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71U -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 Google Patents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71U
KR20200001671U KR2020190000275U KR20190000275U KR20200001671U KR 20200001671 U KR20200001671 U KR 20200001671U KR 2020190000275 U KR2020190000275 U KR 2020190000275U KR 20190000275 U KR20190000275 U KR 20190000275U KR 20200001671 U KR20200001671 U KR 202000016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dog
knee joint
support member
thi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2020190000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671U/ko
Publication of KR20200001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00Bandages, poultices, compresses specially adapted to veterina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려견의 무릎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릎 주변부를 감싸 무릎주변부의 전후방, 내외측의 정렬을 정상적으로 유지해줌으로써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동시에 정상적인 무릎의 구부림과 폄은 가능하게 해주어 슬개골탈구를 제한하거나 인대파열시 인대의 기능을 외부적으로 대신해주면서도 정상적인 무릎의 움직임은 가능케 하여 효과적인 예방은 물론 수술전후의 빠른 재활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무릎관절의 움직임을 내외측의 관절장치의 구부러짐 조절로 인해 경증이나 중증의 환자견에 따라 다양한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착용시 슬개골을 올바른 전방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슬개골의 탈구 및 교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Knee Joint Auxiliary for Dogs}
본 고안은 반려견의 무릎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견의 무릎에 착용하여 무릎의 정렬을 바르게 맞춤으로써 슬개골의 탈구를 보호하고, 과도한 활동으로 인한 슬개골 탈구의 예방은 물론, 무릎의 인대파열이나 관절염과 같은 질환으로 인한 수술 후 빠른 재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가족구성원이 핵가족화 됨에 따라 적적함을 달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얻는 등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다.
특히, 애완동물 중에서도 반려견은 다른 동물에 비해 높은 지능과 적응력을 가지면서 주인과 교감하며 공존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반려견을 기르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견을 취미 등으로 키우는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 구성원으로 인식하면서 반려견으로서의 유대감과 동질감을 느끼는 애견문화가 일반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대부분의 사람들은 7kg 미만의 소형견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소형견의 경우 선천적으로 슬개골 탈구를 가지고 있거나 쉽게 탈구되는 등 유전적 질병을 가지고 있으며, 생활 환경에서 미끄러운 실내바닥 등의 생활에 의해 후천적인 슬개골 탈구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이 슬개골 탈구를 가진 반려견의 경우 사고나 과도한 활동으로 인해 십자인대 파열이나 관절염과 같은 이차적인 합병 질환을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매우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려견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무릎 보호기구들은 단순히 반려견의 무릎을 감싸 압박하여 불필요한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보호 효과를 얻기에는 상당히 미흡하였으며, 특히 착용시 착용감 저하로 반려견에게 답답함을 주는 등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84566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2859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무릎 주변부를 감싸 무릎주변부의 전후방, 내외측의 정렬을 정상적으로 유지해줌으로써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면서도 동시에 정상적인 무릎의 구부림과 폄은 가능하게 해주어 슬개골탈구를 제한하거나 인대파열시 인대의 기능을 외부적으로 대신해주면서도 정상적인 무릎의 움직임은 가능케 하여 효과적인 예방은 물론 수술전후의 빠른 재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애완견용 무릎관절 보조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무릎관절의 움직임을 내외측의 관절장치의 구부러짐 조절로 인해 경증이나 중증의 환자견에 따라 다양한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착용시 슬개골을 올바른 전방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슬개골의 탈구 및 교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착용밴드가 형성되어 무릎부의 대퇴부와 하퇴부를 감싸 근육의 힘을 지지하며, 전방에는 슬개골 안착공이 관통 형성되어 착용시 슬개골의 자리를 잡아주는 압박대; 및
압박대의 측면에 형성되어 압박대를 착용시 대퇴부와 하퇴부를 연결 지지하여, 탄성력에 의해 무릎관절의 구부림을 도와주거나 움직임을 제한하는 측면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압박대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재, 수지재, 스펀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반려견 무릎부의 대퇴부와 하퇴부에 이르게 일체 형성된 일체형 압박대로 구성하되,
슬개공 안착공이 전방에 관통 형성되게 구성하며,
상부에는 반려견의 가슴 부위를 감싸 착용하는 하네스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거나,
압박대는,
플라스틱재로 구성하며, 반려견 무릎부의 대퇴부 및 하퇴부에 해당하게 대퇴부 압박대와 하퇴부 압박대로 분리 형성된 분리형 압박대로 구성하되,
대퇴부 압박대와 하퇴부 압박대의 내주면은 쿠션형 내피로 마감 및 그 내피의 내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패드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대퇴부 압박대와 하퇴부 압박대는 측면이 측면 지지부재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슬개골 안착공이 대퇴부 압박대와 하퇴부 압박대의 전방에 관통 형성되며,
착용밴드에는 피부에 접촉시 피부의 보호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신축성 패드가 더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는, 압박대를 이용하여 무릎 주변을 감싸 뒷다리의 전체적인 압박감을 주게 되는 것인바, 근육의 힘을 지지하여 움직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양측에 측면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무릎의 구부러짐과 뼈의 밀림을 방지하게 되는 등 무릎의 구부러짐과 근육의 움직임에 따른 효과적인 대응으로 슬개골 탈구의 예방은 물론, 인대파열이나 무릎관련 수술 후 빠른 재활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측면 지지부재의 탈착 구조를 통해 경증이나 중증의 환자견에 따라 다양하게 무릎의 구부러짐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등 환자견의 증상 정도에 따라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박대의 전방에 슬개골의 지지가 가능한 슬개골 안착공과 슬개골 지지부재가 형성된 것인바, 슬개골의 안정적인 지지 및 압박을 방지하게 되는 등 슬개골 탈구 방지 및 교정의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1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1 실시예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
도 4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2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2 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2 실시예 다른 분리형 압박대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2 실시예 다른 분리형 압박대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측면 지지부재 실시예도.
도 9는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1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1 실시예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이고, 도 4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2 실시예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2 실시예 다른 분리형 압박대 다른 실시예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제2 실시예 다른 분리형 압박대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1)는, 압박대(100)와, 측면 지지부재(200)로 구성된다.
먼저, 압박대(100)는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1)를 구성함에 있어, 반려견 무릎의 상부를 이루는 대퇴부와 하부를 이루는 하퇴부를 감싸게 구성된 것으로, 무릎부를 보호 및 근육의 힘을 지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압박대(100)에는 일측에 착용밴드(150)가 형성되어 반려견의 다리에 착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착용밴드(150)는 무릎부를 감싸는 상,하 복수열의 착용밴드(150)로 구성되어 압박대(100)가 무릎부의 전방을 감싼 상태에서 후방에서 대퇴부와 하퇴부를 결착하여 고정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착용밴드(150)의 고정 구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예로 밸크로테이프를 이용한 부착이나 버클 등을 이용한 체결 장착구조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밸크로테이프(도면중 미도시함)를 이용한 부착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압박대(100)에는 그 전방에 압박대(100)를 착용시 반려견의 슬개골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슬개골 안착공(160)이 형성된 것으로, 슬개골 안착공(160)은 슬개골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슬개골의 돌출된 선단만이 소정 진입되고 그 주변은 감싸지게 구성된다.
상기 측면 지지부재(200)는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압박대(100)와 더불어 무릎관절의 구부림을 도와주거나 그 구부림을 제한하게 구성된 것으로, 압박대(100)의 측면에 수직상으로 구성 된 것으로,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 측면 지지부재(200)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201)나 힌지 연결되어 절곡 가능한 링크부재(203)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 측면 지지부재(200)를 탄성부재(201)로 구성시에는 바람직하게는 탄력을 가지는 "바" 형태의 탄력바(201a) 또는 스프링(201b)로 구성하여 그 탄력에 의해 무릎관절의 구부리고 펴짐을 도와줄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측면 지지부재(200)를 링크부재(203)으로 구성시에는 회전시 걸림되는 걸림돌기(203a)의 구성을 통해 절곡 각도가 제한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측면 지지부재(200)는 압박대(100)의 측면에 수직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압박대(100)를 착용시 대퇴부와 하퇴부를 연결하게 측면을 지지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압박대(100)는 제 1 실시예 에서와 같이 일체형 압박대(110)로 구성하거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리형 압박대(120)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체형 압박대(110)는 무릎부의 대퇴부와 하퇴부에 이르게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감싸질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압박대(100)를 일체형 압박대(110)로 구성시에는 대퇴부와 하퇴부에 이르게 일체 구성되는 특성상 지나친 압박이 가해질 수 있게 되는 것인바, 그 재질을 구성함에 있어 신축성을 가지는 섬유재나 고무나 실리콘 등의 수지재나 스펀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일체형 압박대(110)의 경우 슬개골 안착공(160)이 대퇴부와 하퇴부 사이와 양측 측면 지지부재(200)의 사이 중앙에서 관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압박대(110)은 그 일체형 압박대(110)의 상부에는 반려견의 가슴 부분을 감싸 착용이 가능하게 하는 하네스(17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하네스(170)는 일체형 압박대(110)를 착용 후, 반려견의 활동 과정에서 일체형 압박대(110)가 흘러내리는 등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체형 압박대(110)의 경우 측면 지지부재(200)는 그 내측면에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반려견의 환부에 따라 내측면 일측 또는 양측면 모두에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체형 압박대(110)로 구성시 측면 지지부재(200)는 일체형 압박대(110)의 양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체형 압박대(110)의 양측에는 측면 지지부재(200)의 삽탈이 가능하도록 지지부재 포켓(210)(21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측면 지지부재(200)는 지지부재 포켓(210)(210')에 삽입 장착 및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1)의 일체형 압박대(110)의 다른 실시예로, 도 3을 참조하여 일체형 압박대(110)의 내측에는 그 일체형 압박대(110)를 착용시 대퇴부와 하퇴부 전방을 가압 지지하여 주는 스트랩(300)(30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스트랩(300)(300')은 양측의 측면 지지부재(200)의 그 상부 및 하부가 연결되게 구성하되, 탈부착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스트랩(300)(300')은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섬유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와 같은 스트랩(300)(300')의 탈부착 구성은 스트랩(300)(300')의 양단과 양측 지지부재 포켓(210)(210')의 상단 및 하단에 밸크로테이프(310)을 형성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압박대(100)를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리형 압박대(120)로 구성시에는 상부의 대퇴부 압박대(121)와 하부의 하퇴부 압박대(122)로 분리 구성되어 무릎부의 대퇴부와 하퇴부를 각각 압박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압박대(100)를 분리형 압박대(120)로 구성시에는 각각 견고한 형상의 유지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인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된 플라스틱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대퇴부 압박대(121)와 하퇴부 압박대(122)의 내주면에는 착용시 피부와 접촉시 거부감을 줄여주기 위해 부직포나 스펀지 등의 쿠션을 가지는 내피(123)로 마감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피(123)의 내주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재로 된 적어도 한 열 이상의 미끄럼 방지패드(124)가 구성된 것으로, 그 미끄럼 방지패드(124)에 의해 분리형 압박대(120)를 착용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분리형 압박대(120)는 그 평 단면상 그 대퇴부 압박대(121)는 대퇴부의 전방 지지를 위해 전방이 막힌 아치 형태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으며, 하퇴부 압박대(122)는 경우에 따라 전방이 막히거나 후방이 막힌 아치 형태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아치 형태의 구성을 통해 통기성이 한층 향상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퇴부 압박대(121)와 하퇴부 압박대(122)는 그 측면이 측면 지지부재(200)로 연결되어 탄성 절곡력을 가지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리형 압박대(120)의 경우 슬개골 안착공(160)은 대퇴부 압박대(121)와 하퇴부 압박대(122)의 전방부에 관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분리형 압박대(120)를 구성함에 있어, 착용밴드(150)에는 피부가 접촉되는 위치에 피부에 접촉시 착용 거부감이나 피부의 보호 및 착용시 흘러내림을 방지하게 위해 실리콘이나 고무재로 된 신축성 패드(151)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분리형 압박대(120)의 경우 측면 지지부재(200)는 상기 대퇴부 압박대(121)와 하퇴부 압박대(122)를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반려견의 환부 등에 따라 그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1)는 환자견의 무릎부에 착용하여 그 무릎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여, 슬개골 탈구 및 아탈구나, 십자인대, 관절염 등의 예방이나 수술 후, 효율적인 재활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1)는 압박대(100)를 이용하여 반려견 무릎부의 대퇴부(10)와 하퇴부(20)을 전방으로부터 측면을 감싼 상태에서 착용밴드(150)를 이용하여 무릎부를 결착 고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박대(100)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전방에 형성되는 슬개골 안착공(160)에는 슬개골(30)의 선단이 자리잡게 된다.
이에, 압박대(100)의 압박으로 근육의 힘을 지지하여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면서, 슬개골 안착공(160)에 의해 슬개골(30)을 안정적으로 잡아 고정하게 되는 등 슬개골(30)의 안정된 지지를 통해 그 탈구 및 아탈구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양측의 측면 지지부재(200)를 통해 대퇴부(10)와 하퇴부(20)의 양측을 지지시켜주게 됨으로 관절부의 구부러짐을 제한하여 다리에 무리가 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움직임의 제한은 재활 효과가 한층 증대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1)를 구성함에 있어 도 1 및 도 2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압박대(100)를 일체형 압박대(110)로 구성시에는 그 일체형 압박대(110)가 반려견의 대퇴부(10)와 하퇴부(20)를 전체적으로 감싸 보호하는 특성상 중증의 환자견의 경우 대량 부위의 보호를 위해 사용시 적합할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일체형 압박대(110)는 하네스(170)를 통해 착용시 가슴부위를 연결 착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보다 견고한 착용으로 애관견이 활동하는 과정에서 일체형 압박대(110)가 흘러내리는 등의 유동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무릎 부위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체형 압박대(110)의 경우 측면 지지부재(200)를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 포켓(210)(210')에 삽탈 구성시에는 일예로 중증의 슬개골(30)의 탈구나 무릎 관절염 환자견의 경우 측면 지지부재(200)를 장착하여 무릎부의 견고한 지지 및 구부러짐의 제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경증의 환자견과 같이 굳이 움직임의 제한을 줄 필요가 없을 시에는 그 측면 지지부재(200)를 탈거한 상태에서 압박대(100) 만의 압박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체형 압박대(110)의 경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스트랩(300)(300')의 구성은 일예로 십자인대가 파열된 환자견의 경우 일체형 압박대(110)를 착용시 스트랩(300)(300')이 대퇴부(10)와 하퇴부(20) 전방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시켜주게 되는 것인바, 뼈가 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재활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1)를 구성함에 있어 도 4 내지 도 7의 제2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 10의 도시와 같이 압박대(100)를 분리형 압박대(120)로 구성시에는 대퇴부(10)와 하퇴부(20)를 각각 감싸 보호하게 되는 특성상 비교적 활동성이 요구되는 경증의 환자견의 경우나 관절의 치료 등으로 통풍이 요구되는 경우 아치 형태의 특성상 우수한 통기성이 확보되어 그 사용이 적합할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분리형 압박대(120)를 착용하는 경우 슬개골 안착공(160)에 슬개골(30)을 고정시 쿠션을 가지는 내피(123)를 통해 슬개골(30)의 부드럽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등 슬개골(30)의 안정된 지지를 통해 그 탈구 및 아탈구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분리형 압박대(120)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분리형 압박대(120)의 특성상 그 미끄러져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인데, 본 고안에서는 내피(123)에 미끄럼 방지패드(124)가 구성된 것인바,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분리형 압박대(120)는 아치 형태를 이루어 착용시 착용밴드(150)의 피부 접촉이 증대되게 되는 것인데, 이때 착용밴드(150)에는 피부가 접촉되는 위치에 신축성 패드(151)가 구성된 것인바, 착용 과정에서 착용 거부감 감소 및 피부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는 슬개골 등 무릎부에 이상이 있는 환자견의 경우 그 무릎부를 효과적으로 보호 및 구부림 등 움직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각각의 부위 증상에 따른 효율적인 보호가 가능하며, 환자견의 경중에 따라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무릎부 부상 예방 및 재활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100 : 압박대 110 : 일체형 압박대
120 : 분리형 압박대 121 : 대퇴부 압박대
122 : 하퇴부 압박대 123 : 내피
124 : 미끄럼 방지패드
150 : 착용밴드 151 : 신축성 패드
160 : 슬개골 안착공 170 : 하네스
200 : 측면 지지부재 201 : 탄력봉
202 : 스프링 203 : 링크부재
210,210' : 지지부재 포켓 300,300' : 스트랩

Claims (7)

  1. 착용밴드(150)가 형성되어 무릎부의 대퇴부와 하퇴부를 감싸 근육의 힘을 지지하며, 전방에는 슬개골 안착공(160)이 관통 형성되어 착용시 슬개골의 자리를 잡아주는 압박대(100); 및
    압박대(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압박대(100)를 착용시 대퇴부와 하퇴부를 연결 지지하여, 탄성력에 의해 무릎관절의 구부림을 도와주거나 움직임을 제한하는 측면 지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압박대(100)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재, 수지재, 스펀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반려견 무릎부의 대퇴부와 하퇴부에 이르게 일체 형성된 일체형 압박대(110)로 구성하되,
    슬개공 안착공(160)이 전방에 관통 형성되게 구성하며,
    상부에는 반려견의 가슴 부위를 감싸 착용하는 하네스(17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측면 지지부재(200)는,
    압박대(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되,
    압박대(100)의 양측에 측면 지지부재(200)의 삽탈이 가능하도록 지지부재 포켓(210)(210')을 더 형성하여, 그 지지부재 포켓(210)(210')에 삽탈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양측 지지부재 포켓(210)(2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밸크로테이프를 통해 탈부착 가능한 스트랩(300)(30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압박대(100)는,
    플라스틱재로 구성하며, 반려견 무릎부의 대퇴부 및 하퇴부에 해당하게 대퇴부 압박대(121)와 하퇴부 압박대(122)로 분리 형성된 분리형 압박대(120)로 구성하되,
    대퇴부 압박대(121)와 하퇴부 압박대(122)의 내주면은 쿠션형 내피(123)로 마감 및 그 내피(123)의 내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패드(124)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대퇴부 압박대(121)와 하퇴부 압박대(122)는 측면이 측면 지지부재(200)로 연결되게 구성하고,
    슬개골 안착공(160)이 대퇴부 압박대(121)와 하퇴부 압박대(122)의 전방에 관통 형성되며,
    착용밴드(150)에는 피부에 접촉시 피부의 보호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신축성 패드(151)가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측면 지지부재(2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구성하되,
    구부러짐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재(201)로 구성하여, 무릎관절의 구부림시 힘의 조절이 가능하게 보조하거나,
    링크부재(203)로 구성하여, 무릎관절의 구부러짐이 제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측면 지지부재(200)는,
    압박대(100)의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KR2020190000275U 2019-01-18 2019-01-18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KR202000016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75U KR20200001671U (ko) 2019-01-18 2019-01-18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75U KR20200001671U (ko) 2019-01-18 2019-01-18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71U true KR20200001671U (ko) 2020-07-28

Family

ID=7183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275U KR20200001671U (ko) 2019-01-18 2019-01-18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671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945B1 (ko) * 2020-09-07 2021-04-06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기능성 보조기
KR102290786B1 (ko) * 2020-12-01 2021-08-20 정연욱 반려동물의 기능성 재활 보조장치
KR20220036551A (ko) 2020-09-16 2022-03-23 권도혁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KR20220105902A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페이지원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KR20230050579A (ko) 2021-10-08 2023-04-17 권도혁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EP4193961A4 (en) * 2020-08-06 2024-02-14 Wholesumbrands Co Ltd KNEE PROTECTION SPL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96Y1 (ko)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애완견용 다리 보호구
KR200484566Y1 (ko) 2017-02-03 2017-09-26 우진경 애완견용 무릎보호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96Y1 (ko) 2003-07-04 2003-09-29 이필호 애완견용 다리 보호구
KR200484566Y1 (ko) 2017-02-03 2017-09-26 우진경 애완견용 무릎보호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3961A4 (en) * 2020-08-06 2024-02-14 Wholesumbrands Co Ltd KNEE PROTECTION SPLIN
KR102223945B1 (ko) * 2020-09-07 2021-04-06 정연욱 반려동물 무릎 기능성 보조기
KR20220036551A (ko) 2020-09-16 2022-03-23 권도혁 반려동물용 관절케어기기
KR102290786B1 (ko) * 2020-12-01 2021-08-20 정연욱 반려동물의 기능성 재활 보조장치
KR20220105902A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페이지원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KR20230050579A (ko) 2021-10-08 2023-04-17 권도혁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671U (ko)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US8141169B2 (en) Leg protection device
EP2110104B1 (en) Night splint with digital dorsiflexion
US8403872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US8021316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US10842659B2 (en) Knee brace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8540655B2 (en) Weight-bearing lower extremity brace
JP5837040B2 (ja) 乳幼児股関節位置調整装置および関連方法
US9044324B2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US10610400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KR20190051232A (ko)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US20060124162A1 (en) Orthopedic device
KR200436422Y1 (ko) 의료용 조립식 바지
US11547590B2 (en) Orthopedic device having a suspension element
US20220249268A1 (en) Knee orthosis
CN211067240U (zh) 一种足下垂矫正裤
KR200249325Y1 (ko) 척추 보조기
KR101701960B1 (ko) 골반 벨트
CN219271245U (zh) 简易支撑的膝下假肢
KR102354144B1 (ko) 허리 보호대
KR102576594B1 (ko)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101452780B1 (ko) 자세교정과 근력강화를 위한 스마트 근 기능성 옷
US20120238927A1 (en) Patella support
KR20220018389A (ko) 슬개골 보조기
KR20220112011A (ko) 상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87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125

Effective date: 2020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