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17B1 - 골반교정장치 - Google Patents

골반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317B1
KR101975317B1 KR1020180044720A KR20180044720A KR101975317B1 KR 101975317 B1 KR101975317 B1 KR 101975317B1 KR 1020180044720 A KR1020180044720 A KR 1020180044720A KR 20180044720 A KR20180044720 A KR 20180044720A KR 101975317 B1 KR101975317 B1 KR 101975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vis
femur
support
iliac bon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동
Original Assignee
이복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동 filed Critical 이복동
Priority to KR102018004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59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moved by trans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골반(800)이 위치하는 골반 받침판(500)과, 상기 골반 받침판(500) 상부에 탄성 회동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좌·우 지주대(600a, 600b)와,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좌·우측 대퇴골(840a, 840b)을 면접 지지하는 좌·우 대퇴골 지지부재(700a, 70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비틀어진 좌·우측 장골(820a, 820b)을 서로 반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동시에 똑바른 일직선 정위로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반교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A PELVIS}
본 발명은 골반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비틀어진 좌·우측 장골(820a, 820b)을 동시에 서로 반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정위로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골반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개인의 신체 구조나 후천적인 생활 습관에 따라 좌·우측 다리의 길이에 약간의 차이가 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골반의 좌·우측 장골이 비틀어져 통증의 원인이 된다.
이를 똑바로 교정하기 위한 물리요법 장치에 관련해 "고관절 견인에 의한 척추 및 골반 정위 교정장치"(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1025호, 공개일자:2015년 3월 11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한다)가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 기술의 고관절 견인에 의한 척추 및 골반 정위 교정장치는 척추, 골반 및 고관절 등 다양한 골격 부위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직접 조절 가능하여 혼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의 체형에 따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지지부(110)의 메인프레임(111)의 측면에 거상프레임(121)을 축결합하고 거상프레임(121)의 하부에 실린더(124)를 결합하여 거상프레임(121)을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거상프레임(121)의 상부에 받침쿠션(123)을 결합한 거상부(120)와;
상기 지지부(110)의 전방프레임(112)에 가이드풀리(134)를 결합하고 가이드풀리(134)를 거쳐 매트(114)의 상측으로 유도하는 당김줄(132)을 구비하되, 당김줄(132)의 전단에는 교정벨트(131)를 결합하고, 당김줄(132)의 후단에는 윈치(133)를 결합한 견인부(130); 및
상기 거상부(120)의 실린더(124)와 견인부(130)의 윈치(133)를 제어하는 조작부(140)로 구성되는 전동 실린더 작동 방식으로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전동 실린더 고장시에 교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비틀어져 있는 골반의 장골을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로, 좌·우측 다리의 대퇴골(400)이 고관절(444)로 연결된 골반(400)의 좌측 장골(420a, 엉덩뼈)이 전방회전되고 우측 장골(420b)이 후방회전 되게 비틀어져 있는 경우(질환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워 좌·우측 다리의 대퇴골(440a, 440b)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좌측 다리의 대퇴골(440a)을 바닥쪽으로 밀면 골반의 좌측 장골(420a)이 함께 전방회전되고, 우측 다리의 대퇴골(440b)을 사용자 가슴쪽으로 회전시켜 당겨 견인하면 골반의 우측 장골(420b)이 함께 후방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를 일례로 하여, 사용자가 종래 기술의 매트(114)에 누운 상태에서, 교정벨트(131)를 허벅지에 착용 후 거상부(120)의 거상프레임(121)을 상방으로 올려 당김에 따라 좌·우측 다리의 대퇴골이 사용자의 가슴쪽으로 들어 올려져 견인되면서 함께 골반의 좌·우측 장골 모두가 후방회전되기 때문에 전방회전 되게 비틀어져 있는 좌측 장골은 후방으로 회전 지지되면서 장시간 교정 치료하면 바른 위치(정위)로 교정 치료되는 효과가 있지만, 후방회전 되게 비틀어져 있는 우측 장골은 비틀어진 방향 그대로 후방으로 회전 지지되어 바른 위치(정위)로 교정 치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골반의 좌·우측 장골을 동시에 서로 반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른 위치(정위)로 교정 치료를 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상기 거상부(120)의 거상프레임(121)을 상방으로 올려 당겨서 직접적으로 상기 좌측 다리의 대퇴골을 사용자의 가슴쪽으로 강제로 들어 올려 견인하는 힘으로 체중을 실어 전방회전 되게 비틀어져 있는 좌측 장골이 후방으로 회전하는 작동 구조이기 때문에 체중 부하가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틀어진 좌·우측 장골(820a, 820b)을 동시에 서로 반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똑바른 일직선 정위로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골반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측 다리의 대퇴골(840a)의 미는 힘을 빼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 늘어난 좌측 스프링(630a)의 탄성응력(E1)이 골반의 좌측 장골(820a)에 후방회전력(F1)으로 작용해 좌측 장골(820a)이 후방으로 회전해 정위 교정되는 작동 구조이기 때문에 좌측 장골(820a)에 체중 부하가 거의 걸리지 않고, 동일한 작동 원리로 우측 장골(820b)에도 체중 부하가 거의 걸리지 않는 구조로 된 골반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사용자가 누운 자세의 골반(800)이 위치하는 골반 받침판(500)과, 상기 골반 받침판(500) 상부에 탄성 회동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좌·우 지주대(600a, 600b)와,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골반교정을 위한 좌·우측 대퇴골(840a, 840b)을 면접 지지하는 좌·우 대퇴골 지지부재(700a, 700b)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는 종래 기술과 같이 전동 부품이 없는 간단한 구조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엇갈리게 비틀어진 좌·우측 장골(820a, 820b)을 서로 반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동시에 바른 일직선 정위로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측 다리의 대퇴골(840a)의 미는 힘을 빼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 늘어난 좌측 스프링(630a)의 탄성응력(E1)이 골반의 좌측 장골(820a)에 후방회전력(F1)으로 작용해 좌측 장골(820a)이 후방으로 회전해 정위 교정되는 작동 구조이기 때문에 좌측 장골(820a)에 체중 부하가 거의 걸리지 않고, 동일한 작동 원리로 우측 장골(820b)에도 체중 부하가 거의 걸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비틀어져 있는 골반의 장골을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사용 전 준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대퇴걸침 쿠션부재를 세워(입설) 오픈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대퇴걸침 쿠션부재가 사용자의 좌·우측 대퇴골 부위에 면접 지지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교정 치료를 위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교정 작동에 따른 비틀어져 있는 골반의 좌·우측 장골이 정위로 교정 치료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비틀어져 있는 골반의 좌·우측 장골을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사용 전 준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대퇴걸침 쿠션부재를 세워 입설 오픈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대퇴걸침 쿠션부재가 사용자의 좌·우측 대퇴골 부위에 면접 지지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교정 치료를 위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교정 작동에 따른 비틀어져 있는 골반의 좌·우측 장골이 정위(바른 위치)로 교정 치료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비틀어져 있는 골반의 좌·우측 장골을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로 즉, 좌·우측 다리의 대퇴골(840a, 840b, 넙다리뼈)이 고관절(844)로 연결된 골반(800)의 좌측 장골(820a)이 전방회전되고 우측 장골(820b)이 후방회전 되게 비틀어져 있는 경우(질환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점선 화살표는 좌·우측 대퇴골 탄성응력(E1, E2)의 방향에 따른 텐션(긴장 상태)에 의해 좌·우측 장골 정위 교정 후방회전력(F1, F2)이 작동되는 회동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골반(800)이 위치하는 골반 받침판(500)과, 상기 골반 받침판(500) 상부에 탄성 회동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좌·우 지주대(600a, 600b)와,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골반교정 치료를 위해 좌·우측 대퇴골(840a, 840b)을 면접 지지하는 좌·우 대퇴골 지지부재(700a, 700b)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는 상기 골반 받침판(500)의 양단 중앙부에 구비된 브라켓(620)에 힌지축(624)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일측에는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골반 받침판(500)의 양단 끝단부에 각각 고정된 스프링 텐션 조절 가이드박스(650a, 650b)에는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타단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일측에는 스프링 고정고리(608)가 일체로 구비되어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일단이 체결 고정된다.
한편, 상기 좌·우 스프링(630a, 630b)은 대퇴골 정위 교정 치료를 위해 비틀어진 좌·우측 장골(820a, 820b)을 서로 반대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바른 일직선 정위로 교정 치료하는 회전 작동시에 좌·우 스프링(630a, 630b)을 늘어나 인장되는 위치에 하나만 남겨두고 반대쪽의 눌러져 압축되면서 간섭이 발생하는 좌·우 스프링은 탈거한다.
한편, 상기 좌·우 스프링(630a, 630b)은 고무밴드(도시 안함) 등의 탄성부재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브라켓(620)은 좌우대칭인 하이힐 구두 형상으로 구비되며, 힌지축(624)이 브라켓(620)의 하이힐 구두 뒷굽 형상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텐션 조절 가이드박스(650a, 650b)의 외측면에는 이동 가이드공(654)이 절개 형성되어 상기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타단에 고정된 스프링 길이 조절 이동핀(656)이 끼워져 바깥 방향으로 벌려지도록 이동해 고정하면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길이가 늘어나 장력이 크게 조절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공(654)은 일례로 3단 이동 가이드 공으로 형성되어 1단 이동은 좌·우 스프링(630a, 630b) 길이가 짧게 늘어나 짧아 장력이 작고 3단 이동은 좌·우 스프링(630a, 630b) 길이가 길게 늘어나 장력이 크게 변경 조절된다.
상기 좌·우 대퇴골 지지부재(700a, 700b)는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높이 조절공(602)에 수평으로 삽입 고정되는 대퇴골 지지바(bar, 720a, 720b)와 대퇴골 지지바(720a, 720b)의 일단부에 직각으로 연장 고정되는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로 구성되어 상기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상기 좌측 대퇴골 지지바(720a)에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를 사용자의 가슴쪽에서 멀어지게 이동시켜 수평 상태에서 대퇴골 지지바 고정핀(728)을 끼워 고정하고,
상기 우측 대퇴골 지지바(720b)에는 대퇴걸침 쿠션부재(740b)를 사용자의 가슴쪽에 가깝게 이동시킨 수평 상태에서 대퇴골 지지바 고정핀(728)을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고정핀 체결공(604)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된 대퇴골 지지바(720a, 720b)의 수개의 전후이동 조절 고정공(724) 가운데 하나를 위치시켜 끼워 고정한다. 즉, 전후이동 조절 고정공(724)은 사용자의 대퇴 걸침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의 좌측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에는 사용자의 좌측 대퇴 아랫면이 면접 지지되고, 우측 대퇴걸침 쿠션부재(740b)에는 사용자의 우측 대퇴 윗면이 면접 지지된 상태에서 작동된다.
그리고, 미리 상기 골반 정위 교정을 위한 사용자의 무릎 높이에 맞게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수개의 높이 조절공(602) 가운데 적정한 하나의 높이 조절공(602)에 대퇴골 지지바(720a, 720b)를 삽입해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고정핀 체결공(604)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된 대퇴골 지지바(720a, 720b)의 수개의 전후이동 조절 고정공(724) 가운데 하나를 위치시켜 대퇴골 지지바 고정핀(728)을 끼워 고정해 상기 원통형 지지쿠션 스펀지 재질로 된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의 전후 이동 길이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대퇴골 지지바(720a, 720b)의 수개의 전후이동 조절 고정공(724)의 직각 위치에는 대퇴걸침 쿠션부재 수직 오픈 고정공(726)이 통공되어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고정핀 체결공(604)에 대응되게 돌려 위치시켜 대퇴골 지지바 고정핀(728)을 끼워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가 수직으로 세워져 오픈(개방)되어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에 간섭없이 골반 받침판(500)에 사용자의 골반(800)이 위치되도록 누울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골반(800)이 본 발명의 골반교정장치의 골반 받침판(500)에 들어가 위치할때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에 걸리지 않고 누울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운 자세의 골반(800)의 좌측 장골(820a, 엉덩뼈)은 전방회전되고 우측 장골(820b)은 후방회전 되게 비틀어져 있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면,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는 일측에 좌·우 스프링(630a, 630b)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 대퇴골 지지부재(700a, 700b)에 면접 지지된 좌측 대퇴골(840a)은 골반 받침판(500)쪽으로 밀고,
우측 대퇴골(840b)은 사용자 가슴쪽으로 당겨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엇갈리게 일정 각도로 회동 후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늘어난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탄성응력(E1, E2)이 상기 좌·우측 대퇴골(840a, 840b)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어 골반의 좌측 장골(820a)에는 후방으로 회전력(F1)이 작용하고, 골반의 우측 장골(820b)에는 전방으로 회전력(F2)이 작용해 정위 교정된다.
즉, 사용자가 골반 받침판(500)에 누워 좌·우측 다리의 대퇴골(840a, 840b)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좌측 다리의 대퇴골(840a)을 골반 받침판(500)쪽으로 밀면 골반의 좌측 장골(820a)이 함께 전방회전되는데 좌측 다리의 대퇴골(840a)을 골반 받침판(500)쪽으로 밀어 더 이상 미는 힘이 증가하지 않는 지점에 도달한 회동 상태(일정 한계 각도로 회동 상태)에서 좌측 다리의 대퇴골(840a)의 미는 힘을 빼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 늘어난 좌측 스프링(630a)의 탄성응력(E1, 탄성 반발력)이 골반의 좌측 장골(820a)에 후방회전력(F1)으로 작용해 좌측 장골(820a)이 후방으로 회전 정위 교정된다.
동시에 상기 좌측 다리의 대퇴골(840a)의 반대 방향으로 엇갈리게 상기 우측 다리의 대퇴골(840b)을 사용자 가슴쪽으로 회전시켜 당겨 견인하면 골반의 우측 장골(820b)이 함께 후방회전되는데 우측 다리의 대퇴골(840b)을 사용자 가슴쪽으로 당겨 더 이상 당겨 견인하는 힘이 증가하지 않는 지점에 도달한 회동 상태(일정 한계 각도로 회동 상태)에서 우측 다리의 대퇴골(840b)의 당겨 견인하는 힘을 빼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 늘어난 우측 스프링(630b)의 탄성응력(E2)이 골반의 우측 장골(820b)에 전방회전력(F2)으로 작용해 우측 장골(820b)이 전방으로 회전 정위 교정(상기 골반의 좌측 장골의 정위 교정과 동시에 정위 교정)된다.
상기와 같은 일례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는 사용자의 좌·우측 장골(820a, 820b)을 동시에 서로 반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비틀어진 좌·우측 장골(820a, 820b)을 바른 위치(정위)로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좌측 다리의 대퇴골(840a)의 미는 힘을 빼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 늘어난 좌측 스프링(630a)의 탄성응력(E1)이 골반의 좌측 장골(820a)에 후방회전력(F1)으로 작용해 좌측 장골(820a)이 후방으로 회전해 정위 교정되는 작동 구조이기 때문에 좌측 장골(820a)에 체중 부하가 거의 걸리지 않는다. 동일한 작동 원리로 우측 장골(820b)에도 체중 부하가 거의 걸리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의 작동을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가 수직으로 세워져 오픈된 상태에서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에 간섭없이 골반 받침판(500)에 사용자의 골반(800)이 위치하게 눕는다.
그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수개의 높이 조절공(602) 가운데 적정한 하나의 높이 조절공(602)에 대퇴골 지지바(720a, 720b)를 삽입하며, 대퇴골 지지바 고정핀(728)을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고정핀 체결공(604)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된 대퇴골 지지바(720a, 720b)의 수개의 전후이동 조절 고정공(724) 가운데 하나를 위치시켜 끼워 고정한다.
그 후,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에 사용자 다리의 대퇴 부분인 좌·우측 다리의 대퇴골(840a, 840b)이 면접 지지된 상태에서 좌측 다리의 대퇴골(840a)을 골반 받침판(500)쪽으로 밀면 늘어난 좌측 스프링(630a)의 탄성응력(E1)이 골반의 좌측 장골(820a)에 후방회전력(F1)으로 작용해 좌측 장골(820a)이 후방으로 회전해 정위 교정되고, 동시에 우측 다리의 대퇴골(840b)의 당겨 견인하는 힘을 빼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상기 늘어난 우측 스프링(630b)의 탄성응력(E2)이 골반의 우측 장골(820b)에 전방회전력(F2)으로 작용해 우측 장골(820b)이 전방으로 회전해 정위 교정된다. 이와 같은 교정 작동을 오랜 시간 꾸준히 골반 틀어짐 교정을 위해 반복하면 정위 교정 치료가 완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골반교정장치(도시 안함)는 좌·우측 다리의 대퇴골(840a, 840b)이 고관절(844)로 연결된 골반(800)의 좌측 장골(820a)이 후방회전되고 우측 장골(820b)이 전방회전 되게 비틀어져 있는 경우를 일례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한 정위 교정 방향과 반대로 교정할 수 있도록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를 반대로 위치시키고 대퇴골 정위 교정 치료를 위한 회전 작동을 반대 방향으로 실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00. 골반 받침판
600a, 600b. 좌·우 지주대
602. 높이 조절공
620. 브라켓
624. 힌지축
630a, 630b. 좌·우 스프링
650a, 650b. 스프링 텐션 조절 가이드박스
654. 이동 가이드공
656. 스프링 길이 조절 이동핀
700a, 700b. 좌·우 대퇴골 지지부재
720a, 720b. 대퇴골 지지바
740a, 740b. 대퇴걸침 쿠션부재
800. 골반
820a, 820b. 골반의 좌·우측 장골
840a, 840b. 좌·우측 대퇴골
E1. 좌측 대퇴골 탄성응력
E2. 우측 대퇴골 탄성응력
F1. 좌측 장골 정위 교정 후방회전력
F2. 우측 장골 정위 교정 전방회전력

Claims (5)

  1. 사용자의 골반(800)이 위치하는 골반 받침판(500)과,
    상기 골반 받침판(500) 상부에 탄성 회동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좌·우 지주대(600a, 600b)와,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좌·우측 대퇴골(840a, 840b)을 면접 지지하는 좌·우 대퇴골 지지부재(700a, 700b)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 대퇴골 지지부재(700a, 700b)는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높이 조절공(602)에 수평으로 삽입 고정되는 대퇴골 지지바(720a, 720b)와 대퇴골 지지바(720a, 720b)의 일단부에 직각으로 연장 고정되는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로 구성되어 상기 대퇴걸침 쿠션부재(740a, 740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는 상기 골반 받침판(500)의 양단 중앙부에 구비된 브라켓(620)에 힌지축(624)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지주대(600a, 600b)의 일측에는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골반 받침판(500)의 양단 끝단부에 각각 고정된 스프링 텐션 조절 가이드박스(650a, 650b)에는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타단이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누운 자세의 골반(800)의 좌측 장골(820a)은 전방회전되고 우측 장골(820b)은 후방회전 되게 비틀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좌·우 지주대(600a, 600b)는 일측에 좌·우 스프링(630a, 630b)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 대퇴골 지지부재(700a, 700b)에 면접 지지된 좌측 대퇴골(840a)은 골반 받침판(500)쪽으로 밀고, 우측 대퇴골(840b)은 사용자 가슴쪽으로 당겨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엇갈리게 일정 각도로 회동 후 정지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늘어난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탄성응력(E1, E2)이 상기 좌·우측 대퇴골(840a, 840b)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어 골반의 좌측 장골(820a)에는 후방으로 회전력(F1)이 작용하고, 골반의 우측 장골(820b)에는 전방으로 회전력(F2)이 작용해 정위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텐션 조절 가이드박스(650a, 650b)의 외측면에는 이동 가이드공(654)이 절개 형성되어 상기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타단에 고정된 스프링 길이 조절 이동핀(656)이 끼워져 바깥 방향으로 벌려지도록 이동해 고정하면 좌·우 스프링(630a, 630b)의 길이가 늘어나 장력이 크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교정장치.
KR1020180044720A 2018-04-18 2018-04-18 골반교정장치 KR101975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20A KR101975317B1 (ko) 2018-04-18 2018-04-18 골반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20A KR101975317B1 (ko) 2018-04-18 2018-04-18 골반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317B1 true KR101975317B1 (ko) 2019-05-07

Family

ID=6665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720A KR101975317B1 (ko) 2018-04-18 2018-04-18 골반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454A (ko) 2020-11-20 2022-05-27 김성민 골반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342A (ko) * 2008-08-19 2010-03-02 한국과학기술원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US20140364287A1 (en) * 2013-06-07 2014-12-11 Jin-Chen Chuang Fitness apparatus
CN205252395U (zh) * 2015-11-28 2016-05-25 浙江金拓机电有限公司 一种用连杆传动的健身器材
KR200486183Y1 (ko) * 2017-12-06 2018-04-11 한창권 골반 강화용 운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342A (ko) * 2008-08-19 2010-03-02 한국과학기술원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US20140364287A1 (en) * 2013-06-07 2014-12-11 Jin-Chen Chuang Fitness apparatus
CN205252395U (zh) * 2015-11-28 2016-05-25 浙江金拓机电有限公司 一种用连杆传动的健身器材
KR200486183Y1 (ko) * 2017-12-06 2018-04-11 한창권 골반 강화용 운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454A (ko) 2020-11-20 2022-05-27 김성민 골반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54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knee joint rehabilitation
KR100699027B1 (ko)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KR101157009B1 (ko) 골반 및 하체교정장치
KR101095633B1 (ko) 척추 교정기
CN106726342A (zh) 柔韧性训练装置
CN209827140U (zh) 一种髋关节脱位持续牵引复位架
JP2017530834A (ja) 身体のバランスを復元させる下半身及び脊椎関節運動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
KR101975317B1 (ko) 골반교정장치
KR102532823B1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KR200463327Y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102031246B1 (ko) 등근육 운동기구
JP2006141694A (ja) ストレッチ台
JP3130880U (ja) 股関節矯正装置
WO2005000172A1 (ja) 健康器具
KR102278217B1 (ko) 디스크 치료기
KR100343094B1 (ko)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KR20170050500A (ko) 입식형 자세교정장치
KR102041999B1 (ko)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KR20210112063A (ko) 발목관절 재활운동 장치
KR101599670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20160076155A (ko) 침대형 전신 운동기구
KR102020146B1 (ko) 신체 교정기
KR102316639B1 (ko) 골반 교정용 기구
JP2004358184A (ja) 身体養成装置及び身体養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