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520Y1 -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520Y1
KR200330520Y1 KR20-2003-0022054U KR20030022054U KR200330520Y1 KR 200330520 Y1 KR200330520 Y1 KR 200330520Y1 KR 20030022054 U KR20030022054 U KR 20030022054U KR 200330520 Y1 KR200330520 Y1 KR 200330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wrist
ankle
coupled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식
Original Assignee
정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식 filed Critical 정성식
Priority to KR20-2003-0022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100)는 굽힘강도를 탄력적으로 갖으며 양끝부 수평선상으로 대응되게 절곡시킨 탄성부재(120)와, 상기 탄성부재(120)의 양끝단에 결합시켜 탄성부재(120)를 굽힐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파지부재(110)와, 상기 파지부재(110)를 결합시킨 탄성부재(120)의 반대방향 외주연에 결합시킨 쿠션부재(140)와, 상기 탄성부재(120)의 대응되게 위치한 중심부를 가로질러 연결하여 탄성부재(120)를 굽힘시 관절을 받쳐주는 받침부재(130)로 구성하여 중량이 가벼워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여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운동할 수 있으며 운동시 안전사고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sport equipment for strengthening of wrist and ankle}
본 고안은 손목 및 발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 및 발목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단련 및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 및 발목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목강화운동으로는 무거운 중량의 바벨을 들고 손목의 관절을 구부렸다가 펴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손목의 근력을 강화시켜왔다. 또한 발목강하운동의 경우에는 스퀘트(squat)운동방식으로 발 앞꿈치를 바닥에 지지한 채 발뒤꿈치만을 들어 올렸다 내리는 반복적인 운동으로 발목의 근력을 강화시켜왔다.
그러나, 종래의 팔목 및 발목 강화운동을 할 때 사용되는 바벨은 중량이 무거워 실내에서의 보관 및 운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운동하기가 불편하여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량이 무거운 바벨을 이용하여 운동할 때 자칫 바벨을 떨어뜨리거나 사용에 따른 부주의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스프링의 굽힘 탄성을 이용하여 손목 및 발목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 및 발목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량이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고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어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운동할 수 있는 손목 및 발목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b,c는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손목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a,b,c는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발목 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a,b는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110 : 파지부재
111 : 체결수단 112 : 플랜지
112a : 결합공 120 : 탄성부재
121 : 고정부재 130 : 받침부재
140 : 쿠션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는 굽힘강도를 탄력적으로 갖으며 양끝부 수평선상으로 대응되게 절곡시킨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양끝단에 결합시켜 운동자의 손과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를 결합시킨 탄성부재의 반대방향 외주연에 결합시킨 쿠션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대응되게 위치한 중심부를 가로질러 연결하여 탄성부재를 굽힘시 관절을 받쳐주는 받침부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a,b,c는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손목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a,b,c는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발목 운동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5a,b는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5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굽힘강도를 탄력적으로 갖으며 양끝부 수평선상으로 대응되게 절곡시킨 탄성부재(120)와, 상기 탄성부재(120)의 양끝단에 결합시켜 운동자의 손과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재(110)와, 상기 파지부재(110)를 결합시킨 탄성부재(120)의 반대방향 외주연에 결합시킨 쿠션부(140)와, 상기 탄성부재(120)의 대응되게 위치한 중심부를 가로질러 연결하여 탄성부재(120)를 굽힘시 관절을 받쳐주는 받침부재(130)로 구성한다.
상기 탄성부재(120)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굽힘강도를 탄력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되 비틀림스프링과 판스프링을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여러 종류의 굽힘강도를 갖는 탄성부재(120)의 중심부 외주연에는 쿠션부재(140)를 결합시켜 굽힘운동으로 사용자에 팔에 밀착되는 탄성부재(120)와의 밀착력에 의해 사용자의 팔이 아프지 않도록 한다.
이후, 외주연에 결합시킨 쿠션부재(140)를 중심으로 탄성부재(120)를 U자형으로 절곡시킨 다음 탄성부재(120)의 수평선상으로 대응시킨 양 부분에 받침부재(130)를 가로질러 연결한다.
다음으로 파지부재(110)의 양측단에 형성시킨 플랜지(112)의 결합공(112a)에 U자형의 탄성부재(120) 양끝단을 결합시키되 탄성부재의 양측끝단의 내부에 내입시킨 고정부재(121)와 플랜지(112)를 통하여 체결수단(111)을 체결함으로써 손목 및 발목강화운동기구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손목 및 발목강화운동기구(100)를 첨부한 도 3a,b,c와 도 4 a,b에서와 같이, 손목 강화 운동시에는 받침부재(130)를 기준으로 탄성부재(120)와 쿠션부재(140) 사이의 공간으로 운동자의 팔뚝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받침부재(130)에 운동자의 손목의 관절부위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파지부재(110)를 손으로 잡고 받침부재(130)를 기준으로 손목을 구부리거나 제쳐서 손목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킬 수 있다.
또한, 발목 강화운동시에는 받침부재(130)를 발바닥으로 눌러준 다음 발가락을 파지부재(110)의 하부에 위치시켜 받침부재(130)를 기준으로 운동자가 발가락에 지지시킨 파지부재(110)를 상하로 구부리거나 제쳐서 탄성부재(120)의 굽힘강도를 이용하여 발목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킬 수 있다.
이때, 발목 강화운동시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100)의 받침부재(130)가 굽힘이 되지 않는 부재를 사용하여 발목운동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100)는 굽힘강도를 탄력적으로 갖으며 양끝부 수평선상으로 대응되게 절곡시킨 탄성부재(120)와, 상기 탄성부재(120)의 양끝단에 결합시켜 운동자의 손과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재(110)와, 상기 파지부재(110)를 결합시킨 탄성부재(120)의 반대방향 외주연에 결합시킨 쿠션부재(140)와, 상기 탄성부재(120)의 대응되게 위치한 중심부를 가로질러 연결하여 탄성부재(120)를 굽힘시 관절을 받쳐주는 받침부재(130)로 구성하여 중량이 가벼워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여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운동할 수 있으며 운동시 안전사고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굽힘강도를 탄력적으로 갖으며 양끝부 수평선상으로 대응되게 절곡시킨 탄성부재(120)와,
    상기 탄성부재(120)의 양끝단에 결합시켜 운동자의 손과 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재(110)와,
    상기 파지부재(110)를 결합시킨 탄성부재(120)의 반대방향 외주연에 결합시킨 쿠션부재(140)와,
    상기 탄성부재(120)의 대응되게 위치한 중심부를 가로질러 연결하여 탄성부재(120)를 굽힘시 관절을 받쳐주는 받침부(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2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용하되 비틀림스프링과 판스프링을 대용으로도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
KR20-2003-0022054U 2003-07-09 2003-07-09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KR200330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54U KR200330520Y1 (ko) 2003-07-09 2003-07-09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54U KR200330520Y1 (ko) 2003-07-09 2003-07-09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520Y1 true KR200330520Y1 (ko) 2003-10-17

Family

ID=4933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054U KR200330520Y1 (ko) 2003-07-09 2003-07-09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5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53B1 (ko) 2010-11-23 2011-09-30 원성종 손목 단련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53B1 (ko) 2010-11-23 2011-09-30 원성종 손목 단련 기구
WO2012070817A2 (ko) * 2010-11-23 2012-05-31 Won Jae Pill 손목 운동 장치
WO2012070817A3 (ko) * 2010-11-23 2012-07-19 Won Jae Pill 손목 운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2874A (en) Portable isokinetic exercising device
US4577861A (en) Exercise machine for limb extremity digits
US5403256A (en) Aerobic apparatus
US4600188A (en) Exercise machine for limb extremity digits
US9114277B2 (en) Exercise brace
KR100905049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101044094B1 (ko)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US20100167887A1 (en) Portable exercise, balance and flexibility device and method
RU2407577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захват для тренажера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8506461B2 (en) Multifunction dumbbell
EP3215240A1 (en) Elastic training apparatus
GB2383759A (en) Compliant body pressing exerciser
WO19970288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US20100016135A1 (en) Exercise device for abdominal and other core muscles
US20040185990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210299505A1 (en) Resistance-Training Apparatus Compatible with Gloves and Machines
US9468789B2 (en) Resistance band having hand adapters and handles
KR20190069203A (ko) 운동기구
US8814758B1 (en) Hand protector
KR200330520Y1 (ko)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102591446B1 (ko) 데드리프트 자세 교정장치
CN210302241U (zh) 一种儿童用弹簧侧弯式腕力康复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