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853B1 - 손목 단련 기구 - Google Patents

손목 단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853B1
KR101068853B1 KR1020100116878A KR20100116878A KR101068853B1 KR 101068853 B1 KR101068853 B1 KR 101068853B1 KR 1020100116878 A KR1020100116878 A KR 1020100116878A KR 20100116878 A KR20100116878 A KR 20100116878A KR 101068853 B1 KR101068853 B1 KR 101068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wrist
spring
pin
coupl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성종
Original Assignee
원성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성종 filed Critical 원성종
Priority to KR102010011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853B1/ko
Priority to PCT/KR2011/008874 priority patent/WO201207081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wrist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관절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단련 및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 단련 기구에 관한 것으로, 양단부에 스프링을 고정할 수 있는 상부스프링홀더가 형성된 결합핀이 고정되는 수평부; 및 상기 결합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결합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핀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부 내측으로 암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에 형성되는 상측스프링절곡부가 상기 상부스프링홀더에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는 하부스프링홀더와, 상기 하부스프링홀더의 하측으로 상기 암스플라인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스플라인과, 하단부 중앙에 형성되서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를 통해 노출되는 렌치홈을 가지는 강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수평부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제한기구에 의해 회전각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단련 기구이다.

Description

손목 단련 기구{Exercising apparatus for wrist}
본 발명은 손목 단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 관절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단련 및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목 단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이나 팔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사용하는 직업 예를 들면, 컴퓨터 워드프로세싱, 전자기기, 컴퓨터 도면작성, 페인트칠 등의 전문직 종사자와, 정원사와, 목수와, 테니스, 골프, 볼링 등의 운동가와, 운전 종사자 등은 손과 팔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일정한 운동을 하루 종일 과중하게 반복한다.
이렇게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들에서는 손목의 피로가 쌓여 발병하는 손목터널증후군 등의 질병에도 노출된다.
따라서, 손가락과 손바닥, 손목 관절 등의 근육이 부분적으로 경직되고 피로하며, 혈액을 압박하여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고 두뇌의 산소공급 부족으로 머리가 무겁고 아프며 전신적으로 피로가 쌓여 균형 잡힌 건강의 유지가 어렵다.
이러한 손과 팔의 경직된 근육을 풀기 위해 종래에는 완력운동기를 사용하였다. 완력운동기는 일정한 방향의 일정한 행정거리를 반복적으로 왕복하는 운동을 하게 되어 있어, 팔의 근육을 단련하는 데는 유용하나 상기한 작업으로 인한 손목의 피로를 풀 수 없고, 손목 근육을 포함한 균형잡힌 건강을 위한 운동기구로서는 미흡하였다.
아울러,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해 팔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완력운동기를 사용하면 팔의 이두박근과 삼두박근의 발달을 꾀할 수는 있으나, 손목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손목은 팔 전체적인 발달 상태에 비해 얇아지는 등의 균형있는 신체의 발달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손목강화운동으로는 무거운 중량의 바벨을 들고 손목의 관절을 구부렸다가 펴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손목의 근력을 강화시킬 수는 있었다.
그러나, 이때 사용되는 바벨은 중량이 무거워 실내에서의 보관 및 운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휴대용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운동하기가 불편하여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량이 무거운 바벨을 이용하여 운동할 때 자칫 바벨을 떨어뜨리거나 사용에 따른 부주의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바벨을 이용한 방법이 운동 효과 면에서는 손목(전완근)단련에 가장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무게가 무거워서 휴대하여 운동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손목을 단련하거나 손목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기 위해 손목 운동이 필요하기는 하나, 기존의 손목(전완근) 단련기들은 모두 한 번에 한 손 밖에 운동할 수 없으며, 작은 사이즈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여 한 번에 양쪽 전완근 모두 운동할수 있는 손목 운동 장치가 없어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의 손잡이부를 양손으로 잡고 다양한 강도의 세기로 손목의 회전 운동을 통하여 손가락, 손바닥, 손등에서 손목으로 연결된 요추신경, 중추신경, 척골신경 등을 자극하여 두뇌의 활력을 돕고 부분적으로 긴장된 손목 관절의 근육을 풀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균형잡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목 단련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 관절의 비틀림 운동이나 꺾기 운동을 통하여 직업상 연속적인 반복동작으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긴장된 손목 근육을 풀 수 있도록 작업장 내의 실내의 좁은 공간이나, 자동차 안 등의 장소의 제약 없이 휴대하여 양손을 동시에 운동할 수 있는 손목 단련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부에 스프링을 고정할 수 있는 상부스프링홀더가 형성된 결합핀이 고정되는 수평부; 및 상기 결합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결합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핀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부 내측으로 암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에 형성되는 상측스프링절곡부가 상기 상부스프링홀더에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는 하부스프링홀더와, 상기 하부스프링홀더의 하측으로 상기 암스플라인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스플라인과, 하단부 중앙에 형성되서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를 통해 노출되는 렌치홈을 가지는 강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수평부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제한기구에 의해 회전각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단련 기구이다.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에는 중심부에 렌치관통홀이 형성된 하단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부는, 일단부에 연결기어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결합핀이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한쌍과,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의 연결기어를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연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암스플라인의 길이는 상기 수스플라인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전제한기구는, 상기 수평부 양단부의 결합핀 주위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케이싱의 핀관통홀 주위로 상기 스토퍼의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홈과, 상기 슬라이딩홈에 형성되서 상기 스토퍼의 회전을 막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손목의 회전 운동을 통하여 손가락, 손바닥, 손등에서 손목으로 연결된 요추신경, 중추신경, 척골신경 등을 자극하여 두뇌의 활력을 돕고 부분적으로 긴장된 손목 관절의 근육을 풀고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균형잡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하기 쉽고 실내의 좁은 공간이나 차속 기타 아무데서나 용이하게 누구나 운동할 수 있다.
또, 양손을 동시에 이용하여 운동하므로 양쪽 손몬의 균형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강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초보자부터 숙련자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러 명이 하나의 기구로 손목운동을 각자의 힘의 세기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육 단련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근육 단련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근육 단련기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단련기구(100)는 양손을 동시에 사용하여 손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서로 일정한 간격을 부여할 수 있는 수평부(102)와, 상기 수평부(102)의 양단부에 고정된 결합핀(124)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부(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104)는 회전제한기구에 의해 상기 수평부(102)에 대하여 일정한 각범위에서만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이 제한되며, 또,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104)의 회전에 대한 반력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102)는 일자형 로드 또는 V자형 로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원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2개의 손잡이부(102)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부(102)는 일단부에 연결기어(120)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결합핀(124)이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18) 한쌍과,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118)의 연결기어(120)를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연결블럭(11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기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18)이 일정한 각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기어(120)의 회전중심에는 회전홀(117)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홀(117)에 상기 연결블럭(110)에 형성된 연결블럭핀(114)이 삽입돼서 상기 연결프레임(118)은 상기 연결블럭핀(11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110)은 2개의 유니트로 형성되어 앞뒤에서 서로 연결블럭조인트(112)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럭(110)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기어(120)가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연결블럭(110)의 측부에 형성된 한상의 변위홈(116)을 통하여 외측으로 상기 연결프레임(118)이 돌출된다.
특히, 상기 변위홈(116)은 상기 연결프레임(118)의 폭보다 크게 형성돼서, 상기 연결프레임(118)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핀(124)은 상기 연결프레임(118)의 타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핀(124)과 상기 연결프레임(118)의 연결방식은 볼트에 의한 결합 등과 같이 다양한 공지의 기술로부터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핀(124)의 상부에 회전이 방지되는 장원형 단면의 결합핀헤드(126)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프레임(118)의 타단부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122)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부(104)는, 기본적으로 상기 결합핀(124)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싱(154)과, 상기 케이싱(154)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132) 및 강도조절부(1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154)은 상부에 상기 결합핀(124)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핀관통홀(156)이 형성되고, 하단부 내측으로 암스플라인(168)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합핀(124)은 상기 케이싱(154)과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핀헤드(126)와 상기 상부스프링홀더(130) 사이에 확경되는 걸림판(12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154)의 상측에 형성된 핀관통홀(156)에 상기 걸림판(128)이 걸려서 상기 케이싱(154)과 상기 결합핀(124)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54)의 하부에는 하부캡(146)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캡(146)은 상기 강도조절부(138)를 상기 케이싱(154)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하부캡(146)의 하부 중앙에는 렌치관통홀(15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캡(146)과 상기 케이싱(154)의 결합은 상기 하부캡(146)의 내벽면에 형성된 하부캡결합나사(152)와 상기 케이싱(154)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케이싱결합나사(166)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하부캡(146)은 상기 케이싱(154)에 결합시 상기 케이싱(154)의 외주면보다 돌출되게 되므로, 하기(下記)하는 쿠션(17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부캡(14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케이싱(154)을 반분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154)의 단부에 상기 하부캡(146)의 렌치관통홀(150)에 상응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캡(146)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3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스프링절곡부(134)와 하측스프링절곡부(136)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스프링절곡부(134)와 상기 하측스프링절곡부(136)는 상기 스프링(132)의 양단부를 꺾어서 상기 스프링(132)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측스프링절곡부(134)와 상기 하측스프링절곡부(136)는 상기 결합핀(124)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부스프링홀더(130)와 상기 강도조절부(138)에 형성되는 하부스프링홀더(142)에 각각 결합된다. 특히, 상기 손목 단련기구(100)는 양손으로 운동을 하므로 서로 회전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양 케이싱(154)에 삽입되는 스프링(132)의 나사선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상부스프링홀더(130)와 상기 하부스프링홀더(142)는 상기 케이싱(154)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기둥형태이며, 상기 2개의 기둥의 중심에 상기 상측스프링절곡부(134)와 상기 하측스프링절곡부(136)가 삽입된다. 특히, 상기 상부스프링홀더(130)와 상기 하부스프링홀더(142)는 상기 스프링(132)의 내측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132)이 상기 상부스프링홀더(130)와 상기 하부스프링홀더(14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강도조절부(138)는 상기 하부스프링홀더(142) 외에, 상기 하부스프링홀더(142)의 하측으로 상기 암스플라인(168)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스플라인(140)과, 하단부 중앙에 형성되서 상기 케이싱(154)의 하단부를 통해 노출되는 렌치홈(14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스플라인(140)은 상기 암스플라인(168)과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 상기 암스플라인(168)보다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스플라인(140)의 하단과 상기 암스플라인(168)의 상단은 반복되는 결합과 분리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치홈(144)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통상적인 렌치의 규격에 맞추어 6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쿠션(170)은 상기 케이싱(154)의 상부에 돌출된 케이싱헤드(158)와 상기 하부캡(146)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케이싱(154) 외주면의 쿠션자리(164)에 안착된다.
상기 쿠션(170)은 사용자의 땀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로는 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한기구는, 상기 수평부(102) 양단부의 결합핀(124) 주위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172)와, 상기 케이싱(154)의 핀관통홀(156) 주위로 상기 스토퍼(172)의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홈(162)과, 상기 슬라이딩홈(162)에 형성되서 상기 스토퍼(172)의 회전을 막는 걸림턱(160)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72)는 상기 결합핀(12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손잡이부(104)를 향해 하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슬라이딩홈(16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관통홀(156) 주위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부는 상기 슬라이딩홈(162)보다 높게 형성되서 상기 걸림턱(160)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172)가 상기 걸림턱(160)의 일측면에 맞닿게 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스토퍼(172)는 상기 슬라이딩홈(162)을 따라 미끄럼운동을 하다가 상기 걸림턱(160)의 타측면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04)는 상기 슬라이딤홈(162)의 각도범위만큼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단련기구(100)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 상기 손목 단련기구(100)의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평부(102)를 조립하기 위해 2개로 분할된 연결블럭(110)의 일방에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118)의 연결기어(120)가 치합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기어(120)의 회전홈(117)을 상기 연결블럭(110)의 연결블럭핀(114)에 삽입하고, 상기 연결블럭(110)의 타방을 상기 일방에 포개어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핀(124)을 상기 케이싱(154)의 핀관통홀(156)을 관통시켜 상기 결합핀헤드(126)를 상기 케이싱(154)보다 상측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연결프레임(118)의 결합홈(122)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결합핀헤드(116)의 단면적은 상기 결합홈(122)보다 크므로 강제로 억지끼움을 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154)의 내부로 상기 스프링(132)을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스프링(132)의 상측스프링절곡부(134)가 상기 결합핀(124)의 상부스프링홀더(130)에 삽입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32)의 하측스프링절곡부(134)에 상기 하부스프링홀더(142)를 결합시키면서 상기 강도조절부(138)를 상기 케이싱(154)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54)의 외측으로 쿠션(170)을 끼운 다음, 상기 하부캡(146)으로 상기 강도조절부(138)를 강제로 밀어올리면서, 상기 하부캡결합나사(152)와 상기 케이싱결합나사(166)를 결합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손목 단련기구(100)는 완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손목 단련기구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양 손으로 상기 손잡이부(104)의 쿠션(170)을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한 상태로 양손목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 때, 한 쌍의 연결프레임(118)의 교차각이 변하게 된다.
그리고, 양손목을 내측으로 반복적으로 비틀면서 손목 단련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손목 단련기구(100)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강도조절편(174)이 필요하다. 상기 강도조절편(174)을 대신하여 통상의 렌치공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강도조절편(174)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넓은 판재 형태의 노브(176)와 상기 노프(176)의 중심에 형성되는 노브축(178)과, 상기 노프축(178)의 단부에 형성되는 렌치팁(180)을 포함한다.
상기 강도조절편(174)의 렌치팁(180)을 상기 하부캡(146)의 렌치관통홀(150)을 통해 삽입하면, 상기 노브축(178)은 상기 렌치관통홀(150)에 맞닿아서 상기 강도조절편(174)의 안정적인 회전을 돕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강도조절편(174)을 밀어 눌러서, 상기 강도조절부(138)의 수스플라인(140)이 상기 케이싱(154)의 암스플라인(168)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강도조절편(174)을 돌려서 상기 스프링(132)을 더 감아서 강도를 높이이거나, 상기 스프링(132)을 더 풀어서 강도를 낮출 수 있다. 원하는 수준으로 상기 스프링(132)을 회전시킨 후, 상기 강도조절편(174)을 후퇴시키면, 상기 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강도조절부(138)가 상기 하부캡(146) 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강도조절부(138)의 수스플라인(140)이 상기 케이싱(154)의 암스플라인(168)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캡(146)의 바닥면에 강도조절방향을 표시하면 표시부(148)로써 기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근육 단련기구 102: 수평부
104: 손잡이부 110: 연결블럭
112: 연결블럭조인트 114: 연결블럭핀
116: 변위홈 118: 연결프레임
120: 연결기어 122: 결합홈
124: 결합핀 126: 결합핀헤드
128: 걸림판 130: 상부스프링홀더
132: 스프링 134: 상측스프링절곡부
136: 하측스프링절곡부 138: 강도조절부
140: 수스플라인 142: 하부스프링홀더
144: 렌치홈 146: 하부캡
148: 표시부 150: 렌치관통홀
152: 하부캡결합나사 154: 케이싱
156: 핀관통홀 158: 케이싱헤드
160: 걸림턱 162: 슬라이딩홈
164: 쿠션자리 166: 케이싱결합나사
168: 암스플라인 170: 쿠션
172: 스토퍼 174: 강도조절편
176: 노브 178: 노브축
180: 렌치팁

Claims (5)

  1. 양단부에 스프링을 고정할 수 있는 상부스프링홀더가 형성된 결합핀이 고정되는 수평부; 및
    상기 결합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결합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핀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단부 내측으로 암스플라인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에 형성되는 상측스프링절곡부가 상기 상부스프링홀더에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이 결합되는 하부스프링홀더와, 상기 하부스프링홀더의 하측으로 상기 암스플라인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스플라인과, 하단부 중앙에 형성되서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를 통해 노출되는 렌치홈을 가지는 강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수평부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제한기구에 의해 회전각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단련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에는 중심부에 렌치관통홀이 형성된 하단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단련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일단부에 연결기어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결합핀이 고정되는 연결프레임 한쌍과, 상기 한쌍의 연결프레임의 연결기어를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연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단련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스플라인의 길이는 상기 수스플라인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단련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기구는, 상기 수평부 양단부의 결합핀 주위에 돌출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케이싱의 핀관통홀 주위로 상기 스토퍼의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홈과, 상기 슬라이딩홈에 형성되서 상기 스토퍼의 회전을 막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단련 기구.
KR1020100116878A 2010-11-23 2010-11-23 손목 단련 기구 KR101068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78A KR101068853B1 (ko) 2010-11-23 2010-11-23 손목 단련 기구
PCT/KR2011/008874 WO2012070817A2 (ko) 2010-11-23 2011-11-21 손목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78A KR101068853B1 (ko) 2010-11-23 2010-11-23 손목 단련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853B1 true KR101068853B1 (ko) 2011-09-30

Family

ID=4495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878A KR101068853B1 (ko) 2010-11-23 2010-11-23 손목 단련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8853B1 (ko)
WO (1) WO201207081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6014A (zh) * 2018-09-20 2018-11-13 国武时代国际文化传媒(北京)有限公司 多功能散打用臂力锻炼装置
KR102604409B1 (ko) * 2023-09-19 2023-11-20 장승룡 운동 강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손목 운동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D711Y (ro) * 2012-11-28 2013-12-31 Антон ПЕРЦЕВ Extensor pentru mână
CN103721379B (zh) * 2013-10-23 2016-03-09 于昆 一种臂腕健身器扭力调节方法和扭力可调式臂腕健身器
RU2585706C2 (ru) * 2015-06-01 2016-06-10 Николай Антонович Потапов Кистевой эспандер
MD4466C1 (ro) * 2016-03-26 2017-09-30 Артем ТКАЧЕВ Extensor pentru restabilirea mobilităţii degetelor mâinii
CN114699712B (zh) * 2022-05-25 2023-08-11 东莞市鼎隆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计数与力度自动调节功能的健身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017A (ja) * 1993-02-26 1994-09-06 Keisuke Fuchigami 手首の捩り運動器具
JPH07560A (ja) * 1990-07-31 1995-01-06 Whatnot Inc 手首鍛練装置
US5690598A (en) * 1996-09-27 1997-11-25 Liang; Yung Jen Wrist exerciser
KR200330520Y1 (ko) 2003-07-09 2003-10-17 정성식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0A (ja) * 1990-07-31 1995-01-06 Whatnot Inc 手首鍛練装置
JPH06246017A (ja) * 1993-02-26 1994-09-06 Keisuke Fuchigami 手首の捩り運動器具
US5690598A (en) * 1996-09-27 1997-11-25 Liang; Yung Jen Wrist exerciser
KR200330520Y1 (ko) 2003-07-09 2003-10-17 정성식 손목 및 발목 강화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6014A (zh) * 2018-09-20 2018-11-13 国武时代国际文化传媒(北京)有限公司 多功能散打用臂力锻炼装置
CN108786014B (zh) * 2018-09-20 2023-07-18 国武时代国际文化传媒(北京)有限公司 多功能散打用臂力锻炼装置
KR102604409B1 (ko) * 2023-09-19 2023-11-20 장승룡 운동 강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손목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0817A3 (ko) 2012-07-19
WO2012070817A2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853B1 (ko) 손목 단련 기구
KR100909190B1 (ko) 어깨 운동용 기구
US7285079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US20190314672A1 (en) Ergonomic Handle for an Exercise Machine
US20140179498A1 (en) Abdominal track exercise device
US9302138B2 (en) Upper extremity training apparatus
US20140194265A1 (en) Dual-Mode Pushup Exercise Device
US20150367159A1 (en) Exercise device for utilizing an elastic band to perform exercises
US20150359697A1 (en) Wrist and forearm exoskeleton
US20160158597A1 (en) Push-up exercise device
CA3075127A1 (en) Grips for a handle on a hockey stick
US6786849B1 (en) Adjustable hand grip exerciser
US20160354630A1 (en) Hand held exercise device
KR20190069203A (ko) 운동기구
KR100996742B1 (ko) 손목 운동 장치
CN203303610U (zh) 振动式超等长铅球专项力量练习器
US20090017931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1108673B1 (ko) 휴대용 팔씨름 단련기
KR200154818Y1 (ko) 비틀기 운동구
CN109821200B (zh) 肩部锻炼装置
PL213973B1 (pl) Stanowisko do ćwiczeń manipulacyjnych ręki
CN220656293U (zh) 一种便携式扭力器
US20130267388A1 (en) Swing handle arrangement for an exercise equipment
CN204744843U (zh) 一种上肢锻炼器械
KR20190003889A (ko) 밸런스 운동이 가능한 플랭크 코어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