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998B1 -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998B1
KR101575998B1 KR1020150011903A KR20150011903A KR101575998B1 KR 101575998 B1 KR101575998 B1 KR 101575998B1 KR 1020150011903 A KR1020150011903 A KR 1020150011903A KR 20150011903 A KR20150011903 A KR 20150011903A KR 101575998 B1 KR101575998 B1 KR 101575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elastic
fixing
mounting bracket
installa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완
Original Assignee
박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완 filed Critical 박종완
Priority to KR102015001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는 농업 또는 용접 작업과 같은 좌식 작업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장시간 좌식 작업으로 인한 다리의 피로감을 줄이고, 작업 후 기립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바탕으로 손쉽게 일어설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에 장착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구성되어 신체의 무릎관절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 하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15)와,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 형성된 제2연결부(25)가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30)에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35)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5)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조절장치(40)와, 상기 가압조절장치(40)를 수용하고 상기 가압조절장치(40)의 고정 및 각도조절을 위한 고정홈(19)이 상기 제1연결부(15)에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ASSISTANT APPARATUS FOR SITTING WORKS}
본 발명은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는 농업 또는 용접 작업과 같은 좌식 작업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장시간 좌식 작업으로 인한 다리의 피로감을 줄이고, 작업 후 기립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바탕으로 손쉽게 일어설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밭일 또는 논 일이나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을 하는 사람이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어렵고 다리에 쥐가 나거나 다리 및 무릎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즉,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일을 하게 되면 체중이 다리에 집중됨과 아울러 무릎에 집중됨으로써 혈액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다리가 쉽게 저리거나 무릎이 아프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지면에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행하는 되면, 작업이 편안하며 장시간 작업을 하고 있어도 허리에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로도 적게 느낀다.
그러나, 지면에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행한다면 의복에 진흙이나 풀의 즙 등의 이물질이 묻을 수 있으며,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의복이 닳아서 떨어지는 등의 훼손이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등록번호 제10-1021720호 및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68083호와 같이 스프링 및 스펀지를 이용하여 좌식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공지된 기술은 장시간 좌식 작업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의 엉덩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방석을 구비하여 좌식 작업시 지면에 엉덩이를 깔고 앉아 작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발 뒤꿈치와 대퇴부 사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완충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오랜 시간 앉아서 작업할 때 무릎에 치우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는 있지만 오랜 작업 후 일어설 때 순수하게 사용자의 하체의 힘으로 일어설 수밖에 없어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경우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게 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보편적으로 우리나라 농업에 종사하는 연령층의 나이가 고령인 점을 보면 오랜 시간 좌식작업을 위하여 상기 종래 기술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동 및 일어날 때에는 무릎 관절에 큰 무리를 주어 고통이 수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을 기준으로 대퇴부에 장착되는 상부 장착대와, 종아리에 장착되는 하부장착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하부 장착대를 힌지로 연결하여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 하부 장착대를 연결하는 힌지 축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앉을 때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한 쿠션으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스프링의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고자 하는 탄성력을 바탕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에 장착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구성되어 신체의 무릎관절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 하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15)와,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 형성된 제2연결부(25)가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30)에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35)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5)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조절장치(40)와, 상기 가압조절장치(40)를 수용하고 상기 가압조절장치(40)의 고정 및 각도조절을 위한 고정홈(19)이 상기 제1연결부(15)에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조절장치(40)는, 일측으로 상기 탄성부(35)에 접촉되도록 가압돌기(4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30)과 연결을 위한 결속홈(43)이 형성된 판상의 가압본체(41)와, 상기 가압본체(41)의 측면으로 관통된 구멍을 통해 상기 고정홈(19)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본체(41)를 고정하는 고정돌기(49)와, 상기 고정돌기(49)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비된 고정스프링(47)의 탄성을 받아 상기 고정돌기(49)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가압본체(41)의 타측에 위치되는 고정버튼(4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스프링이 신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신축된 스프링이 신장되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어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아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손쉽게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할 수 있고, 장시간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중요 구성 중 상부장착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중요 구성 중 가압조절장치의 정면과 후면을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중요 구성 중 가압조절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가압조절장치의 위치에 따른 동작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중요 구성 중 상부장착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중요 구성 중 가압조절장치의 정면과 후면을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중요 구성 중 가압조절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가압조절장치의 위치에 따른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바람직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인 대퇴부 후면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신체의 무릎관절 하부인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상호 연결되어 회동되기 위해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는 각각 제1연결부(15)와, 제2연결부(25)가 형성되고,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결합볼트(B)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연결하는 힌지축(30)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35)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3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틀림스프링(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35)에 의한 탄성력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보행시 및 일상 생활시 탄성력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15)의 일측으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접철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탄성부(35)를 가압하여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가압조절장치(4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15)는, 상기 가압조절장치(40)를 결합하여 수용하기 위해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수용홈(17)과, 상기 수용홈(17)에 수용된 상기 가압조절장치(40)의 고정 및 각도 조절을 위한 고정홈(19)이 상기 수용홈(17)의 내측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조절장치(40)는, 도 4a, 도 4b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된 가압본체(41)와, 상기 가압본체(41)의 일측으로 상기 탄성부(35)의 일측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42)가 일정 두께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30)과의 연결을 위한 결속홈(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19)과의 고정 및 상기 탄성부(35)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돌기(42)의 각도조절을 위하여 상기 가압본체(41)의 측면으로 관통된 구멍을 통해 상기 고정홈(19)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본체(41)를 고정하는 고정돌기(4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49)는, 상기 가압본체(41)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스프링(47)의 탄성을 받아 상기 고정돌기(49)가 상기 가압본체(41) 측면으로 되출되는 것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49)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절돌기(49)에 탄성을 전달하는 상기 고정스프링(47)을 가압하는 고정버튼(45)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49)는, 고정버튼(45)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버튼(45)의 가압시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고정버튼(45)의 가압 해제시 상기 고정버튼(45)과 접촉되어 내부에 구비된 고정스프링(47)의 복원력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고정홈(19)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홈(19)과 상기 고정돌기(49)는 상호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고정홈(19)의 내측보다 외측의 지름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반대로 상기 고정돌기(49)는 외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조절장치(40)의 가압돌기(42)와 탄성부(35)의 일정한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35)에 의한 탄성력의 작용되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릎을 일정한 각도 이하로 굽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35)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무릎을 일정한 각도 이하로 굽히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부(35)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작용하기 때문에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즉, 무릎을 일정 각도 이하로 굽히는 경우에는 탄성부(35)가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무릎을 일정 각도까지 펴는 경우에는 가압된 탄성부(35)가 복원되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게 되며,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앉았다 일어나는 것을 손쉽게 반복할 수 있어 장시간의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고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외측으로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피부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쿠션부재(5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좌우 측면으로 본 발명을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밸트(5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밸트(55)은 벨크로테이프나 버클 등으로 구성되는 결속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50)는,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의 외관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할수있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50)는, 연질의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 실리콘재, 직물재를 사용하여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하고,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의복의 외부에 착용하는 경우에도 착용이 용이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35)는 외부로 노출되어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접철에 따른 사용자의 의복이나 기타 이물질이 끼어 고장 또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35)의 외측으로 보호커버(60)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35)가 외부노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착용자의 대퇴부 및 종아리 내측으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측면에 구비된 착용밸트(55)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착용된다.
이때,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각각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된 제1연결부(15)와 제2연결부(25)가 힌지축(30)에 의해 회동되고, 이러한 힌지축은 볼트(B)에 의해 결속된다.
상기 힌지축(3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착용자의 일상생활 내지 작업시 대퇴부와 종아리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접철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30)에 끼움결합되어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35)를 구비하여 착용자가 좌식작업 및 기립시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손쉽게 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힌지축(30) 끼움결합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35)는 착용자가 앉을 때에는 상기 탄성부(35)가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접철되는 각도에 따라 가압되는 탄성부(35)를 조절하기 위한 가압조절장치(4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작업 종류에 따른 대퇴부의 내측과 종아리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발생되는 탄성력의 조절한다.
이때, 상기 가압조절장치(40)는, 가압본체(41)의 일측으로 가압돌기(42)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접철에 따른 가압력을 상기 탄성부(35)로 전달하고, 상기 가압돌기(42)와 탄성부(35)의 유격거리에 따라 가압되는 각도를 조절한다.
즉,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장착대(10)의 제1연결부(15)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접철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탄성부(35)에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가압조절장치(40)의 가압돌기(42)와 탄성부(35)의 유격거리를 조절하면 무릎을 조절된 상기 가압돌기(42)와 탄성부(35)의 각도 이하로 굽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35)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무릎을 일정한 각도 이하로 굽히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부(35)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작용하기 때문에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스프링이 신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신축된 스프링이 신장되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어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아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손쉽게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할 수 있고, 장시간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 상부장착대 15 : 제1연결부
17 : 수용홈 19 : 고정홈
20 : 하부장착대 25 : 제2연결부
30 : 힌지축 35 : 탄성부
40 : 가압조절장치 41 : 가압본체
42 : 가압돌기 43 : 결속홈
45 : 고정버튼 47 : 고정스프링
49 : 고정돌기 50 : 쿠션부재
55 : 착용밸트 60 : 보호커버
B : 볼트

Claims (2)

  1.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에 장착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구성되어 신체의 무릎관절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 하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15)와,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 형성된 제2연결부(25)가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30)에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35)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5)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가압조절장치(40)와, 상기 가압조절장치(40)를 수용하고 상기 가압조절장치(40)의 고정 및 각도조절을 위한 고정홈(19)이 상기 제1연결부(15)에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조절장치(40)는, 일측으로 상기 탄성부(35)에 접촉되도록 가압돌기(4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30)과 연결을 위한 결속홈(43)이 형성된 판상의 가압본체(41)와, 상기 가압본체(41)의 측면으로 관통된 구멍을 통해 상기 고정홈(19)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본체(41)를 고정하는 고정돌기(49)와, 상기 고정돌기(49)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비된 고정스프링(47)의 탄성을 받아 상기 고정돌기(49)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가압본체(41)의 타측에 위치되는 고정버튼(4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20150011903A 2015-01-26 2015-01-26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75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03A KR101575998B1 (ko) 2015-01-26 2015-01-26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03A KR101575998B1 (ko) 2015-01-26 2015-01-26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998B1 true KR101575998B1 (ko) 2015-12-21

Family

ID=5508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903A KR101575998B1 (ko) 2015-01-26 2015-01-26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9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176B1 (ko) 2017-12-24 2018-12-13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947313B1 (ko) * 2018-03-20 2019-02-12 박종완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CN110575368A (zh) * 2019-09-30 2019-12-17 宁波格林美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步行辅助装置及其制备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01A (ko) * 2005-10-11 2006-04-19 정정자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JP2007105478A (ja) * 2005-10-11 2007-04-26 Jeong Ja Jung 座式作業用下肢補助装置
KR20080002766U (ko) * 2007-01-17 2008-07-22 김영삼 작업용 무릎보호대
KR20130002167U (ko) * 2011-09-28 2013-04-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무릎보호를 위한 삼각쿠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01A (ko) * 2005-10-11 2006-04-19 정정자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JP2007105478A (ja) * 2005-10-11 2007-04-26 Jeong Ja Jung 座式作業用下肢補助装置
KR20080002766U (ko) * 2007-01-17 2008-07-22 김영삼 작업용 무릎보호대
KR20130002167U (ko) * 2011-09-28 2013-04-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무릎보호를 위한 삼각쿠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176B1 (ko) 2017-12-24 2018-12-13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947313B1 (ko) * 2018-03-20 2019-02-12 박종완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CN110575368A (zh) * 2019-09-30 2019-12-17 宁波格林美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步行辅助装置及其制备工艺
CN110575368B (zh) * 2019-09-30 2024-04-26 宁波格林美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步行辅助装置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1339B2 (en) Femoral support member for a walking assistance device
EP2923685B1 (en) Walking assist device
CN107309867B (zh) 基于重力支撑的下肢助力外骨骼
US10772785B2 (en) Personal augmentation suit and method for assisted human motion
US11980563B2 (en) Wearable assistance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7096507B1 (en) Full leg joint pad appliance
US10561518B2 (en) Wearabl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torso
KR102115016B1 (ko)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6913583B2 (en) Orthopedic device allows kneeling without contacting knee
US10201197B2 (en) Knee protection device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US20210212852A1 (en) Devise for the Support of Movement and Lifting Movement of the Human Body
KR20200001671U (ko)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KR20160023293A (ko) 다리에 착용하는 보행보조기
US20200170822A1 (en) Posture and Lifting Orthotic
KR101512985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690422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US7837274B2 (en) Dynamic trunk support system
KR200431890Y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US20190336385A1 (en) Exoskeleton structure that provides force assistance to the user
KR101599670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US20220378645A1 (en) Interface for an exoskeleton
KR101543191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99669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0699064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