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670B1 -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670B1
KR101599670B1 KR1020150051394A KR20150051394A KR101599670B1 KR 101599670 B1 KR101599670 B1 KR 101599670B1 KR 1020150051394 A KR1020150051394 A KR 1020150051394A KR 20150051394 A KR20150051394 A KR 20150051394A KR 101599670 B1 KR101599670 B1 KR 10159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tand
mounting bracket
work
upper mounting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완
Original Assignee
박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완 filed Critical 박종완
Priority to KR102015005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는 농업 또는 용접 작업과 같은 좌식 작업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장시간의 좌식 작업으로 인한 다리의 피로감을 줄이고 작업 후 기립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일어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에 무릎의 안쪽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킨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체의 안쪽 무릎관절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안쪽 무릎관절 하부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을 힌지축(31)에 의해 상호 연결된 탄성부(30)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상기 스프링의 안내봉과 일정 각도에서 접촉되는 작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수용되어 착용될 수 있는 완충커버(5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커버(50)는 측면에 착용자의 대퇴부나 종아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벨트(53, 54)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가 각각 수용되는 장착대수용부(51, 52)와, 상기 장착대수용부(51, 52)의 안쪽에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유동될 수 있는 끼임방지부(61, 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ASSISTANT APPARATUS FOR SITTING WORKS}
본 발명은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는 농업 또는 용접 작업과 같은 좌식 작업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장시간의 좌식 작업으로 인한 다리의 피로감을 줄이고 작업 후 기립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일어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에 무릎의 안쪽으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밭일 또는 논일이나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어렵고 다리에 쥐가 나거나 무릎에 통증을 빈번하게 느끼게 된다. 즉,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면 체중이 다리에 집중되고, 특히 무릎에 집중됨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다리가 쉽게 저리거나 무릎이 아프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면에 작업자의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을 좀 더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무릎을 지면에 지지한 상태로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면 허리에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로감도 적게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지면에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행한다면 의복에 진흙이나 풀즙 등의 이물질로 오염될 수 있으며,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의복이 닳아서 떨어지는 등의 훼손이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1021720호 내지 실용신안등록 제20-0468083호와 같이 스프링 및 스펀지를 이용하여 좌식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공지된 기술은 장시간 좌식 작업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의 엉덩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방석을 구비하여 좌식 작업시 지면에 엉덩이를 깔고 앉아 작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발뒤꿈치와 대퇴부 사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완충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오랜 시간 앉아서 작업할 때 무릎에 치우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는 있지만, 오랜 작업 후 일어설 때 순수하게 사용자의 하체 힘으로 일어설 수밖에 없어 작업자의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게 된다.
또한, 기존 무릎용 보조기구는 무릎에 완전 밀착되어 무릎용 보조기구가 사용자의 무릎 쪽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무릎에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할 때 불편함이 있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 농업에 종사하는 연령층의 나이가 고령인 점을 고려하면 오랜 시간 좌식작업에 상기 종래 기술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동 및 일어날 때에는 무릎 관절에 큰 무리를 주어 고통이 수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한 쿠션으로 완충작용을 하고, 무릎을 펴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부가하여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또한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에 무릎 안쪽과 장비가 이격되도록 하여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착용자의 대퇴부와 종아리에 상부장착대와 하부창착대를 착용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장착대를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장착대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앉을 때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한 쿠션으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스프링의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고자 하는 탄성력을 바탕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장착대와 하부장착대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무릎을 구부릴 때 상기 힌지축이 무릎의 안쪽과 밀착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킨 좌식 작용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안쪽 무릎관절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안쪽 무릎관절 하부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을 힌지축(31)에 의해 상호 연결된 탄성부(30)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0)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상기 스프링의 안내봉과 일정 각도에서 접촉되는 작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수용되어 착용될 수 있는 완충커버(5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커버(50)는, 측면에 착용자의 대퇴부나 종아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벨트(53, 54)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가 각각 수용되는 장착대수용부(51, 52)와, 상기 장착대수용부(51, 52)의 안쪽에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유동될 수 있는 끼임방지부(61, 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어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즉,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내지 용접공들에게는 손쉽게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할 수 있고, 장시간의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무릎에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가 완전 밀착되지 않아 착용시 사용자의 불편함을 크게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무릎에 착용하여 구부린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무릎에 착용하여 구부린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무릎관절 안쪽의 상부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3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수용되어 착용될 수 있는 완충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충커버(50)의 측면에는 착용자의 대퇴부나 종아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벨트(53, 54)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커버(50)는, 직물재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장착대수용부(51, 52)가 형성되며, 착용으로 인한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안쪽 무릎의 상부쪽 대퇴부와 하부쪽 종아리에 밀접하게 착용될 수 있으면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탄성부(30)에 대응되는 위치의 완충커버는 밴딩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완충커버(5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착용벨트(53, 54)가 각각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용벨트(53, 54)는 착용자의 대퇴부와 종아리에 벨크로파스너와 같은 부착수단으로 밀접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커버(50)에는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가 각각 수용되는 장착대수용부(51, 52)가 구성되고, 상기 장착대수용부(51, 52)의 안쪽에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유동될 수 있는 끼임방지부(61, 62)가 형성된다.
상기 끼임방지부(61, 62)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상기 탄성부(30)를 중심으로 접혀지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30)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며, 상기 탄성부(30)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끼임방지부(61, 62)로 밀려들어온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어 상기 장착대수용부(51, 52)로 위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끼임방지부(61, 62)의 내측에는 밀려들어온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상기 장착대수용부(51, 52)로의 원상회복이 용이하도록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상호 연결되어 회동되기 위해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는 연결부(12, 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12, 22)는 힌지축(31)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볼트(33)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연결하는 힌지축(31)에는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접철되는 각도에 따라 접촉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32)을 포함하는 탄성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32)과, 상기 스프링(32)의 안내봉이 수용되는 작용홈(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틀림스프링(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공지된 바와 같이 코일 부분의 양단에 안내봉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또는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는 상기 안내봉과 일정 각도에서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작용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작용홈(24)은 스프링의 안내봉과 일정한 유격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에 의한 탄성력의 작용되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릎을 일정한 각도 이하로 굽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무릎을 일정한 각도 이하로 굽히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장착대와 하부장착대에 작용하기 때문에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즉, 무릎을 일정 각도 이하로 굽히는 경우에는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무릎을 일정 각도까지 펴는 경우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게 되고,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앉았다 일어나는 것을 손쉽게 반복할 수 있고, 장시간의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고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링은, 그 안내봉의 길이가 상이한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길이가 상이한 스프링의 안내봉은 각각 그 작용각도를 달리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봉을 갖는 스프링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먼저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접철되는 각도가 작아짐에 따라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안내봉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추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안내봉의 길이가 상이한 스프링을 다수개 구성하여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작용홈의 깊이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와 같이 작용홈의 깊이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의 작동각이 상이한 다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작동각을 각각 상이하게 스프링을 구성하여,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내봉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거나, 작용홈의 깊이를 상이하게 하거나, 스프링의 작동각을 각각 독립적으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상이한 구성을 각각 조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을 연결부(12, 22)의 바깥쪽 측면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30)를 갖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상기 완충커버(50)에 구성된 장착대수용부(51, 52)에 수용되어 작동한다. 즉,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커버(50)에 수용된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탄성부(30)를 중심으로 기립되어 사용자의 무릎 안쪽과 대퇴부 및 종아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게 되면,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탄성부(30)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장착대수용부(51, 5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끼임방지부(61, 62)로 밀려나가 수용되게 된다. 또한 동시에 무릎관절의 안쪽 부분에 유동공간부(6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완충커버(50)의 장착대수용부(51, 52)에서 상기 끼임방지부(61, 62)로 밀려나와 상기 유동공간부(60)를 형성하기 때문에, 탄성부(30)가 무릎의 안쪽에서 이격되어 무릎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되는 범위는 상기 끼임방지부(61, 62)에 따라 제한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다양한 태양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작용효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으로 스프링(32)의 양 끝단인 안내봉이 작용홈(2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 후 힌지축(31)은 볼트(33)에 의해 체결되어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결합된다.
결합된 상부장착대(10)는 완충커버(50)의 장착대수용부(51)에 수용되고, 결합된 하부장착대(20)는 완충커버(50)의 장착대수용부(52)에 수용된다.
그 후 완충커버(50)의 착용벨트(53, 54)를 이용하여 무릎관절의 안쪽 상부 대퇴부와 종아리에 각각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착용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30)의 탄성력은 스프링의 개수와 작용홈(24)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30)가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의 안내봉은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의해 가압되는데, 일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 가압되도록 하고, 가압 되는 압력에 의해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 사이에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상기 탄성부(30)가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일어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된 상기 탄성부(30)가 풀리면서 탄성력에 의해 쉽게 일어날 수 있어 빈번하게 무릎을 굽혔다 폈다하는 작업의 무릎이나,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탄성부(30)의 탄성에 의해 무릎의 뒷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끼임방지부(61, 62)로 각각 밀려나가게 되고, 상기 탄성부(30)와 무릎의 안쪽 사이에는 유동공간부(6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무릎에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가 완전 밀착되지 않아 사용자의 불편함을 크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고,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손쉽게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할 수 있게된다.
특히, 상기 상부장착대와 하부장착대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무릎을 구부릴 때 상기 힌지축이 무릎의 안쪽과 밀착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상부장착대 12, 22: 연결부
20: 하부장착대 24: 작용홈
30: 탄성부 31: 힌지축
32: 스프링 33: 볼트
50: 완충커버 51, 52: 장착대수용부
53, 54: 착용벨트 60: 유동공간부
61, 62: 끼임방지부

Claims (1)

  1. 신체의 안쪽 무릎관절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안쪽 무릎관절 하부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을 힌지축(31)에 의해 상호 연결된 탄성부(30)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0)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상기 스프링의 안내봉과 일정 각도에서 접촉되는 작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수용되어 착용될 수 있는 완충커버(5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커버(50)는, 측면에 착용자의 대퇴부나 종아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벨트(53, 54)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가 각각 수용되는 장착대수용부(51, 52)와, 상기 장착대수용부(51, 52)의 안쪽에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유동될 수 있는 끼임방지부(61, 6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20150051394A 2015-04-12 2015-04-12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9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394A KR101599670B1 (ko) 2015-04-12 2015-04-12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394A KR101599670B1 (ko) 2015-04-12 2015-04-12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670B1 true KR101599670B1 (ko) 2016-03-03

Family

ID=5553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394A KR101599670B1 (ko) 2015-04-12 2015-04-12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1847A (zh) * 2016-03-15 2016-08-10 金大日 一种运动健身护膝及其佩戴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01A (ko) * 2005-10-11 2006-04-19 정정자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200431890Y1 (ko) * 2006-08-24 2006-11-27 정정자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20090088140A (ko) * 2008-02-14 2009-08-19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200468083Y1 (ko) * 2011-09-28 2013-07-22 대한민국 무릎보호를 위한 삼각쿠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01A (ko) * 2005-10-11 2006-04-19 정정자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200431890Y1 (ko) * 2006-08-24 2006-11-27 정정자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20090088140A (ko) * 2008-02-14 2009-08-19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200468083Y1 (ko) * 2011-09-28 2013-07-22 대한민국 무릎보호를 위한 삼각쿠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1847A (zh) * 2016-03-15 2016-08-10 金大日 一种运动健身护膝及其佩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8109B2 (ja) 装着型支持構造
US7096507B1 (en) Full leg joint pad appliance
JP5887671B2 (ja) 前屈作業補助用具
KR20190027825A (ko)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KR102115016B1 (ko)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1727502B1 (ko) 착용의자
US20180257217A1 (en) Load-bearing exoskeleton
US10201197B2 (en) Knee protection device
KR101690422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99670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20160125856A (ko)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KR101975493B1 (ko) 충격완화 보행 보조기
KR101512985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JP2007105478A (ja) 座式作業用下肢補助装置
KR200431890Y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WO2017217869A1 (en) Upper body support apparatus
KR101599669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383763B1 (ko) 무릎관절 보호 및 하체 근육 피로 경감을 위한 작업보조기구
KR101543191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IL267730A (en) External skeleton subassembly and external skeletal structure that includes the subassembly
KR100699064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101975317B1 (ko) 골반교정장치
CN110695972A (zh) 一种可随身穿戴的半蹲式支撑装置
WO2023063250A1 (ja) 着座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