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766Y1 -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 Google Patents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766Y1
KR200479766Y1 KR2020150004613U KR20150004613U KR200479766Y1 KR 200479766 Y1 KR200479766 Y1 KR 200479766Y1 KR 2020150004613 U KR2020150004613 U KR 2020150004613U KR 20150004613 U KR20150004613 U KR 20150004613U KR 200479766 Y1 KR200479766 Y1 KR 200479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ortion
stretchable
stretch
belt
stretchab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희
Original Assignee
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희 filed Critical 정정희
Priority to KR2020150004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Abstract

본 고안은 고관절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고관절 교정을 유도하며,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이 불편하지 않는 새로운 구성의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좌우로 긴 벨트형상을 갖는 벨트본체(40)와, 상기 벨트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벨트본체(4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본체(40)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비신축밴드부(10); 신축성 망상원단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비신축밴드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신축망상부(20); 및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신축망상부(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신축밴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비신축밴드부(10)와 신축망상부(20)의 좌우 단부 사이 및 상기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 사이에는 트임부(42)가 형성되어, 상기 비신축밴드부(10)와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는 상호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pressing belt for coxa}
본 고안은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관절및 대퇴부를 압박하여 고관절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고관절 교정을 유도하며,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이 불편하지 않는 새로운 구성의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에 관한 것이다.
고관절은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관절로서, 걷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관절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고관절의 위치 및 각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한편, 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운동부족, 하이힐, 임신과 출산 등으로 골반이 삐뚤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대부분 골반 양측에 붙어 있는 고관절의 각도가 변형되고, 이에 따라 다리의 길이가 차이가 나게 된다. 이렇게 다리의 길이가 차이 나게 되면 제일 먼저 피로감을 많이 느끼고 요통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골반 내부에 위치한 장기(臟器)들에도 악영향을 주게 되어 각종 질병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고관절 부위를 압박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고관절의 각도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벨트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교정벨트들은 고관절과 대퇴부를 제대로 압박하지 못하여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교정벨트를 고관절 부위에 착용한 상태에서 생활하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종래의 고관절 교정벨트들은 소비자들로 부터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5571호(2015. 05. 2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고관절 및 대퇴부를 효과적으로 압박하여 고관절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고관절 교정을 유도하며, 고관절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불편없이 할 수 있어서 실용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좌우로 긴 벨트형상을 갖는 벨트본체(40)와, 상기 벨트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벨트본체(4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본체(40)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비신축밴드부(10); 신축성 망상원단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비신축밴드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신축망상부(20); 및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신축망상부(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신축밴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비신축밴드부(10)와 신축망상부(20)의 좌우 단부 사이 및 상기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 사이에는 트임부(42)가 형성되어, 상기 비신축밴드부(10)와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는 상호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14)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신축밴드부(10)의 일부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신축편(12)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신축망상부(20)는 하측의 제1망상부(22)와, 상기 제1망상부(22)에 비해 신축성이 작은 망상원단으로 이루어져서 제1망상부(22)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2망상부(24)로 분할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비신축밴드부(10)와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착용을 하면 상기 비신축밴드부(10)에 의해 대퇴부가 압박되고, 신축망상부(20)에 의해 골반이 압박된다. 따라서 고관절과 더불어 대퇴부가 한번 더 압박됨으로써, 걸음걸이가 교정되고, 고관절과 골반이 바로 잡히므로 요통환자나 디스크환자들 또는 척추에 이상이 있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
특히, 상기 신축망상부(20)에 의해 골반이 압박되면서도,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망상부(20)가 신축되기 때문에, 본 고안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이 편안하게 이루어지므로 착용감이 좋으며, 따라서 본 고안을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비신축밴드부(10), 신축망상부(20),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 사이에 트임부(42)가 형성되어 이들의 좌우 단부가 분리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각 부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관절의 압박 및 교정효과가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면이 상향으로 갈수록 외향되는 경사면(14)으로 이루어지고, 비신축밴드부(10)에 구비되는 체결수단(50)이 비신축밴드부(10)의 경사면(14)에 결합되면, 비신축밴드부(10)의 연결된 단부가 착용자의 복부 아래쪽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하게 되어 비신축밴드부(10)에 의해 착용자의 대퇴부 앞쪽은 가압되지 않으므로 착용자가 걸음을 걷는데 방해가 되지도 않고 편안하게 걸음을 걸을 수 있어서 착용자가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한층 더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 신축망상부(20)가 상하로 구획되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제2망상부(24)가 하측에 위치되는 제1망상부(22)에 비해 신축성이 작은 망사원단으로 이루어지면 착용자가 움직일 때 상대적으로 많은 움직임이 발생되는 엉덩이 하측부위는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1망상부(22)에 의해 커버되고, 제1망상부(22)에 의해 커버되는 부위의 윗부분은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작은 제2망상부(24)에 의해 커버되어 압박된다. 따라서 신축망상부(20)가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골반부가 상대적으로 더 큰 힘으로 압박되어 고관절의 압박 및 교정효과가 상승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과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3과 4는 그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비신축밴드부(10)와, 비신축밴드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신축망상부(20)와, 신축망상부(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신축밴드부(30)로 이루어진 벨트본체(40)와, 벨트본체(4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체결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신축밴드부(10)는 신축성이 없는 원단으로 이루어져서, 좌우로 긴 밴드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비신축밴드부(10)는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이 없는 면직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신축망상부(20)는 비신축밴드부(10)의 상측에서 비신축밴드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다. 이 신축망상부(20)는 신축성을 갖는 망상원단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판덱스로 된 망사지로 이루어져서 비신축밴드부(10)의 상측에 박음질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신축망상부(20)는 비신축밴드부(10) 보다 상하 폭이 다소 넓게 형성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비신축밴드부(10)를 착용자의 엉덩이 바로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였을 때 신축망상부(20)가 착용자의 엉덩이 하반부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넓이를 가지도록 신축망상부(20)의 상하 폭이 조절된다.
또, 상기 신축밴드부(30)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신축망상부(20)의 상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신축밴드부(30)에 의해 본 고안이 착용자의 몸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고정되는데, 신축밴드부(30)는 고탄력을 가져서 착용부위에 높은 압박감을 주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무밴드 등을 이용하여 다소 두툼한 두께로 형성되어 신축망상부(20) 상측에 박음질되어 연결된다.
한편, 이와 같이 비신축밴드부(10), 신축망상부(20), 신축밴드부(30)로 이루어지는 벨트본체(40)의 좌우 단부에는 비신축밴드부(10)와 신축망상부(20) 사이 및 상기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 사이에 트임부(42)가 형성된다.
이 트임부(42)는 비신축밴드부(10), 신축망상부(20), 신축밴드부(30)를 박음질하여 연결시킬 때 비신축밴드부(10), 신축망상부(20),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를 박음질하지 않아서 형성된 것인데, 이러한 트임부(42)에 의해 비신축밴드부(10), 신축망상부(20),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는 연결되지 않고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벨트본체(40)를 몸에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옆구리에서 배부위에는 비신축밴드부(10), 신축망상부(20), 신축밴드부(30)의 단부가 분리되도록 상기 트임부(42)의 길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이러한 벨트본체(40)의 좌우 단부에 상기 체결수단(50)이 구비된다. 이 체결수단(50)은 벨트본체(40)의 양단부를 연결시켜서 벨트본체(40)를 착용자의 몸에 감아서 착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수단(50)은 벨크로테이프나, 후크, 스냅단추 등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비신축밴드부(10), 신축망상부(20), 신축밴드부(3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체결수단(50)이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에는 체결수단(50)으로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비신축밴드부(10)에는 체결수단(50)으로 후크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신축밴드부(10)에 구비되는 체결수단(50) 즉, 후크는 비신축밴드부(10)의 경사면(1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고관절부위를 감싸도록 착용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신축밴드부(10)가 착용자의 엉덩이 바로 하측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장딴지, 즉 대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신축밴드부(30)는 착용자의 엉덩이 하반부를 커버하게 된다.
본 고안을 이와 같이 위치시키고, 상기 체결수단(50)을 상호 부착시키면, 본 고안이 사용자의 몸에 고정되는데, 신축밴드부(30)에 의해 본 고안이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벨트본체(40)의 좌우 단부에 트임부(42)가 형성되어, 비신축밴드부(10), 신축망상부(20),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신축밴드부(10), 신축망상부(20), 신축밴드부(30)의 단부가 겹쳐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각 부분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착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착용하면, 상기 비신축밴드부(10)에 의해 대퇴골부위가 압박되고, 신축망상부(20)에 의해 골반부위가 압박되어 고관절의 통증이 완화되고 고관절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착용자가 걸음을 걸 때 가장 많은 움직임이 발생되는 엉덩이 하반부가 상기 신축망상부(20)에 의해 커버되는데, 이 신축망상부(2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해 착용자의 움직임이 방해되지 않고 본 고안을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하기가 불편하지 않다.
또한,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면이 경사면(14)으로 이루어져서,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을 연결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신축밴드부(10)의 연결된 단부가 착용자의 복부 아래쪽에서 상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하게 되어 비신축밴드부(10)에 의해 착용자의 허벅부 전면부가 압박되지 않으므로 비신축밴드부(10)에 의해 착용자가 걸음을 걷는데 방해가 되지 않아 편안하게 걸음을 걸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 사이에만 트임부(42)가 형성되고, 신축망상부(20)와 비신밴드부(10) 사이에는 트임부(42)가 형성되지 않으며, 신축망상부(20)의 양단부의 하단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신축망상부(20)의 하단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본 고안을 착용하면 상기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부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복부쪽에서 다른 부위에 비해 상측으로 위치되어 착용자가 걸음을 걸을 때 비신축밴드부(10)에 의해 걸음이 방해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신축밴드부(10)에는 신축성 소재로 된 신축편(12)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신축편(12)은 고무밴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비신축밴드부(10)에 신축편(12)이 구비되면, 비신축밴드부(10)에 부분적으로 신축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비신축밴드부(10)에 의해 대퇴부가 압박되면서도, 아울러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일 때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신축편(12)이 신축되기 때문에 착용자가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망상부(20)가 하측의 제1망상부(22)와, 상측의 제2망상부(24)로 구획형성되는데, 상기 제2망상부(24)는 하측의 제1망상부(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신축성을 가지는 망사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망상부(24)는 제1망상부(22)에 비해 착용자의 몸을 압박하는 더 높은 압박력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제2망상부(24)는 제1망상부(22)에 비해 작은 신축성을 가지면서도 신축밴드부(30)에 비해서는 큰 신축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신축망상부(20)가 제1, 2망상부(22,24)로 구획형성되면, 착용자가 움직일 때 상대적으로 많은 움직임이 발생되는 엉덩이 하측부위는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큰 제1망상부(22)에 의해 커버되고, 제1망상부(22)에 의해 커버되는 부위의 윗부분은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작은 제2망상부(24)에 의해 커버되어 압박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착용감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신축망상부(20)가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골반부가 상대적으로 더 큰 힘으로 압박되어 고관절의 압박 및 교정효과가 상승된다.
2. 마감테이프 10. 비신축밴드부
12. 신축편 14. 경사면
20. 신축망상부 22. 제1망상부
24. 제2망상부 30. 신축밴드부
40. 벨트본체 42. 트임부
50. 체결수단

Claims (4)

  1. 좌우로 긴 벨트형상을 갖는 벨트본체(40)와, 상기 벨트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벨트본체(40)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본체(40)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비신축밴드부(10);
    신축성 망상원단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비신축밴드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신축망상부(20); 및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신축망상부(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신축밴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비신축밴드부(10)와 신축망상부(20)의 좌우 단부 사이 및 상기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 사이에는 트임부(42)가 형성되어, 상기 비신축밴드부(10)와 신축망상부(20)와 신축밴드부(30)의 좌우 단부는 상호 분리되며,
    상기 체결수단(50)은 상기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부, 신축망상부(20)의 양단부, 신축밴드부(30)의 양단부에 상기 체결수단(5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14)으로 이루어져서, 비신축밴드부(10)에 구비되는 체결수단(50)은 상기 양단면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수단(50)을 이용해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을 연결시키면 비신축밴드부(10) 양단면이 서로 접하게 되면서 비신축밴드부(10)의 양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망상부(20)는 하측의 제1망상부(22)와, 상기 제1망상부(22)에 비해 신축성이 작은 망상원단으로 이루어져서 제1망상부(22)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2망상부(24)로 분할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KR2020150004613U 2015-07-08 2015-07-08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KR200479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613U KR200479766Y1 (ko) 2015-07-08 2015-07-08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613U KR200479766Y1 (ko) 2015-07-08 2015-07-08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766Y1 true KR200479766Y1 (ko) 2016-03-07

Family

ID=5553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613U KR200479766Y1 (ko) 2015-07-08 2015-07-08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259A (ko) * 2017-08-01 2019-02-11 최주현 근골격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밴드 및 이를 갖는 근골격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10A (ja) * 2000-08-28 2002-03-05 Hiroaki Tsuji 腰痛サポーター
JP2003153930A (ja) 2001-11-21 2003-05-27 Tomoyoshi Morita ゴムチューブとパッドを利用した腰・骨盤バンド
KR200395848Y1 (ko) 2005-06-15 2005-09-14 엄창식 복식호흡 강화 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710A (ja) * 2000-08-28 2002-03-05 Hiroaki Tsuji 腰痛サポーター
JP2003153930A (ja) 2001-11-21 2003-05-27 Tomoyoshi Morita ゴムチューブとパッドを利用した腰・骨盤バンド
KR200395848Y1 (ko) 2005-06-15 2005-09-14 엄창식 복식호흡 강화 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259A (ko) * 2017-08-01 2019-02-11 최주현 근골격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밴드 및 이를 갖는 근골격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시스템
KR102029111B1 (ko) * 2017-08-01 2019-10-07 최주현 근골격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밴드 및 이를 갖는 근골격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0881B2 (ja) 腰用サポータ
CA2765938C (en) Orthotic lift apparatus
JP5569700B2 (ja) 膝包帯
US5807293A (en) Splint assembly for positioning of a disabled diseased, or injured hand and wrist
US20210212852A1 (en) Devise for the Support of Movement and Lifting Movement of the Human Body
JPWO2019159281A1 (ja) 踵足首サポーター
KR20090065734A (ko) 발목 고정 보조기
KR200479766Y1 (ko) 고관절 대퇴 압박벨트
JP2006305225A (ja) 歩行補助具
JP6459692B2 (ja) 膝部を覆う着用物品
KR101649335B1 (ko) 발목관절 보조기
KR100879630B1 (ko) 흉요추 보조기
US20150335456A1 (en) Adjustable leg brace systems and methods
KR20130000452U (ko) 허리보호대
TWM542494U (zh) 加壓型關節護具(一)
KR102258018B1 (ko) 무릎밴드조립체
JP2019123952A (ja) 靴下型サポーター
CN111818883B (zh) 可活动的髋部矫形器
JP5540397B2 (ja) 膝用サポータ
JP7205900B2 (ja) 股関節用サポーター
JP2009114577A (ja) 足関節用サポーター
JP5710231B2 (ja) 衝撃吸収衣類
GB2375962A (en) Orthopaedic device
JP7237347B2 (ja) 屈伸サポート具
KR101701960B1 (ko) 골반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