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861Y1 -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 Google Patents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861Y1
KR200351861Y1 KR20-2004-0003500U KR20040003500U KR200351861Y1 KR 200351861 Y1 KR200351861 Y1 KR 200351861Y1 KR 20040003500 U KR20040003500 U KR 20040003500U KR 200351861 Y1 KR200351861 Y1 KR 200351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elastic
elastic band
worn
gir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정
Original Assignee
김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정 filed Critical 김기정
Priority to KR20-2004-0003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시 착용이 가능하고 일상적인 활동을 운동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신축밴드를 이용한 하체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거들과 일체화되고 허리에 고정되는 고정벨트와, 거들의 단부와 발목 보호대에 각각 구비되어 탄력성이 강한 신축밴드를 연결하는 신축밴드 결합구와, 무릎 보호대에 구비되어 신축밴드를 가이드 하는 신축 가능한 걸림줄 및 밴드고리와, 신축밴드의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발목 보호대의 밴드 결합구에 연장되어 부착되는 길이 조절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The Lower part of the body Sports Elastic force Band of Ordinary Worn Possible}
본 고안은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면서 하체를 자연스럽게 운동할 수 있게 하는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운동용 탄력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허리에 고정되는 밴드와 무릎 및 발목보호대에 걸쳐 서로 연결된 탄력성 있는 밴드에 의하여 다리를 굽히고 펴는 동작, 즉 걸음걸이에 따라 탄력밴드가 신축되어 다리근육에 운동효과를 배가 할 수 있게 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현대인에게 흔한 비만증이나 고혈압, 당뇨 등과 같은 성인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고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는 매일 만보 정도의 걷는 량에 상당하는 운동이 권장되고 있어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은 물론 헬스클럽 등을 이용할 경우 비용부담도 감수하여야 하였으나 대부분 쉽게 싫증을 느껴 중단하는 등으로 운동부족 상태를 면하기 어려웠다.
종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운동효과를 올릴 수 있는 운동기구로는 등록실용신안 329570, 동 310711, 동 1997-2962 등이공지된 바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329570호는 밴드를 연결할 수 있는 농구화 등의 발등 앞부분과 다리의 정강이 부위에 감아 고정하는 벨트사이에 탄성이 강한 밴드를 연결하고, 농구화의 발뒤꿈치 부위와 다리의 대퇴부에 감아 고정하는 벨트사이에도 밴드의 단부를 연결하되 밴드는 정강이 벨트에 구비된 밴드가이드 고리를 거치게 하여 무릎을 구부릴 때 밴드도 같이 굴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나 이는 발목과 무릎관절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휴대하기 간편한 건강운동기구 일뿐 착용한 상태로 일상적인 활동 중에도 상시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는 적절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등록실용신안 310711호는 허리벨트에 등벨트와 측면벨트를 부착하고 그 상부에는 어깨벨트를 연결하며 어깨벨트와 모자사이에도 상측면 벨트를 연결하고 허리벨트 양쪽아래에는 다리벨트를 부착하되 어깨벨트와 다리벨트가 몸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각각의 고리와 걸이를 부착하여 이곳에 팔과 다리를 끼우고 허리벨트를 조여서 전신운동을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허리벨트를 제외한 모든 벨트는 인장력이 있기 때문에 어떤 쪽으로 움직이든지 벨트의 인장력에 의하여 운동이 되게 한 기구이나 상기의 기구를 착용한 상태로 일상적인 생활활동을 할 수는 없었으며, 실용신안등록 실1997-2962호는 조끼형상으로 된 상의의 아래쪽으로는 발을 삽입할 수 있는 발걸이를 구비한 하측 신축밴드를 구비하고 상의의 양측으로는 손잡이부를 갖춘 상측 신축밴드를 구비하여 팔과 다리 및 허리를 굽혔다 폈다를 반복할 수 있게 한 의복처럼 착용한 상태로 운동할 수 있게 한 것이 공지된바 있었으나 상기 구성 역시 상시 착용한 상태로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복 내에 착용한 상태로 일상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통상적인 동작인 걷거나 허리를 굽히거나, 앉거나, 서는 등의 동작에 운동효과를 배가시킴으로서 운동을 위하여 별도의 시간이나 노력을 투입함이 없이도 필요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쉽게 싫증을 느껴 중단되는 일을 없게 하여 지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운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 관절 운동밴드(등록실용신안 329570)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운동벨트(등록실용신안 310711)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신체 착용식 체력 단련구(실용신안등록 1997-2962)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밴드 연결신 13. 신축밴드
14. 밴드고리 15. 정강이벨트
16. 대퇴부 벨트 21. 허리벨트
22. 등벨트 23. 어깨벨트
24. 다리벨트 25. 다리고리
26. 상의 27. 상측 신축밴드
28. 하측 신축밴드
31. 고정벨트 32, 32'. 밴드 결합구
33. 신축밴드 34. 걸림줄
35. 밴드고리 36. 길이 조절구
37. 발목보호대 38. 무릎 보호대
39. 거들 40. 보강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운동용 탄력밴드는 허리에 고정되며 거들과 일체화된 고정벨트와, 거들의 하측 단부에 구비된 신축밴드 결합구와 거들과 발목 보호대의 신축밴드 결합구 간을 연결하는 신축밴드와, 무릎 보호대에 구비되어 굴곡되는 신축밴드를 가이드 하는 신축이 가능한 신축 걸림구에 결합된 밴드고리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신축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발목 보호대에 부착되는 신축밴드 길이 조절구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걷는 동작과 같은 무릎을 굽히고 펴는 동작시 신축밴드(33)의 탄력에 의하여 거들(39)이 미끄러지지 않토록 거들(39)과 일체화된 고정벨트(31)에 의하여 허리에 고정된다.
거들(39)의 뒷부분 엉덩이쪽 하단에는 신축되는 탄력성이 강한 소재로된 신축밴드(33)와 거들(39)이 연결될 수 있게 하는 밴드 결합구(32)가 구비된다.
이때 통상의 천으로 된 거들이 늘어나는 것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지 않토록 고정벨트(31)와 밴드 결합구(32) 사이를 보강대(40)로 연결하여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밴드(33)의 일단은 거들의 밴드 결합구(32)와 결합되고 타단은 발목 보호대(37)의 밴드 결합구(32')와 결합되며 무릎을 굽혔을 때는 양 밴드 결합구(32, 32')간에 직선으로 수축되어 신축밴드(33)가 바지(도면 미도시)와 접촉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릎 보호대(38)에 일정 범위 내에서 신축 가능한 걸림줄(34)을 부착하고 걸림줄 끝단에는 신축밴드를 수용하는 밴드고리(35)를 형성하여 신축밴드의 굴곡을 가이드 하게 함으로써 바지와 같은 의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며, 걸림줄(34)의 신축길이가 짧으면 신축밴드(33)가 충분히 신축되지 못하여 운동효과가 떨어지므로 바지와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적당히 조절하여야 한다.
발목 보호대(37)의 밴드 결합구(32')에 결합되는 신축밴드(3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밴드 길이 조절구(36)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신축밴드(33)는 사용자의 체력에 따라 인장력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를 구비하여 필요시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목 보호대(37)는 신발을 신는데 불편하지 않토록 엷은 천이나 가죽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겉옷을 입고 일상적인 생활활동을 할 수 있어 별다른 시간이나 노력을 투입함이 없이 일상적인 활동을 근육단력을 위한 운동에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신체에 착용하는 탄력성 있는 밴드로 구성되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거들과 일체화되고 허리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벨트(31)와, 거들의 단부와 발목 보호대 (37)에 각각 구비되어 신축밴드(33)를 연결하는 신축밴드 결합구(32, 32')와, 무릎 보호대(38)에 구비되어 신축밴드를 가이드 하는 신축 가능한 걸림줄(34) 및 밴드고리(35)와, 신축밴드(33)의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발목 보호대(37)의 밴드 결합구(32')에 연장되어 부착되는 길이 조절구(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KR20-2004-0003500U 2004-02-12 2004-02-12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KR200351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500U KR200351861Y1 (ko) 2004-02-12 2004-02-12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500U KR200351861Y1 (ko) 2004-02-12 2004-02-12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861Y1 true KR200351861Y1 (ko) 2004-05-31

Family

ID=4943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500U KR200351861Y1 (ko) 2004-02-12 2004-02-12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8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347B1 (ko) * 2013-11-23 2016-01-14 육심국 다리운동 보조장치
KR20170006367A (ko) 2015-07-08 2017-01-18 권혁도 작업용 근력 보조기구
KR20170001506U (ko) 2015-10-20 2017-04-28 조강원 코어운동용 발목신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347B1 (ko) * 2013-11-23 2016-01-14 육심국 다리운동 보조장치
KR20170006367A (ko) 2015-07-08 2017-01-18 권혁도 작업용 근력 보조기구
KR20170001506U (ko) 2015-10-20 2017-04-28 조강원 코어운동용 발목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7254A (en) Resistive exercise pants and hand stirrups
US5308305A (en) Device to augment exercise
AU720241B2 (en) Energy expenditure garment
US20230117491A1 (en) Foot ankle orthoses
US9320634B2 (en) Training brac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EP3253340B1 (en) Orthopedic device
US20190240054A1 (en) Adjustable brac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JP6924056B2 (ja) 衣類
KR200395879Y1 (ko)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US20150165257A1 (en) Gymnic garment and relevant kit
KR200351861Y1 (ko)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EP2555719B1 (en) A device for providing support of a foot
KR200329570Y1 (ko) 발관절운동밴드
CN218870611U (zh) 一种下肢矫正装具
CN218790656U (zh) 一种无源助力吊带服
CN218802265U (zh) 一种基于动能回收的无源柔性穿戴服饰
WO2006110034A2 (en) Orthosis for supporting a leg of a user during walking
WO2021199648A1 (ja) 下肢矯正具
US20240065921A1 (en)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limb movement
JP2021037021A (ja) 内反フィットルームシューズ
JP3192130U (ja) 脚力向上ヒールサスペンダー
KR20220033263A (ko) 종아리 스트레칭 밴드
KR20090100548A (ko) Pnf 워킹밴드
JP2015229037A (ja) 筋肉強化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