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723B1 -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723B1
KR101252723B1 KR1020100106353A KR20100106353A KR101252723B1 KR 101252723 B1 KR101252723 B1 KR 101252723B1 KR 1020100106353 A KR1020100106353 A KR 1020100106353A KR 20100106353 A KR20100106353 A KR 20100106353A KR 101252723 B1 KR101252723 B1 KR 10125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mber
sliding
pulley
lower body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838A (ko
Inventor
김윤관
차명신
Original Assignee
차명신
김윤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명신, 김윤관 filed Critical 차명신
Priority to KR102010010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7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채 양쪽 말단이 고정된 한 쌍의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의 중앙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채 상기 레일부재 외주연의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양단이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손잡이; 상기 레일부재의 외주연의 일부에 하부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 상기 레일부재가 지지되도록 상기 레일 부재의 양단이 일측면에 삽입결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레일부재 소정의 위치에 이격되게 각각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발판의 미끄럼 운동을 정지시켜 상기 발판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의 중앙 일측에는 회전하는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의 외주연을 감싸고 상기 발판과 체결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르레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고정하는 브레이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SLIDING SPORT APPARATUS TO INTENSIFY LOWER BODY}
본 발명은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대의 일측에 도르레가 장착되고 탄성부재의 양단이 상기 도르레를 거쳐 양쪽 발판의 일측에 각각 삽입결합되어 상기 발판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동조운동하게 함으로써 하체강화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작된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칭은 격렬한 운동 전에 근육을 이완시켜 근육이 갑자기 경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나 몸에 유연함을 갖도록 하기 위해 행하여진다. 일반적으로 전신을 쭉 잡아늘이듯이 하는 스트레칭 운동을 매일 일정시간씩 꾸준히 하게 되면, 근육 및 골격 이완 작용을 돕고 척추 교정과 자세 교정 및 디스크의 물리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는 성장점을 자극하여 성장을 촉진하고 허릿살 및 허벅지살의 지방을 제거하여 미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기타 혈액순환 및 노폐물의 촉진으로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여 건강증진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의료기관에서 물리치료요법으로 시행하고 있다.
하체를 스트레칭 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양 발을 바닥면에 댄 상태로 양다리를 좌우로 서서히 벌렸다가 다시 오므리는 것과 같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하체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운동자의 다리가 벌어질 수 있는 한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양다리가 급작스럽게 벌어짐으로 인하여 허벅지 부분의 근육이 파열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동자의 다리 근육이 약한 노약자나 재활환자들은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체운동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동자의 운동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운동자의 다리가 벌어질 수 있는 한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양다리가 급작스럽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허벅지 부분의 근육이 파열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운동자의 다리 근육이 약한 노약자나 재활환자들은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체운동을 하기가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운동자의 운동강도를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채 양쪽 말단이 고정된 한 쌍의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의 중앙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채 상기 레일부재 외주연의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양단이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손잡이; 상기 레일부재의 외주연의 일부에 하부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 상기 레일부재가 지지되도록 상기 레일 부재의 양단이 일측면에 삽입결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레일부재 소정의 위치에 이격되게 각각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발판의 미끄럼 운동을 정지시켜 상기 발판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의 중앙 일측에는 회전하는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의 외주연을 감싸고 상기 발판과 체결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르레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고정하는 브레이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판은 상기 레일부재와 미끄럼 운동하는 베어링부재가 삽입되는 한 쌍의 안착홈이 하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부에 하부의 일측이 결합되는 발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 하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삽입결합되고, 타측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판은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도르레의 외주연을 거쳐 양단이 상기 발판의 일측에 각각 삽입결합되어 상기 발판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경우에 상기 발판이 각각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조원리가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지지판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발목의 꺽임을 방지하도록 틸딩장치가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도르레의 브레이크홈에 밀착되어 상기 도르레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자의 다리가 벌어질 수 있는 한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양다리가 급작스럽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허벅지 부분의 근육이 파열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동자의 다리 근육이 약한 노약자나 재활환자들은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체운동을 하기가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동자의 운동강도를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레가 회전하는 경우의 탄성부재의 동조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레가 고정된 경우의 탄성부재의 인장력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재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부재와 도르레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다른 변형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레가 회전하는 경우의 탄성부재의 동조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르레가 고정된 경우의 탄성부재의 인장력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재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부재와 도르레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다른 변형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채 양쪽 말단이 고정된 한 쌍의 레일부재(100); 상기 레일부재(100)의 중앙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채 상기 레일부재(100) 외주연의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지지대(200);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에 양단이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100)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손잡이(300); 상기 레일부재(100)의 외주연의 일부에 하부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100)의 외주연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400); 상기 레일부재(100)가 지지되도록 상기 레일부재(100)의 양단이 일측면에 삽입결합되는 받침대(500); 및 상기 레일부재(100) 소정의 위치에 이격되게 각각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재(100)를 지지하고 상기 발판(400)의 미끄럼 운동을 정지시켜 상기 발판(400)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한 쌍의 스토퍼(60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500)의 중앙 일측에는 회전하는 도르레(520)와, 상기 도르레(520)의 외주연을 감싸고 상기 발판(400)과 체결되는 탄성부재(540)와, 상기 도르레(520)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레일부재(100)를 고정하는 브레이크부재(5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재(100)는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파이프로써 양쪽 말단이 고정된다. 상기 레일부재(100)는 연마봉인 스텐파이프에 크롬도금 및 테프론 코팅을 함으로써 강도가 향상되고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한다.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레일부재(100)의 중앙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채 상기 레일부재(100) 외주연의 하부를 각각 받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 일측은 상기 지지대(2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220)에 양단이 각각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100)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레일부재(100)의 중앙에 장착된 상기 지지대(200)에 삽입결합되어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300)의 일측에는 운동하는 경우에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커버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300)는 설계변경에 따라 레일부재(100)의 중앙이나 양단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판(400)은 상기 레일부재(100)의 외주연의 일부에 하부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100)의 외주연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판(400)은 상기 레일부재(100)와 미끄럼 운동하는 베어링부재(44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안착홈(422)이 하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42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420)의 상부에 하부의 일측이 결합되는 발지지판(460)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420) 하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540)의 일측이 삽입결합되고, 타측이 관통되는 관통홀(4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420)는 하부가 개방된 원형 형상인 한 쌍의 안착홈(422)이 상기 슬라이딩부재(4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레일부재(100)의 이격거리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420) 양측에는 상기 탄성부재(540)가 삽입결합될 수 있는 관통홀(4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540)는 줄이나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고, 일단이 하나의 슬라이딩부재(420)의 일측에 삽입결합되고 타단은 도르레(520)의 외주연을 거쳐 또 하나의 슬라이딩부재(420)의 일측에 삽입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발판(400)은 상기 탄성부재(540)가 상기 도르레(520)의 외주연을 거쳐 양단이 상기 발판(400)의 일측에 각각 삽입결합되는 바, 상기 발판(400)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경우에 상기 발판(400)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경우에 동일하게 힘이 외측으로 작용하며 상기 발판(400)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경우에 동일하게 힘이 내측으로 작용하는 동조원리가 적용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422)의 내측에는 슬라이딩부재(420)와 레일부재(100)가 결합하는 경우에 유격이 없도록 하고 미끄럼운동이 원활하도록 베어링부재(440)가 장착된다.
상기 발지지판(460)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462)이 형성되고, 발목의 꺽임을 방지하도록 틸딩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지지판(460)은 상기 슬라이딩부재(420)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하나의 발지지판(460)이 반분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발판(400)이 서로 멀어질수록 발지지판(460)의 각도 변화없이 다리가 벌어진 상태로 견디기가 힘이 드는바, 상기 발지지판(460)과 슬라이딩부재(420)의 결합구조를 발판각도가 기울어질 수 있는 틸딩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상기 발판(400)이 벌어지더라도 다리가 벌어진 상태로 견디기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500)는 레일부재(100)가 양단에 삽입결합된 채로 상기 레일부재(10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500)의 중앙에는 탄성부재(540)와 연결되는 도르레(520)가 장착된다. 상기 도르레(520)는 상기 받침대(500)의 중앙에 형성된 절개홈(580)의 양측면에 지지축(미도시)이 배치된 후에 상기 지지축(미도시)이 상기 도르레(5200)를 관통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르레(520)는 탄성부재(540)에 의해 구동력이 전해지면 원활하게 회전이 되며, 상기 도르레(52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발판(400)이 서로 벌어지는 경우에 일측의 발판(400)이 움직임에 따라 타측의 발판(400)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조운동원리가 적용되어 용이하게 발판(400)이 벌어질 수 있으며, 발판(400)이 서로 모아지는 경우에도 일측의 발판(400)이 움직임에 따라 타측의 발판(400)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조운동원리가 적용되어 용이하게 발판(400)이 모아지는 바 노약자나 환자의 체력증진을 위한 하체강화운동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르레(520)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부재(560)가 더 포함되어 있어 브레이크부재(560)가 도르레(520)의 회전을 방해하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발판(400)이 서로 벌어진 경우에는 상기 발판을 오므림으로써 탄성부재(540)의 인장력이 작용되어 다리의 근력을 사용하게 한다.
따라서, 운동자가 환자이거나 노약자인 경우에는 도르레(520)의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동조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바, 발판을 용이하게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어 힘이 들지않게 하체운동을 할 수 있다. 다리가 벌어질 수 있는 한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양다리가 급작스럽게 벌어짐으로 인하여 허벅지 부분의 근육이 파열되는 등의 안전사고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운동자가 일반인인 경우에는 도르레(520)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부재(560)를 삽입결합함으로써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정지된 발판(400)을 오므리는 경우에 탄성부재(540)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하체의 근육을 이용하는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부재(560)는 수동으로 직접 도르레(520)의 홈에 끼워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손잡이(300)의 상부에 스위치를 장착하여 조작함으로써 브레이크부재(560)의 작동으로 도르레(520)의 회전 여부를 조정하는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600)는 상기 레일부재(100)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발판(400)의 미끄럼운동을 정지시킨다. 도르레(520)가 회전하는 경우에 발판(400)이 벌어지면 탄성부재(540)의 일단의 길이만큼 벌어지게 되는바 운동자의 한계치에 맞도록 상기 스토퍼(600)를 상기 레일부재(100)에 장착하여 고정한 후에 운동함으로써 운동자의 다리가 벌어질 수 있는 한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양다리가 급작스럽게 벌어짐으로 인하여 허벅지 부분의 근육이 파열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600)가 상기 레일부재(100)의 하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레일부재(10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양단이 도르레(520)를 포함하는 받침대(500)에 삽입결합된 레일부재(100)에 발판(400)을 삽입결합하고, 상기 발판(400)에 발을 올려 하체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여 하체근력을 강화하는 운동기구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도르레(520)가 회전하는 경우에 다리가 벌려짐에 따라 탄성부재(540)가 발판(400)과 동조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상기 발판(400)이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르레(520)가 브레이크부재(560)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 소정의 이격거리만큼 발판이 벌려지게 한 후에 다리를 오므림으로써 탄성부재(540)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근력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0)를 발판(400)에서 탈거함과 동시에 탄성부재(540)를 도르레(520)와 발판(400)으로부터 제거한 후에 인라인 스케이트처럼 슬라이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는 보관이나 휴대가 간편하도록 손잡이(300)의 분해가 용이하고, 레일부재(100)의 일단을 절첩이 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즉, 그러한 변형 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레일부재 200:지지대
220:삽입홈 300:손잡이
400:발판 420:슬라이딩부재
422:안착홈 424:관통홀
440:베어링부재 460:발지지판
462:요철 400:스토퍼
500:받침대 520:도르레
540:탄성부재 560:브레이크부재
580:절개홈 600:스토퍼

Claims (5)

  1.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채 양쪽 말단이 고정된 한 쌍의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의 중앙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채 상기 레일부재 외주연의 하부를 받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양단이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손잡이;
    상기 레일부재의 외주연의 일부에 하부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
    상기 레일부재가 지지되도록 상기 레일 부재의 양단이 일측면에 삽입결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레일부재 소정의 위치에 이격되게 각각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발판의 미끄럼 운동을 정지시켜 상기 발판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의 중앙 일측에는 회전하는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의 외주연을 감싸고 상기 발판과 체결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르레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레일부재를 고정하는 브레이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레일부재와 미끄럼 운동하는 베어링부재가 삽입되는 한 쌍의 안착홈이 하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부에 하부의 일측이 결합되는 발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부재 하부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삽입결합되고, 타측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도르레의 외주연을 거쳐 양단이 상기 발판의 일측에 각각 삽입결합되어 상기 발판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경우에 상기 발판이 각각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조원리가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지지판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발목의 꺽임을 방지하도록 틸딩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도르레의 브레이크홈에 밀착되어 상기 도르레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20100106353A 2010-10-28 2010-10-28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125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53A KR101252723B1 (ko) 2010-10-28 2010-10-28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53A KR101252723B1 (ko) 2010-10-28 2010-10-28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38A KR20120044838A (ko) 2012-05-08
KR101252723B1 true KR101252723B1 (ko) 2013-04-09

Family

ID=4626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353A KR101252723B1 (ko) 2010-10-28 2010-10-28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29A (ko) * 2021-01-05 2022-07-12 최순복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KR20230045375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셀루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KR20240028212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셀루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065B1 (ko) * 2016-04-15 2016-06-28 강인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KR102373792B1 (ko) * 2020-07-13 2022-03-14 주식회사 오에이치피 벨트형 훌라후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046Y1 (ko) 2001-01-31 2001-09-25 이봉도 스트레칭 운동기구
JP2001333999A (ja) 2000-03-22 2001-12-04 Shinwa Kogyo Kk 下半身強化装置
KR20090128295A (ko) * 2008-06-10 2009-12-15 이상직 하체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999A (ja) 2000-03-22 2001-12-04 Shinwa Kogyo Kk 下半身強化装置
KR200235046Y1 (ko) 2001-01-31 2001-09-25 이봉도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90128295A (ko) * 2008-06-10 2009-12-15 이상직 하체 운동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29A (ko) * 2021-01-05 2022-07-12 최순복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KR102491980B1 (ko) * 2021-01-05 2023-01-27 최순복 필라테스용 레더바렐
KR20230045375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셀루트 스케이트 슬라이딩 방식의 운동 기구
KR20240028212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셀루트 교차 슬라이딩 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38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899B1 (ko) 스트레치치료기
FI125023B (fi) Kuntoilurullaväline irrotettavasti kiinnitettävin tuin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1953236B1 (ko)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KR101730089B1 (ko) 괄약근 및 골반저근 운동기구
JP2012192107A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235046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471397Y1 (ko) 허리 운동 기구
JP2008237785A5 (ko)
KR100931850B1 (ko) 요동을 이용한 다이어트 및 재활 운동기구
JP2008237785A (ja) 重力負荷運動装置
WO2013163755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JP3145983U (ja) 歩行運動と左右開閉運動兼用器具
JP2001178847A (ja) 足関節用運動器具
KR100522748B1 (ko) 다목적 운동기
JP3182914U (ja) マッサージ兼筋肉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314930B1 (ko) 진동식 안마기
KR101575980B1 (ko) 관절 인장 운동기구
KR20090003272U (ko) 하체 스트레칭 기구
JP2004305718A (ja) 全身運動用ツイストマシン
KR101036611B1 (ko)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