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57895A1 -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57895A1
WO2017057895A1 PCT/KR2016/010835 KR2016010835W WO2017057895A1 WO 2017057895 A1 WO2017057895 A1 WO 2017057895A1 KR 2016010835 W KR2016010835 W KR 2016010835W WO 2017057895 A1 WO2017057895 A1 WO 20170578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lt
infant
armrest
carrier structur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8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루스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루스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루스벤
Publication of WO20170578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578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armrest carrie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ant armrest carrier structure that can be held while comfortably and stably supporting an infant in a state in which one arm is bent at right angles by one shoulder belt. will be.
  • the baggage is suitable to hold the infant to the user's chest or walking on the back for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infant before going out before the first stone that can not yet walk around 100 days.
  • the conventional general bag is composed of a back plate supporting the torso of the infant, a shoulder bel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and a waist band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ck plate, when using the wrapper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guardian is to hold the infant with both arms It has less strength than holding, and the guardian can use both arms freely, and it can be used even when the infant is sleeping.
  • the weight of the infant is most transmitted to the shoulder of the guardian through the shoulder belt, as well as holding or up the infant according to the posture, the guardian is tilted or leaned to maintain the balance as a result of the guardian Not only did he have a problem with his spine, but it was also very uncomfortable to wear.
  • the baby belt hip sheet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2354 (registration date 2012.8.31) has been proposed, but the baby belt hip sheet has a waist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in which the support is built so that the infant can sit.
  • the baby belt hip sheet has a waist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in which the support is built so that the infant can sit.
  • the waistband with a buckle to be worn on the guardian's waist the infant's weight can be easily held or lowered by simply seating the infant on the seat.
  • As it is delivered to the pelvis has the advantage that a large crowd does not act on the spine of the protector.
  • the conventional baby band hip sheet is supported on the waist using the waist band, the deflection pressure of the seat par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infan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aist band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reby giving a large crowd on the waist and pelvis. Because the guardian can not support the infant stably and comfortably when wearing the hip sheet for a long time, the seating state of the infant is unstable, as well as the protector was not free to act due to back or pelvic pain.
  • the guardian in order to prevent the fall of the infant sitting on the seat portion, the guardian should hold or support the lower back of the infant at a right angle according to his will, so that the pain of elbow or wrist is severe. There was also.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existing problems, to provide an infant armrest carrier structure that can gently hold the infant while sitting comfortably and stable on one forearm.
  • An infant armrest carrier structure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armrest body worn on the forearm so as to hold the infant with one arm in a state bent at right angles from the elbow, the elbow portion of the armrest body One sid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lt is connected by the sewn on the length adjustment, the wrist portion of the armrest body and the second connection bell is detachably connected by the Velcro,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belt and the second connecting belt Removab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the second buckle via the first and second buckle respectively, the shoulder belt for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infant weighted to the armrest body to be distributed to the shoulder of the guardian,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body seated infant It consists of a chair that protects the arm and protects the hips while protecting the hips And a gong.
  • the armres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fiber material with a built-in cushion.
  • the armrest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fold lin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support the lower arm of the protector while wrapping the upper half in the shape of an open semicircle. And an inclined extension from the elbow to the upper arm with respect to one end of the lower arm support,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belt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elbow portion of the protector to minimize pressure, respectively, with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belt.
  • a sewn elbow support portion and a wrist support detachably connected by a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elt and a Velcro to protect the wrist portion of the protector so as to exten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ris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arm suppor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wealth.
  • the fixing belt portion is folded in half and both ends are sewn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one side of the arm support body,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portion via a connecting ring And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shoulder belt detachably via the first buckle to adjust the length.
  • the second connecting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wn to secure the belt portion wrapp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portion via a connecting ring and the other end is adjustable in length.
  • the second end buckl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belt.
  • the shoulder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able in length and is worn in a cross manner on one shoulder of the protector, one end is connected via one side end and the connection ring of the main belt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A first auxiliary belt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elt via a first buckl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elt by a connecting ring,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elt to the second buckle;
  • the second auxiliary belt is connected to,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sition fixing belt worn to pass under the protector's armpit.
  •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material is made of a fiber material therein.
  •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plate and the backrest are formed so that the infant can si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plate and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rmrest body are detachably connect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buckle.
  • the armrest body and the first connection belt and the second connection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nnected to include a seatbelt to support the waist of the infant to prevent the infant seated on the armrest body falling back. It is characterized by.
  • the seat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ee (T), the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surround the waist of the infant in the center thereof,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elt and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belt, the vertica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or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lower center of the armrest body in the width direction.
  • T tee
  • the infant armrest carri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houlder belt to be worn on one shoulder, and an armrest body supported on the shoulder belt to bend the elbow at a right angle while being worn on one forearm. The effect is that you can gently hug while sitting.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mres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mres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armrest body and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 4 and 5 are front and rear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or is wearing the armres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holding the infant by the armres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seat belt is applied to the armres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fant armrest carri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rest body 10 to be worn on the forearm so as to hold the infant with one arm in a state bent at right angles from the elbow, and one end of the elbow portion of the armrest body 10
  • a first connection belt 20 connected to be adjusted by length
  • a second connection belt 30 connected to the wrist portion of the arm support body 10 and a detachable by Velcro 40, and adjustable in length
  • the first The weight of the infant weighted to the armrest body 1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upper portions of the connecting belt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lt 30 via the first and second buckles 50 and 52.
  • the armrest body 10 And the first connecting belt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lt 30 is detachably connected via a seat belt 80 to support the waist of the infant to prevent the infant seated on the armrest body 10 falls backwards Consists of
  • the armrest body 10 is made of a fiber material with a cushion material, such as cotton, urethane, sponges therein, and is fixed along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lower arm of the protector in a semicircle with an upper opening while supporting the lower arm.
  • a cushion material such as cotton, urethane, sponges therein
  • the lower arm support 12 having a plurality of fold lin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intervals,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elbow to the upper arm with respect to one side end of the lower arm support 12 is the first connecting belt (20) )
  • the first connecting belt 20 is folded in half,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fixed belt part 22 which is sewn on abutment to both ends of the arm support body 10,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part 22. Is connected via a ring 24 and the other end is made of a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26 is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shoulder belt 60 and detachably connected via the first buckle (50).
  • the second connecting belt 30 has a fixing belt part 32 sewn to wrap the velcro 40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belt 30 is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part 32 via a connecting ring 3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is made of a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3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belt 60 and detachably connected via the second buckle 52 to adjust the length.
  • the Velcro 40 is a pair of male and femal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rist support portion 16 of the armrest body 10 sid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belt portion 32 of the second connecting belt 30 side by a pair of male and female. consist of.
  • the first buckle 50 is composed of a male and female pai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lt 20 and the shoulder belt 60, the second buckle 52 is the second connecting belt 30 ) And a pair of male and female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belt (60).
  • the shoulder belt 60 has a main belt portion 62 which is adjustable in length and is worn in a cross manner on one shoulder of the protector, and one end of the shoulder belt 60 is connected to one side end of the main belt portion 62 and the connection ring 64a. And a first auxiliary belt 66a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elt 20 via the other end of the first buckle 50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elt part 62. A second auxiliary belt 66b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belt 3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belt 30 via the second buckle 52 and the other end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s 64a and 64b.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position fixing belt 68 is worn so as to pass under the protector's armpit.
  • the chair 70 is made of a fiber material with a cushion material, such as cotton, urethane, sponge, therein, the seat plate 72 and the backrest 74 is formed so that the infant can sit, the inside of the seat plate 72 At the end and the outer end, the cover 76 is fixed by stitching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late 72 and the boundary of the armrest body 10, and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plate 7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body 10.
  •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detachably connect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buckle 90.
  • the left and right pair of buckle 90 is a pair of male and female on both ends of the fixing belt 92 is sewn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 of the lower arm support portion 12 of the armrest body 10 side.
  • One and one pair of male and female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92 with respect to both ends of the fixing belt 94 is sewn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70 side seat plate 72 is adjusted;
  • One of the male and female pairs is connected to be detachably attached.
  • the seat belt 8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ee (T), the horizontal portion 82 is formed in a ring shap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wrap the waist of the infant in the center thereof,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It is connected to the fixing belt portion 32 of the belt 30 and the fixing belt portion 22 of the first connecting belt 20, respectively, the vertical portion 84 of the lower arm supporting portion (side) The upper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ortion 82 while passing through the lower center of 12) in the width direction.
  • T tee
  • the right arm to the space between the main belt portion 62 and the position fixing belt 68 of the shoulder belt 60 in a state as shown in FIG.
  • the shoulder belt 60 is worn like a cross pack.
  • the fixing belt 92 is sewn on the lower arm supporting portion 12 side of the armrest body 10
  • the fixing belt 94 is adjustable in the seat plate 72 side of the chair 70 is sewn
  • the ends of the fixing belts 92 and 94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air of male and female buckle 90
  • the lower armrest 12 of the armrest body 10 and the seat plate of the chair 70 The space provided between the 72 can be tighte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orearm of the guardian.
  • This tightening structure can maintain a secure fit by minimizing the combination of the armrest body 10 and the chair 70 is detached or easily rotated from the forearm of the protector.
  • the length of the armrest body 10 can be adjusted by the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26, 36 of the first connecting belt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lt 30 side to suit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protector.
  • the position fixing belt 68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rings 64a and 64b of the shoulder belt 60 is structured to pass under the protector's armpit, the shoulder belt 60 is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shoulder. It can keep a stable fit while minimizing the thing.
  • armrest carrier consisting of the armrest body 10,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elts 20, 30, the velcro 40, the first and second buckle 50, 52, shoulder belt 60 Since the structure of connecting the shoulder and one arm of the protector as shown in Figures 4 and 5 can be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elbow is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elbow, the chair 70 connected to the armrest body 10 Sitting the infant will be able to hold the infant stable and comfortable as shown in FIG.
  • the guardian's arm is supported by the armrest body 10 to form a right angle, and the infant can sit on the chair 70 connected to the armrest body 10, even if the infant is sitting for a long time. Not only can the arm be prevented from sagging, but the cushion material filled in the seat plate 72 of the chair 70 can protect the infant's hip as well as the guardian's arm.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applied to the claims Must see
  • arm support body 12 lower arm support 14: elbow support
  • connection ring 26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30: the first connection belt
  • connection ring 36 length adjustment belt portion
  • 60 shoulder belt 62: main belt portion 64a, 64b: connection ring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는, 팔꿈치로부터 직각으로 굽힌 상태에서 한쪽 팔로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팔뚝에 착용되는 팔받침 몸체와, 상기 팔받침 몸체의 팔꿈치 부분에 일측단이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1 연결벨트와, 상기 팔받침 몸체의 손목 부분과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2 연결벨와, 상기 제1 연결벨트와 제2 연결벨트의 상단에 제1 및 제2 버클을 매개로 각각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팔받침 몸체에 가중되는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어깨로 분산되도록 지지하는 어깨벨트와, 상기 팔받침 몸체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시 엉덩이를 보호 및 쿠션감을 줌과 동시에 보호자의 팔을 보호하는 의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아를 한쪽 팔뚝에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앉히면서 부드럽게 안을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본 발명은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쪽 어깨벨트에 의해 한쪽 팔을 직각으로 구부러지게 지지한 상태에서 유아를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받쳐주면서 안을 수 있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백일을 전후해서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첫돌 이전의 유아들의 외출시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들을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포대기는 유아의 몸통을 받쳐주는 등판과 상기 등판의 양측에 형성한 어깨벨트 및 등판의 하단에 형성한 허리밴드로 구성되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포대기를 사용할 경우 보호자가 양팔로 유아를 안는 것에 비하여 힘이 적게 들고, 보호자가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가 수면중일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대기의 경우 유아의 체중이 어깨벨트를 통하여 보호자의 어깨로 대부분 전달됨은 물론이고, 유아를 안거나 업는 자세에 따라 보호자가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체를 젖히거나 숙이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호자의 척추에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착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 또한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내지 골반에 전달되도록 하되 간편하게 아이를 안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로서 일명 '힙시트'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종래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2354호(등록일자 2012.8.31)의 아기띠 힙 시트가 제안되어 왔으나, 이러한 아기띠 힙시트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물을 내장한 시트부의 양측에 허리버클을 갖는 허리밴드를 형성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함으로써 상기 시트부에 유아를 착석시키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유아를 안거나 또는 내릴 수 있음은 물론 유아의 체중이 시트부에 및 허리밴드를 통하여 보호자의 허리 내지 골반에 전달됨에 따라 보호자의 척추에는 큰 무리가 작용하지 않도록 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아기띠 힙시트는 허리밴드를 이용하는 허리에 지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시 유아의 체중에 따른 시트부의 처짐 압력이 허리밴드에 직접 전달되어 허리와 골반에 큰 무리를 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보호자가 힙시트를 오래동안 착용시 유아를 안정감있고 편안하게 받쳐줄 수 없으므로 유아의 착석상태가 불안정하게 됨은 물론 보호자는 허리 내지 골반 통증으로 행동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트부에 앉은 유아의 낙상 사고를 방지하도록 보호자가 본인 의지에 따라 한쪽 팔을 직각으로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아의 허리를 안아주거나 받쳐주여야 하기 때문에 팔꿈치나 손목 등에 심한 통증이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유아를 한쪽 팔뚝에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앉히면서 부드럽게 안을 수 있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는, 팔꿈치로부터 직각으로 굽힌 상태에서 한쪽 팔로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팔뚝에 착용되는 팔받침 몸체와, 상기 팔받침 몸체의 팔꿈치 부분에 일 측단이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1 연결벨트와, 상기 팔받침 몸체의 손목 부분과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2 연결벨와, 상기 제1 연결벨트와 제2 연결벨트의 상단에 제1 및 제2 버클을 매개로 각각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팔받침 몸체에 가중되는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어깨로 분산되도록 지지하는 어깨벨트와, 상기 팔받침 몸체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시 엉덩이를 보호 및 쿠션감을 줌과 동시에 보호자의 팔을 보호하는 의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팔받침 몸체는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된 섬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팔받침 몸체는, 보호자의 아래팔 하부를 받쳐주면서 상부가 개구된 반원모양으로 감싸주도록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접힘선이 형성된 아래팔 받침부와, 상기 아래팔 받침부의 일측단에 대해 팔꿈치에서 위팔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벨트가 보호자의 팔꿈치 부분 안쪽과 바깥쪽에 닿아 압박감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제1 연결벨트의 하부 양단과 각각 박음질된 팔꿈치 받침부와, 상기 아래팔 받침부의 타측단에 대해 손목 부분의 상부로 수직되게 연장 형성되어 보호자의 손목 부분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 연결벨트의 하부 양단과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된 손목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연결벨트는, 절반으로 접어서 그 양단이 상기 팔받침 몸체의 일측 양단에 맞닿아 박음질된 고정벨트부와, 일측단이 상기 고정 벨트부에 연결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길이조절 가능케 제1 버클을 매개로 상기 어깨벨트의 일측단과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는 길이조절벨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연결벨트는 상기 벨크로를 원형링 모양으로 감싸도록 박음질된 고정벨트부와, 일측단이 상기 고정벨트부에 연결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길이조절 가능케 제2 버클을 매개로 상기 어깨벨트의 타측단과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는 길이조절벨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어깨벨트는, 길이조절 가능하면서 보호자의 한쪽 어깨에 크로스방식으로 착용되는 메인벨트부와, 일측단이 상기 메인벨트부의 일측단과 연결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1 버클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벨트와 연결되는 제1 보조벨트와, 일측단이 상기 메인벨트부의 타측단과 연결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2 버클을 매개로 상기 제2 연결벨트와 연결되는 제2 보조벨트와, 상기 연결링에 양단이 연결되어 보호자의 겨드랑이 밑을 통과하도록 착용되는 위치고정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의자는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된 섬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의자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좌판과 등받이가 형성된 것으로서, 그 좌판의 하부 좌우측과 상기 팔받침 몸체의 하부 좌우측이 좌우 한 쌍의 버클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팔받침 몸체와 제1 연결벨트 및 제2 연결벨트를 매개로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팔받침 몸체에 착석한 유아가 뒤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아의 허리를 받쳐주는 안전벨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안전벨트는 티(T)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수평부는 그 중앙에 유아의 허리를 감싸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좌우 양단이 상기 제2 연결벨트의 일측과 제1 연결벨트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그 수직부는 상기 팔받침 몸체의 하부 중앙을 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부 양단이 상기 수평부의 중앙과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는, 한쪽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벨트와, 한쪽 팔뚝에 착용되면서 팔꿈치를 직각으로 구부러지도록 상기 어깨벨트에 지지되는 팔받침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아를 한쪽 팔뚝에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앉히면서 부드럽게 안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팔걸이식 캐리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팔걸이식 캐리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팔받침 몸체와 의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팔걸이식 캐리어를 보호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및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팔걸이식 캐리어에 의해 유아를 안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팔걸이식 캐리어에 안전벨트가 적용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는, 팔꿈치로부터 직각으로 굽힌 상태에서 한쪽 팔로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팔뚝에 착용되는 팔받침 몸체(10)와,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팔꿈치 부분에 일측단이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1 연결벨트(20)와,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손목 부분과 벨크로(40)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2 연결벨트(30)와, 상기 제1 연결벨트(20)와 제2 연결벨트(30)의 상단에 제1 및 제2 버클(50)(52)을 매개로 각각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팔받침 몸체(10)에 가중되는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어깨로 분산되도록 지지하는 어깨벨트(60)와,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시 엉덩이를 보호 및 쿠션감을 줌과 동시에 보호자의 팔을 보호하는 의자(70)와, 상기 팔받침 몸체(10)와 제1 연결벨트(20) 및 제2 연결벨트(30)를 매개로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팔받침 몸체(10)에 착석한 유아가 뒤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아의 허리를 받쳐주는 안전벨트(8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팔받침 몸체(10)는 내부에 솜, 우레탄, 스폰지 등의 쿠션재가 내장된 섬유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호자의 아래팔 하부를 받쳐주면서 상부가 개구된 반원모양으로 감싸주도록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접힘선이 형성된 아래팔 받침부(12)와, 상기 아래팔 받침부(12)의 일측단에 대해 팔꿈치에서 위팔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벨트(20)가 보호자의 팔꿈치 부분 안쪽과 바깥쪽에 닿아 압박감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제1 연결벨트(20)의 하부 양단과 각각 박음질된 팔꿈치 받침부(14)와, 상기 아래팔 받침부(12)의 타측단에 대해 손목 부분의 상부로 수직되게 연장 형성되어 보호자의 손목 부분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 연결벨트(30)의 하부 양단과 벨크로(40)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된 손목 받침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벨트(20)는, 절반으로 접어서 그 양단이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일측 양단에 맞닿아 박음질된 고정벨트부(22)와, 일측단이 상기 고정벨트부(22)에 연결링(24)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길이조절 가능케 제1 버클(50)을 매개로 상기 어깨벨트(60)의 일측단과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는 길이조절벨트부(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벨트(30)는 상기 벨크로(40)를 원형링 모양으로 감싸도록 박음질된 고정벨트부(32)와, 일측단이 상기 고정벨트부(32)에 연결링(34)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길이조절 가능케 제2 버클(52)을 매개로 상기 어깨벨트(60)의 타측단과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는 길이조절벨트부(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벨크로(40)는 상기 팔받침 몸체(10)측 손목 받침부(16)의 외면과 상기 제2 연결벨트(30)측 고정벨트부(32)의 내면에 각각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버클(50)은 상기 제1 연결벨트(20)와 어깨벨트(60)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버클(52)은 상기 제2 연결벨트(30)와 어깨벨트(60)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어깨벨트(60)는, 길이조절 가능하면서 보호자의 한쪽 어깨에 크로스방식으로 착용되는 메인벨트부(62)와, 일측단이 상기 메인벨트부(62)의 일측단과 연결링(64a)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1 버클(50)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벨트(20)와 연결되는 제1 보조벨트(66a)와, 일측단이 상기 메인벨트부(62)의 타측단과 연결링(64b)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2 버클(52)을 매개로 상기 제2 연결벨트(30)와 연결되는 제2 보조벨트(66b)와, 상기 연결링(64a)(64b)에 양단이 연결되어 보호자의 겨드랑이 밑을 통과하도록 착용되는 위치고정벨트(6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70)는 내부에 솜, 우레탄, 스폰지 등의 쿠션재가 내장된 섬유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좌판(72)과 등받이(74)가 형성되고, 그 좌판(72)의 안쪽단과 바깥단에는 좌판(72)의 하부와 팔받침 몸체(10)의 경계부분을 가려주도록 커버(76)가 박음질에 의해 고정되며, 그 좌판(72)의 하부 좌우측과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하부 좌우측은 좌우 한 쌍의 버클(90)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좌우 한 쌍의 버클(90)은 상기 팔받침 몸체(10)측 아래팔 받침부(12)의 하부 좌우측에 폭방향을 따라 각각 박음질되는 고정벨트(92)의 양단에 암수 한 쌍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의자(70)측 좌판(72)의 하부 좌우측에 폭방향을 따라 각각 박음질되어 길이조절되는 고정벨트(94)의 양단에 대해 상기 고정벨트(92)에 연결된 암수 한 쌍과 대응되게 탈부착되도록 암수 한 쌍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안전벨트(80)는 티(T)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수평부(82)는 그 중앙에 유아의 허리를 감싸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좌우 양단이 상기 제2 연결벨트(30)의 고정벨트부(32)와 제1 연결벨트(20)의 고정 벨트부(22)에 각각 연결되고, 그 수직부(84)는 상기 팔받침 몸체(10)측 아래팔 받침부(12)의 하부 중앙을 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부 양단이 상기 수평부(82)의 중앙과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티셔츠를 입듯이 오른팔을 어깨벨트(60)의 메인벨트부(62)와 위치고정벨트(68)의 사이측 공간으로 끼움과 동시에 어깨벨트(60)이 크로스팩 처럼 착용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왼쪽 팔뚝을 보호자의 가슴 아래로 향한 팔받침 몸체(10)의 아래팔 받침부(12)와 의자(70)의 좌판(72)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끼워 넣으면서 팔꿈치 받침부(14)에 팔꿈치 부분이 빠지지않도록 걸어줌과 동시에 손목부분이 불편하지 않도록 손목 받침부(16)에 걸어준다.
이때, 팔받침 몸체(10)의 아래팔 받침부(12)측에 고정벨트(92)가 박음질되고, 의자(70)의 좌판(72)측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고정벨트(94)가 박음질되며, 이들 고정벨트(92)(94)의 끝단은 암수 한 쌍의 버클(90)에 의해 서로 대응되게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팔받침 몸체(10)의 아래팔 받침부(12)와 의자(70)의 좌판(72)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보호자의 팔뚝 굵기에 맞추어 조여줄 수 있다. 이러한 조임 구조는 팔받침 몸체(10)와 의자(70)의 결합체가 보호자의 팔뚝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쉽게 회전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안전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 다.
또한, 팔받침 몸체(10)의 높이를 보호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제1 연결벨트(20)과 제2 연결벨트(30)측 길이조절벨트부(26)(36)에 의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깨벨트(60)의 연결링(64a)(64b)을 매개로 연결된 위치고정벨트(68)가 보호자의 겨드랑이 밑을 통과하도록 착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어깨벨트(60)가 어깨로부터 이탈되거나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안정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팔받침 몸체(10), 제1 및 제2 연결벨트(20)(30), 벨크로(40), 제1 및 제2 버클(50)(52), 어깨벨트(60)로 이루어진 팔걸이식 캐리어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보호자의 어깨와 한쪽 팔을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보호자의 왼팔은 팔꿈치가 직각되게 구부려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팔받침 몸체(10)에 연결된 의자(70)에 유아를 앉히면 도 6과 같이 유아를 안정되고 편안하게 안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보호자의 팔은 팔받침 몸체(10)에 받쳐져 직각을 이루도록 지지되고, 유아는 팔받침 몸체(10)에 연결된 의자(70)에 앉을 수 있기 때문에 유아를 장시간 앉더라도 유아의 체중에 의해 보호자의 팔이 처지려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70)의 좌판(72) 내부에 충전된 쿠션재에 의해 유아의 엉덩이는 물론 보호자의 팔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같이 안전벨트(80)를 설치할 경우 의자(70)에 착석한 유아가 뒤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받침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보호자의 왼쪽 손가락과 오른팔을 자유롭게 쓸 수 있기 때문에 유아를 돌보면서 스마트폰 조작은 물론 행동 반경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 : 팔받침 몸체 12 : 아래팔 받침부 14 : 팔꿈치 받침부
16 : 손목 받침부 20 : 제1 연결벨트 22 : 고정벨트부
24 : 연결링 26 : 길이조절벨트부 30 : 제1 연결벨트
32 : 고정벨트부 34 : 연결링 36 : 길이조절벨트부
40 : 벨크로 50 : 제1 버클 52 : 제1 버클
60 : 어깨벨트 62 : 메인벨트부 64a,64b : 연결링
66a,66b : 제1 및 제2 보조벨트 68 : 위치고정벨트 70 : 의자
72 : 좌판 74 : 등받이 76 : 커버 80 : 안전벨트
82 : 수평부 84 : 수직부 90 : 버클 92,94 : 고정벨트

Claims (10)

  1. 팔꿈치로부터 직각으로 굽힌 상태에서 한쪽 팔로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팔뚝에 착용되는 팔받침 몸체(10)와,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팔꿈치 부분에 일측단이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1 연결벨트(20)와,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손목 부분과 벨크로(40)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2 연결벨트(30)와, 상기 제1 연결벨트(20)와 제2 연결벨트(30)의 상단에 제1 및 제2 버클(50)(52)을 매개로 각각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팔받침 몸체(10)에 가중되는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어깨로 분산되도록 지지하는 어깨벨트(60)와,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시 엉덩이를 보호 및 쿠션감을 줌과 동시에 보호자의 팔을 보호하는 의자(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 몸체(10)는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된 섬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 몸체(10)는, 보호자의 아래팔 하부를 받쳐주면서 상부가 개구된 반원모양으로 감싸주도록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접힘선이 형성된 아래팔 받침부(12)와, 상기 아래팔 받침부(12)의 일측단에 대해 팔꿈치에서 위팔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벨트(20)가 보호자의 팔꿈치 부분 안쪽과 바깥쪽에 닿아 압박감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제1 연결벨트(20)의 하부 양단과 각각 박음질된 팔꿈치 받침부(14)와, 상기 아래팔 받침부(12)의 타측단에 대해 손목 부분의 상부로 수직되게 연장 형성되어 보호자의 손목 부분을 보호하도록 상기 제2 연결벨트(30)의 하부 양단과 벨크로(40)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된 손목 받침부(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벨트(20)는, 절반으로 접어서 그 양단이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일측 양단에 맞닿아 박음질된 고정벨트부(22)와, 일측단이 상기 고정벨트부(22)에 연결링(24)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길이조절 가능케 제1 버클(50)을 매개로 상기 어깨벨트(60)의 일측단과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는 길이조절벨트부(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벨트(30)는 상기 벨크로(40)를 원형링 모양으로 감싸도록 박음질된 고정벨트부(32)와, 일측단이 상기 고정벨트부(32)에 연결링(34)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길이조절 가능케 제2 버클(52)을 매개로 상기 어깨벨트(60)의 타측단과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는 길이조절벨트부(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벨트(60)는, 길이조절 가능하면서 보호자의 한쪽 어깨에 크로스방식으로 착용되는 메인벨트부(62)와, 일측단이 상기 메인벨트부(62)의 일측단과 연결링(64a)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1 버클(50)을 매개로 상기 제1 연결벨트(20)와 연결되는 제1 보조벨트(66a)와, 일측단이 상기 메인벨트부(62)의 타측단과 연결링(64b)을 매개로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2 버클(52)을 매개로 상기 제2 연결벨트(30)와 연결되는 제2 보조벨트(66b)와, 상기 연결링(64a)(64b)에 양단이 연결되어 보호자의 겨드랑이 밑을 통과하도록 착용되는 위치고정벨트(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자(70)는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된 섬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자(70)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좌판(72)과 등받이(74)가 형성된 것으로서, 그 좌판(72)의 하부 좌우측과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하부 좌우측이 좌우 한 쌍의 버클(90)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 몸체(10)와 제1 연결벨트(20) 및 제2 연결벨트(30)를 매개로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팔받침 몸체(10)에 착석한 유아가 뒤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아의 허리를 받쳐주는 안전벨트(8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80)는 티(T)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수평부(82)는 그 중앙에 유아의 허리를 감싸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좌우 양단이 상기 제2 연결벨트(30)의 일측과 제1 연결벨트(2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그 수직부(84)는 상기 팔받침 몸체(10)의 하부 중앙을 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부 양단이 상기 수평부(82)의 중앙과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PCT/KR2016/010835 2015-06-22 2016-09-28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WO20170578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88555 2015-06-22
KR10-2015-0137386 2015-09-30
KR1020150137386A KR20160150567A (ko) 2015-06-22 2015-09-30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7895A1 true WO2017057895A1 (ko) 2017-04-06

Family

ID=5773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0835 WO2017057895A1 (ko) 2015-06-22 2016-09-28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50567A (ko)
WO (1) WO201705789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2480A1 (pt) * 2017-06-19 2018-12-27 Leonetti Felipe De Barros Suporte de braço para carregar bebê
CN111557493A (zh) * 2020-05-09 2020-08-21 吴洁 一种基于医疗防护用成人手臂防护装置
CN111669994A (zh) * 2017-12-06 2020-09-15 茵诺维特产品有限公司 哺乳吊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05B1 (ko) * 2018-10-12 2020-05-27 제병곤 팔걸이식 유아용 아기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37U (ko) * 1999-03-22 2000-10-25 김이형 아기띠
KR20110022794A (ko) * 2009-08-28 2011-03-08 정연주 유아 캐리어
US8418897B1 (en) * 2012-08-27 2013-04-16 Anthony Young Body worn child carrier
KR20140050139A (ko) * 2012-10-17 2014-04-29 김관영 유아용 캐리어
KR200473627Y1 (ko) * 2013-01-08 2014-07-15 김기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37U (ko) * 1999-03-22 2000-10-25 김이형 아기띠
KR20110022794A (ko) * 2009-08-28 2011-03-08 정연주 유아 캐리어
US8418897B1 (en) * 2012-08-27 2013-04-16 Anthony Young Body worn child carrier
KR20140050139A (ko) * 2012-10-17 2014-04-29 김관영 유아용 캐리어
KR200473627Y1 (ko) * 2013-01-08 2014-07-15 김기준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2480A1 (pt) * 2017-06-19 2018-12-27 Leonetti Felipe De Barros Suporte de braço para carregar bebê
CN110799067A (zh) * 2017-06-19 2020-02-14 费莉佩·德巴罗斯·莱奥内蒂 用于携带婴儿的手臂支撑件
CN111669994A (zh) * 2017-12-06 2020-09-15 茵诺维特产品有限公司 哺乳吊枕
CN111557493A (zh) * 2020-05-09 2020-08-21 吴洁 一种基于医疗防护用成人手臂防护装置
CN111557493B (zh) * 2020-05-09 2022-01-25 杜德勇 一种基于医疗防护用成人手臂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67A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7895A1 (ko)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
ES2540812T3 (es) Pieza de inserción para bebés para un portabebés
EP0311004B1 (en) Upper torso garment with integral back support
AU2011247834B2 (en) Child carrier
WO2011071441A1 (en) Child carrying device
WO2015080363A1 (en) Hip seat carrier set
KR101359888B1 (ko) 힙시트캐리어
WO2019009493A1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81152Y1 (ko) 유아용 캐리어
WO2019146810A1 (ko) 영아용 속싸개
US20020011503A1 (en) Baby carrier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US5183194A (en) Garment weight transfer apparatus
KR102377913B1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US7669743B2 (en) Adjustable infant carrier
KR20130003372U (ko) 유아용 아기띠
WO2016074511A1 (zh) 一种休闲护颈支架
US20210274952A1 (en) Five point harness accommodating wearable blanket
JP4652612B2 (ja) 背負い具
WO2021215613A1 (ko)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20160035495A (ko) 아기띠
TW201309239A (zh) 多功能嬰兒背乘載具
KR20220000089U (ko) 유아용 침구 겸 포대기
KR102115805B1 (ko) 팔걸이식 유아용 아기띠
US20230329452A1 (en) Nursing sling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20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9.07.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520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