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149B1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149B1
KR101266149B1 KR1020100065696A KR20100065696A KR101266149B1 KR 101266149 B1 KR101266149 B1 KR 101266149B1 KR 1020100065696 A KR1020100065696 A KR 1020100065696A KR 20100065696 A KR20100065696 A KR 20100065696A KR 101266149 B1 KR101266149 B1 KR 101266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s
scaffold
exercise
delete delet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116A (ko
Inventor
오광길
Original Assignee
오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길 filed Critical 오광길
Priority to KR102010006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1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00Freely-suspended gymnastic apparatus
    • A63B7/02Swinging rings; Trapez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Abstract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기둥, 상기 두 개의 기둥 각각의 특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발판 연결용 줄에 연결되어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판, 및 상기 두 개의 기둥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운동기구{HEALTH APPARATUS}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봉, 철봉, 링 또는 그네를 통한 운동 효과를 하나의 기구만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형 운동, 관절 운동 및 근육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현대인들의 생활 습관이 건강을 악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선 자세 또는 의자에 앉은 자세로 근무를 지속하게 되면, 하체와 허리의 관절들은 몸무게의 하중을 많이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연골이 밖으로 밀리게 되고, 주위 근육들의 일부분만이 주로 사용되게 되어, 근육 간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반복되면 관절들을 지탱하는 근력이 약화되어 유연성과 활동성이 저하되고, 심하게는 관절에 병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때에 체중에 눌린 관절들을 당겨 펴주어, 주위 근육들이 밖으로 밀린 연골을 안으로 밀어주게 하고, 눌려있던 근육들을 운동시킴으로써 주위 근육들을 균형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운동법이 소개되었다. 이러한 운동법들은 소정의 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 중 하나가 "거꾸리"라고 불리는 운동기구이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거꾸로 매달릴 수 있게 하여 척추의 긴장을 풀어주고 척추를 늘어뜨림으로써 척추를 곧게 펼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는 머리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거꾸로 매달린 자세를 취하여야 하기 때문에 위험성을 무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기구로서 평행봉, 철봉, 링 등의 기구가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기구에 매달려 상체 또는 하체를 아래로 늘어뜨림으로써 체중에 눌린 허리, 골반, 무릎, 발목 등에 존재하는 관절들이 당겨 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관절들의 주위 근육들이 운동되어 관절의 유연성 향상과 근육 강화 효과 또한 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기구는 일반인들이 즐겨 이용하기에는 많은 힘이 들뿐만 아니라, 본래 기능이 상체 운동을 주기능으로 하므로 하체의 관절 운동에는 적합하지 않은 면이 있다. 또한, 크기가 커서 실내에 설치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는 점 또한 이와 같은 운동기구들의 문제점이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운동기구들 및 이와는 다른 대부분의 운동기구들은 주로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근육들만을 강화시켜주기 때문에, 몸이 피로하지 않을 때에는 좋은 운동법으로 다가오나, 몸이 피로할 때에는 피로가 쌓인 관절들이나 근육들 또한 무리하게 운동시켜야 하므로 피로가 누적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피로를 풀어주기 위한 운동에는 적합하지 않은 면이 있다.
따라서, 많이 사용되어 피로해진 근육들에 대한 운동은 최소화하고, 덜 사용되어 허약해진 근육들에 대해서는 많은 운동을 시켜 균형적인 근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생활 습관 또는 근무 환경 등에 의해 체중에 눌려있던 관절들을 당겨주며 그 주위 근육들 또한 강화시켜주되, 크기가 작아 실내에도 설치 가능하며, 필요 시 안전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운동기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체중에 의해 눌려있던 관절들을 펴주고,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지는 않으나 몸의 평형을 잡는 데에 필요한 근육들을 운동시켜 균형적인 근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아 관절 질환 또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행봉, 철봉, 링, 그네, 시소 등의 운동기구를 작은 부피를 갖는 하나의 기구로 일체화함으로써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하여 주고, 실내에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누구나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기둥, 상기 두 개의 기둥 각각의 특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발판 연결용 줄에 연결되어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판, 및 상기 두 개의 기둥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두 개의 기둥은, 외부 파이프, 및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일 이상의 고정홀을 갖는 내부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파이프와 상기 내부 파이프는 상기 외부 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일 이상의 고정홀 중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파이프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상부를 덮는 캡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발판 연결용 줄은 각각 상기 외부 파이프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두 개의 기둥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기본틀, 및 상기 기본틀을 덮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상기 발판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상기 발판의 중간 지점을 가로지르며 양단이 상기 두 개의 발판 연결용 줄에 각각 연결되는 가로축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가로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차례로 연결되는 일 이상의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두 개의 기둥의 상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두 개의 기둥 각각의 특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벨트 연결용 줄에 연결되는 허벅지 고정용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벅지 고정용 벨트는 상기 두 개의 벨트 연결용 줄에 각각 연결되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의 양단은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하방으로 늘어뜨려져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용 줄, 상기 두 개의 지지용 줄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발판 연결용 줄에 연결되어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판, 및 상기 두 개의 지지용 줄 각각의 특정 지점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두 개의 지지용 줄 각각의 일단은 천장 또는 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두 개의 지지용 줄의 상기 특정 지점을 서로 연결시키는 형태로 형성되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두 개의 기둥 각각의 특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벨트 연결용 줄에 연결되는 허벅지 고정용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이용하면, 체중에 의해 눌려있던 관절들을 펴줄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지는 않으나 몸의 평형을 잡는 데에 필요한 근육들을 운동시켜줄 수 있고, 균형적인 근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절 질환 예방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평행봉, 철봉, 링, 그네, 시소 등의 운동기구가 작은 부피를 갖는 하나의 기구로 일체화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기구의 이동 편의성이 달성되고, 실내에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기둥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손잡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발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발판과 받침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벨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크로스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운동기구의 구조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두 개의 기둥(110, 120), 기둥(110, 12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손잡이(131, 132), 두 개의 기둥(110, 120)의 소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줄(141, 142)에 의해 매달려 지탱되는 발판(140), 두 개의 기둥(110, 120)의 소정 시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줄(151, 152)에 의해 매달려 지탱되는 벨트(150), 두 개의 기둥(110, 120)의 상단에 형성되되 두 개의 기둥(110, 120)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크로스바(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기둥(110, 120)을 지지하는 받침대(1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두 개의 기둥(110, 120)은 지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소정의 받침대(1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대(100)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이동의 용이성을 갖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대(100)는 받침대(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기본틀(101), 받침대(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덮개(1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본틀(101)은 두 개의 기둥(110, 120)을 지지하고, 전체적인 운동기구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견고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본틀(101)은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덮개(102)는 받침대(100)의 상면을 형성하는데, 운동 시에 사용자가 받침대(100)로 낙하할 때의 사고 또는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덮개(102)는 탄력있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운동 시작 전 또는 운동 완료 후에 받침대(100)의 덮개(102) 위에 발을 올려놓을 시에 안정감 또한 느낄 수 있게 된다. 덮개(102)는 받침대(100) 상에서 기둥(110, 120)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둥(110, 120)이 형성되는 부분의 덮개(102)에는 천공이 형성되어 있거나 오목부(102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받침대(100)에는 두 개의 기둥(110, 120)이 형성되는 중간 지점에 홈(10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홈(103)에는 발판(140) 하면의 중앙 지점에 형성될 수 있는 회전축(143; 도 5b 참조)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기둥(110, 120)은 지면 상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받침대(1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두 개의 기둥(110, 120)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두 개의 기둥(110, 120) 사이에 들어가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기둥(110, 120)은 그 사이에 사람이 충분히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110, 12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둥(110, 120)은 외부 파이프(111, 121) 및 외부 파이프(111, 121)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파이프(112, 1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파이프(112, 122)는 외부 파이프(111, 12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외부 파이프(111, 121)와 내부 파이프(112, 122)는 외부 파이프(111, 121)를 관통하여 내부 파이프(112, 122)에 형성되는 일 이상의 고정홀(112a, 122a) 중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111a, 121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파이프(111, 121)의 상부에는 고정 부재(111a, 121a)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 부재(111a, 121a)는 단순 삽입 방식 또는 회전 삽입 방식에 의해 고정홀(112a, 122a)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내부 파이프(112, 122)를 외부 파이프(111, 121)의 내부에서 삽입 또는 인출시켜 고정시킴으로써 기둥(110, 120)을 자신의 키에 맞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111a, 121a)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부 파이브(112, 122)의 상부에는 내부 파이프(112, 122)의 상부를 덮어 씌우는 캡(112b, 122b)이 형성될 수 있다. 캡(112b, 122b)은 내부가 비어있는 내부 파이프(112, 122)의 상부를 덮어 운동 시 사용자의 손이 내부 파이프(112, 122)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캡(112b, 122b)은 금속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둥(110, 120)의 내부 파이프(112, 122) 상단에는 손잡이(131, 132) 및 크로스바(160)의 양단이 고정되는 고리(112c, 122c)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운동 시에 사용자는 고리(112c, 122c)에 고정되는 손잡이(131, 132) 또는 내부 파이프(112, 122)의 상단에 형성된 캡(112b, 122b)을 잡은 상태로 발판(140)에 발을 올려놓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31, 132) 또는 캡(112b, 122b)에서부터 발판(140)까지의 거리가 자신의 몸에 맞도록 기둥(110, 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외부 파이프(111, 121)의 소정 위치에는 발판(140)을 매달기 위한 줄(141, 142)이 고정되는 고리(111b, 121b)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리(111b, 121b)는 외부 파이프(111, 12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31, 132)는 기둥(110, 1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110, 120)의 내부 파이프(112, 122) 상단에는 고리(112c, 122c)가 형성될 수 있는데, 손잡이(131, 132)는 이러한 고리(112c, 122c)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운동 시에 사용자는 손잡이(131, 132)를 잡아 자신의 몸을 지탱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31, 13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손잡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 이상의 링이 차례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2 이상의 링이 차례로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는 후술하는 크로스바(160; 도 7 참조)에 배를 대고 허리를 숙여 두 손으로 양쪽 손잡이(131, 132)를 구성하는 2 이상의 링을 위아래로 번갈아 잡으며 머리를 아래로 내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에 따라 목 관절이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목 운동은 목 디스크 예방 운동이 될 수 있다. 도 4b에는 4개의 링이 차례로 연결되어 손잡이(131, 132)를 구성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이와는 다른 개수의 링이 손잡이(131, 132)를 구성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는 링 형상의 손잡이(131, 132)가 예시되었으나, 손잡이(131, 132)는 손으로 안정감 있게 잡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이와는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1, 132)는 안정감을 위해 견고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게 그립감을 줄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131, 132)는 금속 재질, 섬유 재질,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140)은 기둥(110, 120)의 외부 파이프(111, 121)에 형성된 고리(111b, 121b)에 고정되는 줄(141, 142)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발판(140)은 사용자가 두 발을 올려 평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140)과 줄(141, 142)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발판(140)에는 가로축(140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가로축(140a)은 발판(140)의 중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며, 발판(1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발판(140)은 가로축(140a)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며, 평형을 유지하는 형태로 고정된다. 가로축(140a)에 있어서 발판(14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줄(141, 142)의 일단이 묶여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줄(141, 142)의 타단은 기둥(110, 120)의 고리(111b, 121b)에 고정되는데, 이에 의해 발판(140)이 기둥(110, 120)에 대해 매달린 형태가 될 수 있다. 발판(140)은 지면 또는 받침대(10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매달려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판(140)의 하면에는 회전축(14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b는 회전축(143)을 포함하는 발판(140)과 받침대(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회전축(143)은 받침대(100)에 형성될 수 있는 홈(103)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발판(140)이 받침대(100)에 고정될 수 있다. 발판(140)에 회전축(143)이 형성되는 경우, 발판(140)과 기둥(110, 120)을 연결하는 줄(141, 142)의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판(140)의 회전축(143)과 받침대(100)를 이격시켜 발판(140)이 기둥(110, 120)에 대해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할 때에는 줄(141, 142)의 길이를 짧게 하고, 발판(140)의 회전축(143)을 받침대(100)의 홈(103)에 삽입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축(143)의 홈(103)의 바닥면에 닿을 수 있도록 줄(141, 14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축(143)이 형성된 발판(140)은 발판(140)이 기둥(110, 120)에 대해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현상을 이용하여 평형 운동을 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들의 운동을 도와준다. 즉, 회전축(143)에 의해 발판(140)이 받침대(100)에 고정됨으로써 사용자는 안정감 있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회전축(143)이 홈(103)에 고정되더라도 발판(140)이 기울어질 수는 있으므로 최소한의 평형 운동은 가능해진다.
도 5a 및 도 5b에는 발판(140)이 사각형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발판(140)은 가로축(140a)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원형 또는 이와는 다른 다각형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발판(140) 및 가로축(140a)은 사용자의 체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휘어지지 않는 견고한 재질, 예를 들면,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43)은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판(140)의 하면에 형성되는 원뿔 형태일 수 있으나, 이와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150)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150), 벨트(150)와 기둥(110, 120)을 연결하는 줄(151, 15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벨트(150)는 사용자의 양쪽 허벅지를 하나로 모아 고정하거나 허벅지 각각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밴드(150a, 15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2개의 밴드(150a, 150b)는 각각 줄(151, 152)에 의해 기둥(110, 12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줄(151, 152)의 일단은 밴드(150a, 150b)에 연결되고 줄(151, 152)의 타단은 기둥(110, 120)의 외부 파이프(111, 121)에 형성되는 고리(111b, 121b)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기둥(110, 120)의 고리(111b, 121b)를 통해서는 발판(140)과 벨트(150)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둥(110, 120)의 내부 파이프(112, 122) 상부에 형성되는 캡(112b, 122b) 또는 손잡이(131, 132)를 손으로 잡고 발판(140)에 두 발을 올림과 동시에 밴드(150a, 150b)로 양쪽 허벅지를 한데 묶음으로써 다리를 곧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밴드(150a, 150b)를 각 허벅지에 결착시킴으로써 자신의 몸을 운동기구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밴드(150a, 150b)는 양 단이 서로 부착 또는 결착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밴드(150a, 150b)는 허벅지를 유연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판(140) 상에 두 발을 올린 상태에서 밴드(150a, 150b)를 허벅지에 감아 고정시킬 수 있는데, 사용자마다 발끝으로부터 허벅지까지의 높이가 다르므로, 밴드(150a, 150b)와 발판(140) 간에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밴드(150a, 150b)와 기둥(110, 120)을 연결하는 줄(151, 152)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줄(151, 152)이 신축성 있는 재질,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그 자체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바(160)는 운동 시 사용자가 잠시 앉아 쉴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사용자는 크로스바(160)에 배를 대고 상체를 아래로 늘어뜨려 허리 관절 운동 또는 목 관절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바(1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되는 크로스바(160)의 양단을 각각 기둥(110, 120)의 상단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110, 120)의 내부 파이프(112, 122)의 상단에는 손잡이(131, 132) 고정을 위한 고리(112c, 122c)가 형성될 수 있는데, 크로스바(160)의 양단 또한 이러한 고리(112c, 122c)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크로스바(16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걸터앉을 때 또는 크로스바(160)를 배에 댈 때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두 개의 지지용 줄(810, 820), 지지용 줄(810, 820)의 특정 지점에 각각 형성되는 손잡이(831, 832), 두 개의 지지용 줄(810, 8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줄(841, 842)에 의해 매달려 지탱되는 발판(840), 두 개의 지지용 줄(810, 8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줄(851, 852)에 의해 매달려 지탱되는 벨트(850), 두 개의 지지용 줄(810, 820)의 특정 지점에 형성되되 두 개의 지지용 줄(810, 820)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크로스바(8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기둥(110, 120)이 지지용 줄(810, 820)로 대체되었다는 점 외에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와 동일하다.
두 개의 지지용 줄(810, 820)은 전체 운동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되는 운동기구에서의 기둥(110, 120)에 대응된다. 지지용 줄(810, 820)의 일단은 실내 공간에서 천장 또는 벽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 형성되는 다른 고정체(예를 들면,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봉)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로 하방으로 늘어뜨려질 수 있다. 지지용 줄(810, 820)의 일단에는 이러한 고정을 위한 제1 고정 수단(810a, 820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정 수단(810a, 820a)은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에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고정 부재를 결착하고 천장 또는 벽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지지용 줄(810, 82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제1 고정 수단(810a, 820a)에 봉을 삽입시키고, 해당 봉의 양단을 천장 또는 벽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지지용 줄(810, 820)을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두 개의 지지용 줄(810, 820)의 특정 지점에는 제2 고정 수단(810b, 82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수단(810b, 820b)은 손잡이(831, 832) 및 크로스바(860)의 고정을 위한 수단이다. 즉, 제2 고정 수단(810b, 820b)에는 각각 손잡이(831, 832)가 형성될 수 있고, 크로스바(860)의 양단이 제2 고정 수단(810b, 820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 수단(810b, 820b) 또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수단(810b, 820b)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지용 줄(810, 820)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즉, 제1 고정 수단(810a, 810b)과 제2 고정 수단(810b, 820b)을 연결하는 제1 부분, 제2 고정 수단(810b, 820b)과 후에 설명할 제3 고정 수단(810c, 820c)을 연결하는 제2 부분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손잡이(831, 832) 및 크로스바(860)는 도 1에 도시되는 운동기구의 손잡이(131, 132) 및 크로스바(160)와 각각 동일한 구성인 바,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두 개의 지지용 줄(810, 820)의 하단에는 제3 고정 수단(810c, 820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3 고정 수단(810c, 830c)은 발판(840) 및 벨트(850)의 고정을 위한 수단이다. 즉, 발판(840)에 연결된 두 개의 줄(841, 842)이 각각 제3 고정 수단(810c, 820c)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벨트(850)에 연결된 두 개의 줄(851, 852) 또한 각각 제3 고정 수단(810c, 820c)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발판(840) 및 벨트(850)는 도 1에 도시되는 운동기구의 발판(140) 및 벨트(150)와 각각 동일한 구성인 바,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두 개의 지지용 줄(810, 820)은 전체적인 운동기구의 무게 및 사용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또한 받침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800)는 발판(84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800)는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800)에는 발판(840) 하면에 형성되는 회전축(미도시됨)이 삽입될 수 있는 홈(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축과 홈에 대한 구성은 도 5b에 도시되는 회전축(143)과 홈(103)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운동 방법
제1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두 손으로 손잡이(131, 132)를 잡거나 기둥(110, 120)의 캡(112b, 122b)을 짚고 두 발을 발판(140) 위에 올림으로써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판(140)은 가로축(140a)을 통해서만 지탱되고 있으므로, 가로축(140a)을 중심으로 하여 시소처럼 양쪽으로 쉽게 기울어질 수 있고, 360°회전할 수도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판(140)에 두 발을 올리는 순간부터 손과 발에 신경을 모아 넘어지지 않게 수평을 유지하는 평형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두 발이 발판(140) 상에 있는 동안 사용자는 발판(140) 상에서 낙하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평형 운동을 계속하여야 하므로, 운동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지속적인 평형 운동 도중 사용자는 발판(140)을 기둥(110, 120)에 대해 전후로 움직이는 운동을 할 수도 있고, 교대로 한 발로만 발판(140) 상에서 평형을 유지하고 다른 발은 쉬게 해줌으로써 긴장을 완화시켜 줄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네 또는 시소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 시 사용자는 기둥(110, 120), 손잡이(131, 132) 또는 캡(112b, 122b)을 잡은 손에 힘을 줌으로써 상체를 윗 방향으로 들어올리고, 발판(140) 상에는 발끝만이 닿게 하거나, 발판(140) 상에서 발을 떼어 두 발을 공중에 늘어뜨리거나, 앞뒤로 흔드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지속하면, 중력이 하체를 끌어당기게 되고 관절들이 체중에 눌리는 정도가 약해지게 되어 관절들이 펴지게 되며, 당겨진 근육들 또한 연골을 안으로 밀어주게 되어 관절들이 정상 상태로 회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들의 유연성이 증가되고 주위 근육들 힘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통해 기존의 평행봉 및 링을 이용한 운동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근력이 약하거나 관절이 약한 사용자에게는 발판(140)이 기둥(110, 120)에 대해 전후좌우로 자유스럽게 이동가능한 것이 위험스러울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발판(140)의 하면에 형성되는 회전축(143)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회전축(143)을 받침대(100)의 홈(103)에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발판(140)이 기둥(110, 120)에 대해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회전축(143)은 원뿔 형태 등의 형상을 가지므로 회전축(143)을 홈(103)에 삽입시키더라도 발판(140)이 기울어지는 현상은 유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발판(140)에 두 발을 올려 평형 운동을 할 수 있다. 회전축(143)을 홈(103)에 삽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발판(140)과 기둥(110, 120)을 연결하는 줄(141, 142)을 연장시켜 회전축(143)이 홈(103)의 바닥면에 닿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벨트(150)를 구성하는 밴드(150a, 150b)를 이용하여 자신의 양쪽 허벅지를 한데 모아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다리가 더욱 곧게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체중이 관절들에 가하는 힘이 관절의 중심 부위에 더욱 집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절의 연골이 외측으로 밀리는 현상이 더욱 줄어들게 되고, 체중에 의해 밖으로 밀린 연골이 정상으로 회복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릎과 허리 관절 질환의 원인이 되는 팔자걸음과 안짱다리의 교정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크로스바(160)를 이용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는 크로스바(160)에 배를 대고 허리를 숙여 상체와 하체를 아래 방향으로 늘어뜨릴 수 있다. 이 상태를 지속하면 중력에 의해 상체와 하체의 관절들이 펴지게 되고 관절들 주위의 근육들 또한 팽팽해져 온몸의 긴장이 풀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손잡이(131, 132)의 2 이상의 링을 아래위로 번갈아 잡으며 머리를 아래로 늘어뜨림으로써 목 관절이 아래로 당겨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목 운동을 통해 목 디스크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허리에 크로스바(160)를 대고 팔을 크로스바(160) 뒤로 돌려 몸을 아래 방향으로 늘어뜨림으로써 허리 관절들을 펴주는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받침대(100)에 두 발을 대고 비스듬히 누워 두 팔로 크로스바(160)를 잡고 상체를 끌어올려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 또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기존 철봉을 이용한 운동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운동 중 사용자는 크로스바(160) 위에 걸터앉아 잠시 휴식을 취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8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두 손으로 손잡이(831, 832)를 잡거나 지지용 줄(810, 820)의 일부를 잡고 두 발을 발판(840) 위에 올림으로써 평형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831, 832) 또는 지지용 줄(810, 820)을 잡은 손에 힘을 줌으로써 상체를 윗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운동 또한 실시할 수 있다. 발판(840)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부담스러운 사용자는 발판(840) 하면에 형성되는 회전축(미도시됨)을 받침대(800)의 홈(미도시됨)에 삽입하여 최소한의 평형 운동만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벨트(850)를 구성하는 밴드(850a, 850b)를 이용하여 자신의 허벅지를 고정시켜 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으며, 크로스바(860)를 이용한 운동 또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운동기구는 기둥(110, 120) 대신 지지용 줄(810, 82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운동기구가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되는 운동기구를 이용하면 더욱더 강도 높은 평형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용 줄(810, 820)은 어떠한 경우에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831, 832) 또는 지지용 줄(810, 820)을 잡아 상체를 들어올리는 운동, 크로스바(860)를 이용한 운동을 실시하는 중에도 계속적인 평형 운동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일상에서 많이 사용되지는 않으나 신체의 평형을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근육들을 운동시킴으로써 바르게 걷는 힘을 증가시키고, 잘못된 보행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에 따라, 잘못된 자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관절 질환의 예방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800: 받침대
101: 기본틀
102: 덮개
110, 120: 기둥
111, 121: 외부 파이프
112, 122: 내부 파이프
131, 132, 831, 832: 손잡이
140, 840: 발판
141, 142, 841, 842: 줄
143: 회전축
150, 850: 벨트
151, 152, 851, 852: 줄
160, 860: 크로스바

Claims (24)

  1. 외부 파이프 및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일 이상의 고정홀을 갖는 내부 파이프를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기둥;
    상기 두 개의 기둥 각각의 특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발판 연결용 줄에 연결되어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판; 및
    상기 두 개의 기둥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파이프와 상기 내부 파이프는 상기 외부 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일 이상의 고정홀 중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두 개의 발판 연결용 줄은 각각 상기 외부 파이프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파이프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상부를 덮는 캡이 형성되는 운동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기둥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기본틀; 및
    상기 기본틀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발판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운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발판의 중간 지점을 가로지르며 양단이 각각 상기 두 개의 발판 연결용 줄에 연결되는 가로축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가로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운동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차례로 연결되는 일 이상의 링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기둥 상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크로스바를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기둥 각각의 특정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벨트 연결용 줄에 연결되는 허벅지 고정용 벨트를 더 포함하는 운동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고정용 벨트는 상기 두 개의 벨트 연결용 줄에 각각 연결되는 밴드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양단은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운동기구.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00065696A 2010-07-08 2010-07-08 운동기구 KR10126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696A KR101266149B1 (ko) 2010-07-08 2010-07-08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696A KR101266149B1 (ko) 2010-07-08 2010-07-08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16A KR20120005116A (ko) 2012-01-16
KR101266149B1 true KR101266149B1 (ko) 2013-05-21

Family

ID=4561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696A KR101266149B1 (ko) 2010-07-08 2010-07-08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311B1 (ko) * 2018-07-20 2019-09-18 정관선 실내용 어깨운동구
KR102275308B1 (ko) * 2019-10-15 2021-07-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발목 교정 강화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8090A (ja) * 2007-07-24 2009-02-12 Kai Kogyo Kk ぶら下がり運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8090A (ja) * 2007-07-24 2009-02-12 Kai Kogyo Kk ぶら下がり運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16A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4200B1 (en) Apparatus for back therapy and multiple exercises
US10232209B2 (en) Postural dynamics exercise system
US5577984A (en) Frame for a variable impact therapy system
JP5843119B2 (ja) ストレッチ器具
US20160023051A1 (en) Multipurpose yoga device
US10493322B2 (en) Human hand-crawling apparatus
JP2007130368A (ja) 機能回復訓練装置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RU1400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ок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KR200449845Y1 (ko) 거꾸리발걸이운동기구
CN210751107U (zh) 一种卧推拉背器
KR20080000998U (ko) 실내용 평행봉 운동기구
KR102006812B1 (ko) 체력단련을 겸한 의자
KR101059834B1 (ko) 다기능 운동기구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KR102533017B1 (ko) 스트레칭 및 근력 운동 기구
RU2746399C1 (ru) Строповый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RU2162358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и суставов тела
KR102254963B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100942618B1 (ko) 재활 운동기구
KR200335949Y1 (ko) 고무탄력을이용한종합헬스기구
RU188593U1 (ru) Батут с резиновыми регулируемыми опорами с функцией присоски, вкручивающимися ножками с конусным затягиванием,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о высоте и наклону ручкой, а также для конструкции батута для детей - элементом соединения защитной сети с прыжковым полотном для исключения попадания конечностей и головы ребенка между ними, съемными держателями труб для натяжки защитной сети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