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745Y1 - 자세교정용 벨트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745Y1
KR200448745Y1 KR2020080007536U KR20080007536U KR200448745Y1 KR 200448745 Y1 KR200448745 Y1 KR 200448745Y1 KR 2020080007536 U KR2020080007536 U KR 2020080007536U KR 20080007536 U KR20080007536 U KR 20080007536U KR 200448745 Y1 KR200448745 Y1 KR 200448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pport
knee
wais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614U (ko
Inventor
김상학
Original Assignee
김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학 filed Critical 김상학
Priority to KR2020080007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745Y1/ko
Priority to CN2009801210220A priority patent/CN102098989A/zh
Priority to US12/996,574 priority patent/US20110105972A1/en
Priority to PCT/KR2009/002586 priority patent/WO2009148225A2/ko
Publication of KR200900126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7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세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허리와 무릎을 감싸는 벨트의 인장력에 의해 요추부위를 압박하되 무릎측에 집중되던 응력을 분산하고, 벨트가 상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허벅지측에 또 다른 벨트 타입의 허벅지지지부를 구비한 자세교정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요추부위에 위치하여 압박하도록 형성된 허리가압패드와, 상기 허리가압패드로부터 고정 연결된 제1벨트와, 상기 제1벨트의 양끝 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허리지지부와; 사용자의 무릎부위에 위치하여 벨트를 지지하는 무릎지지패드와, 상기 무릎지지패드로부터 고정 연결된 제2벨트와, 상기 제2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벨트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무릎지지부와; 상기 제2벨트의 하부측으로 수직 연결된 제3벨트와, 신체의 허벅지 부위에 위치하며 제3벨트와 연결 고정된 허벅지지지패드와, 상기 제3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3벨트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허벅지지지부와; 상기의 좌ㆍ우측 제2벨트로부터 사용자 다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벨트와, 좌ㆍ우측에 형성된 제4벨트를 상호간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4벨트체결수단과, 제4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4벨트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세교정 벨트, 척추교정, 요추교정, 허리지지부, 무릎지지부, 허벅지지지부, 고정벨트, 원터치결합수단

Description

자세교정용 벨트 {Belt for posture rectify}
본 고안은 자세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앞으로 혹은 옆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신체에 착용하는 자세교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신체의 균형을 잡아주고 각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추 기관으로서, 몸의 기둥역할을 하여 몸무게를 지탱해주는 것은 물론, 뇌에서 우리 몸의 각 부위로 연결되는 신경이 집중되는 중추신경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척추가 나쁜 자세 등으로 인하여 전후 혹은 좌우로 휠 경우, 신체균형을 바로 잡을 수 없는 것은 물론, 척추가 둘러싸고 있는 중추신경에 압박을 가하여 각종 통증을 유발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고관절은 다리와 골반을 연결시키는 부분으로서 걷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관절이며,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고관절의 위치 및 각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을 때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고관절을 지지하는 인대 및 근육의 긴장이 풀어져 고관절이 쉽게 외전된다.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될 경우 외전된 고관절에 무리가 가중되어 골반이 벌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골격이 이상(異常) 변형·성장하는 것은 물론, 측만증, 허리디스크, 좌골신경통 등 치명적인 통증을 수반하는 질병에까지 이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고관절 및 척추의 이상에 따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은 수술이나 보조기구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으나, 종래에 사용된 방법들은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한 기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간편하고 쉽게 일상에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자세교정의 기본에 충실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의자 또는 바닥에 앉는 자세에서 허리와 무릎을 벨트로 연결하여 교정하는 다수의 자세 교정수단이 제안된 바 있다. 선출원된 요추교정용 벨트(출원번호 : 20-1998-0001858)가 그 예이다.
상기의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자세 교정용 벨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지지부(1)와, 무릎지지부(2)와, 벨트(3)로 구분되며, 무릎과 허리를 벨트로 감싸는 원리에 의해 허리를 압박 지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세 교정용 벨트는 허리와 무릎을 벨트로 연결 지지함에 있어 사용자의 무릎측에 인장응력이 집중되어 착용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기 힘들었다.
뿐만 아니라, 벨트의 사용중 무릎에 거치되는 무릎지지부(2)가 상부로 이탈 될 우려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사용자의 자세 교정상태가 흐트러져 벨트를 재착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반복되는 벨트 재착용 과정에 따른 불편함은 사용자가 자세 교정용 벨트의 사용 자체를 거부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릎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고, 무릎에 거치되는 무릎지지부가 상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허벅지측과 연결된 또 다른 벨트를 더 구비한 자세교정용 벨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요추부위에 위치하여 압박하도록 형성된 허리가압패드와, 상기 허리가압패드로부터 고정 연결된 제1벨트와, 상기 제1벨트의 양끝 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허리지지부와; 사용자의 무릎부위에 위치하여 벨트를 지지하는 무릎지지패드와, 상기 무릎지지패드로부터 고정 연결된 제2벨트와, 상기 제2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벨트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무릎지지부와; 상기 제2벨트의 하부측으로 수직 연결된 제3벨트와, 신체의 허벅지 부위에 위치하며 제3벨트와 연결 고정된 허벅지지지패드와, 상기 제3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3벨트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허벅지지지부와; 상기의 좌ㆍ우측 제2벨트로부터 사용자 다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벨트와, 좌ㆍ우측에 형성된 제4벨트를 상호간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4벨트체결수단과, 제4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4벨트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제1벨트에는 허리지지부의 탈부착이 간편하도록 원터치결합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허리지지부를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 고정하기 위해 고정벨트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벨트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 제5벨트와, 상기 제5벨트의 양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호간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5벨트체결수단과, 제5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5벨트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용 벨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의 무릎과 허리를 선회하며 연결된 벨트는 사용자의 요추부위를 압박하고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하부측에 구비된 허벅지지지부는 사용자의 무릎에 집중되던 응력을 분산하여 지지하는 효과도 있다.
셋째, 하부측에 구비된 허벅지지지부는 사용자의 무릎과 허리를 선회하며 연결된 벨트가 무릎 상부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 효과도 있다.
넷째,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체결된 고정벨트는 허리지지부가 사용자로부터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벨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용 벨트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자세교정용 벨트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허리의 요추부위와 무릎을 벨트로 연결함으로써 벨트의 인장력에 의해 요추부위를 압박하고 자세를 교정하되, 무릎측에 집중되던 응력을 분산하고, 벨트가 상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허벅지측에 또 다른 벨트 타입의 허벅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앉은 자세에서 요추를 압박 지지하는 자세교정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허리지지부(10)와, 무릎지지부(20)와, 허벅지지지부(30)와, 간격조절부(40)와, 고정벨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허리지지부(10)는 사용자의 요추부위에 위치하여 압박하도록 형성된 허리가압패드(12)와, 상기 허리가압패드(12)로부터 고정 연결된 제1벨트(11)와, 상기 제1벨트(11)의 양끝 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허리지지부(10)의 탈부착이 간편하도록 상기 제1벨트(11) 소정의 위치에는 원터치결합수단(14)이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벨트(11)는 사용자의 양측 옆구리와 요추부위를 선회하고 양 끝단은 사용자의 무릎을 향해 연장되는 것으로, 양 끝단에 형성된 연결고리(13)는 후술되는 무릎지지부(20)의 제2벨트(21)와 연결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허리지지부(1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각종 지압용 돌기가 포함된 다양한 구성의 허리가압패드(12)가 존재할 수 있으며, 허리가압패드(12)의 형태에 따라 구별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벨트(11)에 형성된 원터치결합수단(14)은 허리지지부(10)만을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허리지지부(10)의 교체 및 자세유지와 교정에 있어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릎지지부(20)는 사용자의 무릎부위에 위치하여 벨트를 지지하는 무릎지지패드(22)와, 상기 무릎지지패드(22)로부터 고정 연결된 제2벨트(21)와, 상기 제2벨트(21)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벨트길이조절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무릎지지부(20)는 좌ㆍ우측 무릎에 각각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무릎을 선회한 후 허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벨트(21)는 허리지지부(10)의 연결고리(13)에 관통 결합하는 연결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제2벨트(21)와 사용자의 무릎이 맞닿는 부위에는 무릎지지패드(22)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허리가압패드(12)와 무릎지지패드(22) 사이에는 제1벨트(11) 및 제2벨 트(21)가 상호 연결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의 제1,2벨트(11,21)를 통해 사용자의 무릎과 허리 요추부위를 압박함으로 잘못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허벅지지지부(30)는 무릎지지부(20)측에 집중되던 인장응력을 분산하고, 무릎과 허리를 연결하는 제1,2벨트(11,21)가 상부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제2벨트(21)의 하부측으로 수직 연결된 제3벨트(31)와, 신체의 허벅지 부위에 위치하며 제3벨트(31)와 연결 고정된 허벅지지지패드(32)와, 상기 제3벨트(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3벨트길이조절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허벅지지지부(30)는 좌ㆍ우측 무릎지지부(20)에 각각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제3벨트(31)가 사용자 허벅지의 하부측을 선회하며 연결되되 제3벨트(31)와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에는 허벅지지지패드(32)가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제3벨트길이조절부(33)는 공지된 기술에 의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 2에서 도시되는 제3벨트길이조절부(33)와 도 5에서 도시한 제3벨트길이조절부(33)는 각각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분 적용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벨트길이조절부(33)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의한 것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간격조절부(40)는 좌ㆍ우측 양 다리 사이의 벌어짐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마 련된 것으로, 상기의 좌ㆍ우측 제2벨트(21)로부터 사용자 다리의 내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4벨트(41)와, 좌ㆍ우측에 형성된 제4벨트(41)를 상호간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4벨트체결수단(42)과, 제4벨트(4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4벨트길이조절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벨트(50)는 허리지지부(10)를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구비된 제5벨트(51)와, 상기 제5벨트(51)의 양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호간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5벨트체결수단(52)과, 제5벨트(5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5벨트길이조절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제5벨트(51)는 제1벨트(11)와 함께 허리가압패드(12)측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벨트(50)는 자세교정시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자세를 제공하며, 원터치결합수단(14)을 이용해 제1벨트(11)를 분리시키더라도 허리지지부(10)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벨트는 허리를 둘러싸는 제1벨트(11)와 무릎을 둘러싸며 연장된 제2벨트(21)가 상호 연결되는 구성으로부터 허리의 요추부위를 무릎쪽으로 당겨 압박하는 것이며, 이로써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2벨트(21) 하부측에는 고리형상의 제3벨트(31)가 구비된 것으로 허벅지의 하부측을 선회하도록 형성된 제3벨트(31)는 무릎측에 집중되던 인 장응력을 허벅지측으로 분산함과 더불어 제1,2벨트(11,21)가 무릎 상부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으며, 제5벨트(51)를 이용해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며 체결됨은 허리지지부(10)의 고정과 함께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세교정용 벨트를 도시한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용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용 벨트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용 벨트를 도시한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용 벨트에 있어서 제3벨트길이조절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허리지지부 11 : 제1벨트
12 : 허리가압패드 13 : 연결고리
14 : 원터치결합수단 20 : 무릎지지부
21 : 제2벨트 22 : 무릎지지패드
23 : 제2벨트길이조절부 30 : 허벅지지지부
31 : 제3벨트 32 : 허벅지지지패드
33 : 제3벨트길이조절부 40 : 간격조절부
41 : 제4벨트 42 : 제4벨트체결수단
43 : 제4벨트길이조절부 50 : 고정벨트
51 : 제5벨트 52 : 제5벨트체결수단
53 : 제5벨트길이조절부

Claims (3)

  1. 사용자의 요추부위에 위치하여 압박하도록 형성된 허리가압패드(12)와, 상기 허리가압패드(12)로부터 고정 연결된 제1벨트(11)와, 상기 제1벨트(11)의 양끝 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13)를 포함하는 허리지지부(10)와;
    사용자의 무릎부위에 위치하여 벨트를 지지하는 무릎지지패드(22)와, 상기 무릎지지패드(22)로부터 고정 연결된 제2벨트(21)와, 상기 제2벨트(21)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벨트길이조절부(2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무릎지지부(20)와;
    상기 제2벨트(21)의 하부측으로 수직 연결된 제3벨트(31)와, 신체의 허벅지 부위에 위치하며 제3벨트(31)와 연결 고정된 허벅지지지패드(32)와, 상기 제3벨트(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3벨트길이조절부(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허벅지지지부(30)와;
    상기의 좌ㆍ우측 제2벨트(21)로부터 사용자 다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벨트(41)와, 좌ㆍ우측에 형성된 제4벨트(41)를 상호간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4벨트체결수단(42)과, 제4벨트(4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4벨트길이조절부(43)를 포함하는 간격조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벨트(11)에는 허리지지부(10)의 탈부착이 간편하도록 원터치결합수단(14)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벨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허리지지부(10)를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 고정하기 위해 고정벨트(5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벨트(50)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 제5벨트(51)와, 상기 제5벨트(51)의 양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호간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5벨트체결수단(52)과, 제5벨트(5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5벨트길이조절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벨트.
KR2020080007536U 2008-06-05 2008-06-05 자세교정용 벨트 KR200448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36U KR200448745Y1 (ko) 2008-06-05 2008-06-05 자세교정용 벨트
CN2009801210220A CN102098989A (zh) 2008-06-05 2009-05-15 姿势矫正挎带
US12/996,574 US20110105972A1 (en) 2008-06-05 2009-05-15 Belt for posture correction
PCT/KR2009/002586 WO2009148225A2 (ko) 2008-06-05 2009-05-15 자세교정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36U KR200448745Y1 (ko) 2008-06-05 2008-06-05 자세교정용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14U KR20090012614U (ko) 2009-12-09
KR200448745Y1 true KR200448745Y1 (ko) 2010-05-13

Family

ID=4139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536U KR200448745Y1 (ko) 2008-06-05 2008-06-05 자세교정용 벨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105972A1 (ko)
KR (1) KR200448745Y1 (ko)
CN (1) CN102098989A (ko)
WO (1) WO2009148225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84B1 (ko) * 2011-08-30 2014-03-07 오덕수 기능성 자세 교정기
KR101456897B1 (ko) 2013-09-09 2014-10-31 황유경 바른자세 유지용 벨트
KR101638288B1 (ko) * 2015-04-24 2016-07-08 이선일 척추 균형 조절밸트
KR20200029304A (ko)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아이원바이오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KR102290480B1 (ko) * 2021-01-26 2021-08-18 황윤진 허리 보호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747B1 (ko) 2013-06-28 2014-09-11 진광복 자세교정 의자
KR102623750B1 (ko) * 2021-11-24 2024-01-11 황윤성 좌전굴 교정 밴드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107U (ko) * 1998-02-13 1999-09-15 김용립 요추교정용 벨트
KR200309596Y1 (ko) 2003-01-14 2003-04-08 (주)코텍의료기 허리지지 벨트
JP2005074138A (ja) 2003-09-03 2005-03-24 Funao Kurosawa 座位補助具
KR20060017976A (ko) * 2004-08-23 2006-02-28 김태우 자세 교정용 복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5517A (en) * 1963-07-22 1967-01-03 Couvaris J Stevens Leg boosters to relieve body fatigue
US6083183A (en) * 1998-09-29 2000-07-04 Yang; Shyi-Mou Waistband device
JP2003116895A (ja) * 2001-10-16 2003-04-22 Mamoru Tonami 姿勢矯正骨盤ベル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107U (ko) * 1998-02-13 1999-09-15 김용립 요추교정용 벨트
KR200309596Y1 (ko) 2003-01-14 2003-04-08 (주)코텍의료기 허리지지 벨트
JP2005074138A (ja) 2003-09-03 2005-03-24 Funao Kurosawa 座位補助具
KR20060017976A (ko) * 2004-08-23 2006-02-28 김태우 자세 교정용 복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84B1 (ko) * 2011-08-30 2014-03-07 오덕수 기능성 자세 교정기
KR101456897B1 (ko) 2013-09-09 2014-10-31 황유경 바른자세 유지용 벨트
KR101638288B1 (ko) * 2015-04-24 2016-07-08 이선일 척추 균형 조절밸트
KR20200029304A (ko)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아이원바이오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KR102290480B1 (ko) * 2021-01-26 2021-08-18 황윤진 허리 보호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98989A (zh) 2011-06-15
US20110105972A1 (en) 2011-05-05
WO2009148225A3 (ko) 2010-03-04
KR20090012614U (ko) 2009-12-09
WO2009148225A2 (ko)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0206B2 (en) Body interface
KR200448745Y1 (ko) 자세교정용 벨트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US8382692B1 (en) Neck and spine support device for a neck in flexion
US7837639B2 (en)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KR20190068020A (ko)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
US6605052B1 (en) Corset
KR101369164B1 (ko) 자세교정용 보조기
KR101672860B1 (ko)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WO2018011952A1 (ja) 上半身補助器具、及び上半身補助方法
KR101097106B1 (ko)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KR20140091257A (ko) 편마비 환자용 상체 지지장치
KR200439676Y1 (ko) 골반교정 벨트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CN211067240U (zh) 一种足下垂矫正裤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KR101882877B1 (ko) 이탈방지형 보행 보조장치
JP2001104369A (ja) 腰痛治療用ガードル
JP3014829U (ja) 股関節部と腰椎部の緊縛ベルト
KR20190135812A (ko)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KR200240869Y1 (ko) 자세교정용 벨트
JP3243817U (ja) 体重負担を軽減する膝支持具
TWI763587B (zh) 胸腰椎矯具
KR20170003359U (ko) 척추 교정 벨트
JP2018007999A (ja) 腰痛施術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