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094B1 -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094B1
KR101044094B1 KR1020080080974A KR20080080974A KR101044094B1 KR 101044094 B1 KR101044094 B1 KR 101044094B1 KR 1020080080974 A KR1020080080974 A KR 1020080080974A KR 20080080974 A KR20080080974 A KR 20080080974A KR 101044094 B1 KR101044094 B1 KR 101044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support
pair
spring
body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342A (ko
Inventor
양민양
정낙신
김성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8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0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2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with guided foot supports moving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one end executing a complete circular movement, the other end translating almost linearly, e.g. giving an elliptical movement to the foot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부, 회동부, 연결부 및 스프링 부재를 주요 구성부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양다리로 회동부를 미는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체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키고 체형을 교정할 수 있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따르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반복적인 하체 운동으로 인하여 허벅지 뒤쪽과 엉덩이의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운동기구에 스프링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상대적인 근력에 따라 강도가 다른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하체, 근력운동, 스프링, 탄성력

Description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Physical Instrument for Strengthening Muscle of Legs}
본 발명은 하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부, 회동부, 연결부 및 스프링 부재를 주요 구성부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양다리로 회동부를 미는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체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키고 체형을 교정할 수 있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은 모든 사람들이 추구하는 가장 본질적인 삶의 목표이다. 따라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이고 유익한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을 통해서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에 활력도 불어 넣을 수 있게 되며, 특히,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사무직 종사자가 증가하고, 자가용이나 대중교통 등을 많이 이용하는 현대인들에게는 하체 운동이 더욱 많이 요구된다.
하체 운동을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조깅, 러닝머신, 등산, 헬스기 구 등이 있다. 하지만, 야외에서 실시하게 되는 조깅이나 등산은 기후적인 영향과 준비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과 전신의 중량이 하체에 집중됨으로 인하여 관절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서, 기존에 주기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역효과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헬스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러닝머신이나 하체근력 강화기구들은 중량이 크고 가격도 고가여서 일반 가정에서 구비하여 사용하기가 쉽지는 않다.
기존의 헬스기구 중에서 하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인 Leg Extension과 같은 기구의 경우에는 하체를 이용하여 무거운 블록을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근력을 강화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구 역시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 많아 가정에서 쉽게 이용하기에는 불편하다.
최근에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도 다리 근육 강화나 스트레칭을 위한 무산소운동 및 사이클 페달운동과 같은 유산소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하체운동기구가 개발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783,744). 상기 하체운동기구는 스프링부재의 탄성 지지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다리 운동이 가능하나, 기구에 사용자의 발꿈치만을 올려놓고 운동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운동기구로부터 다리가 이탈할 확률이 높고, 구조 역시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운동기구 전체를 지지하는 바닥부와 운동시 실제 구동되는 회동부를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체 근육강화 운동이 가능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언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하체 근육강화 운동기구를 제조할 수 있 으며, 스프링을 용이하게 탈부착시켜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H'형태의 지지대(1a), 상기 지지대(1a)의 말단에 결합된 한 쌍의 손잡이(1b) 및 상기 지지대(1a)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고리(carbiner)(1c)를 포함하는 바닥부(1); (b) 상기 지지대(1a) 상부에 결합된 'ㄷ' 형태를 가지는 한 쌍의 브라켓(braket)(2a)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2a) 각각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roller)(2b)를 포함하는 연결부(2); (c) 상기 브라켓(2a)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한 쌍의 제2 고리(3b)를 포함하는 회동부(3); 및 (d) 상기 제1 고리(1c) 및 제2 고리(3b)에 양 말단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스프링(4a) 및 상기 스프링(4a)을 감싸고 있는 외피(4b)를 포함하는 스프링 부재(4)를 포함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따르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반복적인 하체 운동으로 인하여 허벅지 뒤쪽과 엉덩이의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운동기구에 스프링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상대적인 근력에 따라 강도가 다른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H'형태의 지지대(1a), 상기 지지대(1a)의 말단에 결합된 한 쌍의 손잡이(1b) 및 상기 지지대(1a)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고리(carbiner)(1c)를 포함하는 바닥부(1); (b) 상기 지지대(1a) 상부에 결합된 'ㄷ' 형태를 가지는 한 쌍의 브라켓(braket)(2a)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2a) 각각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roller)(2b)를 포함하는 연결부(2); (c) 상기 브라켓(2a)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한 쌍의 제2 고리(3b)를 포함하는 회동부(3); 및 (d) 상기 제1 고리(1c) 및 제2 고리(3b)에 양 말단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스프링(4a) 및 상기 스프링(4a)을 감싸고 있는 외피(4b)를 포함하는 스프링 부재(4)를 포함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기구 전체를 받치면서 지탱하는 바닥부(1),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하체 운동을 할 때 스프링(4a)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하체 운동을 실시하는 사용자가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3), 상기 회동부(3)가 스프링(4a)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움직이도록 상기 바닥부(1)와 회동부(3)를 연결하는 연결부(2), 및 상기 회동부(3)와 바닥부(1) 사이에 연결되어 스프링(4a)의 탄성력에 의한 회동부(3)의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부재(4)를 주요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에서, 'H'형 지지대(1a), 손잡이(1b), 제1 고리(1c) 및 완충대(1d)를 포함하는 바닥부(1)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닥부(1)에는 'H'형태의 지지대(1a)가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하체 운동을 실시할 때 운동기구가 흔들리는 경우 없이 안전하게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b)는 지지대(1a)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잡이(1b)가 용접에 의해 지지대(1a)에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닥부(1)에 포함된 상기 지지대(1a)의 일 말단에는 한 쌍의 손잡이(1b)가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손잡이(1b)를 잡고 하체 운동을 실시할 때 운동기구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하체 운동시에 손잡이(1b)를 잡고 있는 손과 팔도 힘을 주게 되므로 손 및 팔의 근력도 강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1c)는 지지대(1a)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고리(1c)가 용접에 의해 지지대(1a)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바닥부(1)에 포함된 지지대(1a)의 상부에는 스프링(4a)의 일 말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 고리(1c)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바닥 부(1)와 회동부(3)를 스프링(4a)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리(1c)는 지지대(1a)의 상부에서 손잡이(1b)가 형성된 쪽의 말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프링(4a)의 일 말단은 상기 제1 고리(1c)에 거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는 지지대(1a)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완충대(1d)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에 포함된 지지대(1a) 각각의 상부에는 하체 운동시에 바닥부(1)의 회동부(3)가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완충대(1d)가 고정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대(1d)는 지지대(1a)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고리(1c)가 형성된 반대편 말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대(1d)는 완충대(1d) 일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지지대(1a)에 홀(hole)을 형성한 뒤 상기 돌기를 홀에 삽입하여 지지대(1a)에 고정되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지지대(1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대(1d)는 고무와 같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닥부(1)와 회동부(3)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에서, 브라켓(2a) 및 롤러(2b)를 포함하는 연결부(2)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a)은 용접 또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지 지대(1a)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롤러(2b)는 볼트-너트 결합 또는 핀에 의한 결합으로 브라켓(2a)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라켓(2a)이란 어떤 물건의 결합이나 고정을 도와주는 장치 또는 중개하는 장치를 가리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선반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까치발, 자동차 또는 컴퓨터의 본체 내부에 있는 여러 가지 부품들을 짜임새 있게 배치하여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연결부(2)에서 사용되는 브라켓(2a)은 'ㄷ' 형태로서 상기 바닥부(1)의 지지대(1a)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브라켓(2a)의 내부에는 롤러(2b)가 삽입되어 핀으로 결합하여 브라켓(2a)과 롤러(2b)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롤러(2b)는 스프링(4a)을 둘러싸고 있는 외피(4b)와 맞닿아 있는 형상이며, 롤러(2b)는 스프링(4a) 전체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운동시에 스프링(4a)이 더 많이 이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롤러(2b)가 없으면 스프링(4a)은 직선형태로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지만, 롤러(2b)가 있으면 롤러(2b)와 스프링(4a)이 접하는 부분을 따라서 스프링(4a)이 이완과 수축을 하기 때문에 같은 각도만큼 회동부(3)가 회전을 하였을 때 더 많이 이완되어 운동량이 늘어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2b)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롤러(2b)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브라켓(2a)은 바닥부(1)와 회동부(3)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고, 롤러(2b)는 스프링(4a)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부(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가 구동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에서, 제2 고리(3b)를 포함하 는 회동부(3)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3)는 하체를 올려놓을 때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거치대(3a)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거치대(3a)는 원통형태의 거치대(3a)를 이용하여 회동부(3)에 삽입하거나 또는 거치대(3a)에 벨크로(velcro)를 부착하여 회동부(3)를 감싸는 방식으로 회동부(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벨크로가 부착된 거치대(3a)를 사용할 경우, 탈부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3a)는 양 다리를 각각 올려놓을 수 있도록 두 개의 거치대(3a)가 각각 고정될 수도 있고, 양 다리를 같이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나의 거치대(3a)가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회동부(3)는 'ㄷ'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다리를 올려놓고 하체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동부(3)의 양 말단은 연결부(2)의 브라켓(2a)과 핀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하체 운동을 실시할 때, 회동부(3)는 바닥부(1) 지지대(1a)의 길이방향의 회전궤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회동부(3)에 하체를 올려놓을 때 하체와 닿는 부분에 거치대(3a)가 고정될 수도 있는데, 상기 거치대(3a)에 사용자가 하체 운동시 다리를 올려놓으면 불편함 없이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3)에 포함된 한 쌍의 기둥에는 스프링(4a)의 일 말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2 고리(3b)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2 고리(3b)가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 고리(3b)는 바닥부(1)와 회동부(3)를 스프링(4a)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스프링(4a)의 일 말단은 상기 제2 고리(3b)에 거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에서, 스프링(4a) 및 외피(4b)를 포함하는 스프링 부재(4)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프링 부재(4)에서 사용되는 스프링은 양 말단이 각각 바닥부(1)의 지지대(1a)에 형성된 제1 고리(1c) 및 회동부(3)에 형성된 제2 고리(3b)에 고정되어 바닥부(1)와 회동부(3)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4a)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 및 형태의 스프링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프링(4a)의 양 말단은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은 제1 고리(1c) 및 제2 고리(3b)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 고리(1c) 및 제2 고리(3b)에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4a)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외피(4b)는 상기 롤러(2b)와 맞닿아 있는 형상을 나타내며, 스프링(4a)과 롤러(2b)가 닿는 부분의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4b)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무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외피(4b)의 두께가 얇으면 지속적인 운동시 손상이 발생하므로 적당한 두께의 외피(4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근력에 따라 상기 스프링을 교체하여 장착한 후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근력의 정도가 우수한 사용자는 탄성력이 큰 스프링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근력의 정도가 떨어지는 사용자는 탄성력이 작은 스프링 을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가 운동량을 조절하여, 지속적으로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형 바닥부(1)를 평평한 위치에 놓고, 사용자의 하체를 회동부(3)의 거치대(3a) 위에 올려놓고 바닥에 누운 채, 양 손으로 손잡이(1b)를 파지(把持)하여 기구 전체를 사용자 방향으로 당겨서 엉덩이가 손잡이(1b) 위치까지 오도록 한다. 그 후, 기구와 사용자의 거리를 다시 조정하여, 허벅지 뒷부분과 회동부(3)의 거치대(3a)가 맞닿도록 한다 (도 6의 (a)).
이러한 상태에서 양 다리를 이용하여 회동부(3)를 사용자의 반대편으로 밀어, 회동부(3)가 바닥부(1)까지 닿게 한다 (도 6의 (b)). 이때, 바닥부(1)와 회동부(3) 사이에 연결된 한 쌍의 스프링(4a)이 이완되어 상응하는 탄성력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회동부(3)를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하려면 상당량의 힘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사용시, 한쪽 다리만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방식으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다리를 번갈아 가면서 실시할 수도 있고, 한 쪽만을 이용해서 반복적을 실시할 수도 있다 (도 7의 (a) 및 도 7의 (b)).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운동을 반복하게 되면, 회동부(3)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원래 위치에서 바닥부(1)의 위치까지 회전궤적을 그리면 회전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반복 운동으로 인하여 허벅지 뒤쪽의 근육인 이두대퇴근과 엉덩이 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의 바닥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의 연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의 회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의 스프링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양 다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한 쪽 다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닥부
1a: 지지대 1b: 손잡이
1c: 제1 고리 1d: 완충대
2: 연결부
2a: 브라켓 2b: 롤러
3: 회동부
3a: 거치대 3b: 제2 고리
4: 스프링 부재
4a: 스프링 4b: 외피

Claims (11)

  1. 다음을 포함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a) 'H'형태의 지지대(1a), 상기 지지대(1a)의 말단에 결합된 한 쌍의 손잡이(1b) 및 상기 지지대(1a)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고리(1c)를 포함하는 바닥부(1);
    (b) 상기 지지대(1a) 상부에 결합된 'ㄷ' 형태를 가지는 한 쌍의 브라켓(braket)(2a)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2a) 각각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롤러(roller)(2b)를 포함하는 연결부(2);
    (c) 상기 브라켓(2a)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한 쌍의 제2 고리(3b)를 포함하는 회동부(3); 및
    (d) 상기 제1 고리(1c) 및 제2 고리(3b)에 양 말단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스프링(4a) 및 상기 스프링(4a)을 감싸고 있는 외피(4b)를 포함하는 스프링 부재(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는 지지대(1a)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완충대(1d)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대(1d)는 완충대(1d) 일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지지대(1a)에 홀(hole)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를 홀에 삽입하여 지지대(1a)에 고정되거나,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지지대(1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b)는 지지대(1a)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1c)는 지지대(1a)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a)은 용접 또는 볼트-너트(bolt-nut) 결합에 의해 지지대(1a)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b)는 볼트-너트 결합 또는 핀(pin)에 의한 결합으로 브라켓(2a)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3)는 하체를 올려놓을 때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거치대(3a)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a)는 원통형태의 거치대(3a)를 이용하여 회동부(3)에 삽입하거나 또는 거치대(3a)에 벨크로(velcro)를 부착하여 회동부(3)를 감싸는 방식으로 회동부(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3)는 볼트-너트 결합 또는 핀에 의한 결합에 의해 브라켓(2a)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리(3b)는 회동부(3)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20080080974A 2008-08-19 2008-08-19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1044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974A KR101044094B1 (ko) 2008-08-19 2008-08-19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974A KR101044094B1 (ko) 2008-08-19 2008-08-19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342A KR20100022342A (ko) 2010-03-02
KR101044094B1 true KR101044094B1 (ko) 2011-06-23

Family

ID=4217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974A KR101044094B1 (ko) 2008-08-19 2008-08-19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0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14B1 (ko) * 2014-04-22 2015-05-26 김영화 재활운동기구
KR200478887Y1 (ko) * 2013-06-07 2015-11-30 첸 추앙 진 헬스기구
KR101634065B1 (ko) 2016-04-15 2016-06-28 강인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KR101665054B1 (ko) 2016-07-05 2016-10-11 한창권 하체 및 복부 단련용 운동기구
KR102112966B1 (ko) 2019-12-18 2020-05-19 최성희 하체운동기구
KR20200145378A (ko) 2019-06-21 2020-12-30 김창권 인장 스프링을 이용한 하체 근력강화 운동장치
KR102262359B1 (ko) 2021-01-14 2021-06-08 최영빈 하체 운동용 기구
KR102319729B1 (ko) 2021-07-22 2021-11-01 (주)개선스포츠 하체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17B1 (ko) * 2018-04-18 2019-05-07 이복동 골반교정장치
CN113827924B (zh) * 2021-11-15 2022-12-06 宿州市久协医药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妇产科临盆前室内胯部锻炼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7473A (en) 1998-06-26 1999-04-27 Jam'n Fitness Corp. Exercise apparatus for lower extremities
US6053850A (en) 1998-12-02 2000-04-25 Martinez; Lorenzo R. Varia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6387024B1 (en) 1996-06-05 2002-05-14 Jonathan H. Monti Device and method for kinesiologically correct exercise and rehabilitation
JP2008126022A (ja) 2006-11-16 2008-06-05 Yoshika Kimura リハビリ運動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7024B1 (en) 1996-06-05 2002-05-14 Jonathan H. Monti Device and method for kinesiologically correct exercise and rehabilitation
US5897473A (en) 1998-06-26 1999-04-27 Jam'n Fitness Corp. Exercise apparatus for lower extremities
US6053850A (en) 1998-12-02 2000-04-25 Martinez; Lorenzo R. Varia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JP2008126022A (ja) 2006-11-16 2008-06-05 Yoshika Kimura リハビリ運動器具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887Y1 (ko) * 2013-06-07 2015-11-30 첸 추앙 진 헬스기구
KR101522814B1 (ko) * 2014-04-22 2015-05-26 김영화 재활운동기구
KR101634065B1 (ko) 2016-04-15 2016-06-28 강인태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KR101665054B1 (ko) 2016-07-05 2016-10-11 한창권 하체 및 복부 단련용 운동기구
KR20200145378A (ko) 2019-06-21 2020-12-30 김창권 인장 스프링을 이용한 하체 근력강화 운동장치
KR102112966B1 (ko) 2019-12-18 2020-05-19 최성희 하체운동기구
KR102262359B1 (ko) 2021-01-14 2021-06-08 최영빈 하체 운동용 기구
KR102319729B1 (ko) 2021-07-22 2021-11-01 (주)개선스포츠 하체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342A (ko)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094B1 (ko)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JP3174809U (ja) 多目的運動器具
US8702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linear and circular movement patterns
US5403256A (en) Aerobic apparatus
KR100905049B1 (ko) 다용도 운동기구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US20100016135A1 (en) Exercise device for abdominal and other core muscles
US20110287908A1 (en)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US20040185990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56347A1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CN210278129U (zh) 一种腿部肌肉锻炼器械
US20130316882A1 (en) Total Workout Device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CN212369501U (zh) 多功能韧带拉伸器
US7828705B2 (en) Oscillation-type exercise device
EP1533004A2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CN211067804U (zh) 小儿神经内科医疗用下肢锻炼装置
CN109513176B (zh) 一种多功能健身器
KR200330520Y1 (ko)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JP3239383U (ja) 運動用具
KR20080004920U (ko) 전신 운동기구
WO2012108422A1 (ja) 旋回角度測定装置、旋回角度測定方法、軸足測定方法、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トレーニング方法
JPS63148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