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960B1 - 골반 벨트 - Google Patents

골반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960B1
KR101701960B1 KR1020150096017A KR20150096017A KR101701960B1 KR 101701960 B1 KR101701960 B1 KR 101701960B1 KR 1020150096017 A KR1020150096017 A KR 1020150096017A KR 20150096017 A KR20150096017 A KR 20150096017A KR 101701960 B1 KR101701960 B1 KR 101701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lvis
wearer
receiving por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954A (ko
Inventor
박규남
김시현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골반 벨트가 개시된다. 상기 골반 벨트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골반을 감싸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골반 벨트가 체결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내주면에 지지대를 수용하는 지지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 수용부는 상기 지지대를 삽일할 수 있는 입구와 상기 지지대가 수용되는 지지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의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지지대 수용부의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반 벨트{PELVIS VELT}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골반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반 벨트의 몸체에 지지대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골반을 좌우 방향에서 압박함으로써, 골반을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골반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반은 선골, 미추골 및 2 개의 장골로 구성되어 있다. 골반 앞부분의 관절은 인간이 호흡을 할 때 위아래로 운동하면서 골반의 내경을 넓히거나 좁히는 운동을 하며, 골반 뒷부분은 인간이 서거나 걸을 때 사용되는 척추로 연결되어 중력에 저항하게 되며 스트레스 등의 요인에 의하여 중력에 저항하는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하게 되면서 골반이 틀어지게 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특히, 출산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골반이 벌어지고 튀틀릴 경우 생리통, 요통, 어깨결림, 혈액순환 방해 등을 유발하게 된다.
골반 교정이라 함은 위와 같이 뒤틀리고 벌어진 골반을 수축시켜 제자리로 돌아오게 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앉거나 누워서 교정을 받거나 에어백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어으며, 최근에는 벨트 형태의 교정기를 착용함으로써 골반을 제자리로 돌리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7729호는 골반 교정 속옷을 개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골반 교정 속옷은 속옷 몸체(10), 속옷 몸체(10)에 마련되어 속옷을 착용하면 천장관절을 압박하는 압박 네트(20)를 포함한다.
속옷 몸체(10)는 허리 개구부(11), 2 개의 다리 개구부(12, 13), 힙을 감싸는 후면 지지부(미도시) 및 앞쪽을 감싸는 전면 지지부(15)를 구비하는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압박 네트(20)는 속옷 몸체(10)의 후면 지지부(15)에 힙을 가로 지르도록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골반의 천장관절을 강하게 압박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도 1을 통하여 설명된 종래의 골반 교정 속옷은 골반을 앞뒤 방향으로 강하게 압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골반의 좌우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이 감소될 수밖에 없다. 또한, 골반의 좌우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골반의 앞뒤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박 또한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골반의 앞부분은 인간의 호흡 운동으로 인하여 아래위로 운동을 하기 때문에 골반의 앞뒤 방향으로의 과도한 압박은 정상적인 골반의 운동을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골반의 앞뒤 방향으로의 압박을 줄이면서 골반의 좌우 방향으로의 압박을 가할 수 있는 골반 벨트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772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26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골반의 앞뒤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키고 골반의 좌우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골반을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골반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반 벨트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골반을 감싸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골반 벨트가 체결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내주면에 지지대를 수용하는 지지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 수용부는 상기 지지대를 삽입할 수 있는 입구와 상기 지지대가 수용되는 지지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의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지지대 수용부의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 수용부는 제1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1 지지대 수용부, 제2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2 지지대 수용부, 제3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3 지지대 수용부, 및 제4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4 지지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반 벨트가 상기 착용자의 골반에 착용될 때,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오른쪽 장골의 상부를 측면에서 압박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오른쪽 장골의 하부를 측면에서 압박하고,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왼쪽 장골의 상부를 측면에서 압박하고, 상기 제4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왼쪽 장골의 하부를 측면에서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요면이 형성된 타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 수용부 내에서 유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반 벨트는 내부에 지지대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골반의 좌우에서 조여지는 힘이 착용자의 배 앞이나 등 뒤로 분산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골반을 안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반 벨트에 의할 경우, 천장관절 뿐만 아니라 대전자도 고정하여 착용자가 도보시에 고관절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천장관절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골반 교정 속옷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골반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반 벨트의 내주면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지지대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 지지대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골반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골반 벨트(40)는 착용자의 골반을 둘러쌓을 수 있는 몸체(100), 몸체(100)의 일단에 구비된 제1 체결 수단(300), 및 몸체(100)의 타단에 구비된 제2 체결 수단(500)을 구비한다.
몸체(40)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골반을 감싸는 동시에 강한 압박을 주어 상기 착용자의 골반을 교정할 수 있다.
몸체(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수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수용부에 관하여는 도 3과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체결 수단(300)과 제2 체결 수단(500)은 벨크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체결 수단(300)과 제2 체결 수단(500)에 구현된 벨크로는 소정의 폭 및/또는 길이로 구현되어 있어, 상기 착용자의 골반 둘레의 길이에 따라 체결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압박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체결 수단(300)과 제2 체결 수단(500)은 단추와 단추 구멍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추 구멍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체결 수단(300)과 제2 체결 수단(500)은 일반적인 허리 벨트의 버클 구조 또는 암수로 나뉘어진 클립 형태의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반 벨트의 내주면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골반 벨트(40)의 내주면에는 총 4 개의 지지대 수용부(110, 120, 130 및 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대 수용부(110)는 착용자가 골반 벨트(40)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오른쪽 장골을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지대 수용부(110)는 제1 지지대(미도시)를 삽일할 수 있는 입구(111)와 상기 제1 지지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13)을 포함한다. 입구(110)는 제1 지지대 수용부(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용 공간(113)에 수용된 상기 제1 지지대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구(110)의 크기는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보다 작게 구현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삽입은 용이하나, 상기 제1 지지대가 착용 중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입구(111)는 골반 벨트(40)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닐 수도 있다. 즉, 수용 공간(113)에 상기 제1 지지대가 삽입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지지대 수용부(110)의 수용 공간(113)은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보다 길게 구현되어 있다. 이는 착용자 별로 골반 구조 및 크기가 상이함을 반영한 구성으로, 상기 착용자는 수용 공간(113) 내에서 상기 제1 지지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골반 벨트(40)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제1 지지대가 상기 착용자의 우측 장골의 상부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지지대 수용부(120)는 상기 착용자가 골반 벨트(40)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오른쪽 장골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지지대 수용부(130)는 상기 착용자가 골반 벨트(40)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왼쪽 장골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지지대 수용부(140)는 상기 착용자가 골반 벨트(40)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왼쪽 장골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지지대 수용부(120), 제3 지지대 수용부(130) 및 제4 지지대 수용부(140)의 구조 및 기능은 제1 지지대 수용부(110)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반 벨트(40)는 삽입되는 제1 내지 제4 지지대로 인하여, 착용자의 골반을 골반의 좌우 방향에서 강하게 압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오른쪽 장골의 상부를 측면에서 압박하고, 제2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오른쪽 장골의 하부를 측면에서 압박하고, 제3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왼쪽 장골의 상부를 측면에서 압박하고, 제4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왼쪽 장골의 하부를 측면에서 압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압박하는 힘이 착용자의 배 앞과 등 뒤로 분산되지 않고 좌우로 집중되도록 하여 더욱 강하게 골반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골반 벨트(40)는 천장관절 뿐만 아니라 대전자도 고정하여 상기 착용자가 도보시에 과도한 고관절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천장관절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지지대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 지지대를 도시한다. 도 4의 (a)는 상기 제1 지지대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상기 제1 지지대를 AA' 방향으로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c)는 상기 제1 지지대를 BB' 방향으로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대(150)는 원, 다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제1 지지대(150)가 다각형으로 구현될 경우, 각 모서리는 둥굴게 가공되어 착용자의 피부를 부분적으로 강하게 압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50)는 일면에 요면이 형성되 있을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150)의 내주면, 즉 착용자가 골반 벨트(40)를 착용할 때 상기 착용자의 골반을 향하는 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1 지지대(150)의 외주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150)의 오목한 정도, 예컨대 제1 지지대(150)의 곡률(curvature)은 각 지점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골반 구조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골반 구조를 반영하여 맞춤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지지대(150)는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금속류, 합성 수지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지지대 내지 제4 지지대의 구조 및 기능은 제1 지지대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40 : 골반 벨트
100 : 몸체
110 : 제1 지지대 수용부
111 : 입구
113 : 수용 공간
120 : 제2 지지대 수용부
130 : 제3 지지대 수용부
140 : 제4 지지대 수용부
150 : 제1 지지대
300 : 제1 체결 수단
500 : 제2 체결 수단

Claims (6)

  1. 골반 벨트에 있어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골반을 감싸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골반 벨트가 체결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내주면에 지지대를 수용하는 지지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 수용부는 상기 지지대를 삽입할 수 있는 입구와 상기 지지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의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지지대 수용부는 제1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1 지지대 수용부, 제2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2 지지대 수용부, 제3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3 지지대 수용부, 및 제4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4 지지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골반 벨트가 상기 착용자의 골반에 착용될 때,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오른쪽 장골의 상부를 측면에서 압박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오른쪽 장골의 하부를 측면에서 압박하고,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왼쪽 장골의 상부를 측면에서 압박하고,
    상기 제4 지지대는 상기 착용자의 골반의 왼쪽 장골의 하부를 측면에서 압박하는,
    골반 벨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요면이 형성된 타원 형상인, 골반 벨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 수용부 내에서 유동 가능한, 골반 벨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플라스틱 재질인, 골반 벨트.
KR1020150096017A 2015-07-06 2015-07-06 골반 벨트 KR101701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17A KR101701960B1 (ko) 2015-07-06 2015-07-06 골반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17A KR101701960B1 (ko) 2015-07-06 2015-07-06 골반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954A KR20170005954A (ko) 2017-01-17
KR101701960B1 true KR101701960B1 (ko) 2017-02-03

Family

ID=5799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017A KR101701960B1 (ko) 2015-07-06 2015-07-06 골반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511B1 (ko) * 2021-03-09 2024-01-31 케이바이오(주) 자세교정용 의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636A (ja) 2002-10-04 2004-04-22 Masaaki Miyazaki 腰痛バンド及び腰痛軽減保護方法
JP3108648U (ja) * 2004-11-09 2005-04-28 ファイルド株式会社 腰椎ベルト
JP3787778B2 (ja) * 2003-01-29 2006-06-21 株式会社松崎マトリクステクノ 腰部保護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028Y2 (ja) * 1990-02-21 1995-11-29 株式会社フジキカイ 簡易再封機能付き包装袋
KR20120001366U (ko) * 2010-08-19 2012-02-29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러지 복합 물리치료용 허리 밴드
KR20120017729A (ko) 2010-08-19 2012-02-29 양은주 골반 교정 속옷
KR200472601Y1 (ko) 2013-01-25 2014-05-09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636A (ja) 2002-10-04 2004-04-22 Masaaki Miyazaki 腰痛バンド及び腰痛軽減保護方法
JP3787778B2 (ja) * 2003-01-29 2006-06-21 株式会社松崎マトリクステクノ 腰部保護ベルト
JP3108648U (ja) * 2004-11-09 2005-04-28 ファイルド株式会社 腰椎ベル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954A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0881B2 (ja) 腰用サポータ
US8480602B1 (en)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correcting ambulation
US20120095379A1 (en) Pelvic belt
EP2181613A1 (en) Pelvis supporter
KR20200001671U (ko)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US5403271A (en) Sporting belt apparatus
KR101701960B1 (ko) 골반 벨트
KR102011203B1 (ko) 슬개골 안정화용 무릎보호대
JP3923929B2 (ja) 運動用被服
KR101711749B1 (ko) 무릎 견인기
JP6296811B2 (ja) 腰用サポータ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KR101515757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JP4666079B2 (ja) 係留部材付き膝カバー弾性保護具。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KR20130000452U (ko) 허리보호대
TWI569854B (zh) Healthy feet
KR200479766Y1 (ko)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KR200477498Y1 (ko) 다기능 거들
KR200275189Y1 (ko) 신체 교정용 벨트식 운동기구
CN218870611U (zh) 一种下肢矫正装具
CN214857905U (zh) 一种腿型步态矫正带
KR102576594B1 (ko) 하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102576593B1 (ko) 상향 가압형 고관절 탈구방지 예방의복
KR20120002087U (ko) 몸매 및 자세교정 란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