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560B1 - 영유아 겸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영유아 겸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560B1
KR101134560B1 KR1020110049482A KR20110049482A KR101134560B1 KR 101134560 B1 KR101134560 B1 KR 101134560B1 KR 1020110049482 A KR1020110049482 A KR 1020110049482A KR 20110049482 A KR20110049482 A KR 20110049482A KR 101134560 B1 KR101134560 B1 KR 10113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delete delete
support body
space
r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이인열
Original Assignee
(주)동인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인기연
Priority to KR1020110049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560B1/ko
Priority to US13/478,688 priority patent/US845389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가 덩치가 작은 영아에서 덩치가 큰 유아로 성장함에 따라 베이비 캐리어에 구비되는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을 선택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베이비 캐리어로 덩치가 작은 영아 및 덩치가 큰 유아 모두에게 M자형 다리자세를 유도하여 주는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영유아의 신체 중 배후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 양측에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이 형성된 배후지지용 몸체(100)와;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되는 허리체결밴드(200)와;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공간개폐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유아 겸용 캐리어{Younger infant and elder infant both use career}
본 발명은 아기가 덩치가 작은 영아에서 덩치가 큰 유아로 성장함에 따라 베이비 캐리어에 구비되는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을 선택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베이비 캐리어로 덩치가 작은 영아 및 덩치가 큰 유아 모두에게 M자형 다리자세를 유도하여 주는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나 유아를 포함하는 아기는 외출 시 포대기에 감싸거나 또는 등에 업은 후 이동하였으나, 아기를 등 또는 어깨에 멜 수 있게 제공하는 베이비 캐리어가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비 캐리어의 경우 베이비 캐리어에 구비되는 햇빛가림장치의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햇빛가림장치의 사용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수납이 불가능하고, 외출 시 햇빛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아기용 캐리어(등록특허 제10-0763412호)를 통해 해소되는 등 영아 및 유아를 위해 다양하게 개량되고 있는 추세이나 아직까지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베이비 캐리어에 놓여지는 아기의 자세로 M자형 다리자세가 권장되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M자형 다리자세란 아기의 무릎이 엉덩이보다 위에 위치되게 하는 자세로서, 아기의 엉덩이가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만들어 주어 아기의 등이 살짝 굽도록 하여 위로부터의 압력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서 아기의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는 이상적인 자세이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베이비 캐리어를 이용하는 아기의 개월 수의 차에 따라 다른 종류의 베이비 캐리어들을 구매하여 사용해야 한다.
즉, 태어나서 생후 100일 정도(생후 30일부터 생후 100일 정도까지)의 덩치가 작은 아기에 해당하는 영아(Younger infant)의 경우 베이비 캐리어에서 M자형 다리자세를 유도해야 하기 때문에, 도 1에서처럼 상측 양쪽에 어깨견착부(10)가 박음질 고정되고, 하측에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되는 허리체결밴드(20)가 박음질 고정된 배후지지용 몸체(30)의 하부 양측에는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덩치가 작은 아이의 엉덩이가 지지되는 배후지지용 몸체(30)의 하부의 너비는 좁아야만 베이비 캐리어에 놓여지는 영아의 다리가 M자형 다리자세로 유도된다.
또한, M자형 다리자세로 유도되는 영아의 다리는 배후지지용 몸체(3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각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31)에 놓여지게 되어 영아를 베이비 캐리어에 놓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태어나서 100일 이후 정도의 덩치가 큰 아기에 해당하는 유아(elder infant)도 베이비 캐리어에서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해야 하는데 이때, 태어나서 100일 이후의 덩치가 큰 아기에 해당하는 유아를 배후지지용 몸체(30)에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31)이 형성된 베이비 캐리어에 놓을 경우 덩치가 큰 유아의 엉덩이 크기보다 배후지지용 몸체(30) 하부의 너비가 작기 때문에 신장이 큰 유아의 다리는 직립이 되기 때문에 유아의 척추에 무리를 주거나 고관절 탈구와 같은 다양한 위험에 놓이게 된다.
이를 예방하고자, 도 2에서처럼 상측 양쪽에 어깨견착부(10)가 박음질 고정되고, 하측에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되는 허리체결밴드(20)가 박음질 고정된 배후지지용 몸체(40)는 덩치가 큰 유아의 엉덩이 크기에 맞게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을 제거함으로써, 덩치가 큰 유아의 엉덩이 및 넓적다리의 일부까지 지지할 수 있어 덩치가 큰 유아의 다리자세를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게 유도하여 준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아기가 덩치가 작은 영아에서 덩치가 큰 유아로 성장함에 따라 베이비 캐리어 또한 영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등 최소 2개 이상을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가 덩치가 작은 영아에서 덩치가 큰 유아로 성장함에 따라 베이비 캐리어에 구비되는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을 선택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베이비 캐리어로 덩치가 작은 영아에서 덩치가 큰 유아에 모두에게 M자형 다리자세를 유도하여 주는 영유아 겸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는, 영유아의 신체 중 배후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 양측에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이 형성된 배후지지용 몸체와;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되는 허리체결밴드와;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을 단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공간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개폐부재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갖는 것으로, 상?하측의 중앙부분이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의 외측 및 상기 허리체결밴드에 고정되는 둔부 지지부재와; 상기 둔부 지지부재의 양측이 고정된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 및 상기 허리체결밴드 쪽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과; 상기 둔부 지지부재의 상?하측부에 각각 고정되어 둔부 지지부재가 접혀지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 수평이동공간이 관통형성된 연결돌기를 갖되, 그 관통형성된 수평이동공간의 일부가 개구되어 인입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평이동용 연결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의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해 상기 둔부 지지부재가 펼쳐졌을 때 또는 이중으로 접혀졌을 때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둔부 지지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이 이중으로 접혀져 맞닿았을 때의 상태로 결속하여 주는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아기가 덩치가 작은 영아에서 덩치가 큰 유아로 성장함에 따라 베이비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을 선택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어 하나의 베이비 캐리어로 영아 및 유아 모두에게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게 유도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태어나서 생후 100일 정도 까지의 영아(Younger infant)에 적용되는 종래의 영아용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태어나서 100일 이후의 유아(Elder infant)에 적용되는 종래의 유아용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구성 중 배후지지용 몸체의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구성 중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다리 유도공간의 폐쇄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다리 유도공간을 개방하여 덩치가 작은 영아가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게 유도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다리 유도공간을 폐쇄하여 덩치가 큰 유아가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게 유도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1-1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1-2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2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3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4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의 제 1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의 제 2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이다.
삭제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적용되는 아기는 생후 100일 정도(생후 30일부터 생후 100일 정도까지)의 덩치가 작은 아기에 해당하는 영아(Younger infant)와 태어나서 100일 이후 정도의 덩치가 큰 아기에 해당하는 유아(elder infant)로 크게 구분하여 설명되어진다.
삭제
도 3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구성 중 배후지지용 몸체의 종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구성 중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다리 유도공간의 폐쇄를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다리 유도공간을 개방하여 덩치가 작은 영아가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게 유도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형성된 영아용 M자다리 유도공간을 폐쇄하여 덩치가 큰 유아가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게 유도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1-1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1-2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2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3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의 제 4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의 제 1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의 배후지지용 몸체에 구비되는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의 제 2적용예를 나타낸 요부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유아 겸용 캐리어는 크게, 배후지지용 몸체(100), 허리체결밴드(200), 공간개폐부재(300) 및 어깨견착대(7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배후지지용 몸체(100)는 영유아의 신체 중 배후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덩치가 작은 영아가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놓여질 시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부 양측에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이 형성된 부재이다.
그리고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되는 허리체결밴드(200)가 부착되어 이동 시 아기의 신체가 배후지지용 몸체(100)에 지지될 수 있게 제공한다. 여기서, 허리체결밴드(200)의 양측에는 암수의 버클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기용 캐리어에는 일단이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양측 일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양측 타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어깨견착대(700)가 구비되어 아기를 메고 이동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공간개폐부재(300)는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단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덩치가 작은 영아에서 덩치가 큰 유아로 성장함에 따라 배후지지용 몸체(100)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선택에 따라 단계별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어 하나의 베이비 캐리어로 영아 및 유아 모두에게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게 유도하여 준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개폐부재(300)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갖는 것으로, 상?하측의 중앙부분이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외측 및 허리체결밴드(200)에 고정되는 둔부(臀部) 지지부재(310)와,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이 고정된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 쪽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311)과, 둔부 지지부재(310)의 상?하측부에 각각 고정되어 둔부 지지부재(310)가 접혀지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 수평이동공간(313)이 관통형성된 연결돌기(315)를 갖되, 그 관통형성된 수평이동공간(313)의 일부가 개구되어 인입홈(317)이 형성된 한 쌍의 수평이동용 연결구(31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둔부 지지부재(310)의 재질은 영유아에게 해가 되지 않은 면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놓여 지는 영유아의 둔부를 지지하지 못하고 처질 수가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에는 형상유지용 패드(321)를 내삽한 후 박음질 고정함으로써, 놓여 지는 영유아에 의해서도 면소재를 갖는 둔부 지지부재(310)가 처지지 않게 제공하여 준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형상유지용 패드(321)는 스폰지와 같이 탄력이 우수한 메모리폼과 잘 구부러지지 않는 발포플라스틱 계열의 하드보드를 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 쪽에 이동레일(311)을 고정하는 방식은 이동레일(311)을 연결천(312)에 감싸여지게 접은 상태에서, 그 접혀진 연결천(312)의 끝단 부분을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 쪽에 각각 박음질하여 고정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레일(311)을 따라 연결대를 일체로 구비하여, 연결대 부분까지도 연결천(312)과 함께 박음질 고정함으로써 연결천(312)에 감싸여지는 이동레일(311)이 연결천(312) 내에서 이동되지 않게 제공한다.
또한, 수평이동용 연결구(319)는 둔부 지지부재(310)의 배면 쪽에 고정되는데 그 고정방식은 다음과 같다. 수평이동용 연결구(319)의 연결돌기(315)에는 걸이홈이 형성된 연결편(3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그 형성된 연결편(316)의 걸이홈에 연결띠(318)가 걸린 상태에서 둔부 지지부재(310)의 배면 쪽에 박음질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갖는 공간개폐부재(300)를 이용하여 영아 또는 유아에 따라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단계별로 개방하는 과정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덩치가 작은 영아가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놓여질 경우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의 상하측에 각각 박음질 고정된 이동레일(311)에 끼워진 수평이동용 연결구(319) 들을 중앙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박음질이 되지 않은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이 이중으로 접히게 하여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개방한 상태이다.
이때, 이중으로 접혀진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너비는 형상유지용 패드(321)의 너비 정도이며, 이중으로 접혀진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에 내삽된 형상유지용 패드(321)의 내측 쪽이 서로 접촉할 정도로 접혀진 상태로, 도 8이 덩치가 작은 영아를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놓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덩치가 작은 영아의 하중에 의해 둔부 지지부재(310)의 배면 쪽 가장자리 부근에 고정된 수평이동용 연결구(319)들은 상?하측의 안내레일(311)을 잡아당기되, 수평으로 배치 고정되는 안내레일(311)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수평이동용 연결구(319)들이 수평으로 배치된 안내레일(311)들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최대한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한다.
도 6은 덩치가 작은 영아에서 덩치가 큰 유아로 성장하는 중간 정도의 덩치를 갖는 아기가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놓여질 경우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접혀진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쪽에 고정된 수평이동용 연결구(319) 들을 외곽 쪽으로 반 정도 슬라이딩 이동시켜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반 정도 개방한 상태이다.
도 7은 덩치가 큰 유아가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놓여질 경우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반 정도 개방한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쪽에 고정된 수평이동용 연결구(319)들을 외곽 쪽으로 더 슬라이딩 이동시켜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폐쇄한 상태로, 도 9는 덩치가 큰 유아가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놓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영유아가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놓여질 경우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게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이 이중으로 접혀져 있을 때의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시켜 주는 결속부재(400)를 구비함으로써, 접혀진 둔부 지지부재(310)의 결속을 완벽하게 제공하여 준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결속부재(400)는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결속부재(400)의 제 1적용예에는 버튼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버튼구조는 다시 제 1-1적용예 및 제 1-2적용예로 구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먼저, 1-1적용예에 따른 결속부재(400)의 버튼구조는 둔부 지지부재(310) 외측의 각 모서리 부근에 연결대(401)들의 일부가 고정되고, 그 부착된 연결대(401)들의 타부에 고정되는 숫버튼(403)들과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이 고정된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 쪽에 고정되는 것으로, 둔부 지지부재(310)가 펼쳐졌을 때 또는 이중으로 접혀졌을 때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암버튼(405)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암버튼(405)들은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를 따라 일측이 박음질 고정된 마감천(404)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마감천(404)에 암버튼(405)들을 고정시키는 이유는 이동레일(311) 및 수평이동용 연결구(319) 등을 은폐시켜 미관상 아름다움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버튼의 암과 숫의 위치는 사용자의 기호 및 사용편의성을 고려하여 치환될 수 있다.
그리고 1-2적용예에 따른 결속부재(400)의 버튼구조는 숫버튼(403)들을 연결대(401)에 고정하지 않고 직접 둔부 지지부재(310)에 고정시킨 단순화된 구조이다.
결속부재(400)의 제 2적용예로, 둔부 지지부재(310) 외측의 각 모서리 부근에 연결대(401)의 일부가 고정되고, 그 부착된 연결대(401)의 타부에 고정되는 단추(407)들과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이 고정된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 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둔부 지지부재(310)가 펼쳐졌을 때 또는 이중으로 접혀졌을 때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단추구멍(409)들로 이루어진다.
이때에도, 단추구멍(409)들은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를 따라 일측이 박음질 고정된 마감천(40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부재(400)의 제 3적용예로, 둔부 지지부재(310) 외측의 각 모서리 부근에 구비되는 고정용 고리(411)들과,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이 고정된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 쪽에 고정되는 것으로, 둔부 지지부재(310)가 펼쳐졌을 때 또는 이중으로 접혀졌을 때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걸이구(413)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용 고리(411)는 그 재질을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적용하여 탄성력에 의해 신장됨으로써 걸이구(413)에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이구(413)는 도면에서처럼, L자형이거나 단추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걸이구(413)들은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를 따라 일측이 박음질 고정된 마감천(404)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부재(400)의 제 4적용예로, 둔부 지지부재(310) 외측의 각 모서리 부근에 구비되는 숫 벨크로 테이프(415)들과,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이 고정된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 쪽에 고정되는 것으로, 둔부 지지부재(310)가 펼쳐졌을 때 또는 이중으로 접혀졌을 때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암 벨크로 테이프(417)들로 이루어진다.
이때에도, 암 벨크로 테이프(417)는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허리체결밴드(200)를 따라 일측이 박음질 고정된 마감천(404)에 부착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덩치가 작은 영아를 영유아 겸용 캐리어에 놓을 경우 M자형 다리자세를 취할 수 있게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이 이중으로 접혀져 맞닿았을 때의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시켜 주는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500)를 추가로 구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500)는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500)의 제 1적용예로, 둔부 지지부재(310)가 접혀졌을 때의 맞닿는 부분의 양측을 따라 지퍼(510)를 박음질 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500)의 제 2적용예로, 둔부 지지부재(310)가 접혀졌을 때의 맞닿는 부근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결속끈(5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결속끈(520)은 결속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한 쌍씩 제공되어질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 어깨견착부 20,200 : 허리체결밴드
30,40,100 : 배후지지용 몸체 31,110 : 영아용 M자다리 유도공간
300 : 공간개폐부재 310,320 : 둔부 지지부재
311 : 이동레일 312 : 연결천
313 : 수평이동용 공간 315 : 연결돌기
316 : 연결편 317 : 인입홈
318 : 연결띠 319 : 수평이동용 연결구
321 : 형상유지용 패드 400 : 결속부재
401 : 연결대 403 : 숫버튼
405 : 암버튼 407 : 단추
409 : 단추구멍 411 : 고정용 고리
413 : 걸이구 415 : 숫 벨크로 테이프
417 : 암 벨크로 테이프 500 :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
510 : 지퍼 520 : 결속끈
700 : 어깨견착대

Claims (23)

  1. 영유아의 신체 중 배후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부 양측에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이 형성된 배후지지용 몸체(100)와;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되는 허리체결밴드(200)와;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단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공간개폐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개폐부재(300)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갖는 것으로, 상?하측의 중앙부분이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외측 및 상기 허리체결밴드(200)에 고정되는 둔부 지지부재(310)와;
    상기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이 고정된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상기 허리체결밴드(200) 쪽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311)과;
    상기 둔부 지지부재(310)의 상?하측부에 각각 고정되어 둔부 지지부재(310)가 접혀지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 수평이동공간(313)이 관통형성된 연결돌기(315)를 갖되, 그 관통형성된 수평이동공간(313)의 일부가 개구되어 인입홈(317)이 형성된 한 쌍의 수평이동용 연결구(31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겸용 캐리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의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해 상기 둔부 지지부재(310)가 펼쳐졌을 때 또는 이중으로 접혀졌을 때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결속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겸용 캐리어.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400)는,
    상기 둔부 지지부재(310) 외측의 각 모서리 부근에 연결대(401)의 일부가 고정되고, 그 부착된 연결대(401)의 타부에 고정되는 단추(407)들과;
    상기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이 고정된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100) 및 상기 허리체결밴드(200) 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둔부 지지부재(310)가 펼쳐졌을 때 또는 이중으로 접혀졌을 때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단추구멍(409);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겸용 캐리어.
  6. 삭제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에는 형상유지용 패드(321)가 내삽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겸용 캐리어.
  8.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후지지용 몸체(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영아용 M자 다리 유도공간(110)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둔부 지지부재(310)의 양측 가장자리 부근이 이중으로 접혀져 맞닿았을 때의 상태로 결속하여 주는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겸용 캐리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유지용 결속부재(500)는,
    상기 둔부 지지부재(310)가 접혀졌을 때의 맞닿는 부분을 따라 구비되는 지퍼(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겸용 캐리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10049482A 2011-05-25 2011-05-25 영유아 겸용 캐리어 KR10113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482A KR101134560B1 (ko) 2011-05-25 2011-05-25 영유아 겸용 캐리어
US13/478,688 US8453894B2 (en) 2011-05-25 2012-05-23 Carrier for use with both younger and older inf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482A KR101134560B1 (ko) 2011-05-25 2011-05-25 영유아 겸용 캐리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599A Division KR101276403B1 (ko) 2012-01-26 2012-01-26 영유아 겸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560B1 true KR101134560B1 (ko) 2012-04-13

Family

ID=4614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482A KR101134560B1 (ko) 2011-05-25 2011-05-25 영유아 겸용 캐리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53894B2 (ko)
KR (1) KR1011345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019A (ko) * 2016-10-28 2019-07-02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다중 운반 배향을 갖는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WO2021215613A1 (ko) * 2020-04-22 2021-10-28 Lee Jin Seob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US11786055B2 (en) 2015-10-30 2023-10-1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US11805921B2 (en) 2020-06-19 2023-11-0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2498B2 (en) 2003-09-10 2008-01-29 The Ergo Baby Carrier, Inc. Baby carrier
SE533819C2 (sv) * 2009-04-24 2011-01-25 Babybjoern Ab Barnbärsele vars sittstöds bredd kan ändras.
US20140231473A1 (en) * 2013-02-21 2014-08-21 Tomy International, Inc. Baby carrier
CN105377085B (zh) 2013-03-13 2018-06-19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儿童载具
USD775815S1 (en) * 2014-10-01 2017-01-10 Hudlo Llc Skin-to-skin care garment
US9144322B2 (en) * 2013-12-11 2015-09-29 Infant Guard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fant stabilization
US9848713B2 (en) * 2014-01-10 2017-12-26 Gold, Inc. Convertible infant carrier
DE202014100614U1 (de) * 2014-02-12 2014-05-20 Cybex Gmbh Tragevorrichtung für ein Baby oder Kleinkind
DE202014002721U1 (de) * 2014-03-28 2014-06-23 Lewon Schaarschmidt Baby- und Kleinkindtrage
US9357852B2 (en) * 2014-06-26 2016-06-07 Blue Box Opco Llc Infant carrier with expandable seat
USD755508S1 (en) * 2014-09-03 2016-05-10 Khai Gan Chuah Booster seat baby carrier
USD754965S1 (en) * 2014-09-09 2016-05-03 Sandra Cornelia Elisabeth Bottram—de Louwere Holder and carrier for an infant
USD748907S1 (en) * 2014-09-09 2016-02-09 Catherine Anna Figler Infant carrying garment
USD770166S1 (en) * 2014-09-09 2016-11-01 Catherine Anna Figler Infant carrying garment
USD783269S1 (en) * 2014-09-15 2017-04-11 We Made Me Ltd. Two shoulder baby carrier
US20160095401A1 (en) * 2014-10-02 2016-04-07 Nicholas A. Welihozkiy Convertible bag platform
US10045634B2 (en) * 2014-12-02 2018-08-14 Blue Box Opco Llc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US9314113B1 (en) * 2015-01-15 2016-04-19 Lisbeth Hals Lehan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US10271663B2 (en) * 2015-11-30 2019-04-30 Blue Box Opco Llc Infant carrier with cinchable sleeve seat adjustment
GB2547423B (en) * 2016-02-16 2021-04-21 Izmi Ltd Improvements in child carriers
US11058229B2 (en) 2016-12-29 2021-07-13 Blue Box Toy Factory Limited Expandable seat infant carrier
WO2018140570A1 (en) * 2017-01-25 2018-08-02 New Baby Tula LLC Child carrier with base width adjustment rail
US10555620B2 (en) 2017-02-10 2020-02-11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10264894B2 (en) 2017-02-10 2019-04-23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US11389011B2 (en) 2017-02-10 2022-07-19 The Boppy Company, Llc Newborn carrier
US10264895B2 (en) 2017-02-22 2019-04-23 Kolcraft Enterprises, Inc. Adjustable child carriers
US10441091B2 (en) 2017-09-11 2019-10-15 Blue Box Toy Factory Limited Ergonomic outfacing carrier
DE102017120964A1 (de) 2017-09-11 2019-03-14 Schachtner Vermögensverwaltungs Gmbh & Co. Kg Tragevorrichtung für Babys oder Kleinkinder
CA3128184A1 (en) 2018-04-19 2019-10-19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carrier
CN110384365A (zh) * 2018-04-19 2019-10-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抱婴带
US10939744B2 (en) * 2018-04-29 2021-03-09 Sak Labs LLC Convertible infant carrier backpack system
JP2022509189A (ja) 2018-11-26 2022-01-20 ザ エルゴ ベビー キャ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向上された移動の自由度を伴う調節可能チャイルドキャリア
USD882244S1 (en) 2018-12-28 2020-04-28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D871766S1 (en) 2019-04-17 2020-01-07 BabyPreferred LLC Drool pad and bib for child carrier
US11382438B2 (en) 2019-07-05 2022-07-12 Khai Gan Chuah Baby seat carrier
USD910309S1 (en) 2019-07-24 2021-02-16 The Boppy Company, Llc Component for baby carrier
USD940451S1 (en) 2020-01-03 2022-01-11 Khai Gan Chuah Hip carrier
USD975993S1 (en) * 2020-09-17 2023-01-24 BabyBjörn AB Front piece of a baby carrier
USD1010305S1 (en) 2020-12-18 2024-01-09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GB2623381A (en) * 2022-12-15 2024-04-17 Cari Fit Ltd A baby carrie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98B1 (ko) * 2003-10-07 2005-07-25 백남일 배낭용 가슴멜방의 승강장치
KR20100017379A (ko) * 2007-04-27 2010-02-16 페트라 샤흐트너 운반 장치
KR20110001726U (ko) * 2009-08-13 2011-02-21 이진섭 사계절용 아기 포대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764A (en) * 1975-08-28 1977-07-26 Emanuel Almosnino Child carrier
US4402440A (en) * 1981-05-22 1983-09-06 Patricia K. Purtzer Infant carrier
US5704530A (en) * 1996-03-11 1998-01-06 American Recreation Products, Inc. Backpack with adjustable shoulder harness
EP1680989A1 (en) * 2003-10-20 2006-07-19 Combi Corporation Baby band
SE530395C2 (sv) * 2006-10-05 2008-05-20 Baby Bjoern Ab Barnbäranord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98B1 (ko) * 2003-10-07 2005-07-25 백남일 배낭용 가슴멜방의 승강장치
KR20100017379A (ko) * 2007-04-27 2010-02-16 페트라 샤흐트너 운반 장치
KR20110001726U (ko) * 2009-08-13 2011-02-21 이진섭 사계절용 아기 포대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6055B2 (en) 2015-10-30 2023-10-1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KR20190077019A (ko) * 2016-10-28 2019-07-02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다중 운반 배향을 갖는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KR102479617B1 (ko) 2016-10-28 2022-12-20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다중 운반 배향을 갖는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US11684175B2 (en) 2016-10-28 2023-06-2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WO2021215613A1 (ko) * 2020-04-22 2021-10-28 Lee Jin Seob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20210130370A (ko) * 2020-04-22 2021-11-01 이진섭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102392453B1 (ko) * 2020-04-22 2022-04-28 이진섭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US11805921B2 (en) 2020-06-19 2023-11-0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11882943B2 (en) 2020-06-19 2024-01-30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53894B2 (en) 2013-06-04
US20120298702A1 (en)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560B1 (ko) 영유아 겸용 캐리어
AU2008249011B2 (en) Carrying device
JP4772498B2 (ja) スリング式子守帯
US20140319189A1 (en) Child carrier
US20140284361A1 (en)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US3536067A (en) Garment for infants
US10716411B2 (en) Adaptable child carrier system
JP2014176493A (ja) 子守帯
KR101276403B1 (ko) 영유아 겸용 캐리어
NL2008730C2 (en) Child carrier.
CN207220454U (zh) 用于婴幼儿坐躺的一体化多功能出行包
JP5902265B1 (ja) 子守帯
JP4772499B2 (ja) スリング式子守帯
KR200491567Y1 (ko) 접이식 방석을 갖는 아기용 포대기
JP2007111491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KR200483267Y1 (ko) M형 자세 유지를 위한 유아용 아기띠
JP2007111495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95937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KR20070033250A (ko) 슬링식 아기띠
JP2007111484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86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85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93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87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JP2007111494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