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422B1 -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422B1
KR101690422B1 KR1020150106983A KR20150106983A KR101690422B1 KR 101690422 B1 KR101690422 B1 KR 101690422B1 KR 1020150106983 A KR1020150106983 A KR 1020150106983A KR 20150106983 A KR20150106983 A KR 20150106983A KR 101690422 B1 KR101690422 B1 KR 101690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mounting bracket
elastic
leg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완
Original Assignee
박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완 filed Critical 박종완
Priority to KR102015010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A41D2600/202W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는 농업 또는 용접 작업과 같은 좌식 작업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장시간의 좌식 작업으로 인한 다리의 피로감을 줄이고, 작업 후 기립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일어설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인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각각 한 쌍의 막대로 구성되고 이를 연결하면서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회동되기 위한 회동축(31)에 결합되는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다리(34)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40)와, 상기 스프링(33)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탄성 제어수단과, 상기 하부장착대(2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연결부(40)는, 내부가 중공된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으로 상기 상부장착대(1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회동축(31)이 삽입될 수 있는 축구멍(43)이 형성된 상부연결부 브라켓(44)과, 내측에 상기 스프링(33)의 고정다리(34)가 삽입되는 스프링 고정판(4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연결부(50)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으로 상기 하부장착대(2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상부연결부(40)와 회동축(31)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은, 상기 하부연결부(50)의 측면에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탄성조절볼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ASSISTANT APPARATUS FOR SITTING WORKS}
본 발명은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는 농업 또는 용접 작업과 같은 좌식 작업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장시간의 좌식 작업으로 인한 다리의 피로감을 줄이고, 작업 후 기립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일어설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밭일 또는 논일이나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을 하는 사람이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다리에 쥐가 나거나 무릎에 통증을 느끼는 등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즉,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면 체중이 다리에 집중됨과 아울러 무릎에 집중됨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다리가 쉽게 저리거나 무릎이 아프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지면에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이 편안하며 장시간 작업을 하고 있어도 허리에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로도 적게 느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지면에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행한다면 의복에 진흙이나 풀즙 등의 이물질이 묻을 수 있으며,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의복이 닳아서 떨어지는 등의 훼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1021720호 및 실용신안 등록 제20-0468083호와 같이 스프링 및 스펀지를 이용하여 좌식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공지된 기술은 장시간 좌식 작업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의 엉덩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방석을 구비하여 좌식 작업시 지면에 엉덩이를 깔고 앉아 작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발 뒤꿈치와 대퇴부 사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완충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오랜 시간 앉아서 작업할 때 무릎에 치우치는 하중을 분산시킬수는 있지만, 오랜 작업 후 일어설 때는 오로지 사용자의 하체 힘으로 일어설 수밖에 없어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경우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 농업에 종사하는 연령층의 나이가 고령인 점을 고려하면 오랜 시간 좌식작업에 상기 종래 기술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동 및 일어날 때에는 무릎 관절에 큰 무리를 주어 고통이 수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을 기준으로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와,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장착대를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장착대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앉을 때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한 쿠션으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스프링의 복원되고자 하는 탄성력을 바탕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사로를 보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한 완충작용 및 복원작용으로 무릎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경사로를 보행할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인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각각 한 쌍의 막대로 구성되고 이를 연결하면서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회동되기 위한 회동축(31)에 결합되는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다리(34)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40)와, 상기 스프링(33)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탄성 제어수단과, 상기 하부장착대(2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연결부(40)는, 내부가 중공된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으로 상기 상부장착대(1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회동축(31)이 삽입될 수 있는 축구멍(43)이 형성된 상부연결부 브라켓(44)과, 내측에 상기 스프링(33)의 고정다리(34)가 삽입되는 스프링 고정판(4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연결부(50)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으로 상기 하부장착대(2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상부연결부(40)와 회동축(31)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은, 상기 하부연결부(50)의 측면에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탄성조절볼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은, 상기 탄성조절다리(35)와 결합되고 상기 탄성조절볼트(80)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위치조절판(82)과, 상기 위치조절판(82)이 이동되도록 가이드홈(57)이 상기 하부연결부(5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인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각각 한 쌍의 막대로 구성되고 이를 연결하면서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회동되기 위한 회동축(31)에 결합되는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다리(34)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40)와, 상기 스프링(33)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탄성 제어수단과, 상기 하부장착대(2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연결부(50)는, 상기 상부연결부(40)와 회동축(31)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 회동부(55)와, 상기 하부장착대(20)가 연결되도록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은, 상기 하부연결 회동부(55) 및 상기 하부연결부(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조절 놉(knob: 6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 놉(60)은, 내부에 상기 하부연결부(50)에 대하여 수직한 탄성조절판(6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판(63)은 중점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거리로 형성되는 적어도 3개의 꼭지점을 갖는 다각형의 제어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조절다리(35)가 상기 꼭지점의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어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아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손쉽게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할 수 있고, 장시간의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고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사용자에 따른 완충작용과 복원작용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서 탄성연결부의 분리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서 탄성연결부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서 탄성연결부의 분리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보조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탄성연결부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서 탄성연결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서 탄성연결부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서 탄성연결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작업용 보조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탄성연결부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인 대퇴부 후면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연결하고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장착대(10)는, 상기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막대로 구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인체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밴드(11)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장착대(20)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동일하게 착용밴드(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밴드(11, 21)는, 2쌍으로 구성되도록 도면에 도시되었지만, 1쌍으로 구성되는 등 그 양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착용수단을 사용한다면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타측에 각각 연결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아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손쉽게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할 수 있고, 장시간의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고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회동되기 위한 회동축(31)에 결합되는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다리(34)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40)와, 상기 스프링(33)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탄성 제어수단과, 상기 하부장착대(2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연결부(40)는, 내부가 중공된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으로는 상기 상부장착대(1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회동축(31)이 삽입될 수 있는 축구멍(43)이 형성된 상부연결부 브라켓(4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33)의 고정다리(34)가 삽입되는 스프링 고정판(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고정판(41)에는 스프링 고정홈(4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다리(34)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부연결부(40)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33)은, 비틀림스프링(토션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프링코일과, 고정다리(34) 및 탄성조절다리(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다리(34)와 탄성조절다리(35)는 특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스프링코일의 일측이 고정다리(34)가 되면, 타측은 탄성조절다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3)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연결하는 회동축(31)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접철되는 각도에 따라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하부연결부(50)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으로는 상기 하부장착대(2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상부연결부(40)와 회동축(31)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연결부(50)는 상기 상부연결부(4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장착대(2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은, 상기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연결부(50)의 측면에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탄성조절볼트(80)와, 상기 탄성조절다리(35)와 결합되고 상기 탄성조절볼트(80)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위치조절판(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조절볼트(80)와 결합되기 위한 너트구멍(81)이 상기 하부연결부(5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구멍(81)은 상기 하부연결부(50)의 내측과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판(82)이 이동되도록 가이드홈(57)이 상기 하부연결부(5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위치조절판(82)은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가 삽입되기 위한 다리삽입구(83)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조절볼트(80)에 의해 상기 하부연결부(5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75)을 타고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상기 탄성조절볼트(80)를 통해 상기 위치조잘판(82)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가 상기 위치조절판(82)에 삽입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를 상기 탄성조절볼트(80)를 통해 직접 그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가 상기 위치조절판(82)에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및 탄성연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회동되기 위한 회동축(31)에 결합되는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다리(34)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40)와, 상기 스프링(33)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탄성 제어수단과, 상기 하부장착대(2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하부연결부(50)는,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을 포함하기 위하여 하부연결 회동부(55)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하부연결부(50)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으로는 상기 하부장착대(2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과 결합되도록 회전홈(5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연결부(50)는 상기 상부연결부(4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장착대(2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연결 회동부(55)는, 일측에 상기 회동축(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축구멍(53)이 형성된 하부연결부 브라켓(54)이 형성되고, 타측의 외주연부에 회전홈(52)과 회전턱(56)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연결 회동부(55)는 상기 회동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은, 상기 하부연결 회전부(55) 및 상기 하부연결부(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탄성조절 놉(knob)(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 놉(60)은, 상단부 및 하단부의 내측으로 상기 하부연결 회동부(55) 및 하부연결부(50)와 결합되어 회전되기 위한 회전턱(61, 62)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탄성조절판(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턱(61)은 상기 하부연결 회동부(55)에 형성된 회전홈(52)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회전턱(62)은 상기 하부연결부(50)의 회전홈(51)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한편, 탄성조절 놉(60)은, 내부에 상기 하부연결부(50)에 대하여 수직한 탄성조절판(6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판(63)은 중점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거리로 형성되는 적어도 3개의 꼭지점을 갖는 다각형의 제어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조절다리(35)가 상기 꼭지점의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도 4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조절판(63)에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어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다리꼴의 꼭지점은 상기 탄성조절 놉(60)을 회전시키는 위치에 따라 각각 조절포인트(64)가 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조절포인트(64)는, 상기 탄성조절판(63)의 중점으로부터 각각 a, b, c, d만큼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조절 놉(60)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는 상기 조절포인트(64)의 어느 하나로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a의 거리가 형성된 조절포인트(64)에 상기 탄성조절다리(35)가 위치한 경우에 비하여 b의 거리가 형성된 조절포인트(64)에 상기 탄성조절다리(35)가 위치한 경우에는 b-a에 비례하는 탄성력이 상기 스프링(33)을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절포인트(64)가 상기 탄성조절판(63)에 4개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탄성조절판에 형성되는 조절포인트를 2개 또는 다수개로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포인트가 2개인 경우에는 장방형의 제어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인 대퇴부 후면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연결하고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연결부를 통하여 완충작용과 복원작용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연결부의 위치를 사용자의 무릎과 인접되게 위치하기 위한 고정밴드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장착된 착용밴드(11, 2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퇴부와 종아리에 착용한다.
이때, 상기 탄성연결부는 사용자의 무릎과 인접되도록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고정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후 사용자의 작업환경이나 체중 등 사용환경에 적합하도록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인 탄성조절 놉(60)을 회전시켜 적합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탄성조절볼트(80)를 조절하여 적합한 탄성력을 갖도록 조절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의 고정다리(34)가 일정한 거리로 유동될 수 있도록 스프링 고정홈(42)을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력의 작용되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릎을 일정한 각도 이하로 굽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연결부의 탄성력이 장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스프링 고정홈에 의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무릎을 일정한 각도 이하로 굽히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연결부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장착대와 하부장착대에 작용하기 때문에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즉, 무릎을 일정 각도 이하로 굽히는 경우에는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무릎을 일정 각도까지 펴는 경우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게 되고,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앉았다 일어나는 것을 손쉽게 반복할 수 있고, 장시간의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고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 예에 의한 스프링탄성 제어수단과,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을 각각 대칭적으로 장착하여 이중으로 탄성력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외측으로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피부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커버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 상부장착대 11, 21: 착용밴드
20: 하부장착대 31: 회동축
33: 스프링 34: 고정다리
35: 탄성조절다리 40: 상부연결부
41: 스프링 고정판 42: 스프링 고정홈
43, 53: 축구멍 44: 상부연결부 브라켓
50: 하부연결부 51, 52: 회전홈
54: 하부연결부 브라켓 55: 하부연결 회동부
57: 가이드판 58: 가이드홈
60: 탄성조절 놉(knob) 61, 62, 56: 회전턱
63: 탄성조절판 64: 조절포인트
80: 탄성조절볼트 81: 너트구멍
82: 위치조절판 83: 다리삽입구

Claims (5)

  1.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인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각각 한 쌍의 막대로 구성되고 이를 연결하면서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회동되기 위한 회동축(31)에 결합되는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다리(34)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40)와, 상기 스프링(33)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탄성 제어수단과, 상기 하부장착대(2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연결부(40)는, 내부가 중공된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으로 상기 상부장착대(1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회동축(31)이 삽입될 수 있는 축구멍(43)이 형성된 상부연결부 브라켓(44)과, 내측에 상기 스프링(33)의 고정다리(34)가 삽입되는 스프링 고정판(4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연결부(50)는,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일측으로 상기 하부장착대(20)가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상부연결부(40)와 회동축(31)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은, 상기 하부연결부(50)의 측면에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탄성조절볼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은, 상기 탄성조절다리(35)와 결합되고 상기 탄성조절볼트(80)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위치조절판(82)과, 상기 위치조절판(82)이 이동되도록 가이드홈(57)이 상기 하부연결부(5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3.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인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각각 한 쌍의 막대로 구성되고 이를 연결하면서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부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회동되기 위한 회동축(31)에 결합되는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다리(34)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상부연결부(40)와, 상기 스프링(33)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탄성조절다리(35)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탄성 제어수단과, 상기 하부장착대(20)와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연결부(50)는, 상기 상부연결부(40)와 회동축(31)을 매개로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하부연결 회동부(55)와, 상기 하부장착대(20)가 연결되도록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탄성 제어수단은, 상기 하부연결 회동부(55) 및 상기 하부연결부(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조절 놉(knob: 6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 놉(60)은, 내부에 상기 하부연결부(50)에 대하여 수직한 탄성조절판(6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조절판(63)은 중점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거리로 형성되는 적어도 3개의 꼭지점을 갖는 다각형의 제어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조절다리(35)가 상기 꼭지점의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4. 삭제
  5. 삭제
KR1020150106983A 2015-07-29 2015-07-29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69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83A KR101690422B1 (ko) 2015-07-29 2015-07-29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83A KR101690422B1 (ko) 2015-07-29 2015-07-29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422B1 true KR101690422B1 (ko) 2016-12-27

Family

ID=5773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983A KR101690422B1 (ko) 2015-07-29 2015-07-29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4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176B1 (ko) 2017-12-24 2018-12-13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947313B1 (ko) * 2018-03-20 2019-02-12 박종완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KR102034988B1 (ko) * 2019-05-15 2019-10-21 김일열 팔 관절 과부하 감소를 위한 운반 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7644A (ja) * 2005-10-31 2007-05-17 Tamotsu Sakishin 関節支持装具
KR20100055643A (ko) * 2008-11-18 2010-05-27 조경일 무릎관절 보조기구
KR20110007880U (ko) * 2010-02-02 2011-08-10 서영춘 무릎 지지장치
KR101512985B1 (ko) * 2014-04-22 2015-04-17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7644A (ja) * 2005-10-31 2007-05-17 Tamotsu Sakishin 関節支持装具
KR20100055643A (ko) * 2008-11-18 2010-05-27 조경일 무릎관절 보조기구
KR20110007880U (ko) * 2010-02-02 2011-08-10 서영춘 무릎 지지장치
KR101512985B1 (ko) * 2014-04-22 2015-04-17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176B1 (ko) 2017-12-24 2018-12-13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947313B1 (ko) * 2018-03-20 2019-02-12 박종완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WO2019182328A1 (ko) * 2018-03-20 2019-09-26 박종완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KR102034988B1 (ko) * 2019-05-15 2019-10-21 김일열 팔 관절 과부하 감소를 위한 운반 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3782B (zh) 穿戴式助力外骨骼机器人
WO2016021103A1 (ja) 動作支援装置
KR20170139116A (ko) 신체 지지장치
KR102115016B1 (ko)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1690422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727502B1 (ko) 착용의자
JP5841787B2 (ja) 装着型動作支援装置
US20230373080A1 (en) System for assisting an operator in exerting efforts
JP7375048B2 (ja) 体重を利用して抱擁支持、減圧、固定、脊椎保護および脊椎矯正を達成するための多機能ヘルスケアシート装置
BRPI0714309A2 (pt) dispositivo auxiliar de caminhada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200431890Y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100695558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101975493B1 (ko) 충격완화 보행 보조기
KR101383763B1 (ko) 무릎관절 보호 및 하체 근육 피로 경감을 위한 작업보조기구
KR102292983B1 (ko) 하지 외골격 로봇장치
KR101599670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99669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CN209883521U (zh) 一种穿戴式座椅
KR101543191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947313B1 (ko)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KR100699064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102493959B1 (ko) 근골격계를 지지하는 보조기구
KR100955565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20160095886A (ko) 보행 재활로봇에 설치되는 체중분산 보조 하네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