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065B1 -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 Google Patents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065B1
KR101634065B1 KR1020160046418A KR20160046418A KR101634065B1 KR 101634065 B1 KR101634065 B1 KR 101634065B1 KR 1020160046418 A KR1020160046418 A KR 1020160046418A KR 20160046418 A KR20160046418 A KR 20160046418A KR 101634065 B1 KR101634065 B1 KR 101634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r
foot
cable
bas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태
Original Assignee
강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태 filed Critical 강인태
Priority to KR102016004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는, 베이스부(100); 손잡이부(200); 가이더(310)와, 이 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직물(330)과, 이 직물(330) 외측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340)과, 상기 가이더(310)와 마감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는 스토퍼(350) 및 완충부재(360)를 포함하는 제 1발판가이드부(300); 가이더(410)와, 이 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직물(430)과, 이 직물(430) 외측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440)과, 상기 가이더(410)와 마감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는 스토퍼(450)ㅁ및 완충부재(460)를 포함하는 제 2발판가이드부(400); 몸체(510)와, 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격판(518)과, 상기 몸체(5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더(310) 외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520)와, 상기 몸체(510)상에 구비되는 제 1발판부(500); 몸체(610)와, 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격판(618)과, 상기 몸체(6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더(410) 외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620)와, 상기 몸체(610)상에 구비되는 발판(640)을 포함하는 제 2발판부(600); 발판간격유지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Exercising apparatus for reinforce strength of legs}
본 발명은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 발을 발판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발판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함에 따라 남녀 성인 건강의 상징인 하체(허벅지) 근육 강화를 도모하고, 일반 가정에서 구비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며, 러닝머신이나 여타 하체근력 강화기구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단조로운 운동을 탈피하여 운동에 따른 재미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은 모든 사람들이 추구하는 가장 본질적인 삶의 목표이며,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유익한 운동(exercise)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의 효과는 다양하며, 성인에게 있어 신체단련, 특히 심장근의 단련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건강상의 이점은 매우 크고, 에어로빅 같은 유산소 운동을 통해서 심장혈관의 기능과 호흡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걷기,조깅, 자전거타기, 수영, 미용체조 등은 인기있는 유산소 운동이다.
또한, 팔굽혀펴기, 턱걸이, 윗몸일으키기,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해서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트레칭 운동은 유연성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운동은 근육을 강화시켜주는 효과뿐 아니라 면역력 및 혈액순환을 향상시켜서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막아주며, 다이어트에도 큰 효과가 있다.
사무직 종사자의 경우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현대인의 경우 걷기 운동 대신 자가용이나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하체운동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하체운동을 주기적으로 해주어야 하며, 이러한 하체운동의 대표적 방법으로는 걷기, 조깅, 등산, 러닝머신, 헬스기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여러 하체운동 중 걷기, 조깅, 등산은 외부에서 이루어지므로 날씨에 큰 영향을 받게 되어 주기적으로 운동을 하기 어렵다. 또한, 신체의 중량이 하체에 집중되는 운동이므로 근육이나 관절에 무리가 올 수 있어서, 일반인은 물론 하체 근력이나 관절이 약한 노약자가 과도하게 운동을 한다면 오히려 역효과가 초래된다.
또한, 헬스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러닝머신이나 여타 하체근력 강화기구들은 대부분 중량이 크고 가격도 고가여서 일반 가정에서 구비하여 사용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러닝머신이나 헬스기구 등은 조작법이 복잡하여 기계와 친숙하지 못한 노약자는 사용상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고, 운반이송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항상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날씨나 연령에 관계없이 실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하고,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도 쉽게 사용함과 더불어, 단조로운 운동을 탈피하여 운동에 따른 재미 효과도 거둘 수 있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07361호(2008. 02. 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44094호(2011. 06. 2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남녀 성인 건강의 상징인 하체(허벅지) 근육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와 친숙하지 못한 노약자도 사용이 용이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조로운 운동을 탈피하여 운동에 따른 재미도 얻을 수 있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발을 통해 신체를 360°회전시키면서 자유로이 운동이 가능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를 타는 것처럼 더욱 스릴 있게 운동하는 것이 가능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닥면과 접촉하는 베이스(110)와, 이 베이스의 좌우 양단부에 부착되는 마감부재(120)와, 상기 마감부재(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10)의 내측면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 외면에 부착되는 지지판(210)과, 이 지지판 외면에 부착되는 상하 1쌍의 받침부재(220)와, 이 받침부재의 중앙부 사이에 연결되는 강도 보강(補强)용 보강부재(230)와, 상기 받침부재(220)의 상면 둘레를 따라 입설되는 수직부재(240)와, 이 수직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손잡이(25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균형을 잡는 손잡이부(200); 양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0)의 마감부재(12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1쌍의 가이더(310)와, 이 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소음감소용 직물(330)과, 이 직물(330) 외측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340)과, 상기 가이더(310)의 일단부와 상기 마감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는 스토퍼(350)와, 이 스토퍼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충격감소용 완충부재(36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310)가 관통하는 몸체(510)의 직선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1발판가이드부(300); 양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0)의 마감부재(12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1쌍의 가이더(410)와, 이 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소음감소용 직물(430)과, 이 직물(430) 외측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440)과, 상기 가이더(410)의 일단부와 상기 마감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는 스토퍼(450)와, 이 스토퍼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충격감소용 완충부재(46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410)가 관통하는 몸체(610)의 직선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2발판가이드부(400); 상기 제 1발판가이드부(300)의 가이더(310)가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더공(512)을 구비한 몸체(510)와, 이 몸체의 내부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격판(518)과, 상기 몸체(5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더(310) 외주면에 구름 자재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520)와, 상기 몸체(510)상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미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510)의 직선 왕복운동과 함께 자체 360°회전이 가능한 발판(5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발판가이드부(300)의 가이더(310)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제 1발판부(500); 상기 제 2발판가이드부(400)의 가이더(410)가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더공(612)을 구비한 몸체(610)와, 이 몸체의 내부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격판(618)과, 상기 몸체(6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더(410) 외주면에 구름 자재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롤러(620)와, 상기 몸체(610)상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미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610)의 직선 왕복운동과 함께 자체 360°회전이 가능한 발판(6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발판가이드부(400)의 가이더(410)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제 2발판부(600); 및 상기 베이스부(100)의 베이스(110)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롤러(710)와, 상기 몸체(510)(610) 외면에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부재(720)와, 일단부가 상기 몸체(5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일측 케이블롤러(710)를 경유하여 상기 몸체(6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고정되는 제 1케이블(730)과, 일단부가 상기 몸체(6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 케이블롤러(710)를 경유하여 상기 몸체(5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고정되는 제 2케이블(740)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540)(640)의 간격을 상기 케이블롤러(710)를 기준으로 서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발판간격유지수단(700)을 포함하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닥면과 접촉하는 베이스(11)와, 이 베이스의 좌우 양단부상에 부착되는 마감부재(12)와, 상기 마감부재(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1)의 내측면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3)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11)의 양측 외면에 부착되는 받침부재(22)와, 이 받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보강부재(23)와, 상기 받침부재(2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입설되는 수직부재(24)와, 이 수직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손잡이(25)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균형을 잡는 손잡이부(20); 일정 곡률로서 상향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양 단부가 상기 마감부재(12)에 부착되는 1쌍의 가이더(31)와, 이 가이더 외주면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34)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31)가 관통하는 몸체(51)의 곡면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1발판가이드부(30); 일정 곡률로서 상향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양 단부가 상기 마감부재(12)에 부착되는 1쌍의 가이더(41)와, 이 가이더 외주면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44)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41)가 관통하는 몸체(61)의 곡면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2발판가이드부(40); 상기 제 1발판가이드부(30)의 가이더(31)가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더공(51a)을 구비한 몸체(51)와, 이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더(31) 외주면에 구름 자재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몸체(51)상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미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51)의 곡면 왕복운동과 함께 자체 360°회전 및 전후 회동이 가능한 발판(54)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31)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제 1발판부(50); 상기 베이스부(10)의 베이스(11)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롤러(7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발판부(50)와 대향되게끔 구비되며, 상기 제 2발판가이드부(40)의 가이더(41)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제 2발판부(60);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베이스(11)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롤러(71)와, 상기 몸체(51)(61) 외면에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부재(72)와, 일단부가 상기 몸체(5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일측 케이블롤러(71)를 경유하여 상기 몸체(6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고정되는 제 1케이블(73)과, 일단부가 상기 몸체(6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 케이블롤러(71)를 경유하여 상기 몸체(5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고정되는 제 2케이블(74)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54)(64)의 간격을 상기 케이블롤러(71)를 기준으로 서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발판간격유지수단(70)을 포함하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51)의 상면 중앙부에 제 1가이더부재(51c)가 부착되고, 상기 제 1가이더부재(51c)의 양단부 상단에 제 2가이더부재(51d)가 부착되며, 상기 제 2가이더부재(51d)의 양단부에 힌지핀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가이더부재(51c)의 상면 양단부에는 원통 형태를 갖는 스토퍼(51f)가 부착되고, 상기 제 2가이더부재(51d)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발판(54)이 회전자재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54)에는 사용자의 신발(S) 앞 부분을 둘러싸서 발(F)이 상기 발판(5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끈부재(51j)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510,610)(51,61)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알루미늄 사출 성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양 발을 모두 발판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발판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함에 따라 남녀 성인 건강의 상징인 하체(허벅지) 근육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둘째, 단순히 발판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운동이 이루어지므로 기계와 친숙하지 못한 노약자도 사용이 용이하다.
셋째, 코일스프링이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탄발력에 의해 발판이 연결된 몸체를 미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운동이 이루어지므로 단조로운 운동을 탈피하여 운동에 따른 재미도 얻을 수 있다.
넷째, 발판이 몸체의 상부에서 360° 자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는 몸체 상부에서 발을 통해 신체를 360°회전시키면서 자유로이 운동이 가능하다.
다섯째, 가이더를 곡면으로 구성할 경우 높낮이 차이를 통해 마치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를 타는 것처럼 더욱 스릴 있게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발판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가이더에 소음감소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제 1발판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제 1발판부에 발판간격유지수단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발판에 사용자의 한쪽 발이 끈부재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전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발판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가이더에 소음감소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제 1발판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제 1발판부에 발판간격유지수단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는 크게 베이스부(100), 손잡이부(200), 제 1발판가이드부(300), 제 2발판가이드부(400), 제 1발판부(500), 제 2발판부(600), 발판간격유지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사각틀 형태를 갖는 베이스(110)가 바닥면과 접촉하고, 베이스(110)의 좌우 양단부에 마감부재(120)가 가령 용접등을 통해 고정 부착되며, 복수의 연결부재(130)가 마감부재(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베이스(110)의 내측면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게끔 고정 부착된다.
이때, 베이스(110)의 일측 밑면에 캐스터(미도시)를 장착하는 경우, 베이스(110)를 들어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110)의 중앙부 밑면에 경첩(미도시)을 설치하는 경우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절반으로 접어서 원하는 장소에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양 발을 후술하는 발판(540)(640)을 통해 각각 딛고 선 상태에서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잡고 균형을 잡기 위한 것으로서, 발판(540)(640)을 둘러싸는 형태로서 구비된다.
즉, 베이스(110)의 양측 외면에 사각 형태를 갖는 지지판(210)이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부착되고, 지지판(210) 외면에 'C'자형 단면을 갖는 상하 1쌍의 받침부재(220)의 양단부가 고정 부착되며, 이 받침부재(220)의 중앙부 사이에 강도 보강(補强)을 위한 보강부재(23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받침부재(220)의 상면 둘레를 따라 수직부재(240)가 입설되고, 이 수직부재(240)의 상면에 'C'자형 단면을 갖는 손잡이(250)가 고정 부착된다. 이때, 손잡이(250)가 'C'자형 단면을 갖도록 한 것은 양 손잡이(250) 사이를 통해 사용자가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용이하게 출입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받침부재(220)는 베이스(110) 외면에 직접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받침부재(220)는 복수가 아닌 단일 구조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110)와 지지판(210), 또는 베이스(110)와 받침부재(220)를 용접이 아닌 볼트 및 너트 연결방식으로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손잡이부(200)를 베이스부(100)로부터 탈거하여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발판가이드부(300)는 후술하는 몸체(510)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케이블롤러(710)를 기준으로 일측에 1쌍 구비된다.
즉, 직선 형태를 갖는 1쌍의 가이더(310) 양 단부가 마감부재(120)를 관통하여 볼트(320)를 통해 고정연결된다. 즉, 가이더(310)의 양 단부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나사산에 볼트(320)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가이더(310)의 외주면에 소음감소를 위한 직물(330)이 감싸지고, 이 직물(330) 외측에 코일스프링(340)이 구비된다.
또한, 가이더(310)의 일단부와 마감부재(120) 사이에는 링 형상을 갖는 스토퍼(350)와 더불어 충격감소를 위해 우레탄 재질의 링 형상을 갖는 완충부재(360)가 서로 인접하여 구비되고, 가이더(310)의 타단부에도 스토퍼(350) 및 완충부재(36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스토퍼(350) 및 완충부재(360)는 부싱과 같은 단일 구조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부싱을 대체하여 LM베어링 또는 롤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2발판가이드부(400) 역시 몸체(610)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이더하는 것으로서, 직선 형태를 갖는 1쌍의 가이더(410) 양 단부가 마감부재(120)를 관통하여 볼트부재(420)를 통해 고정연결된다.
또한, 가이더(410)의 외주면에 소음감소를 위한 직물(430)이 감싸지고, 이 직물(430) 외측에 코일스프링(440)이 구비된다.
또한, 가이더(410)의 일단부와 마감부재(120) 사이에는 스토퍼(450)와 완충부재(460)가 서로 인접하여 구비되고, 가이더(410)의 타단부에도 스토퍼(450) 및 완충부재(460)가 각각 구비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1발판부(500)는 전술한 제 1발판가이드부(300)의 가이더(310) 외주면을 타고 이동(직선 왕복운동) 및 상단에 구비된 발판(540)의 360°회동이 자재(自在)한 것으로서, 밑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510)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더공(512)을 가이더(310)가 관통하고, 가이더공(512)과 몸체(510)의 양측면이 만나는 부위에는 일자(一字) 형태의 관통공(514)이 각각 형성되며, 몸체(510)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판(518)이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514)은 무게 경감과 함께 가이더(310)를 타고 이동하는 몸체(510)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을 방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몸체(510)의 내부에서 가이더(310) 외주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520)가 장착되어지되, 정면에서 보아 각각의 가이더(310) 외주면 상단에 가이드롤러(520)가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안착되고(총 4개), 각각의 가이더(310) 외주면 하단에 1개의 가이드롤러(520)가 안착(총 2개)된다.
본 발명에서 몸체(510)는 일 예로서 철 재질로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량화를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추후 상술함).
상기 상단측 가이드롤러(520)는 몸체(510)의 양 측면과 전술한 격판(518) 사이에서 볼트(530) 및 너트(미도시)에 의해 구름 자재하게끔 장착되고, 하단측 가이드롤러(520)는 몸체(510)의 양 측면과 격판(518) 사이에서 볼트(530) 및 너트(미도시)에 의해 구름 자재하게끔 장착된다.
이때, 가이드롤러(520)는 가이더(310)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가운데가 오목한 오목렌즈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510)상에 발판(540)이 구비되어지되, 이 발판(540)은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힘을 주어 미는 동작에 의해 몸체(510)의 직선 왕복운동과 함께 360°자체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몸체(510)의 상면 중앙부에 발판(540)이 안착되고, 볼트부재(542)가 발판(540)과 복수의 와셔(544), 그리고 몸체(510)의 상면을 관통하여 너트(546)와 결합된다.
이때, 양 와셔(544)와, 너트(546)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548)이 각각 장착되어 있어서, 발판(510)은 몸체(510) 상면에서 회전 자재한 구조를 가지며, 도 5에서 와셔(544)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도 1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2발판부(600)는 케이블롤러(710)를 사이에 두고 제 1발판부(500)와 대향되게끔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 1발판부(500)와 전체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며, 전술한 제 2발판가이드부(400)의 가이더(410) 외주면을 타고 이동(직선 왕복운동) 및 상단에 구비된 발판(640)의 360°회동이 자재(自在)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 1, 도 2, 도 4,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는 발판간격유지수단(700)을 더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발판(540)(640)에 양 발을 딛고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양쪽 발에 고르게 힘을 주어서 좌우 균형을 맞추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우므로 어느 한쪽 발에 힘을 더 주는 경우 양쪽 하체에 고르게 근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고, 심한 경우 다리 사이가 벌어져서 부상의 입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에 따라 양쪽 발에 고르게 힘을 주어서 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발판간격유지수단(700)은 베이스(110)의 양단부 상면에 케이블롤러(71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양 몸체(510)(610)의 서로 대향되는 외면에 대략 캡(cap) 형태 단면을 갖는 케이블 지지부재(720)를 전술한 볼트(530) 및 너트(미도시)로 고정한다.
또한, 제 1케이블(730)의 일단부가 몸체(5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압입,고정되고, 제 1케이블(730)의 타단부는 일측 케이블롤러(710)를 경유하여 몸체(6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압입,고정된다.
또한, 제 2케이블(740)의 일단부가 몸체(6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압입,고정되고, 제 2케이블(740)의 타단부는 타측 케이블롤러(710)를 경유하여 몸체(5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압입,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발에 더 힘을 주어서 발판(540)을 전방향으로 밀면, 왼발이 딛고 있는 발판(640)도 이에 비례하여 후방향으로 밀려서 발판(540)(640)의 간격을 양 케이블롤러(710)를 기준으로 서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적정 장소에 비치한다. 맑거나, 춥지 않은 날씨인 경우 마당 등 외부에 비치하고, 비 또는 눈이 오거나 추운 날씨등 외부에서 운동이 어려운 경우 거실등 실내에 비치한다.
이후, 사용자는 양 손잡이(250) 사이 공간을 통해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들어간 후, 양 손을 통해 손잡이(250)를 잡고, 두 발을 발판(540)(640)에 딛고 선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왼발을 제 2발판부(600)의 발판(640)에, 오른발을 제 1발판부(500)의 발판(540)에 각각 올려 놓고, 양손은 일측 손잡이(250)를 잡은 상태로 선다. 이때, 발판(540)(640)은 가이더(310)(410)와 나란한 상태이다.
이후, 왼발과 오른발에 힘을 주어서 마치 스키를 타는 것처럼 발판(540)(640)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함에 따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몸체(510)(610)가 가이드롤러(520)(620)를 통해 가이더(310)(410)의 외주면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 하며, 이때, 코일스프링(340)(440)은 발판(540)(640)과 함께 가이더(310)(410)의 외주면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스토퍼(350)(450)와 접촉할 경우,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발판(540)(640)을 반대방향으로 밀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왼발을 제 1발판부(500)의 발판(540)에, 오른발을 제 2발판부(600)의 발판(640)에 각각 올려 놓고, 양손은 손잡이(250)를 잡은 상태로 선다. 이때, 발판(540)(640)은 시계방향으로 90°회동되어 인접한 연결부재(130)와 나란한 상태이다.
이후, 왼발과 오른발에 힘을 주어서 발판(540)(640)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함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양 발이 모아지거나 또는 벌어지면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10)(610)가 가이드롤러(520)(620)를 통해 가이더(310)(410)의 외주면을 타고 좌우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 하며, 이때, 코일스프링(340)(4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발판(540)(640)과 함께 가이더(310)(410)의 외주면을 타고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스토퍼(350)(450)와 접촉할 경우,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발판(540)(640)을 반대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노약자나 어린이는 손잡이(250)를 잡은 상태에서 운동을 하고, 성인남녀나 청소년과 같이 평행 감각을 쉽게 유지할 수 있는 연령층인 경우 손잡이(250)에서 손을 놓은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양 발을 모두 발판(540)(640)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발판(540)(640)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함에 따라 남녀 성인 건강의 상징인 하체(허벅지) 근육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발판(540)(640)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운동이 이루어지므로 기계와 친숙하지 못한 노약자도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코일스프링(340)(440)이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탄발력에 의해 발판(540)(640)이 연결된 몸체(510)(610)를 미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운동이 이루어지므로 단조로운 운동을 탈피하여 운동에 따른 재미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발판(540)(640)이 몸체(510)(610)의 상부에서 360° 자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는 몸체(510)(610) 상부에서 발을 통해 신체를 360°회전시키면서 자유로이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발판(540)(640)에 양 발을 딛고 전후 또는 좌우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발판간격유지수단(700)의 케이블롤러(710) 및 제 1 및 제 2케이블(730)(740)에 의해 발판(540)(640)의 간격을 양 케이블롤러(710)를 기준으로 서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발판에 사용자의 한쪽 발이 끈부재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는 크게 베이스부(10), 손잡이부(20), 제 1발판가이드부(30), 제 2발판가이드부(40), 제 1발판부(50), 제 2발판부(60), 발판간격유지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는 사각틀 형태를 갖는 베이스(11)가 바닥면과 접촉하고, 베이스(11)의 좌우 양단부상에 후술하는 가이더(31)가 고정되는 마감부재(12)가 가령 용접등을 통해 고정 부착되며, 복수의 연결부재(13)가 마감부재(12)와 나란한 방향으로 베이스(11)의 내측면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게끔 고정 부착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0)는 사용자가 양 발을 후술하는 발판(54)(64)을 통해 각각 딛고 선 상태에서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잡고 균형을 잡기 위한 것이다.
즉, 베이스(11)의 양측 외면에 'C'자형 단면을 갖는 상하 1쌍의 받침부재(22)의 양단부가 고정 부착되고, 이 받침부재(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부재(23)가 등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받침부재(2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수직부재(24)가 입설되고, 이 수직부재(24)의 상면에 'C'자형 단면을 갖는 손잡이(25)가 고정 부착된다. 이때, 손잡이(25)가 'C'자형 단면을 갖도록 한 것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 손잡이(25) 사이를 통해 사용자가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용이하게 출입하기 위함이며, 받침부재(22)는 복수가 아닌 단일 구조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양 단부측 보강부재(23)는 일자(一字) 형태를 갖는 수평부재(21)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잡이부(20)가 유동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1발판가이드부(30)는 후술하는 몸체(51)의 곡면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케이블롤러(71)를 기준으로 일측에 1쌍 구비된다.
즉, 일정 곡률로서 상향 만곡(彎曲)진 형태를 갖는 1쌍의 가이더(31) 양 단부가 마감부재(12)에 고정 부착된다. 이때, 가이더(31)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직물(미도시, 도 3의 330 참조)이 추가 구비될 수 있고, 이 직물 외측에 코일스프링(34)이 구비된다.
또한, 가이더(31)의 일단부와 마감부재(12)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퍼(350)와 완충부재(3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2발판가이드부(40) 역시 후술하는 몸체(61)의 곡면 왕복운동을 가이더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가이더(31)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1쌍의 가이더(41) 양 단부가 마감부재(12)에 고정 부착된다. 또한, 가이더(41)의 외주면에 전술한 직물(미도시, 도 3의 330 참조)이 추가 구비될 수 있고, 이 직물 외측에 코일스프링(44)이 구비된다.
또한, 가이더(31)의 일단부와 마감부재(12)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퍼(350)와 완충부재(3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1발판부(50)는 전술한 제 1발판가이드부(30)의 가이더(31) 외주면을 타고 곡면 왕복운동 및 상단에 구비된 발판(54)의 360°회동이 자재(自在)한 것으로서, 밑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51)에 구비된 복수의 가이더공(51a)을 가이더(31)가 관통하고, 가이더공(51a)과 몸체(51)의 양측면이 만나는 부위에는 일자(一字) 형태의 관통공(51b)이 각각 형성되며, 몸체(51)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판(미도시, 도 4의 518 참조)이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51)의 내부에서 가이더(31) 외주면에 다수의 가이드롤러(미도시, 도 5의 520 참조)가 장착되어지되, 정면에서 보아 각각의 가이더(31) 외주면 상단에 2개의 가이드롤러가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안착되고, 각각의 가이더(31) 외주면 하단에 2개의 가이드롤러가 안착된다.
상단측 가이드롤러는 몸체(51)의 양 측면과 전술한 격판 사이에서 볼트(53) 및 너트(미도시)에 의해 구름 자재하게끔 장착되고, 하단측 가이드롤러는 몸체(51)의 양 측면과 격판 사이에서 볼트(53) 및 너트(미도시)에 의해 구름 자재하게끔 장착된다.
이때, 가이드롤러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운데가 오목한 오목렌즈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51)상에 발판(54)이 구비되어지되, 이 발판(54)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발판(540)(640)과 같이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미는 동작에 의해 몸체(51)의 곡면 왕복운동 및 360°자체 회전은 물론 전후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도 15를 참조하면 몸체(51)의 상면 중앙부에 'ㄷ'자형 단면을 갖는 제 1가이더부재(51c)가 고정 부착되고, 이 제 1가이더부재(51c)의 양단부 상단에 'ㄷ'자형 단면을 갖는 제 2가이더부재(51d)가 고정 부착되며, 이 제 2가이더부재(51d)의 양단부에 힌지핀(미도시)이 너트(51e)와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 1가이더부재(51c)의 상면 양단부에는 원통 형태를 갖는 스토퍼(51f)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가이더부재(51d)가 전후 회동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회동되면서 사용자가 발목에 부상을 입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스토퍼(51f)의 외면에는 고무 재질을 갖는 부싱(미도시)을 끼울 경우 제 1, 제 2가이더부재(51c)(51d)가 서로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가이더부재(51d)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발판(54)이 설치되어지되, 볼트부재(51f)가 발판(54)과 복수의 와셔(51g), 그리고 제 2가이더부재(51d)를 관통하여 너트(51h)와 결합된다.
이때, 와셔(51g)와, 와셔(51g)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51i)이 각각 장착되어 있어서, 발판(54)은 몸체(51) 상면에서 회전 자재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발판(54)에는 사용자의 신발(S) 앞 부분을 둘러싸서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F)이 발판(5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암,수 벨크로 테이프(미도시)를 포함하는 끈부재(51j)의 양단부가 피스(51k)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발판(54)이 360°자체 회전과 더불어 전후 회동(seesaw 구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가이더(31)의 곡면을 고려한 것이다. 즉, 발판(54)이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발판(54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경우 가이더(31)의 특히 양 단부에서 발판(54)과 가이더(31)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발목 부위에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더(31)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여 발판(54)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전후 회동되면서 보다 안전하게 운동을 하기 위함이다.
도 13 내지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 2발판부(60)는 케이블롤러(71)를 사이에 두고 제 1발판부(50)와 대향되게끔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 1발판부(50)와 전체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며, 전술한 제 2발판가이드부(40)의 가이더(41) 외주면을 타고 곡면 왕복운동 및 상단에 구비된 발판(64)의 360°회동이 자재(自在)한 구조를 가진다.
즉, 몸체(61)상에 발판(64)이 구비되어지되, 이 발판(64)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발판(540)(640)과 같이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발판(64)을 미는 동작에 의해 몸체(61)의 곡면 왕복운동 및 360°자체 회전은 물론 전후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발판간격유지수단(7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발판간격유지수단(70)은 베이스(11)의 양단부 상면에 케이블롤러(71)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양 몸체(51)(61)의 서로 대향되는 외면에 케이블 지지부재(72)를 전술한 볼트(53) 및 너트(미도시)로 고정한다.
또한, 제 1케이블(73)의 일단부가 몸체(5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압입,고정되고, 제 1케이블(73)의 타단부는 일측 케이블롤러(71)를 경유하여 몸체(6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압입,고정된다.
또한, 제 2케이블(74)의 일단부가 몸체(6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압입,고정되고, 제 2케이블(74)의 타단부는 타측 케이블롤러(71)를 경유하여 몸체(5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압입,고정된다.
이에 따라 오른발에 더 힘을 주어서 발판(54)을 전방향으로 밀면, 왼발이 딛고 있는 발판(64)도 이에 비례하여 후방향으로 밀려서 발판(54)(64)의 간격을 양 케이블롤러(71)를 기준으로 서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각 연결부재(13)의 상면에는 육면체 형상을 갖는 롤러받침부재(76)가 입설되고, 이 롤러받침부재(76)의 상면에는 제 1케이블(73) 및 제 2케이블(7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77)가 좌우 1쌍씩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작용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며, 사용자는 양 손잡이(25) 사이 공간을 통해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들어간 후, 양 손을 통해 손잡이(25)를 잡고, 두 발을 발판(54)(64)에 딛고 선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왼발을 제 2발판부(60)의 발판(64)에, 오른발을 제 1발판부(50)의 발판(54)에 각각 올려 놓고, 양손은 일측 손잡이(25)를 잡은 상태로 선다.
이후, 왼발과 오른발에 힘을 주어서 마치 스키를 타는 것처럼 발판(54)(64)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함에 따라 몸체(51)(61)가 가이드롤러를 통해 곡면 형태를 갖는 가이더(31)(41)의 외주면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 하며, 이때, 코일스프링(34)(44)은 발판(54)(64)과 함께 가이더(31)(41)의 외주면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최대한 압축되면 탄발력이 발생하여 발판(54)(64)을 반대방향으로 밀게 된다.
한편, 왼발을 제 1발판부(50)의 발판(54)에, 오른발을 제 2발판부(60)의 발판(64)에 각각 올려 놓고, 양손은 손잡이(25)를 잡은 상태로 선 상태에서 발판(54)(64)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시켜서 위와 같이 운동이 가능하며, 실시예 1과 달리 가이더(31)(41)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더욱 스릴있게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양 발을 모두 발판(54)(64)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발판(54)(64)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함에 따라 남녀 성인 건강의 상징인 하체(허벅지) 근육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발판(54)(64)을 교대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차례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운동이 이루어지므로 기계와 친숙하지 못한 노약자도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코일스프링(34)(44)이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탄발력에 의해 발판(54)(64)이 연결된 몸체(51)(61)를 미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운동이 이루어지므로 단조로운 운동을 탈피하여 운동에 따른 재미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발판(54)(64)이 몸체(51)(61)의 상부에서 360° 자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는 몸체(51)(61) 상부에서 신체를 360°회전시키면서 자유로이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발판(54)(64)에 양 발을 딛고 전후 또는 좌우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발판간격유지수단(70)의 케이블롤러(71) 및 제 1 및 제 2케이블(73)(74)에 의해 발판(54)(64)의 간격을 양 케이블롤러(71)를 기준으로 서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더(31)(41)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높낮이 차이를 통해 마치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를 타는 것처럼 더욱 스릴있게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품인 상기 몸체(51,61;510,610)은 경량의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에 있어서의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알루미늄 사출 성형된 몸체(800)의 중앙부에 단수의 가이더(미도시, 도 1의 310 참조)가 관통하기 위한 중공의 다각 형태를 갖는 가이더관통부(810)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이 가이더관통부(810) 좌우 양측에는 우레탄휠(urethane wheel)(미도시)이 장착되기 위한 휠삽입부(820)가 각각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베어링이 구비된 우레탄휠(미도시)을 휠삽입부(820)에 삽입하고, 가이더관통부(810)의 양 내측에서 상기 우레탄휠이 회동가능하게끔 볼트와 와셔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을 장착한다.
또한, 가이더관통부(810)의 상면에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발판(540), 볼트부재(542), 와셔(544), 너트(546), 스러스트 베어링(548)이 장착되어 있어서, 발판(540)은 가이더관통부(810) 상면에서 360°회전 자재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가이더관통부(8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피스공(812)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고, 몸체(800)의 둘레를 따라 피스공(802)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더관통부(810)의 정면에 소(小)커버(미도시)를 피스결합하고, 몸체(800)의 정면에 대(大)커버(미도시)를 피스결합할 경우, 외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도 16에 따른 몸체(800)를 사용하는 경우, 실시예 1과 2에서 설명한 가이더(310,400)가 당초 4개에서 2개로 감소되고, 바닥면과 접촉하는 우레탄휠의 사용으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의 사용에 따른 소음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부 110 : 베이스
120 : 마감부재 130 : 연결부재
200 : 손잡이부 210 : 지지판
220 : 받침부재 250 : 손잡이
300 : 제 1발판가이드부 310,410 : 가이더
330,430 : 직물 340,440 : 코일스프링
400 : 제 2발판가이드부 500 : 제 1발판부
510,610 : 몸체 520,620 : 가이드롤러
540,640 : 발판 600 : 제 2발판부
700 : 발판간격유지수단 710 : 케이블롤러
720 : 케이블 지지부재 730 : 제 1케이블

Claims (6)

  1. 바닥면과 접촉하는 베이스(110)와, 이 베이스의 좌우 양단부에 부착되는 마감부재(120)와, 상기 마감부재(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10)의 내측면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 외면에 부착되는 지지판(210)과, 이 지지판 외면에 부착되는 상하 1쌍의 받침부재(220)와, 이 받침부재의 중앙부 사이에 연결되는 강도 보강(補强)용 보강부재(230)와, 상기 받침부재(220)의 상면 둘레를 따라 입설되는 수직부재(240)와, 이 수직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손잡이(25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균형을 잡는 손잡이부(200);
    양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0)의 마감부재(12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1쌍의 가이더(310)와, 이 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소음감소용 직물(330)과, 이 직물(330) 외측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340)과, 상기 가이더(310)의 일단부와 상기 마감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는 스토퍼(350)와, 이 스토퍼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충격감소용 완충부재(36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310)가 관통하는 몸체(510)의 직선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1발판가이드부(300);
    양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0)의 마감부재(12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1쌍의 가이더(410)와, 이 가이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소음감소용 직물(430)과, 이 직물(430) 외측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440)과, 상기 가이더(410)의 일단부와 상기 마감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는 스토퍼(450)와, 이 스토퍼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충격감소용 완충부재(46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410)가 관통하는 몸체(610)의 직선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2발판가이드부(400);
    상기 제 1발판가이드부(300)의 가이더(310)가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더공(512)을 구비한 몸체(510)와, 이 몸체의 내부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격판(518)과, 상기 몸체(5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더(310) 외주면에 구름 자재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520)와, 상기 몸체(510)상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미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510)의 직선 왕복운동과 함께 자체 360°회전이 가능한 발판(5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발판가이드부(300)의 가이더(310)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제 1발판부(500);
    상기 제 2발판가이드부(400)의 가이더(410)가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더공(612)을 구비한 몸체(610)와, 이 몸체의 내부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격판(618)과, 상기 몸체(61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더(410) 외주면에 구름 자재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롤러(620)와, 상기 몸체(610)상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미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610)의 직선 왕복운동과 함께 자체 360°회전이 가능한 발판(6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발판가이드부(400)의 가이더(410)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제 2발판부(600); 및
    상기 베이스부(100)의 베이스(110)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롤러(710)와, 상기 몸체(510)(610) 외면에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부재(720)와, 일단부가 상기 몸체(5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일측 케이블롤러(710)를 경유하여 상기 몸체(6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고정되는 제 1케이블(730)과, 일단부가 상기 몸체(6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 케이블롤러(710)를 경유하여 상기 몸체(510)의 케이블 지지부재(720)에 고정되는 제 2케이블(740)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540)(640)의 간격을 상기 케이블롤러(710)를 기준으로 서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발판간격유지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2. 바닥면과 접촉하는 베이스(11)와, 이 베이스의 좌우 양단부상에 부착되는 마감부재(12)와, 상기 마감부재(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1)의 내측면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3)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11)의 양측 외면에 부착되는 받침부재(22)와, 이 받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보강부재(23)와, 상기 받침부재(22)의 상면 둘레를 따라 입설되는 수직부재(24)와, 이 수직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손잡이(25)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균형을 잡는 손잡이부(20);
    일정 곡률로서 상향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양 단부가 상기 마감부재(12)에 부착되는 1쌍의 가이더(31)와, 이 가이더 외주면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34)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31)가 관통하는 몸체(51)의 곡면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1발판가이드부(30);
    일정 곡률로서 상향 만곡(彎曲)진 형태로서 양 단부가 상기 마감부재(12)에 부착되는 1쌍의 가이더(41)와, 이 가이더 외주면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44)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41)가 관통하는 몸체(61)의 곡면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제 2발판가이드부(40);
    상기 제 1발판가이드부(30)의 가이더(31)가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더공(51a)을 구비한 몸체(51)와, 이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더(31) 외주면에 구름 자재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몸체(51)상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미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51)의 곡면 왕복운동과 함께 자체 360°회전 및 전후 회동이 가능한 발판(54)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더(31)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제 1발판부(50);
    상기 베이스부(10)의 베이스(11)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롤러(7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발판부(50)와 대향되게끔 구비되고, 몸체(61)상에 구비된 발판(64)을 사용자가 발로 딛고 선 상태에서 미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61)의 곡면 왕복운동 및 360°자체 회전은 물론 전후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 2발판가이드부(40)의 가이더(41)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제 2발판부(60);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베이스(11)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롤러(71)와, 상기 몸체(51)(61) 외면에 고정되는 케이블 지지부재(72)와, 일단부가 상기 몸체(5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일측 케이블롤러(71)를 경유하여 상기 몸체(6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고정되는 제 1케이블(73)과, 일단부가 상기 몸체(6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타측 케이블롤러(71)를 경유하여 상기 몸체(51)의 케이블 지지부재(72)에 고정되는 제 2케이블(74)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54)(64)의 간격을 상기 케이블롤러(71)를 기준으로 서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발판간격유지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1)의 상면 중앙부에 제 1가이더부재(51c)가 부착되고, 상기 제 1가이더부재(51c)의 양단부 상단에 제 2가이더부재(51d)가 부착되며, 상기 제 2가이더부재(51d)의 양단부에 힌지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더부재(51c)의 상면 양단부에는 원통 형태를 갖는 스토퍼(51f)가 부착되고, 상기 제 2가이더부재(51d)와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발판(54)이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54)에는 사용자의 신발(S) 앞 부분을 둘러싸서 발(F)이 상기 발판(5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끈부재(51j)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10,610)(51,61)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알루미늄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KR1020160046418A 2016-04-15 2016-04-15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KR101634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18A KR101634065B1 (ko) 2016-04-15 2016-04-15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18A KR101634065B1 (ko) 2016-04-15 2016-04-15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065B1 true KR101634065B1 (ko) 2016-06-28

Family

ID=5636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418A KR101634065B1 (ko) 2016-04-15 2016-04-15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2854A (zh) * 2018-07-30 2018-12-14 付立国 一种多功能下肢训练康复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61B1 (ko) 2007-05-04 2008-02-28 오국진 하체 근력 강화기
KR20090091447A (ko) * 2008-02-25 2009-08-28 권형철 하반신 운동기구
KR20100129647A (ko) * 2009-06-01 2010-12-09 김재영 다목적 운동기구
KR101044094B1 (ko) 2008-08-19 2011-06-23 한국과학기술원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KR20120044838A (ko) * 2010-10-28 2012-05-08 김윤관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140125477A (ko) * 2013-04-19 2014-10-29 신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체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361B1 (ko) 2007-05-04 2008-02-28 오국진 하체 근력 강화기
KR20090091447A (ko) * 2008-02-25 2009-08-28 권형철 하반신 운동기구
KR101044094B1 (ko) 2008-08-19 2011-06-23 한국과학기술원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KR20100129647A (ko) * 2009-06-01 2010-12-09 김재영 다목적 운동기구
KR20120044838A (ko) * 2010-10-28 2012-05-08 김윤관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140125477A (ko) * 2013-04-19 2014-10-29 신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체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2854A (zh) * 2018-07-30 2018-12-14 付立国 一种多功能下肢训练康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571A (en) Force opposition type exerciser
US7998042B2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US5941800A (en)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AU2005216127B2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US5080353A (en) Aerobic exercise chair
US7815553B2 (en) Health machine
KR20100077516A (ko) 다목적 물리치료용 운동기구
US3215429A (en) Spring biased exercising apparatus
CN111672053B (zh) 一种坐卧式多功能健身康复机
US20020187885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US20140357456A1 (en) Training Device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KR20130005354A (ko) 스텝형 운동기구
US20090054210A1 (en) Station for Gymnastics in Water
KR101634065B1 (ko)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KR101244716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CN205699150U (zh) 滑动式健身器械
CN105582644A (zh) 臂力推压练习器
KR101298337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KR20210001936U (ko) 종아리 근육 강화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2482764B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20200117469A (ko) 등산연습 겸용 계단오르기용 스텝 운동기구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US20240123276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