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304A -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304A
KR20200029304A KR1020180107980A KR20180107980A KR20200029304A KR 20200029304 A KR20200029304 A KR 20200029304A KR 1020180107980 A KR1020180107980 A KR 1020180107980A KR 20180107980 A KR20180107980 A KR 20180107980A KR 20200029304 A KR20200029304 A KR 20200029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waist
strength
muscl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307B1 (ko
Inventor
서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원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원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원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107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3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양단에 신축성있는 어깨걸이밴드(101)가 구비되어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0)와, 상기 착용부재(100)에 결합되어 등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근력운동부재로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근력운동부재로는 착용부재(100)의 앞쪽에서 양단의 어깨걸이밴드(101) 사이를 조여 주는 결착밴드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인장 탄성을 가지는 인장운동부(110)와; 착용부재(100)의 등 부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압축 및 휨 탄성을 갖도록 만곡된 양쪽의 운동판(210) 사이를 압축 및 휨 탄성부(220)로 연결하여 된 압축 및 휨 운동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게 하고, 착용부재(100)의 허리 부위에는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로 휘어진 척추받침부(320)가 허리지지대(310) 중앙에서 위를 향해 탄성있게 동작하도록 구비된 허리근육 운동부재(300)를 근력운동부재로 설치하여, 착용부재(100)를 착용하면 사용자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인장탄성과 압축 및 휨 탄성에 의해 등과 허리 근육의 근력운동이 되면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Calibration device which combines strength training position}
본 발명은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상체에 착용하고 다니는 동안 수시로 가슴과 허리를 벌려주는 동작 및 허리를 굽혔다가 펴는 동작에 의해 약화된 등근육과 허리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잘못된 자세와 변형을 교정할 수 있는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쁜 자세의 원인은 활동량의 부족과 근육 사용의 불균형에 의해 자세 근육이 약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근육과 허리근육이 약한 사람은 자세의 불균형으로 인해 일상 생활을 할 때 등과 허리의 한쪽으로 무리한 힘이 가중되면서 자세가 점점 더 나빠지게 되고, 이로 인해 등이나 허리에 통증을 심하게 느끼게 된다.
상기 통증을 해결하기 위해 상체(어깨와 허리)에 착용하는 탄력벨트(허리벨트)나 허리보호대를 착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탄력벨트나 허리보호대는 단순히 가슴을 강하게 당겨주거나 허리를 조여주는 기능만이 있는 것으로서, 일시적으로 허리통증을 완화시켜주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등근육이나 허리근육의 근력강화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즉, 상기 탄력벨트나 허리보호대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자세 근육인 등근육과 허리근육 및 복근의 근력이 더 약해짐에 따라 자세가 점점 더 나빠지게 되고, 탄력벨트나 허리보호대를 착용하다가 이를 벗었을 때 약해진 등근육 및 허리근육으로 인해 부상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탄력벨트나 허리보호대로는 자세 교정의 효과는 얻지 못하였다.
이를 위해 자세 교정용 벨트로 개발된 것으로는 아래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41853호(1999.12.27.공개) "자세교정용 벨트"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48745호(2010.05.13.공고) "자세교정용 벨트"가 있다.(이하 '선행기술 1, 2라 칭함)
상기 선행기술 1은, 어깨걸이밴드와 허리밴드가 구비된 등받이의 배면 주머니에 굽어진 자세를 바르게 잡아주는 고정편을 수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등받이에 설치되는 고정편에는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자석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 1은 등받이의 주머니에 수직으로 끼워진 고정편이 등판에 단순 밀착되어 받쳐주면서 등이 굽어지려는 자세를 잡아주기만 하는 것이므로 등근육이나 허리근육을 강화하는 효과는 얻지 못하였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 2는, 허리와 무릎을 감싸는 벨트의 인장력에 의해 요추부위를 압박하되 무릎 측에 집중되던 응력을 분산하고, 벨트가 상부 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허벅지 측에 또 다른 벨트 타입의 허벅지 지지부를 구비한 자세교정용 벨트로서, 이는 허리지지부와 무릎지지부로 착용자의 허리와 무릎이 서로 당겨지도록 하여 요추부위를 압박하고 허리를 곧게 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선행기술 2 역시 허리를 당겨 받쳐주기만 할 뿐 허리 근육을 강화시켜 주지는 못하였으며, 특히 등쪽의 근력운동 및 자세 교정은 할 수 없어서 등근육을 강화시켜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41853호(1999.12.27.공개)의 '자세교정용 벨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48745호(2010.05.13.공고)의 '자세교정용 벨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에 착용하고 일상 생활을 하면서 수시로 어깨와 허리를 펴는 동작을 할 때마다 약화된 등근육과 허리근육의 근력이 강화되게 함으로서 근력운동과 함께 잘못된 자세와 변형을 교정할 수 있는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양단에 신축성 있는 어깨걸이밴드가 구비되어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에 결합되어 등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근력운동부재로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근력운동부재로는 착용부재의 앞쪽에서 양단의 어깨걸이밴드 사이를 조여주는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인장 탄성을 가지는 인장운동부와; 착용부재의 등부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압축 및 휨 탄성을 갖도록 만곡된 양쪽의 운동판 사이를 압축 및 휨 탄성부로 연결한 압축 및 휨 운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게 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양단에는 신축성있는 어깨걸이밴드가 구비되고, 하부 양단에는 신축성있는 허리밴드가 구비되며, 허리를 받쳐부는 부위에 허리운동부재포켓(130)이 구비되어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와, 상기 허리운동부재포켓에 설치되어 허리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근력운동부재로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근력운동부재로는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로 휘어진 척추받침부가 허리지지대 중앙에서 위를 향해 탄성있게 동작하도록 구비된 허리근육 운동부재로 구성하면 착용자가 허리근육의 근력운동을 하면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 달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착용부재를 상체에 착용하고 일상 생활을 하는 동안 수시로 가슴을 펴고 등근육을 조여주는 동작을 할 때마다 인장운동부 및 압축 및 휨 운동부와 허리근육 운동부재가 사용자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인장 탄성과 압축 및 휨 탄성을 발생하여 약화된 등근육과 허리근육의 근력을 단련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등과 허리 부위의 근력이 키워지면 어깨와 등 및 허리를 정상적으로 펴진 상태로 자연스럽게 이룰 수 있어서 등과 척추를 포함한 허리 부위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착용부재를 일례로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압축 및 휨 운동부와 압축 및 휨 탄성부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허리근육 운동부재만을 발췌하여 분리시킨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압축 및 휨 운동부가 펴진 등에 밀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압축 및 휨 운동부가 굽어진 등에 밀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압축 및 휨 운동부를 착용한 사용자가 등근육을 조이는 동작을 보인 뒷모습
도 6 은 본 발명의 허리근육 운동부재가 신체 허리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착용부재를 일례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압축 및 휨 운동부 일부와 압축 및 후미 탄성부를 발췌하여 분리시킨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허리근육 운동부재만을 발췌하여 분리시킨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은 앞쪽의 양단에 신축성있는 어깨걸이밴드(101)가 구비되어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0)와, 상기 착용부재(100)에 결합되어 등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근력운동부재로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착용부재(100)는 자세교정용 보호대로 구성하는 외에 상체에 착용 가능한 의류, 콜셋, 스포츠브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력운동부재는, 착용부재(100)의 앞 쪽에서 양단의 어깨걸이밴드(101) 사이를 조여주는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인장 탄성을 가지는 인장운동부(110)와; 착용부재(100)의 등부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압축 및 휨 탄성을 갖도록 만곡된 양쪽의 운동판(210) 사이를 압축 및 휨 탄성부(220)로 연결하여 된 압축 및 휨 운동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운동부(110)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만들어져서 착용부재(100) 양단의 어깨걸이밴드(101) 사이를 당겨서 연결하여 준다.
상기 착용부재(100)는 양단의 어깨걸이밴드(101) 사이를 연결하는 인장운동부(110)의 인장 탄성을 받아서 착용자의 상체에 최대한 밀착되어 착용자의 가슴을 펴는 동작에 저항하는 인장 탄성에 의해 등근육의 근력 운동이 되는 것이다.
상기 착용부재(100)의 등 부위에는 운동부재포켓(120)을 구비하고, 상기 운동부재포켓(120) 내부에는 압축 및 휨 탄성을 갖는 압축 및 휨 운동부(200)를 탈착 수납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압축 및 휨 운동부(200)는 양쪽 운동판(210)이 착용자의 등판 양쪽에 밀착되며, 양쪽 운동판(210) 사이에 설치된 판스프링 형태의 압축 및 휨 탄성부(220)에 의해 착용자가 등을 조이는 동작(retraction)에 저항력을 제공하므로 등근육의 근력 운동이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및 휨 탄성부(220)는 양단이 양쪽 운동판(210)에 일정 길이 삽입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외부로 노출된 부위)를 주름 형태로 구성하면 한 쪽이 근력 운동을 할 때 압축 탄성력이 매우 양호하게 작용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상기 어깨걸이밴드(101) 및 인장운동부(110)는 연결용 클립(10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축 및 휨 운동부(200)가 운동부재포켓(120)에 넣어진 착용부재(100)를 착용하면 압축 및 휨 운동부(200)는 도 4a 와 같이 착용자의 상체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도 4b 와 같이 굽은 등이라 하더라도 그 중앙의 정점 부위인 견갑골(날개뼈(scapula)) 사이는 다소 들어가 있으므로 상기 압축 및 휨 운동부(200)의 양쪽 운동판(21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압축 및 휨 탄성부(220)는 양쪽 견갑골 사이의 공간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가슴을 펴면 양쪽 어깨를 인장운동부(110)가 당겨주고 있어서 사용자의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인장 탄성을 받으면서 도 5 와 같이 등근육을 뒤로 조이게 되므로 등근육의 근력 운동이 된다.
또한 압축 및 휨 운동부(200)는 인체에 닿은 오목한 운동판(210)의 표면이 뒤로 조이는 등근육에 밀려 뒤로 휘어지면서 압축 및 휨 탄성부(220)를 압축시키게 되므로 사용자 동작에 대해 저항하여 등근육은 자연스럽게 근력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등근육에 뒤로 조이는 동작(retraction)을 할 때마다 등근육의 반복적인 근력 운동이 되는 것으로서, 착용자는 가슴을 항시 정 자세로 펴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자세가 바르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굽은 등 일수록 견갑골 사이가 넓으므로 상기 압축 및 휨 탄성부(220)는 일단 또는 양단이 운동판(210) 중에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삽입 조절되는 구조로 형성하면 신체조건에 따라 압축 및 휨 탄성부(220)의 일단 또는 양단을 양쪽 운동판(210)으로부터 알맞는 길이로 삽입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압축 및 휨 탄성부(220)의 일단 또는 양단에 다단의 걸림홈(221)을 구비하고, 양쪽 운동판(210) 중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221)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212)가 구비된 결합공(211)을 형성하여 압축 및 휨 탄성부(220)의 다단식 걸림홈(221) 중 어느 걸림홈이 결합공(211)의 걸림돌기(212)에 끼워지느냐에 따라 양쪽 운동판(2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즉, 어깨까 넓은 사람은 양쪽 운동판(210) 간의 간격을 넓게 조절하고, 어깨가 좁은 사람은 양쪽 운동판(210) 간의 간격을 좁게 조절하면 되므로 남녀노소 누구나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허리근육 운동부재가 신체 허리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은 상기 착용부재(100)의 허리를 받쳐주는 부위에 허리운동부재포켓(130)을 구비하고,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로 휘어진 척추받침부(320)가 허리지지대(310) 중앙에서 위를 향해 탄성있게 동작하도록 구비된 허리근육 운동부재(300)를 상기 허리운동부재포켓(130)에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허리근육 운동부재(300)는 근력운동부재인 인장운동부(110) 및 압축 및 휨 운동부(200)와 함께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단독으로 착용부재(100)에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재(100)를 착용하면 허리운동부재포켓(130)에 구비된 허리근육 운동부재(300)의 정상적 척추 형태로 휘어진 척추받침부(320)가 허리 부위의 척추에 밀착되면서 척추를 정상적 척추 형태로 받쳐 지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척추받침부(320)는 상당한 탄성력을 갖고 있으므로 착용자가 허리를 뒤로 젖힐 때마다 허리근육이 근력을 갖도록 반복하여 운동을 시켜주므로 허리근육의 근력운동과 자세 교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리근육 운동부재(300)는, 척추받침부(320)의 결합부위에 다단식 걸림홈(321)를 형성하고, 허리지지대(310)에는 상기 걸림홈(32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312)가 있는 결합공(311)을 형성하여 상기 척추받침부(320)가 허리지지대(310)의 결합공(311)에 타이트하게 탈착 조립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허리지지대(310)의 결합공(311)에 구비된 걸림돌기(312)가 허리근육 운동부재(300)의 다단식 걸림홈(321) 중 어느 걸림홈(321)에 끼워져 걸리는 위치에 따라 척추받침부(320)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허리근육 운동부재(300)의 척추받침부(320) 높이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0 : 착용부재 110 : 인장운동부
120 : 운동부재포켓 130 : 허리운동부재포켓
200 : 압축 및 휨 운동부 210 : 운동판
211,311 : 결합공 212,312 : 걸림돌기
220 : 압축 및 휨 탄성부 221,321 : 걸림홈
300 : 허리근육 운동부재 310 : 허리지지대
320 : 척추받침부

Claims (5)

  1. 양단에 신축성있는 어깨걸이밴드(101)가 구비되어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부재(100)와, 상기 착용부재(100)에 결합되어 등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근력운동부재로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근력운동부재는,
    착용부재(100)의 앞쪽에서 양단의 어깨걸이밴드(101) 사이를 조여주는 결착밴드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가슴을 펴는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인장 탄성을 가지는 인장운동부(110)와;
    착용부재(100)의 등부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압축 및 휨 탄성을 갖도록 만곡된 양쪽의 운동판(210) 사이를 압축 및 휨 탄성부(220)로 연결하여 된 압축 및 휨 운동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게 하여 착용부재(100)를 착용하면 사용자 동작에 대해 저항하는 인장 탄성과 압축 및 휨 탄성에 의해 등근육의 근력운동을 하면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착용부재(100)의 등 부위에는 압축 및 휨 운동부(200)가 탈착 수납되는 운동부재포켓(120)을 구비하고,
    압축 및 휨 탄성부(220)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걸림홈(221)을 구비하며,
    양쪽 운동판(210) 중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221)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212)가 구비된 결합공(211)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양쪽 운동판(2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착용부재(100)는 허리부위까지 받쳐주는 크기로 형성하여 그 허리부위에 허리운동부재포켓(130)을 구비하고,
    상기 허리운동부재포켓(130)에는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로 휘어진 척추받침부(320)가 허리지지대(310) 중앙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허리근육 운동부재(300)를 설치하며,
    착용시 허리를 조여서 밀착되게 하는 신축성있는 허리밴드(102)를 착용부재(100)의 하부 양단에 구비하여
    등근육 및 허리근육의 근력운동을 동시에 하면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4. 상부 양단에는 신축성있는 어깨걸이밴드(101)가 구비되고, 하부 양단에는 신축성있는 허리밴드(102)가 구비된 착용부재(100)와, 착용부재(100)의 허리를 받쳐주는 부위의 허리운동부재포켓(130)에 설치되어 허리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근력운동부재로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근력운동부재를,
    정상적인 척추의 형태로 휘어진 척추받침부(320)가 허리지지대(310) 중앙에서 위를 향해 탄성있게 동작하도록 구비된 허리근육 운동부재(300);
    로 구성하여 착용부재(100)의 착용자가 허리근육의 근력운동을 하면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허리근육 운동부재(300)는,
    척추받침부(320)의 결합부위에 다단식 걸림홈(321)를 형성하고,
    허리지지대(310)에는 상기 걸림홈(32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312)가 있는 결합공(311)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허리근육 운동부재(300)의 척추받침부(320)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KR1020180107980A 2018-09-10 2018-09-10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KR10217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980A KR102177307B1 (ko) 2018-09-10 2018-09-10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980A KR102177307B1 (ko) 2018-09-10 2018-09-10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304A true KR20200029304A (ko) 2020-03-18
KR102177307B1 KR102177307B1 (ko) 2020-11-10

Family

ID=6999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980A KR102177307B1 (ko) 2018-09-10 2018-09-10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19471A (ja) * 2020-07-16 2022-01-27 愛子 五明 肩甲筋.翼状肩甲筋用筋肉トレーニング・ツボ押しマッサー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469B1 (ko) 2020-12-31 2022-08-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전해질과 열적 인발공정을 이용한 슈퍼캐패시터,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478624B1 (ko) 2021-02-15 2022-12-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에너지를 이용한 공압인공근육 유닛 및 그 작동방법
KR102513243B1 (ko) 2021-02-15 2023-03-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보조유닛 및 인체 모사 척추 후만증 보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853A (ko) 1997-11-25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구조
US20060129076A1 (en) * 2002-11-12 2006-06-15 Naohiro Haneda Broken collar bone fixing band
JP2006255365A (ja) * 2005-03-16 2006-09-28 Shozo Hanano 身体用コルセット
KR200448745Y1 (ko) 2008-06-05 2010-05-13 김상학 자세교정용 벨트
KR20170068415A (ko) * 2017-05-29 2017-06-19 김한수 척추 교정 장치
CN206659974U (zh) * 2016-12-08 2017-11-24 丁世卫 脊柱弓曲板弹性负重俯仰拉伸及强直性矫正组合支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853A (ko) 1997-11-25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구조
US20060129076A1 (en) * 2002-11-12 2006-06-15 Naohiro Haneda Broken collar bone fixing band
JP2006255365A (ja) * 2005-03-16 2006-09-28 Shozo Hanano 身体用コルセット
KR200448745Y1 (ko) 2008-06-05 2010-05-13 김상학 자세교정용 벨트
CN206659974U (zh) * 2016-12-08 2017-11-24 丁世卫 脊柱弓曲板弹性负重俯仰拉伸及强直性矫正组合支具
KR20170068415A (ko) * 2017-05-29 2017-06-19 김한수 척추 교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19471A (ja) * 2020-07-16 2022-01-27 愛子 五明 肩甲筋.翼状肩甲筋用筋肉トレーニング・ツボ押しマッサ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307B1 (ko)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307B1 (ko) 근력운동을 겸한 자세 교정 장치
EP1437109B1 (en) Lumbar supporter
KR102160755B1 (ko) 자세 교정기
KR101723920B1 (ko) 어깨 및 상체 자세 교정이 가능한 압박 의류
US20220023697A1 (en) Elastic Resistance Harness
JP5687074B2 (ja) 腰部負担軽減装具
US20030149390A1 (en) Specific pelvic compression belt
US20150031511A1 (en) System for resistance training
CA2167877C (en) Isotonic/isometric exercise and therapy system
KR20170068415A (ko) 척추 교정 장치
WO2011081562A1 (ru) Способ внешней фиксациигрудо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2253097B1 (ko) 어깨 자세 교정장치
JP7386316B2 (ja) 曲がった脚変形に対する下部体形及び歩行矯正用圧迫衣類
KR101552528B1 (ko) 자세 교정용 프레임 장치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JP3156477U (ja) 腰、背部の疲労緩和具
KR200318281Y1 (ko) 자세교정용 벨트
CN210121314U (zh) 一种用于膝关节活动度训练的康复器
KR200444532Y1 (ko)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
JP3156652U (ja) 腰部、背部の疲労緩和ベルト
KR200351861Y1 (ko)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CN216934598U (zh) 一种可调节穿戴式腰背肌锻炼辅助器具
CN213098570U (zh) 一种儿童脊椎校正康复装置
KR200275189Y1 (ko) 신체 교정용 벨트식 운동기구
JP2012000264A (ja) 運動用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