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347B1 - 다리운동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다리운동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347B1
KR101585347B1 KR1020140153565A KR20140153565A KR101585347B1 KR 101585347 B1 KR101585347 B1 KR 101585347B1 KR 1020140153565 A KR1020140153565 A KR 1020140153565A KR 20140153565 A KR20140153565 A KR 20140153565A KR 101585347 B1 KR101585347 B1 KR 10158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band
fixing
us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716A (ko
Inventor
육심국
Original Assignee
육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심국 filed Critical 육심국
Priority to PCT/KR2014/0109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76529A1/ko
Publication of KR2015005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의 근육운동을 할 수 있고, 특히, 휴대가 간편하여 공간적 환경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발을 포함한 하체 근육을 효율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도록 된 발목 고정부와; 일 측 부위는 상기 발목 고정부에 연결되며 타 측 부위는 사용자의 발등에 지지 되도록 걸쳐지며 중앙 부위를 통해 사용자의 발바닥에 중량물을 고정하도록 된 중량물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리운동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리운동 보조장치{A subsidiary equipment for leg exercise}
본 발명은 다리의 근육운동을 위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휴대가 간편하여 공간적 환경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발을 포함한 하체 근육을 효율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다리운동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과 과도한 업무 및 스트레스에 의해 피로가 누적되는 상황에 처해 있으며, 누적된 피로 및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하여 자체 면역력의 약화로 질병에 걸린 가능성이 매운 높은 실정이다.
특히,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여 업무를 주행하는 일반 직장인들의 경우에는 하체의 건강이 심각하게 약화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운동을 통한 자체 면역력의 유지 및 약해진 체력을 단련하여 건강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법과 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신체의 특정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과, 신체의 여러 부위를 다양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들이 있으며, 각각의 운동법에 적합한 구조가 채용된 형태의 것들이 있다.
공지의 운동기구들 중에서, 특히 하체에 대한 운동을 도모하여 하체의 체력을 증진시키도록 된 것들은, 주로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물을 다리로 들어올리거나 미는 방법으로 운동하도록 된 것이 있다.
예컨대,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121114호(명칭: 운동기구가 형성된 의자)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시트를 구비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단 부에 연결되어 길게 형성되는 지지체, 지지체의 단 부 상에 형성되고, 사람의 발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발을 탄력 지지하는 발판장치, 지지체의 일 측에 형성되고, 사람의 발이 안착 된 상태에서 가하는 힘에 따라 지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왕복 페달장치를 포함하는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외에, 자전거의 페달을 밞는 방식이 적용된 것이 있다.
예컨대,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73522호(명칭: 회전식 다리 건강 운동기구)는 세워져 하단이 상기 베이스 판의 중앙부에 고정되고, 상단이 원통체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는 원통체의 축 하우징 및 상기 축 하우징에 축 결합 되는 한 쌍의 페달로 구성된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벨트에서 걷거나 뛰는 방식이 적용된 것이 있다.
예컨대,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701456호(명칭: 다기능 런닝머신 및 그 제어방법)에서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런닝 벨트가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일측에 입설 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손잡이 및 계기판으로 구성된 런닝머신으로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사용자가 운동기구에 자리를 잡은 상태로 하체운동을 하도록 된 것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워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운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휴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제조 단가가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리 운동장치들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여 공간적 환경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발을 포함한 하체 근육을 효율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다리운동 보조장치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리운동 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도록 된 발목 고정부와; 일 측 부위는 상기 발목 고정부에 연결되며 타 측 부위는 사용자의 발등에 지지 되도록 걸쳐지며 중앙 부위를 통해 사용자의 발바닥에 중량물을 고정하도록 된 중량물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발목 고정부는, 길이가 조절되는 '밴드' 형상의 발목 밴드와, 상기 발목 밴드의 양단을 분리결합하도록 된 버클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중량물고정부는, 양단이 상기 발목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되 그 길이가 조절되는 '밴드' 형상의 고정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 부는 상기 발목 고정부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 부위는 상기 중량물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고정부를 안정적으로 상기 발목 고정부 고정하도록 된 안전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안전 고정부는, 상기 발목 고정부에 결합 된 제1체결밴드와, 상기 중량물고정부에 결합 된 제2 체결밴드를 가지되; 상기 제1 체결밴드와 상기 제2 체결밴드는 길이가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버클 체를 통해 분리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리운동 보조기구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높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상체운동을 할 수 있는 아령 등과 같은 중량물을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하체 운동을 수행하여 운동효율을 높일 수 있고, 운동시 하체에 인가되는 하중이 사용자의 다리와 발등에 고르게 분포됨에 따라, 사용자의 일 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부여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한 하체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를 보인 개략 전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를 통해 다리운동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에 적용되는 발목 고정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에 적용되는 발목 고정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에 적용되는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1)는, 사용자의 다리에 아령 등과 같은 중량물(2)을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중량물(2)을 다리에 고정한 상태로 다리를 전후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접거나 펼치는 운동을 하도록 하여 다리 근육을 웨이트트레이닝하는 것에 특히 적용된다.
상기에서, 상기 중량물(2)은, 길이방향성을 가지는 '봉' 또는 '관' 형상의 중량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체에 대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아령'이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도록 된 발목 고정부와; 일 측 부위는 상기 발목 고정부에 연결되며 타 측 부위는 사용자의 발등에 지지 되도록 걸쳐지며 중앙 부위를 통해 사용자의 발바닥에 중량물(2)을 고정하도록 된 중량물고정부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중량물(2)을 상기 중량물고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발바닥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발목 고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리되니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중량물(2)은, 사용자의 발목과 사용자의 발등에 하중을 분산하여 인가하면서 발바닥에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기 발목 고정부는, 길이가 조절되는 '밴드' 형상의 발목 밴드(3)와, 상기 발목 밴드(3)의 양단을 분리결합하도록 된 버클 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목 밴드(3)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버클 부재(4)를 통해 간편하게 사용자의 발목에 체결된다.
따라서,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버클 부재(4)는, 맞춤 되어 끼움 결합 되는 한 쌍의 '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상기 발목 밴드(3)의 내측 면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클 부재(4)가 인체의 발복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패드 부재(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드 부재(9)는, 상기 발목 밴드(3)에 박음질 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10)(일명 '찍찍이' 라고도 함)를 통해 탈 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취사 선택에 의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1)에서, 상기한 발목 고정부는, 길이가 조절되는 '밴드' 형상의 발목 밴드(3)를 가지며, 상기 발목 밴드(3)에는,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수단(11)이 구비되어 상기 발목 밴드(3)의 양단을 분리결합하도록 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발목 밴드(3)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벨크로 수단(11)을 통해 간편하게 사용자의 발목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벨크로 수단(11)에 의해 발목 밴드(3)의 체결에 따라 중량물(2)가 발목 밴드(3)에 고정된 상태에서 운동 중, 상기 중량물(2)의 무거운 하중으로 인해 체결부위가 떨어지려 하면 벨크로 수단(11)의 특성상 분리되는 날카로운 소리가 생기기 때문에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수 있고, 체결의 편리성 때문에 여성 및 노약자들도 간편하고 안정되게 사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중량물고정부는, 양단이 상기 발목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되 그 길이가 조절되는 '밴드' 형상의 고정 밴드(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 밴드(5)의 양단이 상기 발목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 측 부위가 발등에 얹어지도록 되어 사용자의 발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 밴드(5)의 양측 중간 부위의 위치가 발바닥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중량물(2)이 발바닥과 상기 고정 밴드(5)의 사이에서 끼움 고정되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리에 상기 중량물(2)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발목 고정부와 상기 중량물고정부가 저하중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휴대성이 좋고 사용효율이 증대되고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1)에서는, 일단 부는 상기 발목 고정부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 부위는 상기 중량물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고정부를 안정적으로 상기 발목 고정부 고정하도록 된 안전 고정부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전 고정부를 통해 상기 중량물고정부를 확고하게 상기 발목 고정부에 고정하여, 다리운동시 상기 중량물(2)이 무단으로 분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상기 안전 고정부는, 상기 발목 고정부에 결합 된 제1체결밴드(6)와, 상기 중량물고정부에 결합 된 제2 체결밴드(7)를 가지되; 상기 제1 체결밴드(6)와 상기 제2 체결밴드(7)는 길이가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버클 체(8)를 통해 분리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체결밴드(6)(7)의 길이를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맞춤 되게 적용함은 물론, 상기 버클 체(8)에 의해 간편하게 상기 제1 및 제2 체결밴드(6)(7)를 분리 결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다.
상기에서, 상기 버클 체(8)는, 맞춤 되어 끼움 결합 되는 한 쌍의 '버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1)를 이용하여 하체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의 발목에 상기 발목 고정부를 체결한다.
이때, 사용자의 발목 크기에 따라 상기 발목 밴드(3)를 적합한 길이로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버클 부재(4)를 통해 간편하게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발목에 상기 발목 밴드(3)가 체결되면, 중량물(2)(예를 들면, 아령)을 발바닥에 밀착한 후, 상기 고정 밴드(5)의 양측 부위가 상기 중량물(2)의 저 면을 거쳐 사용자의 발등 위로 안치되게 하여 끼워, 상기 고정 밴드(5)와 발바닥의 사이에 상기 중량물(2)을 끼움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중량물(2)이 발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밴드(6)(7)를 상기 버클 체(8)를 통해 체결하면, 상기 중량물(2)이 확고하게 발바닥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량물(2)이 사용자의 발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트레이닝의 한 가지 운동 방법인 레그 익스텐션(Leg extension) 운동을 의자에 앉아서 실시하여 다리운동을 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트레이닝의 운동 방법인 레그 컬(Leg curl) 운동을 벽에 기대어 실시하여 다리운동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상기 중량물(2)에 대하여 인가되는 하중에 상기 발목 고정부 및 상기 중량물고정부를 사용자의 발목과 발등에 고르게 분포하면서 인가되어, 일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더욱 안전하고 다리에 대한 고른 부위의 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다리운동 보조장치(1)는, 상체운동을 할 수 있는 아령 등과 같은 중량물(2)을 휴대가 용이한 '밴드' 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체결하여 인가되는 하중이 사용자의 다리와 발등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체운동을 구현할 수 있어 경제성을 확보함은 물론, 사용효율을 증대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다리운동 보조장치 2 : 중량물
3 : 발목 밴드 4 : 버클 부재
5 : 고정 밴드 6 : 제1 체결밴드
7 : 제2 체결밴드 8 : 버클 체
9 : 패드 부재 10 : 벨크로
11 : 벨크로 수단

Claims (7)

  1. 사용자의 발목을 고정하도록 밴드 형상의 발목 밴드를 포함하는 발목 고정부와;
    밴드 형상의 고정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밴드의 양단은 상기 발목 밴드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밴드의 타 측 부위는 사용자의 발등에 얹어 지도록 되어 사용자의 발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밴드의 양측 중간 부위가 발바닥의 하부에 위치하여 중량물이 상기 발바닥과 상기 고정 밴드 사이에서 끼움 고정되도록 하는 중량물 고정부와;
    일단 부는, 상기 발목 밴드에 고정된 상기 고정 밴드의 양단의 고정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발목 고정부의 발목 밴드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 부위는 상기 중량물 고정부의 고정 밴드에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 고정부가 안정적으로 상기 발목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안전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운동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고정부는,
    상기 발목 밴드의 양단을 분리결합하도록 된 버클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다리운동 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밴드의 내측 면에는, 상기 버클 부재가 인체의 발복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패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운동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밴드에는 벨크로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발목 밴드의 양단을 분리결합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운동 보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고정부는,
    상기 발목 고정부에 결합 된 제1체결밴드와, 상기 중량물고정부에 결합 된 제2 체결밴드를 가지되;
    상기 제1 체결밴드와 상기 제2 체결밴드는 길이가 조절가능함과 아울러, 버클 체를 통해 분리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운동 보조장치.
KR1020140153565A 2013-11-23 2014-11-06 다리운동 보조장치 KR101585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0919 WO2015076529A1 (ko) 2013-11-23 2014-11-13 다리운동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3353 2013-11-23
KR1020130143353 2013-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716A KR20150059716A (ko) 2015-06-02
KR101585347B1 true KR101585347B1 (ko) 2016-01-14

Family

ID=5349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565A KR101585347B1 (ko) 2013-11-23 2014-11-06 다리운동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3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0398B2 (ja) * 1995-11-24 1998-05-13 守幸 井内 足用ダンベルの保持具
KR200287206Y1 (ko) * 2002-05-13 2002-08-27 임성문 체력단련용 밴드
KR200351861Y1 (ko) * 2004-02-12 2004-05-31 김기정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0398B2 (ja) * 1995-11-24 1998-05-13 守幸 井内 足用ダンベルの保持具
KR200287206Y1 (ko) * 2002-05-13 2002-08-27 임성문 체력단련용 밴드
KR200351861Y1 (ko) * 2004-02-12 2004-05-31 김기정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716A (ko) 201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7360A1 (en) Machine for improved curve and stretching device
KR20100077516A (ko) 다목적 물리치료용 운동기구
US20180015323A1 (en) Human hand-crawling apparatus
US6887187B1 (en) Convertible exercise equipment
KR101237373B1 (ko) 다리의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
KR20130005354A (ko) 스텝형 운동기구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JP3112700U (ja) 脚部用運動器具
KR101585347B1 (ko) 다리운동 보조장치
KR200436896Y1 (ko) 헬스 운동 보조 기구
KR20140065772A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102180349B1 (ko) 시소 작용을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EP3824959A1 (en) A multi-purpose transportable exercise device for training of balance, strength and flexibility
JP3221510U (ja) 筋力強化器具
KR101476989B1 (ko) 하체운동기구
KR20020056859A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1949592B1 (ko) 재활치료기기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KR101768999B1 (ko) 하체운동기구
CN105080057A (zh) 腹部推动健身器
JP3182914U (ja) マッサージ兼筋肉トレーニング器具
JP6752410B2 (ja) フィットネス器具
JP3218127U (ja) 足首運動器具
JPH11319145A (ja) 脚部および腹部の美容運動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