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493B1 - 복대 겸용 벨트 - Google Patents

복대 겸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493B1
KR101751493B1 KR1020150152507A KR20150152507A KR101751493B1 KR 101751493 B1 KR101751493 B1 KR 101751493B1 KR 1020150152507 A KR1020150152507 A KR 1020150152507A KR 20150152507 A KR20150152507 A KR 20150152507A KR 101751493 B1 KR101751493 B1 KR 101751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torage
belt
storage member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668A (ko
Inventor
안문수
Original Assignee
안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문수 filed Critical 안문수
Priority to KR102015015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4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elbow, e.g. decubitus ulce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복대 겸용 벨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복대 겸용 벨트는, 신축성을 가지며, 하나 이상 연결되는 밴드부재와, 밴드부재가 허리,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밴드부재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결합부재와, 밴드부재에 구비되고, 열발생부재를 수용홈부에 수용하는 보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대 겸용 벨트{BELT WITH WAIST BAND}
본 발명은 복대 겸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부재에 보관부재를 형성하여 핫 팩등을 보관하여 허리 찜질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리하면서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일부가 피손될 때 부품 별로 구입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리부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허리가 굵은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는 복대 겸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대는 밴드를 여려겹으로 연결하여 허리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요추에 중심을 잡아줌으로써 허리 지지력을 강화시켜 허리를 보호하는 역할과, 비만으로 튀어나온 복부를 강제적으로 압박하여 복부 비만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복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고무실이 다수 가닥 연결되어 천 또는 가죽에 수용되고, 허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밴드와, 밴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이프와, 밴드의 타측에 구비되어 허리에 감싼 상태에서 제1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제2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한다.
그런데, 기존의 복대는 허리를 보호하는 기능만을 지닐 뿐, 다른 기능들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사용에 제한이 있다. 특히, 노약자분들이 복대를 이용하여 허리를 보호하지만, 허리에 찜질하기 위해 핫 팩 등을 복대에 부착하지 못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복대는 허리를 보호하는 기능만으로 사룡할 뿐, 바지를 허리에 고정하는 허리 벨트로 사용하지 못한다. 또한, 기존의 복대는 길이를 조절 기능이 없어 허리가 굵은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복대는 분리 기능이 없어 일부 파손시 일부를 구입할 수 없어 구입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4863(발명의 명칭: 복대, 2003.05.09: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밴드부재에 보관부재를 형성하여 핫 팩등을 보관하여 허리 찜질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리하면서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일부가 피손될 때 부품 별로 구입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리부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허리가 굵은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는 복대 겸용 벨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대 겸용 벨트는, 신축성을 가지며, 하나 이상 연결되는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가 허리,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밴드부재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에 구비되고, 열발생부재를 수용홈부에 수용하는 보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밴드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밴드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부재는 설치부재에 의해 상기 밴드부재에서 탈착되고,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밴드부재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1설치부재; 및 상기 보관부재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부재의 전측 혹은 후측에는 상기 보관부재의 수용홈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보조수용홈부를 갖는 보조보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부재는 상기 밴드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접어서 재봉하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는 2개 부위로 분리되고 분리부착부에 의해 탈부착되어 분리 및 길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착부는, 상기 밴드부재 중 2개로 분리된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제1부착부재; 상기 밴드부재 중 2개로 분리된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제2부착부재; 및 상기 제1부착부재와 상기 제2부착부재에 제3부착부재가 각각 탈부착되어 2개로 분리된 상기 밴드부재를 상호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보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관부재는 탈착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1탈착부재; 및 상기 제1탈착부재에 결합되고, 보관부재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보관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관부재는 상하측 가장자리가 재봉되고,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열발생부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3부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는, 밴드부재에 보관부재를 형성하여 핫 팩등을 보관하여 허리 찜질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리하면서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일부가 피손될 때 부품 별로 구입이 가능하여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리부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허리가 굵은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보관부재를 주름 방식으로 접어서 설치한 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보관부재를 탈착방식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분리부착부를 이용하여 밴드부재의 분리하거나 길이 조절하는 상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분리부착부의 연결부재에 보관부재를 구비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분리부착부의 보관부재가 측방향으로 형성된 상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보관부재를 주름 방식으로 접어서 설치한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보관부재를 탈착방식으로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분리부착부를 이용하여 밴드부재의 분리하거나 길이 조절하는 상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분리부착부의 연결부재에 보관부재를 구비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에서 분리부착부의 보관부재가 측방향으로 형성된 상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조립 및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대 겸용 벨트는, 밴드부재(100), 결합부재(200) 및 보관부재(300)를 포함한다.
밴드부재(100)는 신축성을 가지며, 하나 이상 나란하게 연결된다.
밴드부재(100)는 허리를 감싸 보호하는 의료 기능과 운동을 위한 스트레칭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탄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밴드부재(100)는 신축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밴드부재(100)는 1개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밴드부재(100)는 2개 이상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3개 또는 4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밴드부재(100)가 상하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밴드부재(100)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밴드부재(10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대겸용 벨트는 틈새를 통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여 통기성이 좋다. 이에 따라, 밴드부재(100)가 감싸지는 허리, 손목 또는 발목 부위에 땀으로 인한 땀 냄새를 줄일 수 있다.
밴드부재(100)는 어두운 장소에서 잘 보이도록 형광물질을 함유한 천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름철에 복대겸용 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도로를 걸어 다일 때, 형광물질의 밴드부재(100)로 인해 착용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차량으로부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밴드부재(100)에는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자석 또는 세라믹부재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부재(100)의 양단에는 허리에 감거나 운동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밴드부재(100)가 나란하게 복수 개 배치되는 경우 밴드부재(100)의 양단에서 잡을 수 있거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손잡이부(110)를 밴드부재(100)에 재봉 또는 접착을 통해 밴드부재(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도시하였으나, 손잡이부(110)는 중심부에 삽입구멍(112)을 형성하여 손가락을 삽입하여 감아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110)는 중심부 삽입구멍(112) 사이로 손을 삽입하거나, 손을 삽입한 후 감아주거나, 손으로 외측을 잡아주거나 잡아준 후 감싸는 방법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손잡이부(1100)에 손을 연결하여 허리에 감거나 스트레칭 운동시 사용할 수 있다.
밴드부재(100)에는 상하측으로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 상호 간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재(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재(120)는 다수 개의 밴드부재(100)의 너비만큼의 길이를 가지며, 직사각형, 마름모꼴, 정사각형 등의 형태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결합부재(200)는 밴드부재(100)가 허리, 손목, 팔꿈치 또는 발목을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밴드부재(100)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결합부재(200)는 밴드부재(10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210)와, 제1결합부재(210)에 결합되도록 밴드부재(10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재(210)는 암벨크로테이프 또는 숫벨크로테이프이고, 제2결합부재(220)는 숫벨크로테이프 또는 암벨크로테이프이다.
결합부재(200)는 벨크로테이프가 아닌 걸림후크, 걸림고리 또는 단추 등과 같이 다른 결합수단일 수 있다.
보관부재(300)는 밴드부재(100)에 구비되고, 열발생부재(50)를 수용홈부(310)에 수용하는 구성이다.
보관부재(300)는 밴드부재(100)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밴드부재(100)의 중심부를 포함하여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열발생부재(50)는 핫팩 및 찜질팩 등과 같이 허리, 손목, 팔꿈치 또는 발목 등에 열기를 제공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관부재(300)의 전측 혹은 후측에는 보관부재(300)의 수용홈부(310)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보조수용홈부(330)를 갖는 보조보관부재(3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보관부재(320)는 보관부재(300)의 일측에 천부재를 이중으로 겹치는 상태로 재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조보관부재(320)으,L 보조수용홈부(330)에는 보관부재(300)의 수용홈부(310)에 수용되는 열발생부재(50) 보다 작은 크기의 열발생부재(50)를 삽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보조보관부재(320)는 보관부재(300)의 중심부위를 수직으로 재봉함으로써 1/2 크기로 형성된다.
보관부재(300)는 천부재의 양측 면과 하측 면을 재봉함으로써, 밴드부재(100)와 사이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홈부(3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보관부재(300)는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설치 방식으로 밴드부재(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관부재(300)는 밴드부재(100)를 길이방향으로 접어서 재봉하므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밴드부재(100)의 중심부의 양측을 이중으로 접어서 후측의 접힌 부위를 전측의 평면부위와 재봉하여 재봉부(340)를 형성함으로써, 2개의 수용홈부(310)가 형성된다. 이 2개의 수용홈부(310)는 상하측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므로 열발생부재(50)를 상측 또는 하측에서 각각 삽입할 수 있다. 보관부재(300)는 밴드부재(100)의 재봉에 의해 형성되므로 자체 탄성력을 지니고 있어 열발생부재(50)를 삽입할 때, 탄성적으로 밀착 고정되게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관부재(300)는 설치부재(230)에 의해 밴드부재(100)에서 탈착될 수 있다.
설치부재(230)는 밴드부재(100)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1설치부재(240)와, 제1설치부재(240)에 결합되도록 보관부재(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설치부재(250)를 포함한다.
제1설치부재(240)는 암벨크로테이프 또는 숫벨크로테이프 이고, 제2설치부재(250)는 숫벨크로테이프 또는 암벨크로테이프이다.
설치부재(230)는 벨크로테이프가 아닌 걸림후크, 걸림고리 또는 단추 등과 같이 다른 결합수단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밴드부재(100)는 2개 부위로 분리되고 분리부착부(400)에 의해 탈부착되어 분리 및 길이 조절될 수 있다.
분리부착부(400)는 밴드부재(100) 중 2개로 분리된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제1부착부재(410)와, 밴드부재(100) 중 2개로 분리된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제2부착부재(420)와, 제1부착부재(410)와 제2부착부재(420)에 제3부착부재(430)가 각각 탈부착되어 2개로 분리된 밴드부재(100)를 상호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연결부재(44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440)는 설정 길이를 가지므로 2개로 분리된 밴드부재(100)의 부착부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는 효과를 지닌다.
예를 들어, 제1부착부재(410)와 제2부착부재(420)를 제3부착부재(430)의 중심부위로 모아서 부착하는 경우, 밴드부재(100)의 길이가 짧아지는 효과를 가지며, 제1부착부재(410)와 제2부착부재(420)를 제3부착부재(430)의 가장자리 부위로 벌려서 부착하는 경우, 밴드부재(100)의 길이가 길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분리부착부(400)를 이용하면 연결부재(440)를 통해 밴드부재(1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100)가 파손된 경우, 또 다른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100)를 구입하여 사용하므로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재(440)의 일측에는 보관부재(400)가 구비된다. 보관부재(300)는 탈착부재(450)에 의해 연결부재(440)에서 탈착된다.
탈착부재(450)는 연결부재(440)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1탈착부재(460)와, 제1탈착부재(460)에 결합되고, 보관부재(3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탈착부재(470)를 포함한다.
제1탈착부재(460)는 숫벨크로테이프 또는 암벨크로테이프이고, 제2탈착부재(470)는 암벨크로테이프 또는 숫벨크로테이프이다.
탈착부재(450)는 벨크로테이프가 아닌 걸림후크, 걸림고리 또는 단추 등과 같이 다른 결합수단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부재(440)의 내측에 보관부재(300)가 일체로 형성된다.
보관부재(300)는 상하측 가장자리가 재봉부(340)에 의해 재봉되고, 적어도 일측면에 열발생부재(50)를 수용하는 수용홈부(310)가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부(310)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므로 핫 팩 등의 열발생부재(50)를 측면에서 삽입할 수 있다.
연결부재(440)의 외측면에는 제3부착부재(430)가 일체로 형성되어 2개의 밴드부재(100)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1부착부재(410)와 제2부착부재(420)에 각각 탈부착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연결부재(440)는 네오프렌(neoprene) 재질의 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오프렌은 외부에 암벨크로테이프 역할을 하는 천 돌기가 다수 돌출되어 제3부착부재(430)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0 : 열발생부재 100 : 밴드부재
110 : 손잡이부 120 : 보강부재
200 : 결합부재 210 : 제1결합부재
220 : 제2결합부재 230 : 설치부재
240 : 제1설치부재 250 : 제2설치부재
300 : 보관부재 310 : 수용홈부
320 : 보조보관부재 330 : 보조수용홈부
340 : 재봉부 400 : 분리부착부
410 : 제1부착부재 420 : 제2부착부재
430 : 제3부착부재 440 : 연결부재
450 : 탈착부재 460 : 제1탈착부재
470 : 제2탈착부재

Claims (11)

  1. 신축성을 가지며, 하나 이상 연결되는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가 허리,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싼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밴드부재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밴드부재에 구비되고, 열발생부재를 수용홈부에 수용하는 보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재는 상기 밴드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접어 재봉하므로 형성되고,
    상기 보관부재는 상기 밴드부재의 중심부 양측을 이중으로 접어 후측의 접힌 부위를 전측의 평면부위와 재봉한 재봉부에 의해 2개의 수용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부는 상하측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발생부재를 상측 또는 하측에서 각각 삽입 장착하며,
    상기 보관부재는 상기 밴드부재의 재봉에 의해 형성되므로 자체 탄성력을 지니고 있어 상기 열발생부재의 삽입시 탄성적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겸용 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밴드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밴드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겸용 벨트.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재의 전측 혹은 후측에는 상기 보관부재의 수용홈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보조수용홈부를 갖는 보조보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겸용 벨트.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2개 부위로 분리되고 분리부착부에 의해 탈부착되어 분리 및 길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겸용 벨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착부는,
    상기 밴드부재 중 2개로 분리된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제1부착부재;
    상기 밴드부재 중 2개로 분리된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제2부착부재; 및
    상기 제1부착부재와 상기 제2부착부재에 제3부착부재가 각각 탈부착되어 2개로 분리된 상기 밴드부재를 상호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겸용 벨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보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겸용 벨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재는 탈착부재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겸용 벨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1탈착부재; 및
    상기 제1탈착부재에 결합되고, 보관부재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겸용 벨트.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에 상기 보관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관부재는 상하측 가장자리가 재봉되고,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열발생부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3부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대 겸용 벨트.
KR1020150152507A 2015-10-30 2015-10-30 복대 겸용 벨트 KR10175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507A KR101751493B1 (ko) 2015-10-30 2015-10-30 복대 겸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507A KR101751493B1 (ko) 2015-10-30 2015-10-30 복대 겸용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668A KR20170050668A (ko) 2017-05-11
KR101751493B1 true KR101751493B1 (ko) 2017-06-27

Family

ID=5874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507A KR101751493B1 (ko) 2015-10-30 2015-10-30 복대 겸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99Y1 (ko) * 2019-01-28 2019-06-12 (주)데르마 힙 시트 캐리어용 허리 밴드 구조체
CN112914834A (zh) * 2021-01-13 2021-06-08 李德祥 心内科理疗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563Y1 (ko) * 1996-12-17 1999-06-15 박대식 요대
KR200289171Y1 (ko) 2002-06-07 2002-09-13 유동훈 지압벨트
KR101320402B1 (ko) * 2011-08-10 2013-10-23 오세민 지속형 온열치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563Y1 (ko) * 1996-12-17 1999-06-15 박대식 요대
KR200289171Y1 (ko) 2002-06-07 2002-09-13 유동훈 지압벨트
KR101320402B1 (ko) * 2011-08-10 2013-10-23 오세민 지속형 온열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668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2520B2 (en) Lower-body garment having a secure waist assembly
US20200170307A1 (en) Athletic garment with integral cup assembly
US5333768A (en) Adjustable chest pouch
CA2607558C (en) Corset
KR200473627Y1 (ko)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장치
GB2476076A (en) Baby carrier with a pair of crossed slings
US9629400B2 (en) Athletic garment with integral cup assembly
KR200447518Y1 (ko) 유아용 아기띠
US20100088800A1 (en) Nursing cover
WO2014115179A1 (en) Improved mask
JP2001218779A (ja) 上半身用の姿勢矯正装着具
US20120210495A1 (en) Article of clothing with waist assembly
KR101751493B1 (ko) 복대 겸용 벨트
KR101751494B1 (ko) 벨트
JP2020527654A (ja) 頭部保護用エアバッグ
CN105555170B (zh) 背带
JP3167299U (ja) 伸縮ベルト付きバッグ
KR200482177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479899Y1 (ko)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CN216257811U (zh) 一种功能护胸
CN209734253U (zh) 一种坐姿矫正带
CN210056602U (zh) 一种便于折叠的护理包
KR100464185B1 (ko)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JP3165039U (ja) 股関節補助具用デザイン性カバー
KR200360237Y1 (ko) 아기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