어깨에 하중이 집중되어 허리 주위에 하중을 충분히 분산시킬 수 없다.
종래의 베이비 밴드는 베이비 밴드 본체 그 자체를 자루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베이비 밴드 본체의 형상이 복잡화되어 자칫하면 유아의 지지 형태를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없다. 그래서, 베이비 밴드 본체에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함으로써 이들 베이비 밴드 본체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는 베이비 밴드가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자루형 부분의 바닥의 깊이를 종래의 베이비 밴드와 마 찬가지로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세로로 안기와 업기에서 동일한 베이비 밴드 본체를 겸용하는 경우, 사용자에 대한 베이비 밴드 본체의 부착 방법이 유아의 지지 형태에 따라서 다르다. 예를 들어, 세로로 안는 경우에는 베이비 밴드 본체를 사용자의 가슴에 맞대고 어깨띠를, 소위 X자 걸기 상태로 어깨 주위에 장착하지만, 업기의 경우에서는 베이비 밴드 본체를 사용자의 등에 맞대고 어깨띠를, 소위 가방 걸기 상태로 어깨 주위에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베이비 밴드 본체의 부착 방법이 유아의 방향이나 자세에 따라서 크게 변화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베이비 밴드 본체는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지지 형태에 따라서는 베이비 밴드 본체를 최적의 상태로 장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종래의 베이비 밴드는 베이비 밴드 본체 그 자체를 자루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베이비 밴드 본체의 형상이 복잡화되어 자칫하면 유아의 지지 형태를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없다. 그래서, 베이비 밴드 본체에 별도의 부품으로서의 가로로 안기용 시트나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선택적으로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베이비 밴드로 다양한 지지 형태를 실현하는 베이비 밴드가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분하여 사용을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사용성이 악화되거나, 유아의 쾌적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종래, 고정부에 부착되는 고정측 버클은 그 후단부의 벨트 통과부에 루프형으로 버클 고정 벨트를 권취하고, 그 버클 고정 벨트를 고정부에 꿰매는 것에 의해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측 버클의 전단부측, 즉 어깨띠 등의 띠형 물품과 연결되는 측에 관해서는 고정측 버클이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띠형 물품측의 버클을 장착할 때의 방향이 정해지기 어렵고, 또한 띠형 물품으로부터 한 쌍의 버클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이 고정측 버클의 후단부측의 고정 위치에 집중될 문제점이 있어, 고정부에 대해 널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없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베이비 밴드의 어깨띠를 허리 맞댐부에 연결한 경우, 어깨띠의 장력을 허리 맞댐부로 분산시켜 허리 맞댐부를 사용자측으로 폭넓게 인입할 수 없어, 사용자에게 국부적으로 하중이 작용한다. 고정측 버클이 부자연스러운 방향으로 띠형 물품과 연결될 우려도 있다.
종래의 베이비 밴드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상방에서 현수하고 있으므로, 그 현수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가로로 안기용 시트가 흔들리기 쉽고, 사용자가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손을 받쳐 그 흔들림을 억제할 필요가 생기는 일이 있다. 또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 등의 다른 어태치먼트를 부착할 필요로부터 베이비 밴드 본체에 복수의 고정구가 설치되는 경우, 이들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부착할 때에 적절한 고정구를 판별하기 어려운 일이 있다. 또한, 종래의 베이비 밴드에서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눕힌 유아의 복부를 패드로 덮고 있지만 그 흉부는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의 머리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베이비 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는 머리부 지지부를 구비한 시트 본체와, 상기 머리부 지지부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에 의해 강성이 부여된 현수 보드를 구비하고, 상기 현수 보드를 거쳐서 상기 머리부 지지부의 상기 폭방향 양측이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시트 본체의 머리부 지지부와 베이비 밴드 본체 사이에 현수 보드가 개재되고, 게다가 그 현수 보드의 강성에 의해 머리부 지지부의 변형이 제한되기 때문에,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현수하였을 때에 머리부 유지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현수 보드에 부여해야 할 강성은 머리부 지지부의 주위에 실용상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머리부 지지부의 변형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현수 보드의 심재는 완전한 강체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탄성을 구비한 수지 재료라도 그 탄성 변형량이 상기한 범위에 합치하는 것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의 경질 재료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 본체의 내부에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등판이 설치되고, 상기 현수 보드는 상기 등판의 하측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태양에 따르면, 현수 보드를 거쳐서 시트 본체에 작용하는 현수 하중의 반력을 등판에 의해 시트 본체의 광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머리부 지지부의 변형을 보다 확실하고 또한 작게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는 상기 현수 보드가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해도 좋다. 현수 보드를 시트 본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현수 보드를 단독으로 교환하거나, 혹은 세탁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시트 본체를 휴대하는 경우에 현수 보드에 의한 팽창을 없애고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는, 상기 현수 보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 대해 상기 현수 보드를 현수하기 위한 현수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현수 벨트에는 벨트측 고정구와 상기 벨트측 고정구와 맞물림 가능한 후크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현수 벨트가 통과 가능한 본체측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현수 벨트의 타단부에는 상기 현수 벨트가 통과 가능한 보드측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측 고정구 및 상기 보드측 고정구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크를 상기 벨트측 고정구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현수 벨트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측 고정구로부터 현수되어 지지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부착 구조에 따르면,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후크가 통과 가능한 본체측 고정구만을 설치하면 되고, 베이비 밴드 본체의 범용성을 높이는 데 있어서 유리하다.
현수 벨트를 이용하는 태양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한 상기 현수 보드의 부착 방향이 상기 시트 본체의 폭방향에 관하여 변경 가능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대한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부착 방향을 변경할 때에 이것에 맞추어 현수 보드의 부착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현수 보드의 양측과 베이비 밴드 본체의 원근 관계를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방향에 관계없이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방향에 관계없이 베이비 밴드 본체에 대한 현수 보드의 현수 작업을 일정한 감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로부터는 상기 현수 벨트의 나머지 길이부가 되접히도록 인출되고, 상기 보드측 고정구를 상기 후크가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나머지 길이부가 상기 보드측 고정구에 걸리고 상기 후크가 상기 보드측 고정구를 빠져나가기가 불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현수 벨트의 후크가 벨트측 고정구로부터 제거되어도 후크 부분이 보드측 고정구와 맞물려 현수 벨트의 후크의 해방이 방지된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보드측 고정구가 링형이고, 또한 측방에서 보아 상기 시트 본체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보드측 고정구나 이것에 걸린 현수 벨트의 머리부 지지부측으로의 돌출을 억제하여 유아의 머리부에 대한 보드측 고정구 등의 접촉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수 벨트에는 상기 본체측 고정구에 대한 상기 현수 벨트의 미끄러짐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의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현수 상태를 더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비 밴드 본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사용자의 각 부로 분산시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베이비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가슴 또는 등 중 어느 한 곳에 맞대고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로 유아를 세로로 안기 또는 업기 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 지지하도록 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경질 재료로 형성된 등판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등판이 베이비 밴드 본체의 변형을 억제하는 심재로서 기능함으로써 사용 시의 하중에 의한 베이비 밴드 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의 분산을 도모하여 베이비 밴드 본체를 사용자의 어깨 주위 및 허리 주위 등 복수 부위에서 사용자에게 고정한 경우에 당초의 의도와 같이 베이비 밴드 본체에 부여되는 하중을 각각의 고정 위치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국부로의 하중의 집중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등판은 베이비 밴드 본체에 사용되는 쿠션이나 표면 옷감에 비해 경질이고 베이비 밴드 본체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등판은 베이비 밴드 본체의 변형을 완전히 저지하는 강체일 필요는 없고,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 친숙한 탄성을 등판이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어깨띠가 부착되고,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장착되는 허리 맞댐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등판은 상기 어깨띠의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허리 맞댐부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등판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허리 주위까지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의 하부에는 상방으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베이비 밴드 본체를 장착 완료한 사용자가 유아를 앉힌 상태에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유아에 맞대고 이를 베이비 밴드 본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베이비 밴드 본체의 하부가, 유아가 앉아 있는 면에 지지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자세를 취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등판의 하부가 상방으로 절곡 가능하면 베이비 밴드 본체가 방해가 되지 않아 유아를 원활하게 베이비 밴드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절곡 축선이 상기 허리 맞댐부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허리 맞댐부에 어느 정도의 강성을 부여해도 그것에 의해 절곡부의 왜곡이 제한될 우려가 없다.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유아의 겨드랑이 아래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 연결되는 겨드랑이 하부 벨트가 설치되어도 좋다. 겨드랑이 하부 벨트를 설치함으로써 유아를 겨드랑이 아래로부터 베이비 밴드 본체로 인상할 수 있으므로, 베이비 밴드 본체에 대한 유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나 흉부가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에 하중이 집중될 우려도 없어진다.
또한,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강성이 상기 등판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유아에게 친숙하게 하고 베이비 밴드 본체측에 의해 균등하게 인상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비 밴드 본체에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여 유아를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는 구조라도 그 자루형 부분의 깊이를 조정할 수 있는 베이비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태양의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고, 이들 베이비 밴드 본체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도록 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시트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상기 시트 고정부를 향해 되접혀 상기 자루형 부분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닥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시트 고정부와 연결 가능한 연결구가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연결구의 위치를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하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시트 고정부에 대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연결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바닥 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부의 깊이를 변화시키고, 유아의 체격에 맞춘 최적의 깊이의 자루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서로 맞물림 가능한 암수 버클 중 어느 한쪽의 버클이 상기 시트 고정부에 설치되고, 다른 쪽 버클은 상기 연결구로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조정 벨트를 거쳐서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기 바닥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다른 쪽 버클의 상기 조정 벨트에 대한 부착 위치가 조정 가능해도 좋다. 이와 같은 태양에 따르면, 조정 벨트를 따라서 버클의 부착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바닥 지지부의 깊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 고정부 및 상기 바닥 지지부의 각각에 상기 버클이 복수 세트 설치되어도 좋다. 복수 세트의 버클을 설치함으로써, 가령 하나의 버클이 제거되어도 남은 버클에 의해 바닥 지지부와 베이비 밴드 본체의 연결이 유지된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다.
또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상기 시트 고정부보다도 하방에는 상기 바닥 지지부를 끼워 넣는 흔들림 멈춤 밴드가 설치되어도 좋다. 연결구를 바닥 지지부의 선단부(하단부)로 돌출하여 바닥 지지부의 깊이를 크게 한 경우, 그 바닥 지지부의 하단부로부터 연결구와 시트 고정부까지의 거리가 증가하여 바닥 지지부가 흔들리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경우, 흔들림 멈춤 밴드에 바닥 지지부를 협지한 후 연결구를 시트 고정부와 연결하면 연결구에 의한 연결구보다도 하방에서 바닥 지지부가 베이비 밴드 본체에 구속되고, 그 결과, 바닥 지지부가 흔들리기 어려워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태양의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고, 이들 베이비 밴드 본체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도록 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시트 고정부가 상하 방향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상기 시트 고정부를 향해 되접혀 상기 자루형 부분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닥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시트 고정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연결구를 연결하는 시트 고정부를 변경함으로써, 베이비 밴드 본체에 대한 바닥 지지부의 연결 위치를 변화시키고, 그것에 의해 바닥 지지부의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의 지지 형태에 관계없이 베이비 밴드 본체를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베이비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가슴 또는 등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맞대고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방향에 따라서 유아를 세로로 안기 또는 업기 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 지지하도록 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사용자의 가슴 또는 배에 닿게 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어깨띠와, 상기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장착되는 허리 맞댐부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허리 맞댐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로 유아를 세로로 안을 때에 어깨띠는 X자 걸기 상태로 사용되고, 유아를 업을 때에 어깨띠는 가방 걸기 상태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분하여 사용을 하는 경우, 허리 맞댐부의 위치가 불변이면, 업기 상태에서 허리 맞댐부가 사용자의 가슴 부근까지 밀어 올려지고, 그 반대로 유아가 사용자로부터 흘러 내려 업은 위치가 필요 이상으로 내려가는 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문제점이 생긴 경우에 베이스부에 대해 허리 맞댐부를 하방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허리 맞댐부의 위치를 내려 베이비 밴드 본체를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를 사용자에게 밀착한 높은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로로 안기 시에는 허리 맞댐부를 업기 시보다도 올리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세로로 안기 및 업기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베이비 밴드 본체를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비 밴드 본체의 부착이 적절하게 행해짐으로써 유아의 지지도 적절하게 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로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허리 맞댐부를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한 곳에 유지하는 수단이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허리 맞댐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부를 수용 가능한 포켓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포켓 내에서 절첩 가능한 절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절첩부의 하단부가 상기 허리 맞댐부와 접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베이스부와 허리 맞댐부를 연속시키면서 베이스부에 대해 허리 맞댐부를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비 밴드 본체에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가로로 안기용 시트나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는 경우의 사용성을 개선하거나, 혹은 유아의 쾌적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베이비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현수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을 상기 한 쌍의 고정구 중 어느 한쪽의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머리부측 현수구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둔부측을 다른 쪽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둔부측 현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측 현수구 및 상기 둔부측 현수구를 상기 한쪽 고정구 및 상기 다른 쪽 고정구에 각각 장착한 경우에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이 둔부측보다도 높은 위치로 유지되도록 각 현수구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제6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머리부를 둔부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지지하는 자세가 보증되어 사용자의 불충분한 조정에 의해 유아의 머리부가 둔부보다도 내려갔던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유아가 지지될 우려가 없다. 이에 의해, 유아의 쾌적성이 손상될 우려가 없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 및 둔부측을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머리부측 현수구 및 둔부측 현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측 현수구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을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둔부 현수구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둔부측을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방향 양측 및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 후단부의 폭방향 중앙의 3군데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7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 및 둔부측이 모두 폭방향 양측에서 지지되고, 부가하여 둔부측의 후단부에 있어서는 폭방향 중앙에 있어서도 지지되기 때문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방향 중심선에 관한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유아를 비틀지 않고 폭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똑바르게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제7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는, 상기 둔부측 현수구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복부 벨트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 후단부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연장된 둔부 벨트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유아의 복부를 덮는 복부 패드를 갖고, 상기 복부 벨트와 상기 둔부 벨트가 상기 복부 패드를 거쳐서 서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복부 벨트 및 상기 둔부 벨트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일체적으로 현수되어 지지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복부 패드를 이용하여 복부 벨트와 둔부 벨트를 일체적으로 현수하여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둔부측을 상술한 3군데에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후단부에는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둔부 지지부와,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절곡 가능하고 또한 상기 유아의 다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부 벨트가 상기 둔부 지지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한편, 상기 둔부 벨트가 상기 다리부 후단부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도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제거하여 이불 등의 위에 내릴 때에는 둔부 지지부와 다리 지지부가 똑바르게 연장되어 유아의 둔부로부터 다리부가 수평으로 유지된다. 한편,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하여 지지하면, 둔부 벨트가 다리 지지부를 인상하기 위해 둔부 지지부에 대해 다리 지지부가 경사 상방으로 절곡된다. 이에 의해, 둔부보다도 다리부가 들어 올려진 자연스러운 가로로 안기 자세가 실현되어 유아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유아를 지지하는 심재로서의 등판이 내장되어 유아를 지지할 때의 하중에 의해 상기 등판을 폭방향 중심선을 바닥으로 하여 만곡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등판을 설치함으로써,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비틀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등판의 변형에 의해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눕힌 유아가 폭방향 중심선 상으로 밀려 가로로 안기 자세를 더 안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유아를 눕히기 위한 매트와, 유아의 머리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머리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매트 및 상기 머리 커버의 각각에는 심재가 설치되고, 각 심재에는 통기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제8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매트 및 머리 커버의 통기 구멍을 거쳐서 습기가 해방되기 때문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통풍성이 개선되어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눕힌 유아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유아의 머리부로부터 둔부까지를 지지하는 심재로서의 등판과, 상기 유아의 다리부를 지지하는 심재로서의 시트판이 내장되고, 상기 시트판이 상기 등판의 둔부측 단부보다도 폭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다.
제9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한 경우라도 심재 들이의 시트판에 의해 유아의 다리부의 주위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다리부의 압박을 방지하여 유아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링형의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유아를 베이비 밴드 본체를 향해 끌어당기기 위한 시트 본체와, 상기 시트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상기 고정구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벨트에는 서로 맞물림 가능한 한 쌍의 암수 버클 중 어느 한쪽의 버클이, 상기 시트 본체에는 다른 쪽 버클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쪽 버클은 상기 고정구를 통과 가능하고, 상기 한쪽 버클로부터는 상기 연결 벨트의 나머지 길이부가 되접히도록 인출되고, 상기 한쪽 버클이 상기 고정구를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나머지 길이부가 상기 고정구에 걸려 상기 한쪽 버클이 상기 고정구를 통과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0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연결 벨트에 설치된 버클을 베이비 밴드 본체의 고정구에 통과시켜 두면, 가령 버클끼리의 맞물림이 어긋나도 한쪽 버클이 고정구를 빠져나갈 수 없어, 연결 벨트가 고정구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우려가 없다. 이로 인해, 안전성이 높고, 또한 연결 벨트의 장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고정구에 대해 연결 벨트측의 버클을 몇 번이나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성이 좋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유아의 머리부를 덮는 머리 지지부와, 상기 머리 지지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지지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머리 지지부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외측을 향해 절곡 가능하고, 상기 지지 벨트는 상기 머리 지지부를 되접었을 때에 상기 지지 벨트의 비틀림이 해소되도록 반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연결 가능하다.
제11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지지 벨트를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머리 지지부를 외측으로 절곡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좋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링형의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가 측방에서 보아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제12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베이비 밴드 본체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자루형 부분으로의 고정구의 돌출을 억제하여 고정구가 유아와 접촉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통기 구멍을 갖는 내장재가 내장되고, 상기 내장재가 입체 메쉬 옷감으로 덮여 있다.
제13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 덮인 자루형 부분의 통풍성을 개선하여 유아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자루형 부분에는 상기 유아를 전방향 및 후방향 중 어느 방향이라도 장착 가능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의 폭을 조정 가능하게 하였다.
유아를 전방향 상태로 안은 경우에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가 유아의 가랑이 부분을 베이비 밴드 본체측으로 압입하도록 기능하지만, 유아를 후방향, 즉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안은 상태에서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가 유아의 둔부를 베이비 밴드 본체측으로 끌어당기도록 기능한다. 이들 기능의 차이에 의해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에 요구되는 최적의 폭이 변화되고, 전방향 상태에 있어서는 후방향 상태보다도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이 좁은 쪽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의 폭을 가변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요구에 따라서 유아의 방향에 따른 최적의 폭에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어깨띠가 길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어깨띠에는 길이 조정 후의 어깨띠의 나머지 길이부를 절첩하여 유지하기 위한 밴드가 설치되어 있다.
제15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남은 어깨띠를 아래로 늘어지게 한 상태로 방치하지 않고 밴드 내에 절첩하여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격이나 베이비 밴드 본체의 장착 형태에 관계없이 어깨띠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정리할 수 있어 사용성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에 대해 버클을 적절하게 고정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띠형 물품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고, 아울러 그 연결 구조를 이용한 베이비 밴드 및 그 연결 구조에 사용 가능한 고정측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연결 구조는 서로 맞물림 가능한 한 쌍의 암수 버클 중 어느 한쪽의 버클이 띠형 물품에 부착되고, 다른 쪽 버클이 상기 띠형 물품과 연결되어야 할 고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띠형 물품과 상기 고정부가 착탈 가능하게 된 띠형 물품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버클이 상기 띠형 물품의 착탈 방향에 관한 상기 버클의 전후에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에 따르면, 고정측 버클(다른 쪽 버클)이 그 전후에 있어서 고정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측 버클의 전단부측의 헐거움을 억제하여 버클끼리를 용이하게 위치 맞춤하여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띠형 물품의 장력에 의해 고정측 버클에 인장 하중이 작용한 경우, 그 인장 하중이 고정측 버클의 전후에서 고정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고정측 버클의 후단부측만을 고정부에 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정측 버클에 가해지는 하중을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측 버클의 전후를 구속함으로써 고정측 버클의 방향을 미리 최적의 상태로 정해 둘 수 있고, 부자연스러운 방향에서 고정측 버클이 띠형 물품과 연결될 우려를 배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버클의 전후 단부의 각각에 벨트 통과부가 마련되고, 이들 벨트 통과부 사이에 버클 고정 벨트가 통과되어 상기 버클 고정 벨트의 양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종래에는 버클의 후단부측에서 루프형으로 권취하고 되접었던 버클 고정 벨트의 일단부를 버클의 전단부까지 연장하여 벨트 통과부를 통과시키고, 그 버클 고정 벨트의 양단부를 고정부에 꿰매는 등 하여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서 고정측 버클을 고정부에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6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어깨띠와,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장착되는 허리 맞댐부가 마련된 베이비 밴드 본체를 구비하고, 서로 맞물림 가능한 한 쌍의 암수 버클 중 어느 한쪽의 버클이 상기 어깨띠에 부착되고, 다른 쪽 버클이 상기 허리 맞댐부에 부착되어 상기 어깨띠와 상기 허리 맞댐부가 착탈 가능해진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허리 맞댐부에 부착되는 버클이 상기 어깨띠의 착탈 방향에 관한 상기 버클의 전후에서 상기 허리 맞댐부에 고정된다.
제16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상술한 연결 구조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 외에, 특히 어깨띠의 장력을 허리 맞댐부의 광범위로 분산시켜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허리 맞댐부를 사용자측으로 광범위에 걸쳐서 인입하고 사용자로의 국부적인 하중의 치우침을 억제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허리 맞댐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6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는 상기 허리 맞댐부에 부착되는 버클의 전후 단부의 각각에 벨트 통과부가 마련되고, 이들 벨트 통과부 사이에 버클 고정 벨트가 통과되어 상기 버클 고정 벨트의 양단부가 상기 허리 맞댐부에 고정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고정측 버클은 띠형 물품을 연결해야 할 고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띠형 물품에 부착된 버클이 착탈되는 고정측 버클이며, 상기 띠형 물품의 착탈 방향에 관한 전후 단부에 벨트 통과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측 버클을 상기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버클 고정 벨트가 상기 벨트 통과부끼리의 사이에서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측 버클에 따르면, 버클 고정 벨트를 고정측 버클의 전후에서 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연결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현수하는 경우의 그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베이비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베이비 밴드 본체에 복수의 고정구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적절한 고정구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베이비 밴드,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된 유아의 흉부도 덮을 수 있는 베이비 밴드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7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구로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현수하기 위한 상부 고정구와, 이들 상부 고정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상기 상부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현수구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방향 한쪽 측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고정구와 연결 가능한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가 설치된다.
제17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베이비 밴드 본체의 하부 고정구와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부 고정구와 현수구의 연결 위치보다도 하방에서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베이비 밴드 본체에 구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현수 지지점을 중심으로 한 흔들림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17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어깨띠와, 상기 어깨띠의 하단부에 계속해서 사용자의 허리 주위가 되는 띠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구가 상기 한 쌍의 어깨띠의 각각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고정구는 상기 어깨띠의 하단부 또는 상기 띠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하부 고정구를 상부 고정구에 대해 하방으로 최대한으로 이격하여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에 의한 흔들림 멈춤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어깨띠의 하단부 또는 띠에는 양자의 경계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구 및 상기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의 각각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 및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대해 고정구 고정 벨트를 거쳐서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 고정 벨트는 상기 하부 고정구 및 상기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의 각각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 및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꿰매져도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하부 고정구의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의 부상이나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 그 자신의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대한 진동을 억제하여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에 의한 흔들림 멈춤 작용을 더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제17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상부 고정구가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현수구로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을 상기 한 쌍의 상부 고정구 중 어느 한쪽의 상부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머리부측 현수구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둔부측을 다른 쪽 상부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둔부측 현수구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현수구에 가해지는 하중을 사용자의 양 어깨로 분산시키면서 하부 고정구와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에 의해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담이 더 경감된다.
또한, 상기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기 둔부 지지측에는 유아의 복부를 덮는 복부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복부 패드의 상단부에는 유아의 흉부를 덮는 흉부 패드가 계속해서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머리부측 현수구와 상기 흉부 패드를 연결하는 흉부 벨트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 태양에 따르면, 복부 패드 및 흉부 패드로 유아의 복부로부터 흉부에 걸친 범위를 덮어 그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흉부 패드를 머리부측 현수구와 연결함으로써 흉부의 아래로 드리워짐을 방지하여 흉부 패드의 추가에 의한 유아의 불쾌감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17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구와 상기 하부 고정구는 크기 또는 연결에 관한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서로 달라도 좋다. 이와 같이 고정구를 구분하면,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베이비 밴드 본체에 장착할 때에 부적당한 고정구에 현수구나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를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적절한 고정구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제17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기 둔부측에는 유아의 복부를 덮는 복부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복부 패드의 상단부에는 유아의 흉부를 덮는 흉부 패드가 계속해서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유아의 복부로부터 흉부를 덮어 그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8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연결하기 위한 서로 용도가 다른 복수 종류의 고정구가 위치를 바꾸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 종류의 고정구의 각각은 크기 또는 연결에 관한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서로 다르다. 이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용도가 다른 복수 종류의 고정구의 크기 또는 연결에 관한 구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용도에 따른 적절한 고정구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9 태양에 관한 베이비 밴드는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기 둔부측에는 유아의 복부를 덮는 복부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복부 패드의 상단부에는 유아의 흉부를 덮는 흉부 패드가 계속해서 설치된다. 이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따르면, 복부 패드 및 흉부 패드로 유아의 복부로부터 흉부에 걸친 범위를 덮어 그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아의 용어는 신생아, 영아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베이비 밴드의 사용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베이비 밴드 본체의 정면도.
도3은 베이비 밴드 본체의 배면도.
도4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내장되는 등판의 정면도.
도5는 베이비 밴드 본체의 베이스부와 허리 맞댐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베이비 밴드 본체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베이비 밴드 본체의 어깨띠에 있어서의 나머지 길이부를 밴드에 의해 정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베이비 밴드 본체의 허리 맞댐부에 설치된 암형 버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베이비 밴드 본체의 허리 맞댐부에 설치된 암형 버클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베이비 밴드 본체의 허리 맞댐부의 사시도.
도11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평면도.
도12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내장되는 등판의 평면도.
도13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 커버에 내장되는 심재의 평면도.
도14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설치되는 현수 보드의 사시도.
도15는 현수 보드의 평면도.
도16은 현수 보드의 바닥면도.
도17은 현수 보드에 내장되는 심재의 사시도.
도18은 베이비 밴드 본체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9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한 상태를 유아의 머리부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현수 벨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1은 현수 벨트의 스토퍼와 고정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22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적재된 유아를 사용자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3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적재된 유아를 그 상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4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적재된 유아를 발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5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정면도.
도26은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배면도.
도27은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다른 정면도.
도28은 베이비 밴드 본체에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9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바닥 지지부를 연결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30은 베이비 밴드 본체에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바닥 지지부를 연결하는 다른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31은 베이비 밴드 본체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32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33은 베이비 밴드 본체에 장착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 지지부를 되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4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베이비 밴드의 정면도.
도35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베이비 밴드의 둔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36은 베이비 밴드 본체를 배면측에서 전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37은 베이비 밴드 본체의 사용자로의 장착 시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38은 하부 암형 버클의 부착 부분의 확대도.
도39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평면도.
도40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전개도.
도41은 현수 보드의 사시도.
도42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사시도.
도43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둔부측의 확대도.
도44는 흉부 패드와 현수 보드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
도45는 흉부 패드와 현수 보드의 연결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본 확대도.
도46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흔들림 멈춤용 수형 버클과 베이비 밴드 본체의 하부 암형 버클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
도47은 베이비 밴드에서 사용되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정면도.
도48은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이면도.
도49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베이비 밴드 본체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제1 형태)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베이비 밴드의 제1 적합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그 베이비 밴드(1)의 개요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베이비 밴드(1)는 유아(영아를 포함함)(200)를 대략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지지하는 가로로 안은 상태[도1의 (a)]와, 유아(200)를 대면 상태로 안은 대면 안기 상태[도1의 (b) 내지 (d)]와, 유아(200)를 전방향 상태로 안은 전방향 안기 상태[도1의 (e), (f)]와, 유아(200)를 짊어지는 업기 상태[도1의 (g), (h)]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면 안기 상태, 전방향 안기 상태 및 업기 상태에서는 각각 머리 지지부(64)(도25 참조)의 반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스타일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4가지 중 어떠한 사용 방법을 하는 경우라도 사용자(201)는 베이비 밴드 본체(2)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가로로 안은 상태에서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3)가 베이비 밴드 본체(2)와 조합하여 사용되고, 그 이외의 상태에서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4)가 베이비 밴드 본체(2)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이하, 이들 부품의 구성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베이비 밴드 본체에 대해]
우선 베이비 밴드 본체(2)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베이비 밴드 본체(2)를 표면(2a)측에서, 도3은 이면(2b)측에서 각각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베이비 밴드 본체(2)는 사용자(201)의 가슴측 및 등측 중 어느 측에도 장착 가능하지만, 어떠한 방향에 있어서도 도3에 도시한 이면(2b)이 사용자(201)와 대향한다. 즉, 이면(2b)이 사용자(201)의 가슴 또는 배에 닿게 된다. 또한, 도2 및 도3의 상하 방향은 사용자(201)로의 장착 시의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비 밴드 본체(2)는 사용자(201)의 가슴 또는 배에 닿게 되는 베이스부(10)와, 그 베이스부(1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어깨띠(11, 11)와, 베이스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201)의 허리 주위에 장착되는 허리 맞댐부(12)와, 그 허리 맞댐부(1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허리 벨트(13, 1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0)의 내부에는 도4에 도시하는 등판(14)이 설치되어 있다. 등판(14)은 어깨띠(11) 등의 심재에 사용되는 우레탄 등에 비해 충분히 딱딱한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경질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다. 등판(14)의 강성은 베이비 밴드 본체(2)를 사용자(201)에게 장착하였을 때의 베이스부(10)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여 그 베이스부(10)의 형상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등판(14)은 도4의 우측부를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일치 시킨 상태에서 베이스부(10) 내에 매립된다. 등판(14)은 어깨띠(11)의 부착 위치에 대응하는 일단부측에 분기부(15)를 갖고, 타단부측에 힌지축(1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절곡부(17)를 갖고 있다. 분기부(15)에는 베이스부(10)의 통풍성을 개선하기 위해 빠짐 창(18)이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10) 내에 삽입된 등판(14)은 표면 옷감으로 덮인다. 표면 옷감은 각종 천, 입체 메쉬 옷감 등의 각종 소재가 사용된다. 등판(14)과 표면 옷감 사이에는 쿠션재가 적절하게 마련되어도 좋다.
도5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맞댐부(12)의 폭방향(도3의 좌우 방향) 중앙에는 허리 맞댐부 본체(20)의 배면측으로부터 커버(21)가 꿰매져 포켓(19)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21)에도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경질 재료제의 등판이 심재로서 내장되어 있다. 포켓(19)에는 베이스부(10)의 하단부(10a)가 삽입되고, 그 하단부는 허리 맞댐부 본체(20) 및 커버(21)와 꿰매져 있다. 등판(14)은 베이스부(10)의 하단부(10a)의 봉합부(10b)까지 배치되고, 그 봉합부(10b)보다도 하방에는 등판(14)이 생략된 절첩부(10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첩부(10c)를 절첩하거나, 혹은 연신함으로써 베이스부(10)에 대한 허리 맞댐부(12)의 위치를 도3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0)의 하단부(10a)에는 절첩부(10c)를 접은 위치 및 연신한 위치의 각각에서 허리 맞댐부(12)의 스냅(22a)(도3 참조)과 맞물려 베이스부(10)와 허리 맞댐부(1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스냅(22b…22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등판(14)의 절곡부(17)의 구부러짐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절첩부(10c)를 접은 상 태에서도 힌지축(16)은 포켓(19)보다도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베이비 밴드 본체(2)는 베이스부(10)와 허리 맞댐부(12)의 위치 관계에 상관없이 힌지축(16)의 위치를 경계로 하여 절첩 가능하다.
도2로 복귀되어 베이스부(10)의 표면(2a)측의 상부에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3)나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고정구(25, 25)가 설치되어 있다.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25)는 지지축부(25a)와, 그 지지축부(25a)와 간격을 두고 늘어선 걸림부(25b)와, 지지축부(25a)와 걸림부(25b)의 각각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락부(25c, 25c)를 구비한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5b)가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고정구(25)의 전체가 대략 D자형을 도시함으로써 고정구(25)는「D관」이라 불리는 일이 있다.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25)는 지지축부(25a)에 권취된 연결 띠(26)를 거쳐서 고정부(202)[베이스부(10)는 그 일예]에 고정되지만, 좌우 연락부(25c)[도6의 (b)에서는 한쪽만 도시함]가 고정부(202)를 향해 구부러져 있다. 이와 같은 구부러짐을 연락부(25c)에 부여함으로써 고정구(25)의 걸림부(25b)와, 고정구(25)의 지지점(X)을 연결하는 하중의 작용선(LA)에 대해 고정구(25)가 고정부(202)측으로 후퇴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연락부(25c)가 직선형이면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25)의 전체가 작용선(LA) 상에 위치한다. 즉, 고정부(202)에 대한 하중의 작용선(LA)의 경사각(θ)이 동일하면 연락부(25c)를 구부린 구조의 쪽이 고정구(25)의 고정부(202)로부터의 부상이 상대적으로 작게 억제된다. 베이스부(10)의 고정구(25)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3)나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현수하기 위해 사용되고, 베이스부(10)의 전방에는 유아(200)가 수용되기 때문에, 고정구(25)를 도6의 (b)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고정구(25)의 베이스부(10)로부터의 부상을 억제하고, 그것에 의해 고정구(25)와 유아(200)의 접촉을 억제하여 유아(200)의 거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암형 버클(26b, 26b)이 설치되어 있다(도29 및 도30도 참조). 각 암형 버클(26b)은 각각의 삽입 방향 선단부를 아래로 향하고 베이스부(10)의 표면 옷감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각 고정구(25) 및 각 암형 버클(26b)은 각각 플랩(27, 28)으로 대강 덮여 있다. 암형 버클(26b)에 대한 플랩(28)의 이면측[암형 버클(26b)과 대향하는 측]에는 스냅(29a)이 부착되어 있다. 플랩(28)보다도 하방에는 베이스부(10)를 횡단하도록 하여 흔들림 멈춤 밴드(30)가 설치되어 있다. 암형 버클(26b)을 플랩(28)으로 덮고 있는 것은 미사용 시(예를 들어 가로로 안기 상태일 때)에 암형 버클(26b) 및 이것과 맞물리는 수형 버클(26a)(도25 참조)이 유아(200)와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각 어깨띠(11)의 뿌리[베이스부(10)와 연결되는 부분] 부근에는 보조 고정구(31, 31)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고정구(31)는 고정구(25)와 같은 링형이지만, 그 크기는 고정구(25)보다도 작다. 또한 각 어깨띠(11)의 선단부측에는 어깨띠(11)를 허리 맞댐부(12)에 고정하기 위한 수형 버클(32a)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허리 맞댐부(12)에는 어깨띠(11)의 수형 버클(32a)과 맞물리는 암형 버클(32b)이 부착되어 있다. 각 수형 버클(32a)은 좌우 어떠한 암형 버클(32b)과도 맞물릴 수 있다. 즉, 베이비 밴드 본체(2)는 좌측의 어깨띠(11)를 허리 맞댐부(12)의 우측의 암형 버클(32b)과 연결하고, 우측의 어깨띠(11)를 허리 맞댐부(12)의 좌측의 암형 버클(32b)과 연결하여 어깨띠(11)를 교차시키는 X자 걸기 상태와, 좌측의 어깨띠(11)를 허리 맞댐부(12)의 좌측의 암형 버클(32b)과 연결하고, 우측의 어깨띠(11)를 허리 맞댐부(12)의 우측의 암형 버클(32b)과 연결하여 어깨띠(11)를 교차시키지 않는 가방 걸기 상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사용자(201)에게 장착할 수 있다.
수형 버클(32a)의 부착 위치는 어깨띠(11)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조정 가능하다. 또한, X자 걸기 시와 가방 걸기 시에서는 필요한 어깨띠(11)의 길이가 변화되지만, 그 조정은 수형 버클(32a)의 부착 위치를 어깨띠(11) 상에서 변화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201)의 체격에 따라서도 수형 버클(32a)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어깨띠(11)의 길이는 X자 걸기 상태라도 충분한 나머지 길이부[수형 버클(32a)로부터 인출된 어깨띠(11)의 나머지 부분을 의미함](11a)가 남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가방 걸기 시에는 수형 버클(32a)로부터 인출되는 어깨띠(11)의 나머지 길이부(11a)의 길이가 상당히 증가되는 것이 예상된다. 또한, 사용자(201)의 체격이 작은 경우에는 어깨띠(11)의 걸기 방법에 관계없이 나머지 길이부(11a)가 연장된다. 따라서, 어깨띠(11)에는 나머지 길이부(11a)를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하여 유지하기 위한 밴드(1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허리 맞댐부(12)에 설치된 암형 버클(32b)에는 통상의 암형 버클과 다른 특징이 있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버클(32b)의 후단부 및 전단부에는 벨트 통과부(32c, 32d)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형 버클(32a)을 수용하는 개구(32e)가 마련되어 있는 측을 암형 버클(32b)의 전단부라 부르고 있다. 암형 버클(32b)의 후단부측의 벨트 통과부(32c)에 통과된 버클 고정 벨트(33)는 암형 버클(32b)의 이면측을 통과하여 전단부측의 벨트 통과부(32d)로부터 암형 버클(32b)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 버클 고정 벨트(33)의 양단부(33a, 33b)가 허리 맞댐부(12)에 꿰매짐으로써 암형 버클(32b)은 수형 버클(32a)이 빼고 꽂아지는 방향에 관한 전후에 있어서 고정부로서의 허리 맞댐부(12)에 고정된다.
통상의 암형 버클에서는 그 후단부측에만 벨트 통과부가 마련되어 있고, 전단부측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 도8 및 도9의 암형 버클(32b)에 있어서는 그 전후 단부가 허리 맞댐부(12)에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띠(11)의 수형 버클(32a)을 암형 버클(32b)에 맞물리게 하여 어깨띠(11)에 화살표 B 방향의 장력을 가한 경우, 암형 버클(32b)을 거쳐서 허리 맞댐부(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암형 버클(32b)의 전후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허리 맞댐부(12)의 일부로의 부하의 집중을 방지하고, 어깨띠(11)의 장력으로 허리 맞댐부(12)를 사용자(201)측에 구석구석까지 인입하여 허리 맞댐부(12)를 사용자(201)의 허리 주위에 충분히 친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암형 버클(32b)의 전후를 허리 맞댐부(12)에 고정함으로써 버클 고정 벨트(33)에 의한 암형 버클(32b)의 부착 방향을 적절한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수형 버클(32a)을 장착할 때에는 암형 버클(32b)이 후단부측의 벨트 통과부(32c)를 중심으로 하여 피하도록 회전될 우려가 없고, 수형 버클(32a)의 부착이 용이해지는 이점도 있다.
다시 도2로 복귀되어 허리 맞댐부(12)로부터 연장된 한쪽 허리 벨트(13)에는 수형 버클(34a)이, 다른 쪽 허리 벨트(13)에는 암형 버클(34b)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수형 버클(34a)의 부착 위치는 허리 벨트(13)의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허리 맞댐부(12)를 사용자(201)의 허리 주위에 댄 상태에서 이들 허리 벨트(13)를 허리 주위에 권취하고 수형 버클(34a)을 암형 버클(34b)에 끼워 맞춤으로써 허리 맞댐부(12)를 사용자(201)의 허리부에 부착할 수 있다.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대해]
다음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3)에 대해 설명한다. 가로로 안기용 시트(3)는 도11에 도시하는 시트 본체(40)와, 도14에 도시하는 현수 보드(41)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본체(40)는 유아(200)를 눕힌 상태로 두기 위한 매트(42)와, 그 매트(42)의 머리부 지지부(42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머리 커버(43)와, 매트(42)의 둔부 지지부(42b)를 덮도록 설치된 복부 패드(44)와, 둔부 지지부(42b)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복부 패드(44)와 조합되는 복부 벨트(45)와, 매트(42)의 다리 지지부(42c)로부터 연장된 둔부 벨트(46)를 구비하고 있다.
매트(42)의 내부에는 도12에 도시하는 등판(47)이 배치되어 있다. 등판(47)은 매트(42)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심재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베이비 밴드 본체(2)의 베이스부(10)에 설치된 등판(14)과 마찬가지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경질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다. 등판(14)의 강성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3)를 현수하여 지지하였을 때의 매트(42)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여 그 매트(42)의 형상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등판(47)에는 그 강성을 높이기 위해 리브 등의 보강부가 적절하게 설치되어도 좋다.
도1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수 보드(41)는 머리부 지지부(42a)에 있어서 매트(42)의 내부를 그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장착되지만, 등판(47)과의 상하 관계에 관해서는 현수 보드(41)가 등판(47)보다도 아래에 배치된다(도19 참조). 따라서, 현수 보드(41)와 중첩되는 부분에는 매트(4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47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판(47)에는 매트(42)의 통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통기 구멍(47b…47b)이 마련되어 있다. 등판(47)은 표면 옷감으로 덮인다. 표면 옷감은 각종 천, 입체 메쉬 옷감 등의 각종 소재가 사용된다. 등판(47)과 표출 옷감 사이에는 쿠션재가 적절하게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머리 커버(43)의 내부에는 도13에 도시하는 심재(48)가 설치되어 있다. 심재(48)는 등판(47)과 비해 충분히 부드러운 재료, 예를 들어 발포 폴리에틸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다. 머리 커버(43)의 통풍성을 개선하기 위해, 심재(48)에도 복수(도면에서는 3개)의 통기 구멍(48a…48a)이 형성되어 있다. 심재(48)를 덮는 머리 커버(43)의 표면 옷감에는 통풍성을 고려하여 입체 메쉬 옷감이 사용된다.
도11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등판(47)은 머리 커버(43)의 부착 위치로부터 둔부 지지부(42b)와 다리 지지부(42c)의 경계 부근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다리 지지부(42c)의 내부에는 등판(47)과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시트판(49)이 설치되어 있다. 시트판(49)도 등판(47)과 마찬가지로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표면 옷감으로 덮인다. 매트(42)는 이들 등판(47)과 시트판(49) 사이, 환언하면 둔부 지지부(42b)와 다리 지지부(42c) 사이에서 굴곡 가능하다. 유아(200)의 다리부를 매트(42)의 폭방향(도11의 상하 방향)에 관하여 충분한 범위로 지지할 수 있도록 시트판(49)은 둔부 지지부(42b)에 있어서의 등판(47)보다도 매트(42)의 폭방향 좌우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시트판(49)은 유아(200)의 발끝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부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부 패드(44)는 가랑이 압박부(44a)와 그 가랑이 압박부(44a)의 상단부로부터 매트(42)의 폭방향으로 확장되는 복부 압박부(44b)를 구비하고 있다. 가랑이 압박부(44a)의 하단부(도11의 좌측 단부)가 매트(42)에 꿰매짐으로써 복부 패드(44)는 가랑이 압박부(44a)를 팔로 개폐 가능한 상태에서 매트(42)에 부착되어 있다. 가랑이 압박부(44a)의 상단부에는 매트(42)의 폭방향 양측으로 개방되는 자루부(44c)가 설치되어 있다. 한쪽 복부 벨트(45)는 그 자루부(44c)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통과하여 타단부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그 한쪽 복부 벨트(45)에 설치된 수형 버클(50a)이 다른 쪽 복부 벨트(45)에 설치된 암형 버클(50b)에 맞물려짐으로써 복부 벨트(45)가 서로 연결된다. 복부 벨트(45)에 대한 암형 버클(50b)의 부착 위치는 복부 벨트(45)의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둔부 벨트(46)는 복부 패드(44)의 가랑이 압박부(44a)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그 단부가 가랑이 압박부(44a)와 동시에 매트(42)에 꿰매져 있다. 둔부 벨트(46)는 매트(42)의 폭방향에 관한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복부 벨트(45)가 통과되는 자루부(44c)의 표면에는 링형의 벨트 통과구(51)가 부착되어 있다. 둔부 벨트(46)는 그 벨트 통과구(51)를 통과하여 머리 커버(43)측으로 인출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후크(52)가 부착되어 있다. 후크(52)는 둔부 지지부(42b)측을 베이비 밴 드 본체(2)에 장착할 때에 사용되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14는 현수 보드(41)의 사시도, 도15는 평면도, 도16은 바닥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보드(41)는 띠형의 매트 수용부(41a)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아암부(41b, 41b)를 구비하고 있다. 한쪽 아암부(41b)의 상단부에는 고정구(55)가 부착되고, 다른 쪽 아암부(41b)의 상단부에는 현수 벨트(5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현수 보드(41)의 내부에는 도16에 도시하는 심재(57)가 설치되어 있다. 심재(57)는 등판(14) 등과 마찬가지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의 경질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현수 보드(41)의 외관과 대략 유사형이다. 심재(57)는 천, 입체 메쉬 옷감 등의 각종 소재로 이루어지는 표면 옷감으로 덮인다.
도14 및 도15로 복귀되어 현수 벨트(56)의 선단부에는 후크(58)가 부착되고, 현수 벨트(56)의 도중에는 그 후크(58)와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고정구(59)가 부착되어 있다. 후크(58)의 위치 조정에 의해 생기는 현수 벨트(56)의 나머지 길이부(56a)는 후크(58)로부터 되접혀 본래의 현수 벨트(56)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고정구(55)는 후크(58)가 통과 가능한 크기이다. 이 고정구(55)는 도2의 베이비 밴드 본체(2)에 장착된 고정구(25)와 마찬가지로 측방에서 보아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그 굽기 방향은 현수 보드(41)의 매트 수용부(41a)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외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설정되어 있다(도19 참조).
현수 보드(41)는 시트 본체(40)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현수 보드(41)를 시트 본체(40)로부터 분리하면 그 파손 시에는 단독으로 교환할 수 있고, 오염되었을 때에는 이를 단독으로 세탁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시에도 시트 본체(40)의 부피가 커지지 않는 이점이 생긴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보드(41)의 바닥면측에는 한 쌍의 스냅(60)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냅(60)은 현수 보드(41)를 매트(42)에 장착하였을 때에 매트(42)측의 스냅(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려 현수 보드(41)와 매트(4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매트(42)의 측방에는 현수 보드(41)를 빼고 꽂기 위한 개구부(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지만, 매트(42)의 폭방향에 관한 현수 보드(41)의 방향은 좌우 반전 가능하다. 즉, 현수 보드(41)는 그 고정구(55)가 도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 도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 중 어느 방향이라도 매트(42)에 부착 가능하다.
다음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3)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18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3)를 베이비 밴드 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19는 시트 본체(40)에 장착된 현수 보드(41)를 고정구(25)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현수 보드(41)는 베이비 밴드 본체(2)에 가까운 측에 현수 벨트(56)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시트 본체(40)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18의 좌측에 머리부 지지부(42a)가 향하게 되는 경우에는, 현수 보드(41)는 그 길이 방향에 관하여 반대 방향으로 시트 본체(40)에 장착된다.
도18 및 도19에 화살표 a, b,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수 보드(41)를 고정구(25)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현수 벨트(56)의 후크(58)를 내측으로부터 고정구(25)에 통과시키고, 계속해서 후크(58)를 현수 보드(41)의 고정구(59)에 하방으로부터 통과시키고, 고정구(59)의 상방으로 인출된 후크(58)를 현수 벨트(56) 자신의 고정구(59)에 맞물리게 한다. 이에 의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보드(41)의 매트 수용부(41a) 및 아암부(41b, 41b)와 현수 벨트(56)가 루프형으로 걸리고, 현수 보드(41)가 고정구(25)에 현수되고, 그 현수 보드(41)의 매트 수용부(41a)에 의해 등판(47)이 지지된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42)의 머리부 지지부(42a)는 경질 수지제의 등판(47)과, 경질 수지제의 심재(57)를 내장한 현수 보드(41)로 둘러싸이기 때문에 현수 하중에 의한 변형이 제한되고, 유아의 머리부(200a)의 주위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그 거주성이 높아진다. 고정구(55)가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머리부(200a)측으로의 고정구(55)나 현수 벨트(56)의 돌출이 억제되어 거주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도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벨트(56)의 후크(58)를 고정구(59)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 있어서, 후크(58)로부터 인출된 현수 벨트(56)의 나머지 길이부(56a)는 고정구(55)측으로 되접힌다. 따라서, 가령 후크(58)가 고정구(59)로부터 제거되었다고 해도, 도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머지 길이부(56a)가 고정구(55)에 걸려 후크(58)는 고정구(55)를 빠져나갈 수 없다. 이에 의해, 후크(58)가 제거된 경우라도 현수 벨트(56)가 고정구(55)로부터 제거되어 현수 보드(41)의 한쪽이 개방될 우려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도14, 도19 및 도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벨트(56)의 도중에는 현수 벨트(56)를 되접어 봉합함으로써 한 쌍의 스토퍼부(56b, 56b)가 형성되어 있다. 현수 벨트(56)를 베이비 밴드 본체(2)의 고정구(25)에 통과시킬 때에 도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25)의 전후에 스토퍼부(56b, 56b)를 배치함으 로써 고정구(25)에 대한 현수 벨트(56)의 미끄러짐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구(25)를 기준으로 한 현수 보드(41)의 각 아암부(41b, 41b)의 상대 위치의 변화를 제한하여 고정구(25)로부터의 시트 본체(40)의 현수 자세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18로 복귀되어 가로로 안기용 시트(3)의 둔부 지지부(42b)측은 벨트 통과구(51)를 통과한 둔부 벨트(46)의 선단부의 후크(52)를 베이비 밴드 본체(2)의 반대측의 고정구(25)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고정구(25)에 현수되어 지지된다. 이 현수 상태에서는 복부 패드(44)의 가랑이 압박부(44a)가 굴곡되고 매트(42)의 다리 지지부(42c)가 둔부 지지부(42b)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로 인해,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200)의 다리부(200c)가 둔부(200b)보다도 들어 올려진다. 또한, 현수 벨트(56)에 의한 머리부 지지부(42a)의 지지 위치가 둔부 벨트(46)로 지지되는 둔부 지지부(42b)보다도 상방으로 치우치도록 각 벨트(56, 46)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로로 안기용 시트(3)에 눕힌 유아(200)의 자세는, 도22에 가상선(LB)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부(200a)로부터 둔부(200b)를 향해 서서히 내려가고, 둔부(200b)보다도 다리부(200c)가 들어 올려진 상태가 되어 자연스러운 안기 자세를 얻을 수 있다. 가로로 안기용 시트(3)를 베이비 밴드 본체(2)로부터 제거하여 바닥 등의 수평면 상에 둔 경우에는 둔부 벨트(46)에 의한 다리 지지부(42c)의 들어 올려짐이 없어져 머리부 지지부(42a)로부터 다리 지지부(42c)까지가 수평으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다리부(200c)만이 들어 올려진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유아(200)를 눕히는 일도 없다.
상술한 가로로 안기 상태에 있어서, 머리부 지지부(42a)가 현수 벨트(56)에 의해 그 폭방향 양측에서 분산되어 지지된다. 또한, 둔부 지지부(42b) 및 다리 지지부(42c)는 둔부 벨트(46)에 의해 다리 지지부(42c)의 폭방향 중앙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복부 벨트(45)에 의해 둔부 지지부(42b)의 폭방향 양측에서 지지된다. 이로 인해, 매트(42)가 그 중심선(LC)의 주위로 비틀어질 우려가 없고, 매트(42)에 눕힌 유아(200)를 중심선(LC)을 따라서 똑바르게 지지할 수 있다. 유아(200)의 체중에 의해 등판(47)이 중심선(LC)을 바닥으로 하여 적절하게 만곡하기 때문에, 유아(200)가 매트(42)의 중심선(LC) 상으로 밀려 그 가로로 안기 자세를 더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부(200c)에 관해서는 폭이 넓은 시트판(49)이 배치됨으로써,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00c)의 주위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다리부(200c)의 압박을 방지할 수 있다.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 대해]
다음에, 세로로 안기용 시트(4)에 대해 설명한다. 도25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표면(4a)측에서, 도26은 이면(4b)측에서 각각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27은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표면(4a)측의 다른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25 및 도26의 상하 방향은 사용 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일치시키고 있다. 세로로 안기용 시트(4)는 내면(4b)을 베이비 밴드 본체(2)의 표면(2a)과 대향시킨 상태에서 베이비 밴드 본체(2)에 부착함으로써 유아(200)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안기용 시트(4)는 시트 본체(62)와, 그 시트 본체(62)의 하부에 연속해 서 마련된 바닥 지지부(63)와, 시트 본체(62)의 상부에 연속해서 설치된 머리 지지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본체(62)는 베이비 밴드 본체(2)를 향해 유아(200)를 가까이 당겨 유지하는 부분이고, 그 양측으로부터는 겨드랑이 하부 벨트(65, 65)가 연장되어 있다. 겨드랑이 하부 벨트(65)에는 수형 버클(66a)이 설치되고, 시트 본체(62)의 표면(4a)측에는 각각의 수형 버클(66a)과 맞물림 가능한 암형 버클(66b)이 부착되어 있다. 좌우의 수형 버클(66a)을 암형 버클(66b)과 각각 맞물리게 함으로써,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62)의 좌우에 있어서 겨드랑이 하부 벨트(65)에 의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수형 버클(66a)은 겨드랑이 하부 벨트(65)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수형 버클(66a)로부터 인출된 겨드랑이 하부 벨트(65)의 나머지 길이부(65a)는 현수 벨트(56)의 나머지 길이부(65a) 등과 마찬가지로 수형 버클(66a)로부터 겨드랑이 하부 벨트(65)의 뿌리[시트 본체(62)와의 연결부]측으로 되접힌다. 또한, 시트 본체(62)의 일측부로부터는 유아(200)의 몸통 주위에 장착되는 본체부 벨트(67)가 연장되어 있다. 본체부 벨트(67)의 선단부에도 수형 버클(68a)이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수형 버클(68a)은 시트 본체(62)의 반대측에 설치된 암형 버클(68b)과 맞물림 가능하다.
시트 본체(62)와 머리 지지부(64) 사이에는 유아(200)의 팔을 통과시키기 위한 팔 빠짐부(6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본체(62)의 폭은 바닥 지지부(63)에 근접할수록 서서히 좁아지고 있다. 세로로 안기용 시트(4)는 베이비 밴드 본체(2)의 등판(14)이나 가로로 안기용 시트(3)의 등판(47) 및 시트판(49)과 같은 강성 이 높은 심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그 내부에는 발포 우레탄과 같은 연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가 필요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을 뿐이다.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통풍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26에 해칭을 붙여 나타낸 영역(70a)은 입체 메쉬 옷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칭 영역(70a)보다도 외측의 영역(70b)은 상기한 심재를 적당한 표면 옷감으로 덮은 구성이다. 표면 옷감은 표면(4a)과 이면(4b)이 달라도 좋고, 동일해도 좋다. 또한, 영역(70a)에도 적절하게 심재나 쿠션재 등의 내장재가 마련되어도 좋지만, 그 경우에는 도27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한 통기 구멍(72…72)을 내장재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본체(62)의 하부로부터 바닥 지지부(63)에 걸친 영역(70a)에는 심재나 쿠션재 등의 내장재가 마련되지 않고, 세로로 안기용 시트는 도시한 상태로부터 폭방향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 본체(62)의 표면측에는 입체 메쉬 옷감으로 덮도록 하고 한 쌍의 스냅(73a, 73b)이 폭방향에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냅(73a, 73b)을 끼워 맞춤으로써 시트 본체(62)의 하부의 폭을 좁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아를 전방향으로 안는 경우에, 이와 같이 폭을 좁힘으로써 유아의 가랑이 부분을 충분히 해방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닥 지지부(63)는 베이비 밴드 본체(2)와 조합됨으로써 유아 유지용 자루형 부분의 바닥부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25 및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지지부(63)에는 좌우 한 쌍의 조정 벨트(75, 75)가 설치되어 있다. 각 조정 벨트(75)의 선단부에는 수형 버클(26a)이 부착되어 있다. 각 수형 버클(26a)은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암형 버클(26b)과 맞물림 가능하다. 조정 벨트(75)에 대한 수형 버클(26a)의 부착 위치는 조정 벨트(75)의 길이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또한, 바닥 지지부(63)에는 수형 버클(26a)을 숨기기 위한 플랩(76)이 설치되고, 그 플랩(76)에는 스냅(29b)이 설치되어 있다. 스냅(29b)은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스냅(29a)(도2 참조)과 맞물림 가능하다. 또한, 플랩(76)에는 조정 벨트(75)를 통과시키기 위한 루프 벨트(78)가 설치되어 있다. 수형 버클(26a)은 이들 루프 벨트(78)를 빠져나가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하단부측으로 인출 가능하다.
머리 지지부(64)는 유아(200)의 머리부(200a)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 지지부(64)의 양측으로부터는 지지 벨트(80)가 연장되어 있고, 이들 지지 벨트(80)의 선단부측에는 후크(81)가 부착되어 있다. 후크(81)는 베이비 밴드 본체(2)의 보조 고정구(31)와 맞물림 가능하다. 후크(81)는 지지 벨트(80)의 이면(4b)측에 부착되어 있다. 즉, 후크(81)는 지지 벨트(80)에 대해 표리 반대로 부착되어 있고, 보조 고정구(31)에 후크(81)를 걸어 둘 때에는 지지 벨트(80)를 비틀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후술한다. 또한, 도26 및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벨트(80)에는 후크(81)를 덮도록 헤드 후크 커버(82)가 부착된다. 도25에서는 헤드 후크 커버(82)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헤드 후크 커버(82)를 설치한 것은 후크(81)가 유아(200)의 얼굴 등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세탁 등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헤드 후크 커버(82)는 지지 벨트(80)로부터 발취 가능하다.
또한, 머리 지지부(64)에는 상하 방향에 간격이 마련된 3개의 봉제선(83)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이들 봉제선(83)마다 심재 등이 나누어짐으로써 머리 지지부(64)는 어떠한 봉제선(83)을 경계로 하여 외측[표면(4a)의 측]으로 절곡 가능하다.
다음에,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28은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베이비 밴드 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베이비 밴드 본체(2)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이격한 상태에서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지지부(63)의 각 수형 버클(26a)을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암형 버클(26b)에 장착하고, 스냅(29a, 29b)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베이비 밴드 본체(2)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바닥 지지부(63)를 연결한다. 연결 후에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상방으로 되접어 바닥 지지부(63)에 의해 유아(200)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루프를 형성한다. 또한, 겨드랑이 하부 벨트(65)에 대해서는 화살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버클(66a)을 고정구(25)에 이면측으로부터 통과시키고, 고정구(25)의 표측으로 겨드랑이 하부 벨트(65)를 인출한다. 그리고,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형 버클(66a)을 세로로 안기용 시트(4)에 고정된 암형 버클(66b)에 장착하여 겨드랑이 하부 벨트(65)에 의한 루프를 형성한다. 또한, 머리 지지부(64)로부터 연장된 지지 벨트(80)의 후크(81)를 화살표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고정구(31)에 대해 외측으로부터 걸어 둔다. 이상과 같은 순서를 근거로 하여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베이비 밴드 본체(2)에 고정하여 이들 사이에 유아(200)를 수용하는 포켓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형 버클(66a)로부터는 겨드랑이 하부 벨트(65)의 나머지 길이부(65a)가 되접혀 있으므로, 가령 수형 버클 (66a)이 암형 버클(66b)로부터 제거되는 일이 있어도 나머지 길이부(65a)가 고정구(25)에 걸려 수형 버클(66a)은 고정구(25)를 빠져나갈 수 없다. 이에 의해, 안전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점은 현수 벨트(56)와 고정구(25)의 관계와 동일하다.
도28의 상태에서는 바닥 지지부(63)에 의해 형성된 루프의 바닥부에 유아의 둔부가 적재되고, 유아의 다리부는 바닥 지지부(63)의 측방에 생기는 가랑이 빠짐용 개구(85)로부터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유아의 팔은 팔 빠짐부(69)의 부분에 생긴 개구로부터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외부로 돌출되어 그 유아의 겨드랑이 아래를 겨드랑이 하부 벨트(65)가 통과하게 된다.
이상의 부착 방법은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사용하는 대면 안기 상태, 전방향 안기 상태 및 업기 상태에 공통되는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본 실시 형태의 베이비 밴드(1)에서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각 부의 조정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이들에 대해 설명한다.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깊이 조정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베이비 밴드(1)에 있어서는 조정 벨트(75)에 대한 수형 버클(26a)의 부착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바닥 지지부(63)의 깊이, 환언하면 바닥 지지부(63)에 의한 유아의 둔부의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조정 벨트(75)를 짧게 하면 바닥 지지부(63)의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정 벨트(75)를 길게 하면 바닥 지지부(63)의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29는 조정 벨트(75)를 짧게 한 경우의 바닥 지지부(63)와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연결 순서를 나타내고, 도30은 조정 벨트(75)를 길게 한 경우의 바닥 지 지부(63)와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연결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바닥 지지부(63)를 얕게 하기 위해서는, 도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 벨트(75)를 루프 벨트(78)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수형 버클(26a)의 부착 위치를 조정 벨트(75)의 뿌리[바닥 지지부(63)에 대한 꿰맨 위치]측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조정 벨트(75)를 짧게 하여 바닥 지지부(63)를 부분적으로 절첩한다. 이 상태에서 도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버클(26a)을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암형 버클(26b)에 삽입하여 스냅(29a, 29b)을 맞물리게 한다.
한편, 바닥 지지부(63)를 깊게 하기 위해서는, 도3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 벨트(75)를 루프 벨트(78)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수형 버클(26a)의 부착 위치를 조정 벨트(75)의 선단부측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조정 벨트(75)를 길게 하고, 바닥 지지부(63)를 똑바르게 연장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버클(26a)을 포함하는 바닥 지지부(63)의 하단부 부분을 베이비 밴드 본체(2)의 흔들림 멈춤 밴드(30)(도2 참조)로 빠지게 하고, 그 후, 도3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버클(26a)을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암형 버클(26b)에 삽입하여 스냅(29a, 29b)을 맞물리게 한다. 이와 같이 바닥 지지부(63)의 깊이를 조정하면,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이용한 안기 상태 또는 업기 상태에 있어서, 유아의 체격에 따른 최적의 깊이로 바닥 지지부(63)를 루프형으로 라운딩할 수 있다. 또한, 특히 깊이를 증가시킨 경우에 있어서, 바닥 지지부(63)를 흔들림 멈춤 밴드(30)에 통과시킴으로써, 바닥 지지부(63)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바닥 지지부(63)의 깊이를 증가시킨 경우에는 바닥 지지부(63)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의 바닥이 버클(26a, 26b)의 연결 위치보다도 하방으로 멀리 이격되므로, 버클(26a, 26b)의 연결 위치에서 바닥 지지부(63)를 구속해도 바닥 지지부(63)에 지지되는 유아의 둔부의 전후 좌우의 흔들림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암형 버클(26b)보다도 하방에서 흔들림 멈춤 밴드(30)를 이용하여 바닥 지지부(63)를 전후 좌우로 구속하면, 바닥 지지부(63)에 지지된 유아의 둔부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결 구조에 따르면, 바닥 지지부(63)를 2세트의 버클(26a, 26b)에 의해 베이비 밴드 본체(2)와 연결하므로, 가령 1세트의 버클(26a, 26b)이 제거되었다고 해도 바닥 지지부(63)가 베이비 밴드 본체(2)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어 안전성이 높다. 또한, 바닥 지지부(63)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보다 높은 위치에 버클(26a, 26b)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바닥 지지부(63)의 루프형 부분에 쿠션재 등을 넣어 착좌 시의 감촉을 개선할 수도 있다.
또한, 바닥 지지부(63)에 의한 지지 위치의 조정은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도31의 (a) 내지 (d)는 그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베이비 밴드 본체(2)에 상하 2단으로 루프 밴드(86)가 부착되고[도31의 (a)],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바닥 지지부(63)에는 수형 버클(26a) 및 암형 버클(26b)이 부착되어 있다[도31의 (b)]. 바닥 지지부(63)를 베이비 밴드 본체(2)에 연결할 때에 있어서, 상하 어느 하나의 루프 밴드(86)를 선택하고, 선택된 루프 밴드(86)에 수형 버클(26a)을 통과시킨 후 암형 버클(26b)과 연결하고[도31의 (c)], 그 후에 바닥 지지부(63)를 루프형으로 되접는다[도31의 (d)]. 이에 의해, 바닥 지지부(63)의 연결 위치를 상하 2단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32의 (a) 내지 (d)는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베이비 밴드 본체(2)에 상하 2단으로 파스너(87a)가 부착되고[도32의 (a)], 세로로 안기용 시트(4)의 바닥 지지부(63)에는 파스너(87a)와 맞물림 가능한 파스너(87b)가 부착되어 있다[도32의 (b)]. 바닥 지지부(63)를 베이비 밴드 본체(2)에 연결할 때에 있어서, 베이비 밴드 본체(2)측의 상하 어느 하나의 파스너(87a)를 선택하고, 선택된 파스너(87a)와, 바닥 지지부(63)의 파스너(87b)를 구비하여 척(87c)을 당겨서 양자를 맞물리게 한다[도32의 (c)]. 그 후에 바닥 지지부(63)를 루프형으로 되접고, 클램프(87c)의 당김 고리(87d)를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이면측에 스냅(88)을 이용하여 고정한다[도32의 (d)].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도 바닥 지지부(63)의 연결 위치를 상하 2단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머리 지지부의 되접힘에 대해]
도1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베이비 밴드(1)에 있어서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4)를 이용할 때에 그 머리 지지부(64)를 3개의 봉제선(83)(도25, 도27 및 도28 참조) 중 어느 하나를 따라서 외측으로 되접음으로써 다른 스타일로 사용할 수 있다. 도33에 되접은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벨트(80)의 후크(81)가 표리 반대로 부착되어 지지 벨트(80)를 이격하도록 반회전시키고 후크(81)를 보조 고정구(31)에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머리 지지부(64)를 되접었을 때에 지지 벨트(80)에 생기는 비틀림 방향과 역방향으로 미리 지지 벨트(80)를 반회전시켜 후크(81)를 고정구(31)에 부착해 두면, 머리 지지부(64)를 되접을 때에 지지 벨트(80)의 비틀림이 해소되고, 후크(81)를 고정구(31)에 장착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머리 지지부(64)를 되접을 수 있다.
또한, 도1의 (d) 및 도1의 (f)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머리 지지부(64)를 최대한으로 되접었을 때, 유아(200)의 팔의 위치에 따라서는 지지 벨트(80)가 방해가 되는 일이 있고, 그 경우에는 유아(200)의 겨드랑이 아래를 통과시키고 지지 벨트(80)를 통과시켜 후크(81)를 고정구(31)에 부착할 수 있다.
[베이비 밴드 본체의 이점에 대해]
다음에,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이점에 대해 더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비 밴드 본체(2)에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등판(14)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베이비 밴드 본체(2)에 작용하는 하중을 어깨띠(11) 및 허리 맞댐부(12)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와 같은 등판(14)을 생략하고, 쿠션재만을 베이비 밴드 본체(2)에 내장한 경우에는 베이비 밴드 본체(2)가 유아의 자중에 의해 크게 변형되어 사용자의 어깨 또는 허리에 하중이 치우쳐서 작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등판(14)의 하부에 절곡부(17)를 마련함으로써, 허리 맞댐부(12)를 베이스부(10)에 대해 구부림 변형 가능으로 하고 있으므로, 유아를 소파 등의 시트면에 앉힌 상태로부터 유아를 업는 경우에 있어서, 그 시트면과 베이비 밴드 본체(2)의 하부가 접촉해도 허리 맞댐부(12)가 적절히 이격됨으로 써 등판(14)의 존재가 방해가 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세로로 안기용 시트(4)에 관해서는 등판(14)과 같은 강체가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로로 안기용 시트(4)에 유지된 유아는 겨드랑이 하부 벨트(65)에 의해 겨드랑이 아래로부터 끌어 올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세로로 안기용 시트(4)가 유아의 체격에 피트되기 쉽고, 사용자와 유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로의 하중 분산을 더 확실한 것으로 하여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어깨띠(11)는 X자 걸기 상태 및 가방 걸기 상태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사용 가능하지만, X자 걸기 상태는 주로 유아를 안을 때에 사용되고, 가방 걸기 상태는 유아를 업을 때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분하여 사용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령 허리 맞댐부(12)의 위치가 불변이면, 업기 상태에서 허리 맞댐부(12)가 사용자의 가슴 부근까지 올라가, 결과적으로 유아가 사용자로부터 이격되어 그 업기 위치가 필요 이상으로 내려가는 일이 있고, 유아의 체중을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없는 일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베이비 밴드 본체(2)는 베이스부(10)에 대해 허리 맞댐부(12)의 위치를 상하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업을 때에는 허리 맞댐부(12)를 내리고, 안을 때에는 허리 맞댐부(12)를 올림으로써 업기 및 안기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유아의 업기 위치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어떠한 위치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의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 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구(25)가 본체측 고정구에, 고정구(55)가 보드측 고정구에, 고정구(59)가 벨트측 고정구에 각각 상당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시트 본체(40)에는 반드시 등판(47)을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현수 보드(41)와 베이비 밴드 본체(2)의 연결은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방법으로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세로로 안기용 시트(4)는 필수는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베이비 밴드 본체(2)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3)와의 조합을 전제로 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현수 보드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심재가 표면 옷감으로 덮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경질 수지제의 심재의 양단부에 현수 벨트나 고정구를 직접 부착해도 좋다. 결국 심재는 강성을 부여하는 심으로서 위치가 부여되어 있으면 좋고, 어떠한 물품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베이비 밴드 본체의 사용자에 대한 고정 위치는 어깨 주위 및 허리 주위로 한정되지 않고, 또한 다른 부위에서 고정되어도 좋다. 등판의 절곡부는 반드시 힌지축과 같은 축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구부림 가능하게 될 필요는 없고, 수지 성형품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함으로써 구부림 축선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있어서 가로로 안기용 시트는 필수는 아니고, 세로로 안기용 시트만을 사용하는 베이비 밴드에도 본 발명 의 제2 태양은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29 및 도30에 도시한 연결 구조가 본 발명의 제3 태양의 베이비 밴드에 대응하고, 그 암형 버클(26b)이 시트 고정부에, 수형 버클(26a)이 연결구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도31 및 도32에 도시한 연결 구조는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대응하고, 도31에 있어서는 루프 밴드(86)가 시트 고정부에, 버클(26a, 26b)이 연결구에 각각 상당하고, 도32에 있어서는 파스너(87a)가 시트 고정부에, 파스너(87b)가 연결구에 각각 상당한다. 이들 태양에 있어서, 시트 고정부 및 연결구는 버클이나 파스너를 이용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유아를 지지 가능한 강도를 갖는 한에 있어서 각종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있어서는, 베이스부와 허리 맞댐부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양자의 상대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부 내에 길이 조정 가능한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베이스부의 어깨띠측과 허리 맞댐부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있어서 가로로 안기용 시트는 필수는 아니고, 세로로 안기용 시트만을 사용하는 베이비 밴드에도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적용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현수 보드(41)[고정구(56) 및 현수 벨트(56)를 포함함]가 머리부측 현수구에 복부 패드(44)[벨트 통과구(51)를 포함함], 복부 벨트(45) 및 둔부 벨트(46)가 둔부측 현수구에 각각 상당한다. 본 발명의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관한 특징은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갖지 않는, 가로로 안기 전용의 베이비 밴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 관한 특징 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갖지 않는, 세로로 안기 전용의 베이비 밴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어깨띠(11)가 띠형 물품에, 허리 맞댐부(12)가 고정부에, 어깨띠(11)에 부착된 수형 버클(32a)이 한쪽 버클에, 허리 맞댐부(12)에 현수된 암형 버클(32b)이 다른 쪽 버클 또는 고정측 버클에 각각 상당한다. 단, 허리 맞댐부에 수형 버클을 부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연결 구조는 베이비 밴드의 어깨띠와 허리 맞댐부의 연결 부분으로 한정되지 않고, 암수의 버클을 이용한 각종 연결 구조에 적용 가능하다.
(제2 형태)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베이비 밴드의 적합한 제2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34 및 도35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관한 베이비 밴드를 도시하고 있다. 베이비 밴드(101)는 사용자(일예로서 부모)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102)와, 그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장착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를 차례로 설명한다. 또한,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 대신에 도47 및 도48에 도시하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할 수도 있지만, 이 점은 후술한다.
[베이비 밴드 본체에 대해]
도36은 베이비 밴드 본체(102)를 배면측에서 전개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37은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사용자로의 장착 시의 모습(단, 사용자는 도시 생략)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비 밴드 본체(102)는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어깨띠(111)와,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장착되는 띠(112)를 구비하고 있다. 띠(112)는 사용자의 허리부의 배면측에 닿게 되는 패드(113)와, 그 패드(113)의 양측과 길이 조정용 러더(114)를 거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벨트(115)를 갖고 있다. 어깨띠(111)의 선단부(하단부에 상당)(111a)는 사이드 벨트(115)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또한, 각 어깨띠(111)와 각 사이드 벨트(115)는 1개의 연속된 띠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띠재가 어깨띠(111)의 선단부(111a)에서 대략 90°로 되접히고 어깨띠(111)와 사이드 벨트(115)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띠(111)의 후단부(111b)는 패드(113)에 봉합되어 있다. 어깨띠(111)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어깨띠(111)는 배면측에 있어서 연락 벨트(1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쪽 어깨띠(111)의 전방면측에도 한 쌍의 수형 버클(117a) 및 암형 버클(117b)에 의해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연락 벨트(117)가 설치되어 있다. 단, 연락 벨트(117)는 본 발명의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필수는 아니다.
어깨띠(111)에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 등의 어태치먼트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구로서, 상부 암형 버클(118b), 링(119) 및 하부 암형 버클(120b)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어깨띠(111)의 도중에는 고정구 고정 벨트(121, 122)가 꿰매지고, 이들 벨트(121, 122)의 선단부에 상부 암형 버클(118b) 및 링(119)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 암형 버클(118b)은 통형의 커버(123)(도37에서는 상상선으로 나타냄)로 덮여 있다. 커버(123)의 상단부는 고정구 고정 벨트(121)와 함께 어깨띠(111)에 일체로 꿰매져 있다. 커버(123)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 부분 으로부터 상부 암형 버클(118b)로 수형 버클(118a)(도39 참조)을 삽입할 수 있다.
도38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어깨띠(111)의 선단부(111a), 즉 어깨띠(111) 및 사이드 벨트(115)의 경계가 되는 되접힘 부분(124)에도 고정구 고정 벨트(125)가 꿰매지고, 그 고정구 고정 벨트(125)의 선단부에 하부 암형 버클(120b)이 부착되어 있다. 하부 암형 버클(120b)의 어깨띠(111) 등으로부터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고정구 고정 벨트(125)는 하부 암형 버클(120b)의 기초부[여기서는 벨트 통과부(120c)]에 인접한 위치에서 어깨띠(111)의 되접힘 부분(124)에 꿰매져 있다. 즉, 고정구 고정 벨트(125)의 선단부측의 스티치 라인(126)은 하부 암형 버클(120b)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구 고정 벨트(125)의 봉제는 어깨띠(111)의 선단부(111a)와 사이드 벨트(115) 사이의 되접힘 부분(124)의 봉합도 겸하도록 어깨띠(111)의 이면측까지 일체적으로 실시된다.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할 때의 고정구의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고정구는 서로 크기 또는 연결에 관한 구조가 다르다. 즉, 상부 암형 버클(118b) 및 하부 암형 버클(120b)과 구별하기 위해 중간의 고정구는 링(119)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암형 버클(118b)과 하부 암형 버클(120b)은 크기가 서로 다르고, 하부 암형 버클(120b)은 상부 암형 버클(118b)보다도 작다. 또한, 상부 암형 버클(118b)과 하부 암형 버클(120b)은 상대 부품으로서의 수형 버클(118a, 120a)과의 연결에 관한 구조도 서로 다르다. 즉, 하부 암형 버클(120b)은 수형 버클(120a)(도46 참조)과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한 쌍의 조작부(120d)를 구비하고 있는 데 반해, 상부 암형 버클 (118b)은 그와 같은 조작부를 갖지 않는다. 상부 암형 버클(118b)과 수형 버클(118a)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는 수형 버클(118a)에 설치되어 있다. 연락 벨트(117)의 암형 버클(117b)도 그와 같은 조작부를 갖지 않는 타입이지만, 상부 암형 버클(118b)보다도 소형인 것이 암형 버클(117b)로서 사용됨으로써 암형 버클(117b)과 상부 암형 버클(118b)을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상부 암형 버클(118b)끼리는 용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것이 좋다. 한 쌍의 링(119)끼리, 한 쌍의 암형 버클(120b)끼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대해]
다음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39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의 평면도, 도40은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의 전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는 시트 본체(131)와, 그 시트 본체(131)에 대해 착탈 가능한 현수 보드(132)(도4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본체(131)는 유아를 눕히기 위한 매트(133)와, 그 매트(133)의 머리부 지지부(133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머리 커버(134)와, 매트(133)의 둔부 지지부(133b)를 덮도록 마련된 복부 패드(135)와, 둔부 지지부(133b)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복부 패드(135)와 조합되는 복부 벨트(136)와, 매트(133)의 다리 지지부(133c)로부터 연장된 둔부 벨트(13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둔부 벨트(137)는 주로 매트(133)에 가해지는 유아의 둔부측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지만, 유아의 가랑이 사이로 통과되므로 가랑이 벨트라 불리는 경우도 있다.
매트(133)의 내부에는 매트(133)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수지제의 심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 심재는 머리부 지지부(133a)로부터 둔부 지지부(133b)에 걸친 범위와, 다리 지지부(133c)와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다리 지지부(133c)는 경계선(138)(도40 참조)의 위치에서 둔부 지지부(133b)에 대해 절곡 가능하다.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보드(132)는 띠형의 매트 수용부(132a)와, 그 매트 수용부(132a)의 양 다리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아암부(132b, 132c)를 구비하고 있다. 도40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매트 수용부(132a)는 매트(133)의 내부를 심재보다도 하측으로 통과되어 심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아암부(132b, 132c)는 각각 매트(133)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도41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아암부(132b)의 선단부에는 현수 벨트(140)의 기초부(140a)가 부착되어 있다. 그 현수 벨트(140)의 도중에는 수형 버클(118a)이 부착되어 있다. 수형 버클(118a)은 상술한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상부 암형 버클(118b)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한 쌍의 갈고리부(118c)에는 연결 해제용 조작부(118d)가 설치되어 있다(도39 참조). 또한, 기초부(140a)로부터 수형 버클(118a)까지의 길이는 조정 가능하다.
반대측의 아암부(132c)의 선단부에는 연결 벨트(141)를 거쳐서 후크(142)가 부착되어 있다. 후크(142)는 상술한 링(119)에 대해 연결 가능하다. 또한, 연결 벨트(141)의 길이는 조정 불가능하다. 또한, 도4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아암부(132b, 132c)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연락 벨트(143a, 143b)가 부착되어 있다. 이 들 연락 벨트(143a, 143b)에는 각각 수형 버클(144a) 및 암형 버클(144b)이 부착되어 있다. 도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보드(132)를 매트(133)에 부착하여 버클(144a, 144b)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는 1개의 흉부 벨트(143)가 매트(133)의 상방에 구성된다. 또한, 아암부(132c)의 선단부로부터 수형 버클(144a)까지의 길이는 조정 가능하다.
도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부 패드(135)는 그 기초부(146a)가 다리 지지부(133c)의 후단부 중앙과 연결되는 가랑이 압박부(146)와, 그 가랑이 압박부(146)에 계속해서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의 폭방향 양측으로 확장되는 복부 압박부(147)를 갖고 있다. 복부 압박부(147)의 선단부에는 흉부 패드(150)가 계속해서 더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부 패드(135) 및 흉부 패드(150)는 가랑이 압박부(146)의 기초부(146a)와 다리 지지부(133c)의 연결 위치를 축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절곡 가능하다. 양 패드(135, 150)는 매트(133) 상에 중첩된 상태로부터 최대 대략 180° 가까이 되접을 수 있다. 또한, 도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흉부 패드(150)는 복부 패드(135)에 대해 절곡 가능하다.
도43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복부 패드(135)의 이면측에는 복부 벨트(136)를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 통과부(152) 및 링(153)이 설치되어 있다. 도39 및 도40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133)의 둔부 지지부(133b)의 양측에는 한 쌍의 연결 벨트(136a, 136b)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연락 벨트(136a, 136b)에는 각각 수형 버클(154a), 암형 버클(154b)이 부착되어 있고, 이들 버클(154a, 154b)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1개의 복부 벨트(136)가 형성된다. 한쪽 연결 벨트(136a)는 복부 패드(135)의 전체 폭보다도 충분히 길게 설치되어 있다.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의 사용 시에는,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버클(154a)을 선두로 하여 연결 벨트(136a)가 벨트 통과부(152)에 통과된 후, 그 수형 버클(154a)이 암형 버클(154b)과 연결됨으로써, 복부 패드(135)의 복부 압박부(147)와 복부 벨트(136)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연결 벨트(136a)와 매트(133)의 연결 위치로부터 수형 버클(154a)까지의 길이는 조정 가능하다.
도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둔부 벨트(137)는 복부 패드(135)의 가랑이 압박부(146)의 표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그 기초부(137a)는 가랑이 압박부(146)와 마찬가지로 매트(133)의 다리 지지부(133c)의 후단부 중앙에 연결되어 있다. 둔부 벨트(137)는 링(153)에 통과되어 있고, 그 링(153)의 끝에 수형 버클(118a)이 더 부착되어 있다. 수형 버클(118a)은 상술한 현수 보드(132)에 설치되는 수형 버클(118a)과 마찬가지로 어깨띠(111)측의 상부 암형 버클(118b)과 연결되는 것이다.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153)은 링 고정 벨트(155)를 거쳐서 복부 패드(135)의 복부 압박부(147)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링 고정 벨트(155)는 벨트 통과부(152)에 덮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벨트 통과부(152)의 일단부측으로부터 벨트 통과부(152) 내로 삽입된 연락 벨트(136a)는 그 링 고정 벨트(155)의 상방을 통과하여 벨트 통과부(152)의 반대측으로 인출된다. 이로 인해, 둔부 벨트(137)를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상부 버클(118b)로부터 매달려 올라갈 때에 복부 벨트(136)도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그 결과, 둔부 벨트(137)에 작용하는 현수 반력이 복부 벨트(136)와 둔부 지지부(133b)의 연결 위치 및 둔부 벨트(137)와 다리 지지 부(133c)의 연결 위치의 3점으로 분산된다. 이에 의해, 매트(133)의 둔부측을, 소위 3점에서 현수하여 지지할 수 있어, 높은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도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흉부 패드(150)는 매트(133)측으로 되접었을 때에 현수 보드(132)의 부착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44 및 도45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흉부 패드(150)의 선단부(150a)의 양측에는 흉부 벨트(143)의 연락 벨트(143a, 143b)를 각각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 통과부(150b, 150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벨트 통과부(150b, 150c)에 연락 벨트(143a, 143b)를 통과시켜 버클(144a, 144b)을 연결함으로써, 흉부 패드(150)의 선단부(150a)를 흉부 벨트(143)로 현수하여 지지하고 흉부 패드(150)의 매트(133)로의 아래로 드리워짐을 방지하여 이들 사이에 적절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133)의 폭방향 한쪽 측모서리(도39에 있어서 상측의 측모서리)에는 고정구 고정 벨트(156)를 거쳐서 한 쌍의 수형 버클(120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수형 버클(120a)은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설치된 하부 암형 버클(120b)에 연결되는 것이다. 고정구 고정 벨트(156)는 매트(133)의 이면측에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꿰매져 있고, 그 선단부에 수형 버클(120a)이 부착되어 있다. 매트(133)에 대한 수형 버클(120a)의 흔들림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고정구 고정 벨트(156)도 수형 버클(120a)의 바로 옆에서 매트(133)에 꿰매져 있다.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사용 방법]
다음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133)에 현수 보드(132)를 부착하는 동시에, 복부 패드(135) 및 흉부 패드(150)를 개방한다. 이 상태에서 매트(133)에 유아를 적재하고, 복부 패드(135)를 매트(133)측으로 복귀시키고 패드(135, 150)로 유아를 덮는다. 다음에, 벨트 통과부(152)에 연락 벨트(136a, 136b)를 통해 버클(154a, 154b)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복부 벨트(136)와 복부 패드(135)를 서로 조합한다. 이때, 수형 버클(154a)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복부 벨트(136)의 길이를 유아의 하복부 주위의 크기에 맞출 수 있다. 또한, 흉부 패드(150)의 벨트 통과부(150b, 150c)에 연락 벨트(143a, 143b)를 통해 버클(144a, 144b)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흉부 벨트(143)와 흉부 패드(150)를 서로 조합한다. 이때, 수형 버클(144a)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흉부 벨트(143)의 길이를 유아의 가슴 주위의 크기에 맞출 수 있다.
매트(133)에 눕힌 유아를 상기한 순서로 복부 패드(135) 및 흉부 패드(150)로 덮은 후,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를 다음과 같이 하여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연결한다. 즉,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보드(132)에 부착된 수형 버클(118a)을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좌측 어깨측(도37에 있어서 우측)의 어깨띠(111)의 상부 암형 버클(118b)과 연결하고, 동일한 측의 링(119)에 후크(142)를 연결한다. 또한, 둔부 벨트(137)에 부착된 수형 버클(118a)을 반대측, 즉 우측용 어깨띠(111)의 상부 암형 버클(118b)에 연결한다. 또한, 도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버클(120a)을 하부 암형 버클(120b)에 각각 연결한다. 이에 의해, 도34 및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를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장 착하여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베이비 밴드(101)에 따르면, 상부 암형 버클(118b)과 수형 버클(118a)의 연결 위치나 링(119)과 후크(142)의 연결 위치로부터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를 현수하는 구성이라도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암형 버클(120b)과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의 측모서리에 배치된 수형 버클(120a)을 연결함으로써, 상부 암형 버클(118b)이나 링(119)에 의한 현수 지지점을 중심으로 한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반신을 구부리게 되거나, 우측 또는 좌측으로 몸을 비트는 동작을 해도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가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대해 이격되지 않고, 사용자가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의 흔들림을 억제하도록 이것에 손을 댈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되고, 또한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베이비 밴드(101)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설치된 어태치먼트용 고정구로서의 상부 암형 버클(118b), 링(119) 및 하부 암형 버클(120b)의 크기 또는 연결에 관한 구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를 장착할 때에 적절한 고정구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흉부 패드(150)에 의해 유아의 흉부를 덮도록 하였으므로,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에 지지된 유아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 대해]
다음에, 유아를 세로로 안기 상태로 유지할 때에 사용되는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47은 베이비 밴드(101)에서 사용되는 세로로 안기용 시 트의 정면도, 도48은 그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이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는 유아의 가랑이 사이로 통과되는 바닥부(162)와, 그 바닥부(162)의 상방으로 연속하는 몸통 덮개부(163)와, 그 몸통 덮개부(163)의 상방으로 연속하는 중간 지지부(164)와, 그 중간 지지부(164)의 상방으로 연속하는 머리 유지부(165)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부(162)는 유아의 둔부가 적재되는 부분으로, 그 양측에는 유아의 발을 내기 위한 발 빠짐부(166)가 마련되어 있다. 몸통 덮개부(163)는 유아의 본체 부주위에 권취시키도록 절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부에 설치된 후크(163a, 163b)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통형으로 조립된다. 또한, 후크(163a, 163b)는 각각 상하 한 쌍 설치되지만, 도48에서는 상측의 후크(163a)와 하측의 후크(163b)만이 도시되어 있다. 몸통 덮개부(163)의 주위에는 몸통 벨트(167)가 설치되어 있다. 그 몸통 벨트(167)의 선단부의 수형 버클(168a) 및 암형 버클(168b)(도49 참조)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몸통 벨트(167)가 1개의 루프형으로 연결되어 몸통 덮개부(163)가 둘러싸인다.
또한, 몸통 덮개부(163)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둔부 벨트(169)가 부착되어 있다. 그 둔부 벨트(169)는 바닥부(162)를 경유하여 몸통 덮개부(163)의 표리에 걸치고, 그 양단부가 몸통 덮개부(163)에 꿰매져 있다.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의 이면측에 있어서 둔부 벨트(169)는 몸통 벨트(167)와의 교차부(170)에서 몸통 벨트(167)와 함께 몸통 덮개부(163)에 일체적으로 꿰매져 있다. 한편,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의 표면측에 있어서 둔부 벨트(169)는 몸통 벨트(167)에 꿰매 져 있지만, 그 꿰매진 부위는 포켓(171)에 가려 보이고 있지 않다. 둔부 벨트(169)의 도중에는 길이 조정용 러더(172)가 설치되어 있다. 러더(172)를 이용하여 둔부 벨트(169)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바닥부(162)의 깊이를 유아의 체격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부(162)의 이면측(도48)에는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하부 암형 버클(120b)과 연결 가능한 한 쌍의 수형 버클(120a)이 고정구 고정 벨트(173)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몸통 벨트(167)에는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링(119)과 연결 가능한 한 쌍의 후크(142)가 고정구 고정 벨트(173)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머리 유지부(165)에는 지지 벨트(174)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지지 벨트(174)의 양단부에는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상부 암형 버클(118b)과 연결 가능한 수형 버클(118a)이 고정구 고정 벨트(175)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사용된다. 우선, 유아를 후방향 또는 전방향 상태로 바닥부(162)에 적재하여 양 발을 발 빠짐부(166)에 통과시키고, 그 유아의 몸통 주위를 몸통 덮개부(163)로 싸고 후크(163a, 163b)를 서로 연결한다. 다음에, 버클(168a, 168b)을 서로 연결하고 몸통 벨트(167)를 연결하여 몸통 덮개부(163)의 유아를 적절하게 구속한다. 이때, 유아의 체격에 맞추어 몸통 벨트(167)의 수형 버클(168a)의 위치를 조정한다. 또한, 유아를 후방향(유아가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에 적재한 경우, 중간 지지부(164)는 유아의 등 맞댐부로서 기능하고, 유아를 전방향에 적재한 경우, 중간 지지부(164)는 유아의 가슴 맞댐부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유아를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에 적재한 후, 다음과 같이 하여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를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장착한다.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를 다음과 같이 하여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연결한다. 즉, 현수 보드(132)에 부착된 수형 버클(118a)을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각 어깨띠(111)의 상부 암형 버클(118b)과 연결하고, 후크(142)를 어깨띠(111)의 링(119)에 연결한다. 또한, 바닥부(162)의 수형 버클(120a)은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하부 암형 버클(120b)과 연결한다. 이에 의해, 도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를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부착하여 유아를 세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에 유아를 넣기 전에 수형 버클(120a)을 베이비 밴드 본체(102)의 하부 암형 버클(120b)과 연결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를 베이비 시트 본체(102)에 부착하는 경우라도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설치된 어태치먼트용 고정구로서의 상부 암형 버클(118b), 링(119) 및 하부 암형 버클(120b)의 크기 또는 구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고정구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도시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는 일예이고,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다양한 구성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암형 버클(118b) 및 링(119)이 상부 고정구에, 하부 암형 버클(120b)이 하부 고정구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현수 보드(132)[단, 그 부속품으로서의 현수 벨트(140), 수형 버클(118a), 연결 벨트(141) 및 후크(142)를 포함함]가 머리부측 현수구에, 복부 패드(135)[단, 그 부속품으로 서의 벨트 통과부(152), 링(153) 및 링 고정 벨트(155)를 포함함], 복부 벨트(136)[버클(154a, 154b)을 포함함] 및 둔부 벨트(137)[수형 버클(118a)을 포함함]가 둔부측 현수구에 각각 상당하고, 이들의 조합이 현수구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버클(118a, 118b)의 암수 관계 및 버클(120a, 120b)의 암수 관계는 상기한 제2 형태에 대해 반대라도 좋다. 즉, 베이비 밴드 본체(102)에 수형 버클(118a, 120a)을 장착하고, 암형 버클(118b, 120b)을 가로로 안기용 시트(103), 세로로 안기용 시트(160)에 설치해도 좋다. 하부 암형 버클(120b) 및 이것과 조합되는 수형 버클(120a)은 하나씩 설치되어도 좋다.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양측에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를 설치해도 좋다. 베이비 밴드를 가로로 안기 전용으로 하여 구성해도 좋다.
베이비 밴드 본체의 고정구의 크기나 구조를 서로 다른 것으로 하는 기술 사상에 대해서는 하부 고정구와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를 설치하는 베이비 밴드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장착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가로로 안기용 시트나 세로로 안기용 시트 등의 어태치먼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각종 베이비 밴드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복부 패드에 연속해서 흉부 패드를 설치하는 기술 사상에 대해서도 하부 고정구와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를 설치하는 베이비 밴드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장착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각종 베이비 밴드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49)

  1.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는 머리부 지지부를 구비한 시트 본체와, 상기 머리부 지지부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에 의해 강성이 부여된 현수 보드를 구비하고, 상기 현수 보드를 거쳐서 상기 머리부 지지부의 상기 폭방향 양측이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어 지지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의 내부에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등판이 설치되고, 상기 현수 보드는 상기 등판의 하측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베이비 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보드가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베이비 밴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보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 대해 상기 현수 보드를 현수하기 위한 현수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현수 벨 트에는 벨트측 고정구와 상기 벨트측 고정구와 맞물림 가능한 후크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현수 벨트가 통과 가능한 본체측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현수 벨트의 타단부에는 상기 현수 벨트가 통과 가능한 보드측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측 고정구 및 상기 보드측 고정구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크를 상기 벨트측 고정구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현수 벨트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측 고정구로부터 현수되어 지지되는 베이비 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에 대한 상기 현수 보드의 부착 방향이 상기 시트 본체의 폭방향에 관하여 변경 가능한 베이비 밴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로부터는 상기 현수 벨트의 나머지 길이부가 되접히도록 인출되고, 상기 보드측 고정구를 상기 후크가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나머지 길이부가 상기 보드측 고정구에 걸리고 상기 후크가 상기 보드측 고정구를 빠져나가는 것이 불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측 고정구가 링형이고, 측방에서 보아 상기 시트 본체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러져 있는 베이비 밴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벨트에는 상기 본체측 고정구에 대한 상기 현수 벨트의 미끄러짐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9. 사용자가 가슴 또는 배 중 어느 한 곳에 맞대고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로 유아를 세로로 안기 또는 업은 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 지지하도록 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경질 재료로 형성된 등판이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어깨띠가 부착되고,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장착되는 허리 맞댐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등판은 상기 어깨띠의 부착 위치로부터 상기 허리 맞댐부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의 하부에는 상방으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가 마련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절곡 축선이 상기 허리 맞댐부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베이비 밴드.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유아의 겨드랑이 아래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 연결되는 겨드랑이 하부 벨트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강성이 상기 등판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15.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고, 이들 베이비 밴드 본체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도록 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시트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상기 시트 고정부를 향해 되접혀 상기 자루형 부분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닥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시트 고정부와 연결 가능한 연결구가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서로 맞물림 가능한 암수 버클 중 어느 한쪽의 버클이 상 기 시트 고정부에 설치되고, 다른 쪽 버클은 상기 연결구로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조정 벨트를 거쳐서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기 바닥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다른 쪽 버클의 상기 조정 벨트에 대한 부착 위치가 조정 가능한 베이비 밴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고정부 및 상기 바닥 지지부의 각각에는 상기 버클이 복수 세트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상기 시트 고정부보다도 하방에는 상기 바닥 지지부를 끼워 넣는 흔들림 멈춤 밴드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19.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고, 이들 베이비 밴드 본체와 세로로 안기용 시트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도록 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시트 고정부가 상하 방향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의 상기 시트 고정부를 향해 되접혀 상기 자루형 부분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닥 지지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시트 고정부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0. 사용자가 가슴 또는 등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맞대고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에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장착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방향에 따라서 유아를 세로로 안기 또는 업기 상태에서 지탱하면서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 지지하도록 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사용자의 가슴 또는 배에 닿게 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어깨띠와, 상기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장착되는 허리 맞댐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허리 맞댐부가 상하 방향에 상대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허리 맞댐부를 미리 정해진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한 곳에 유지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맞댐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부를 수용 가능한 포켓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포켓 내에서 절첩 가능한 절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첩부의 하단부가 상기 허리 맞댐부와 접합 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3.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현수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을 상기 한 쌍의 고정구 중 어느 한쪽의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머리부측 현수구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둔부측을 다른 쪽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둔부측 현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측 현수구 및 상기 둔부측 현수구를 상기 한쪽 고정구 및 상기 다른 쪽 고정구에 각각 장착한 경우에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이 둔부측보다도 높은 위치에 유지되도록 각 현수구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4.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 및 둔부측을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머리부측 현수구 및 둔부측 현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측 현수구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을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방향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둔부측 현수구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둔부측을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방향 양측 및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 후단부의 폭방향 중앙의 3군데에서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측 현수구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복부 벨트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 후단부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연장된 둔부 벨트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유아의 복부를 덮는 복부 패드를 갖고, 상기 복부 벨트와 상기 둔부 벨트가 상기 복부 패드를 거쳐서 서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복부 벨트 및 상기 둔부 벨트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일체적으로 현수되어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후단부에는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둔부 지지부와, 상기 둔부 지지부에 대해 절곡 가능하고 또한 상기 유아의 다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부 벨트가 상기 둔부 지지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한편, 상기 둔부 벨트가 상기 다리부 후단부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유아를 지 지하는 심재로서의 등판이 내장되어, 유아를 지지할 때의 하중에 의해 상기 등판을 폭방향 중심선을 바닥으로 하여 만곡시키도록 한 베이비 밴드.
  28.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유아를 눕히기 위한 매트와, 유아의 머리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머리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매트 및 상기 머리 커버의 각각에는 심재가 마련되고, 각 심재에는 통기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29.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유아의 머리부로부터 둔부까지를 지지하는 심재로서의 등판과, 상기 유아의 다리부를 지지하는 심재로서의 시트판이 내장되고, 상기 시트판이 상기 등판의 둔부측 단부보다도 폭방향으로 확대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30.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 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링형의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유아를 베이비 밴드 본체를 향해 가까이 당기기 위한 시트 본체와, 상기 시트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상기 고정구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벨트에는 서로 맞물림 가능한 한 쌍의 암수 버클 중 어느 한쪽의 버클이, 상기 시트 본체에는 다른 쪽 버클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쪽 버클은 상기 고정구를 통과 가능하고, 상기 한쪽 버클로부터는 상기 연결 벨트의 나머지 길이부가 되접히도록 인출되고, 상기 한쪽 버클이 상기 고정구를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나머지 길이부가 상기 고정구에 걸리고 상기 한쪽 버클이 상기 고정구를 빠져나가는 것이 불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31.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유아의 머리부를 덮는 머리 지지부와, 상기 머리 지지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지지 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머리 지지부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외측을 향해 절곡 가능하고, 상기 지지 벨트는 상기 머리 지지부를 되접었을 때에 상기 지지 벨트의 비틀림이 해소되도록 반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연결 가능 한 베이비 밴드.
  32.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링형의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가 측방에서 보아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러져 있는 베이비 밴드.
  33.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통기 구멍을 갖는 내장재가 내장되고, 상기 내장재가 입체 메쉬 옷감으로 덮여 있는 베이비 밴드.
  34.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자루형 부분에는 상기 유아를 전방향 및 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이라도 장착 가능하게 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세로로 안기용 시트의 하부의 폭을 조정 가능하게 한 베이비 밴드.
  35.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 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와의 사이에 유아를 세로로 수용하는 자루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이며,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어깨띠가 길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어깨띠에는 길이 조정 후의 어깨띠의 나머지 길이부를 절첩하여 유지하기 위한 밴드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36. 서로 맞물림 가능한 한 쌍의 암수 버클 중 어느 한쪽의 버클이 띠형 물품에 부착되고, 다른 쪽 버클이 상기 띠형 물품과 연결되도록 고정부에 부착되어 상기 띠형 물품과 상기 고정부가 착탈 가능하게 된 띠형 물품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버클이 상기 띠형 물품의 착탈 방향에 관한 상기 버클의 전후에서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띠형 물품의 연결 구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부착되는 버클의 전후 단부의 각각에 벨트 통과부가 마련되고, 이들 벨트 통과부 사이에 버클 고정 벨트가 통과되고 상기 버클 고정 벨트의 양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띠형 물품의 연결 구조.
  38.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어깨띠와, 사용자의 허리 주위에 장착되는 허리 맞댐부가 마련된 베이비 밴드 본체를 구비하고, 서로 맞물림 가능한 한 쌍의 암수 버클 중 어느 한쪽의 버클이 상기 어깨띠에 부착되고, 다른 쪽 버클이 상기 허리 맞댐부에 부착되어 상기 어깨띠와 상기 허리 맞댐부가 착탈 가능하게 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허리 맞댐부에 부착되는 버클이 상기 어깨띠의 착탈 방향에 관한 상기 버클의 전후에서 상기 허리 맞댐부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맞댐부에 부착되는 버클의 전후단의 각각에 벨트 통과부가 마련되고, 이들 벨트 통과부 사이에 버클 고정 벨트가 통과되고 상기 버클 고정 벨트의 양단부가 상기 허리 맞댐부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40. 띠형 물품을 연결해야 할 고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띠형 물품에 부착된 버클이 착탈되는 고정측 버클이며,
    상기 띠형 물품의 착탈 방향에 관한 전후 단부에 벨트 통과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측 버클을 상기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버클 고정 벨트가 상기 벨트 통과부끼리의 사이에서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고정측 버클.
  41.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구로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현수하기 위한 상부 고정구와, 이들 상부 고정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상기 상부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현수구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폭방향 한쪽의 측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고정구와 연결 가능한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사용자의 어깨 주위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어깨띠와, 상기 어깨띠의 하단부에 계속해서 사용자의 허리 주위가 되는 띠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구가 상기 한 쌍의 어깨띠의 각각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고정구는 상기 어깨띠의 하단부 또는 상기 띠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구 및 상기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의 각각은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 및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대해 고정구 고정 벨트를 거쳐서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 고정 벨트는 상기 하부 고정구 및 상기 흔들림 멈춤용 고정구의 각각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 및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 꿰매져 있는 베이비 밴드.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상부 고정구가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현수구로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머리부측을 상기 한 쌍의 상부 고정구 중 어느 한쪽의 상부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머리부측 현수구와,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둔부측을 다른 쪽 상부 고정구로부터 현수하기 위한 둔부측 현수구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기 둔부 지지측에는 유아의 복부를 덮는 복부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복부 패드의 상단부에는 유아의 흉부를 덮는 흉부 패드가 계속해서 설치되고,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에는 상기 머리부측 현수구와 상기 흉부 패드를 연결하는 흉부 벨트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구와 상기 하부 고정구는 크기 또는 연결에 관한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서로 다른 베이비 밴드.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기 둔부측에는 유아의 복부를 덮는 복부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복부 패드의 상단부에는 유아의 흉부를 덮는 흉부 패드가 계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48.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에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연결하기 위한 서로 용도가 다른 복수 종류의 고정구가 위치를 바꾸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 종류의 고정구의 각각은 크기 또는 연결에 관한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서로 다른 베이비 밴드.
  49. 사용자가 장착하는 베이비 밴드 본체와, 유아를 가로로 안기 자세로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비 밴드 본체로부터 현수되는 가로로 안기용 시트를 구비한 베이비 밴드에 있어서,
    상기 가로로 안기용 시트의 상기 둔부측에는 유아의 복부를 덮는 복부 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복부 패드의 상단부에는 유아의 흉부를 덮는 흉부 패드가 계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베이비 밴드.
KR1020067007480A 2003-10-20 2004-10-20 베이비 밴드 KR200700112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9852A JP2005118471A (ja) 2003-10-20 2003-10-20 子守帯
JPJP-P-2003-00359878 2003-10-20
JP2003359880A JP2005118475A (ja) 2003-10-20 2003-10-20 子守帯
JPJP-P-2003-00359880 2003-10-20
JPJP-P-2003-00359867 2003-10-20
JPJP-P-2003-00359863 2003-10-20
JP2003359882A JP4441231B2 (ja) 2003-10-20 2003-10-20 子守帯
JP2003359867A JP2005120551A (ja) 2003-10-20 2003-10-20 子守帯
JP2003359863A JP2005118472A (ja) 2003-10-20 2003-10-20 子守帯
JPJP-P-2003-00359882 2003-10-20
JPJP-P-2003-00359852 2003-10-20
JP2003359878A JP4463523B2 (ja) 2003-10-20 2003-10-20 帯状物品の連結構造、これを用いた子守帯、及び固定側バックル
JP2004135910A JP2005312772A (ja) 2004-04-30 2004-04-30 子守帯
JPJP-P-2004-00135910 2004-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232A true KR20070011232A (ko) 2007-01-24

Family

ID=3446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480A KR20070011232A (ko) 2003-10-20 2004-10-20 베이비 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29356A1 (ko)
EP (1) EP1680989A1 (ko)
KR (1) KR20070011232A (ko)
CN (2) CN101433414B (ko)
HK (1) HK1096563A1 (ko)
TW (1) TWI344830B (ko)
WO (1) WO200503702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69B1 (ko) * 2009-01-14 2009-07-06 김세영 수유 쿠션
KR100934156B1 (ko) * 2009-04-17 2009-12-29 유지호 아기 포대기
KR101042825B1 (ko) * 2010-11-18 2011-06-20 주식회사 오버클래스 케이블코스터용 익스트림형 하네스
KR200459848Y1 (ko) * 2009-09-03 2012-04-19 채병식 다기능 아기 포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2498B2 (en) 2003-09-10 2008-01-29 The Ergo Baby Carrier, Inc. Baby carrier
JP2007111482A (ja) * 2005-09-21 2007-05-10 Aprica Kassai Inc スリング式子守帯
JP5026720B2 (ja) * 2006-03-31 2012-09-19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US20070278264A1 (en) 2006-06-02 2007-12-06 Baby K'tan, Llc Wearable carrier and method of carrying a child or animal
WO2008058299A2 (en) * 2006-11-07 2008-05-15 Michael Adriaan Slabbert Horizontal cradle contrivance
SE530907C2 (sv) * 2007-02-09 2008-10-14 Joeran Lundh Bärsele för små barn
DE202007006204U1 (de) 2007-04-27 2008-09-04 Schachtner, Petra Tragevorrichtung
US20080283559A1 (en) * 2007-05-15 2008-11-20 Parness Michael A Reversible infant carrier
US20080283561A1 (en) * 2007-05-15 2008-11-20 Parness Michael A Side seating infant carrier
FI20075641L (fi) * 2007-09-13 2009-03-14 Babyidea Oy Järjestely kantovälineen korkeuden säätämiseksi
US9144323B2 (en) 2007-09-13 2015-09-29 Babyidea Oy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carrying section of a child carrier
GB0800948D0 (en) * 2008-01-18 2008-02-27 Univ Durham Infant sleep sling
US20100051658A1 (en) * 2008-08-26 2010-03-04 Parness Michael A Infant sling
SE532880C2 (sv) * 2008-09-09 2010-04-27 Ulrika Billingham Bäranordning för barn
US20100072236A1 (en) * 2008-09-19 2010-03-25 Michael A Parness Multifunctional child carrier
US20100170927A1 (en) * 2008-11-12 2010-07-08 Angelique Nicole Warner This secure environment provides multi-task ability for the mother while enjoying a truly hands free nursing experience in the home or on-the-go!
CN101836806B (zh) * 2009-03-20 2012-01-04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承载装置用的安全扣具及其方法
FR2946237B1 (fr) * 2009-06-05 2012-02-03 Salomon Sas Sac a dos tel qu'un sac a dos d'hydratation
US8464919B1 (en) * 2009-06-22 2013-06-18 Lee M. Goozdich Infant carrier
JP5479813B2 (ja) * 2009-08-13 2014-04-23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US9220352B2 (en) 2009-08-19 2015-12-29 The Ergo Baby Carrier, Inc. Infant carrier
US8899455B2 (en) * 2009-08-24 2014-12-02 Tumi, Inc. Articulable shoulder strap
US20110062195A1 (en) * 2009-09-11 2011-03-17 Petunia Pickle Bottom Corporation Child carrier with removable liner
US8561861B2 (en) * 2009-10-06 2013-10-22 Vivian Muehlen Combination nursing device and baby carrier
US20110101051A1 (en) * 2009-11-02 2011-05-05 Parness Michael A Infant carrier with leg straps
WO2011071441A1 (en) * 2009-12-07 2011-06-16 Baby Viking Ab Child carrying device
CN103096743B (zh) * 2010-08-25 2014-12-24 哥伦比亚运动休闲北美公司 集成式腰部悬挂系统
US8579168B2 (en) 2011-03-23 2013-11-12 Infantino, Llc.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with lumbar belt
KR101134560B1 (ko) * 2011-05-25 2012-04-13 (주)동인기연 영유아 겸용 캐리어
AU343917S (en) * 2012-01-31 2012-08-16 Stokke As Harness with front seat
US9439516B2 (en) 2012-02-04 2016-09-13 Krystal Workman Ergonomic twin baby carrier
USD774297S1 (en) * 2013-02-04 2016-12-20 Krystal Workman Ergonomic twin baby carrier
USD825915S1 (en) * 2012-02-04 2018-08-21 Krystal Workman Ergonomic twin baby carrier
JP5480313B2 (ja) * 2012-02-13 2014-04-2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子守帯
FI125154B (en) * 2012-06-29 2015-06-15 Mia Kuusela Arrangements that can be converted into baby care items
US8418897B1 (en) 2012-08-27 2013-04-16 Anthony Young Body worn child carrier
US8523028B1 (en) 2012-08-27 2013-09-03 Anthony Young Body worn child carrier
CN103099470B (zh) * 2013-01-14 2015-08-19 杨胜勇 一种换向式婴儿背带及其换向方法
WO2014160355A1 (en) 2013-03-13 2014-10-02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SE538604C2 (sv) 2013-10-07 2016-09-27 BabyBjörn AB Barnbärsele
US9144322B2 (en) * 2013-12-11 2015-09-29 Infant Guard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fant stabilization
US9848713B2 (en) * 2014-01-10 2017-12-26 Gold, Inc. Convertible infant carrier
WO2015127514A1 (en) * 2014-02-27 2015-09-03 Lj Mila Pty Ltd Breastfeeding aid
CN104622112A (zh) * 2015-01-20 2015-05-20 王怀锋 一种用于安全怀抱婴幼儿的安全抱兜
USD807025S1 (en) * 2015-03-24 2018-01-09 BabyBjörn AB Baby carrier
CN107708495B (zh) 2015-03-31 2021-05-28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腰包背带装置和系统
US10433656B2 (en) * 2015-07-17 2019-10-08 Joran Lundh Baby carrier
USD803549S1 (en) * 2015-09-09 2017-11-28 BabyBjörn AB Baby carrier
EP4233638A3 (en) 2015-10-30 2024-01-24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US10271663B2 (en) 2015-11-30 2019-04-30 Blue Box Opco Llc Infant carrier with cinchable sleeve seat adjustment
US9986775B2 (en) 2016-01-09 2018-06-05 Momme Top Llc Convertible garment for carrying and feeding infants
AU2016398617B2 (en) * 2016-03-22 2018-12-13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wearable radio comprising a modular harness
SE539922C2 (en) * 2016-05-20 2018-01-16 Najell Ab Baby seat carrier
CA3074008A1 (en) * 2016-08-26 2018-03-01 Lena SHAHBANDAR Car seat insert and infant carrier
US11440444B2 (en) 2016-08-26 2022-09-13 Bean Ventures LLC Baby carrier
US20180055244A1 (en) * 2016-08-26 2018-03-01 Steven ZIELINSKI Variable position and orientation infant carrier and safety system
CN110035677B (zh) 2016-10-28 2022-12-23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具有多个承载取向的可调整儿童载具
US10300327B2 (en) 2016-11-06 2019-05-28 Fit Family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with a child attached to the legs
US10532242B2 (en) 2016-11-06 2020-01-14 Fit Family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with a child attached to the legs
US10300325B2 (en) 2016-11-06 2019-05-28 Fit Family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with a child attached to the legs
US11058229B2 (en) 2016-12-29 2021-07-13 Blue Box Toy Factory Limited Expandable seat infant carrier
US10555620B2 (en) 2017-02-10 2020-02-11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11389011B2 (en) 2017-02-10 2022-07-19 The Boppy Company, Llc Newborn carrier
US10264894B2 (en) * 2017-02-10 2019-04-23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US10264895B2 (en) 2017-02-22 2019-04-23 Kolcraft Enterprises, Inc. Adjustable child carriers
CN109419221A (zh) * 2017-08-29 2019-03-05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新生儿挟带支撑装置
US10441091B2 (en) 2017-09-11 2019-10-15 Blue Box Toy Factory Limited Ergonomic outfacing carrier
USD866955S1 (en) * 2017-09-13 2019-11-19 Cybez GmbH Baby carrier
US11272791B2 (en) 2018-10-15 2022-03-15 Angelique N. Warner Multiple position baby carrier
CN109757929A (zh) * 2017-11-10 2019-05-17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抱婴带
US10660454B2 (en) 2018-01-03 2020-05-26 Lalabu LLC Child carrying garment
CN110384365A (zh) * 2018-04-19 2019-10-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抱婴带
CN108577409B (zh) * 2018-06-13 2024-09-17 方泽然 一种用于抱婴、背婴和移婴的装置
CN111493382B (zh) * 2018-09-06 2022-09-30 威海迪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辅助裹抱婴儿的衣服
US10709262B2 (en) 2018-10-03 2020-07-14 Lalabu LLC Child carrying system
CN113382664B (zh) 2018-11-26 2022-08-16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带有增强的运动自由度的可调节型儿童背带
USD882244S1 (en) 2018-12-28 2020-04-28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EP3673770B1 (en) * 2018-12-28 2021-09-01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11134794B2 (en) * 2019-05-20 2021-10-05 Cuk Llc Child carrier pack
CN118303732A (zh) * 2019-06-07 2024-07-0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载具、儿童支撑装置及其相关系统
USD910309S1 (en) 2019-07-24 2021-02-16 The Boppy Company, Llc Component for baby carrier
USD1024541S1 (en) 2020-06-19 2024-04-30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USD1041875S1 (en) 2020-06-19 2024-09-17 The ERGO Baby Corrier Inc. Child carrier
EP3925497B1 (en) 2020-06-19 2023-06-0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11357339B2 (en) 2020-10-16 2022-06-14 Lalabu LLC Child carrying system with adaptable head support
USD970208S1 (en) 2020-10-16 2022-11-22 Lalabu LLC Child carrier with head support
USD1010305S1 (en) 2020-12-18 2024-01-09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CN112806777B (zh) * 2020-12-29 2024-02-02 王楠楠 一种托抱婴幼儿辅助装置
US11963593B2 (en) * 2021-02-08 2024-04-23 Norian Innovations, Inc. Strap attachable accessory teth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2619594B1 (ko) * 2023-06-28 2023-12-29 주식회사 꿈비 폴딩 휴대용 아기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8982B2 (ja) * 1998-01-28 2008-08-27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ベビーキャリア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用ヘッドサポート
JP2002282097A (ja) * 2001-03-26 2002-10-02 Combi Corp 乳児用ヘッドキープ、乳児用ヘッドキープ付き子守帯および横抱き子守帯
JP3990876B2 (ja) * 2001-06-18 2007-10-17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敷材および敷材付ベビーキャリア
JP2003111647A (ja) * 2001-10-02 2003-04-15 Aprica Kassai Inc 子守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69B1 (ko) * 2009-01-14 2009-07-06 김세영 수유 쿠션
KR100934156B1 (ko) * 2009-04-17 2009-12-29 유지호 아기 포대기
KR200459848Y1 (ko) * 2009-09-03 2012-04-19 채병식 다기능 아기 포대기
KR101042825B1 (ko) * 2010-11-18 2011-06-20 주식회사 오버클래스 케이블코스터용 익스트림형 하네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4830B (en) 2011-07-11
TW200522899A (en) 2005-07-16
CN100558277C (zh) 2009-11-11
CN101433414A (zh) 2009-05-20
HK1096563A1 (en) 2007-06-08
CN1870920A (zh) 2006-11-29
CN101433414B (zh) 2011-12-28
WO2005037026A1 (ja) 2005-04-28
EP1680989A1 (en) 2006-07-19
US20070029356A1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1232A (ko) 베이비 밴드
KR101433183B1 (ko) 아기 업개
EP2412566B1 (e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US7832036B2 (en) Nursing support pillows and methods
EP1767125B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JP2005118472A (ja) 子守帯
JP5848575B2 (ja) 子守帯
JP4441231B2 (ja) 子守帯
JP6933954B2 (ja) 子守帯
JP4473595B2 (ja) 子守帯
JP3127392U (ja) ベビーキャリア
JP2005118475A (ja) 子守帯
JP4463523B2 (ja) 帯状物品の連結構造、これを用いた子守帯、及び固定側バックル
JP2005118471A (ja) 子守帯
JP2007268076A (ja) 子守帯
JP2005120551A (ja) 子守帯
JP5026722B2 (ja) 子守帯
JP5026721B2 (ja) 子守帯
JP6713353B2 (ja) 子守帯
JP2020127880A (ja) 子守帯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JP2007268077A (ja) 子守帯
JP2005312772A (ja) 子守帯
JP2005230097A (ja) 子守帯
JP2020010793A (ja) 子守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