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579A -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 Google Patents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579A
KR20230050579A KR1020210133612A KR20210133612A KR20230050579A KR 20230050579 A KR20230050579 A KR 20230050579A KR 1020210133612 A KR1020210133612 A KR 1020210133612A KR 20210133612 A KR20210133612 A KR 20210133612A KR 20230050579 A KR20230050579 A KR 2023005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patella
hind leg
suit
dis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325B1 (ko
Inventor
권도혁
Original Assignee
권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도혁 filed Critical 권도혁
Priority to KR102021013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32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00Bandages, poultices, compresses specially adapted to veterina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에 관한 것으로, 반려견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착용부재, 상기 몸통착용부재의 후방단부에 연결되어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에 착용되는 후방착용부재 및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부분이 위치되도록 상기 후방착용부재에 지지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지지몸체에 의해 슬개골이 지지되어 슬개골 탈구가 방지되도록 하는 탈구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Dog Suit for preventing patellar luxation}
본 발명은 반려견 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견이 착용하는 것으로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탈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반려견 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개골은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작은 뼈로, 반려견의 슬개골 탈구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소형견에서 많이 나타나거나, 사고나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등의 충격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슬개골 탈구 증상이 발생되면 반려견은 움직일 때 상당한 통증을 느끼게 되고 심각한 경우에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슬개골 탈구가 방치되면 작은 자극에도 십자인대 파열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한편, 반려견이 걷거나 뛸 때 다리를 저는 모습을 보이거나 오른쪽과 왼쪽 뒷다리의 보행이 엇박자를 보이면 슬개골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으며, 또한 반려견이 한 쪽 뒷다리를 들고 다니거나 뒷다리를 뒤로 펴는 동작을 자주한다면 슬개골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슬개골 문제는 사전에 행동 교정을 해주는 것이 좋으며, 다리에 무리가 가는 동작을 최대한 제어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976127호와 같이, 애완견 슬개골 탈구 방지구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애완견의 뒷다리 부분에 장착되고 있어, 애완견이 움직임에 따라 흘러내리는 등 착용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671호(2020.07.28. 공개)와 같이, 반려견의 둔부나 몸통 부분에 연결되는 끈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가 주로 일부 개발되고 있으나, 단단한 소재의 압박대나 연결되는 끈에 의해 애완견의 피부에 쓸림 현상이 발생되고, 애완견의 착용감이 저하되어 착용거부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6127호(2019.04.30. 등록)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671호(2020.07.28.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착용성이 향상된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반려견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착용부재, 상기 몸통착용부재의 후방단부에 연결되어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에 착용되는 후방착용부재 및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부분이 위치되도록 상기 후방착용부재에 지지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지지몸체에 의해 슬개골이 지지되어 슬개골 탈구가 방지되도록 하는 탈구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통착용부재는 후방에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가 배치되도록 후방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착용부재는 전방단부가 상기 관통홀의 상측 둘레부와 연결되고 반려견의 둔부를 상측에서 감싸는 둔부커버부와, 상기 둔부커버부의 좌우 양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방단부는 상기 관통홀의 둘레부와 분리되어 사용자가 당기는 힘에 의해 당겨져 후방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반려견의 둔부 양측방과 후방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동연결부와, 상기 가동연결부 각각의 외측방향 단부에 연결되어 반려견의 뒷다리 각각을 외측에서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뒷다리커버부와,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위치에 상기 지지홀이 대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반려견의 뒷다리를 감싸도록 상기 뒷다리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뒷다리커버부는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위치에 상기 지지홀이 대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반려견의 뒷다리를 감싸도록 상호 중첩되는 상기 뒷다리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어, 해당 부분이 반려견의 뒷다리 상측부와 하측부와 각각 대응되도록 구분하는 구분절개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상기 지지홀의 둘레부에 상기 지지몸체를 감싼 상태에서 지지몸체가 장착되도록 하는 연질소재의 장착포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상기 지지홀 둘레부에 구비되어 반려견의 슬개골 둘레부에 원적외선 방사 가능한 원적외선 방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상기 몸통착용부재와 상기 후방착용부재 사이의 연결부에 반려견에 맞춰 상기 반려견 슈트의 전후방 길이를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미세조절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세조절 연결부는 상기 몸통착용부재와 상기 후방착용부재 중 어느 하나에 전후방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걸림홀과, 상기 몸통착용부재와 상기 후방착용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복수개의 걸림홀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몸통착용부재, 후방착용부재, 탈구방지부를 포함하여, 반려견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탈구방지부가 흘러내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후방착용부재가 둔부커버부, 한 쌍의 가동연결부, 한 쌍의 뒷다리커버부 및 결합고정부를 포함하여,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 외측면을 커버한 상태에서 뒷다리커버부만이 뒷다리 외측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반려견의 하복부, 생식부분 및 고관절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생식부분으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또한 고관절의 접히는 부분에서의 착용감 저하와 피부쓸림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개선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원적외선 방사부재를 더 포함하여, 슬개골 탈구 방지와 더불어 슬개골 부분에서의 통증 완화 및 혈액순환 개선 등 기능성을 더 제공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반려견의 크기에 따라 전후방 길이를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조절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반려견에 맞춰 슈트를 조절하여 착용감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를 착용중인 예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가 착용 완료된 예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가 착용 완료된 예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가 착용 완료된 예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의 평면도이다.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좌, 우, 상, 하, 전, 후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각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바라보는 방향 또는 구성요소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를 착용중인 예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가 착용 완료된 예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가 착용 완료된 예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가 착용 완료된 예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때,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가 반려견에 착용되기 이전에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는, 도 1과 도 2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를 반려견에 착용중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몸통 부분은 착용되고, 후방 부분이 착용되기 위해 1차로 둔부를 덮은 상태에서 양측 뒷다리가 커버되기 이전 후술할 가동연결부(220) 부분을 사용자가 당겨 후방으로 회동 가동시킨 상태로, 이후 2차로 한 쌍의 뒷다리커버부(230)가 뒷다리를 외측에서 커버하도록 뒷더리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벨크로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 예시이다.
도 4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가 반려견에 착용 완료된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방착용부재(200), 특히 뒷다리커버부(230)의 장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착용 완료된 이후 반려견의 신체가 전후방으로 뻗어진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착용 이전 펼쳐진 상태를 파선으로 같이 표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반려견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착용부재(100), 상기 몸통착용부재(100)의 후방단부에 연결되어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에 착용되는 후방착용부재(200) 및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부분이 위치되도록 상기 후방착용부재(200)에 지지홀(31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310)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지지몸체(320)에 의해 슬개골의 좌우 양측이 지지되어 슬개골 탈구가 방지되도록 하는 탈구방지부(300)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반려견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착용부재(100)와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에 착용되는 후방착용부재(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후방착용부재(200)에 슬개골 탈구를 방지하기 위한 탈구방지부(300)이 구비되어 반려견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탈구방지부(300)이 이탈되거나 흘러내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몸통착용부재(100)는 후방에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가 배치되도록 후방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110)을 포함하고, 후방착용부재(200)는 전방단부가 상기 관통홀(110)의 상측 둘레부와 연결되고 반려견의 둔부를 상측에서 감싸도록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둔부커버부(210)와, 상기 둔부커버부(210)의 좌우 양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반려견의 둔부 양측방과 후방을 커버하고, 전방단부는 상기 관통홀(110)의 둘레부와 분리되어 사용자가 당기는 힘에 의해 당겨져 후방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동연결부(220)와, 상기 가동연결부(220) 각각의 외측방향 단부에 연결되어 반려견의 뒷다리 각각을 외측에서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동연결부(220)가 사용자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져 회동된 상태에서 뒷다리를 외측에서 감싸서 커버하도록 구성되며,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뒷다리커버부(230)와,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위치에 상기 지지홀(310)이 대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반려견의 뒷다리를 감싸도록 상기 뒷다리커버부(23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단부인 일단부와 펼쳐진 상태에서 후방단부인 타단부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고정부(240)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상기 뒷다리커버부(230)가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위치에 지지홀(310)이 대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반려견의 뒷다리 둘레 크기 및 형상에 맞게 뒷다리를 감싸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뒷다리커버부(23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며, 이때 결합고정부(240)는 벨크로 타입으로 뒷다리커버부(23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중첩된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탈부착시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 외측면을 커버한 상태에서 뒷다리커버부(230)만이 뒷다리 외측을 감싸서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반려견의 하복부, 생식부분 및 고관절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생식부분으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또한 고관절의 접히는 부분에서의 착용감 저하와 피부쓸림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개선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종래의 슬개골에만 착용되는 탈구방지수단과 대비하여, 반려견이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하더라도 슬개골 탈구를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 슬개골 부분에서 이탈되어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방으로 조금 이동되더라도 몸통착용부재(100)와 연결된 부분에 의해 반려견이 일어서는 과정에서 다시 상방으로 당겨져 슬개골 탈구방지부(300)가 다시 슬개골에 대응되는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뒷다리커버부(230)는,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위치에 상기 지지홀(310)이 대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반려견의 뒷다리를 감싸도록 상호 중첩되는 상기 뒷다리커버부(230)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어, 해당 부분이 반려견의 뒷다리 상측부와 하측부와 각각 대응되도록 구분하는 구분절개홈(250)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뒷다리커버부(230)는 구분절개홈(250)에 의해 무릎을 기준으로 상측부와 하측부로 구분되어, 뒷다리커버부(230)가 뒷다리 상측부와 뒷다리 하측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감싼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여, 반려견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무릎의 접히는 부분, 오금 부분에서의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뒷다리커버부(230)는 반려견의 뒷다리를 감싸도록 상호 중첩되는 일단부와 타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가동연결부와 연결되는 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뒷다리커버부(230)의 중앙부분인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반려견의 뒷다리는 특히 슬개골이 위치하는 무릎부분을 기준으로 상측부와 하측부의 둘레크기가 상이하며, 특히 뒷다리는 하측으로 갈수록 둘레크기가 작아지고 상측부와 하측부의 둘레크기 차이가 큰 편이므로, 뒷다리커버부(230)가 반려견의 뒷다리를 감싸도록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뒷다리의 둘레크기가 작은 하측부를 용이하게 감싸도록 뒷다리커버부(230)가 가동연결부(220)와 연결되는 측에 비하여 외측을 향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폭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뒷다리커버부(230)는 반려견의 뒷다리를 밀착되게 감쌀 수 있게 되어 반려견이 무릎을 구부리거나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하더라도 슬개골 양측 부분에서 뒷다리커버부가 뒷다리 양측방으로 튀어나와 접히거나 주름지게 되는 현상이 감소되어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둔부커버부(210)는 후방단부 중앙에 반려견의 꼬리가 수용되도록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꼬리수용홈(21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꼬리수용홈(211)에 의해 꼬리 부분의 간섭을 방지하여 착용감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탈구방지부(300)는, 지지홀(310)의 둘레부에 지지몸체(320)을 감싼 상태에서 지지몸체(320)이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포켓(3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장착포켓(330)은 부드러운 소재의 천이나 고무와 같은 연질소재로 이루어져, 반려견의 뒷다리와 접촉되는 면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장착포켓(330)은 지지몸체(320)을 교체 장착 가능하도록 개구 가능한 끼움장착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더불어 지지몸체(320)은 각 반려견의 슬개골 형상과 크기에 따라 맞춤 성형되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몸통착용부재(100)는, 반려견의 몸통에 끼워져 착용되는 것으로, 반려견이 둔부와 뒷다리가 배치되도록 후방단부가 개방되도록 관통홀(110)이 구비되고, 또한 전방단부에는 반려견의 머리와 목이 끼워진 후 목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목끼움홀(110)이 구비되고, 전방 하부에 반려견의 앞다리가 끼워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앞다리끼움홀(130)이 좌우로 대칭되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몸통착용부재(100) 후방의 관통홀(110)은, 하측 둘레부에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복부홈(140)이 더 구비되어 반려견의 하복부과 생식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지지홀(310) 둘레부에 구비되어 반려견의 슬개골 둘레부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부재(400)을 더 포함하여, 원적외선 방사부재(400)에 의해 슬개골 둘레부로 원적외선을 방사 제공하여, 슬개골 부분의 통증완화, 혈액순환 개선 등의 기능성을 더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원적외선 방사부재(400)는, 일례로 지지홀(310) 둘레부에 열선이 구비되어 전력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슬개골 둘레부로 원적외선 방사 및 온열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다른 예로 지지홀(310) 둘레부에 구비되는 탄소발열체섬유를 포함하여 탄소발열체섬유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와 더불어 온열을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탄소발열체섬유는 봉제되거나 접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에서, 몸통착용부재(100)와 후방착용부재(200)는 반려견의 몸에 접촉됨으로써 탄성을 가진 연질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몸통착용부재(100)는 나일론 소재나 스판 소재를 포함하고, 후방착용부재(200)는 클로로프렌 소재, 네오프렌 소재, 나일론 소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는, 상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에서, 반려견에 맞춰 반려견 슈트의 전후방 길이를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조절 연결부(500)을 더 포함하여, 후방착용부재(200)가 반려견의 후방을 커버한 상태에서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반려견의 착용감은 더욱 향상시키게 부드러운 소재를 이용하며, 더불어 반려견의 크기에 따라 슈트의 전후방 길이 조절을 통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예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조절 연결부(500)는, 몸통착용부재(100)와 후방착용부재(200) 중 어느 하나에 전후방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걸림홀(510)과, 몸통착용부재(100)와 후방착용부재(200) 중 나머지 하나에 복수개의 걸림홀(510)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5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홀(110)의 상측 둘레부와 둔부커버부(210)의 전방단부 중 어느 하나에 전후방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걸림홀(510)과, 관통홀(110)의 상측 둘레부와 둔부커버부(210)의 전방단부 중 나머지 하나에 복수개의 걸림홀(510)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5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복수개의 걸림홀(510) 중 어느 하나에 걸림부재(520)이 걸리도록 하여 전후방 길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각 걸림홀(510)은 둘레부에 걸림부재(520)이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530)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몸통착용부재
110 : 관통홀
120 : 목끼움홀
130 : 앞다리끼움홀
140 : 하복부홈
200 : 후방착용부재
210 : 둔부커버부
211 : 꼬리수용홈
220 : 가동연결부
230 : 뒷다리커버부
240 : 결합고정부
250 : 구분절개홈
300 : 탈구방지부
310 : 지지홀
320 : 지지몸체
330 : 장착포켓
400 : 원적외선 방사부재
500 : 미세조절 연결부
510 : 걸림홀
520 : 걸림부재
530 : 가이드홈

Claims (7)

  1. 반려견의 몸통에 착용되는 몸통착용부재;
    상기 몸통착용부재의 후방단부에 연결되어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에 착용되는 후방착용부재; 및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부분이 위치되도록 상기 후방착용부재에 지지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지지몸체에 의해 슬개골이 지지되어 슬개골 탈구가 방지되도록 하는 탈구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착용부재는
    후방에 반려견의 둔부와 뒷다리가 배치되도록 후방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착용부재는
    전방단부가 상기 관통홀의 상측 둘레부와 연결되고 반려견의 둔부를 상측에서 감싸는 둔부커버부와,
    상기 둔부커버부의 좌우 양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방단부는 상기 관통홀의 둘레부와 분리되어 사용자가 당기는 힘에 의해 당겨져 후방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반려견의 둔부 양측방과 후방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동연결부와,
    상기 가동연결부 각각의 외측방향 단부에 연결되어 반려견의 뒷다리 각각을 외측에서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뒷다리커버부와,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위치에 상기 지지홀이 대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반려견의 뒷다리를 감싸도록 상기 뒷다리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뒷다리커버부는
    반려견의 뒷다리 슬개골 위치에 상기 지지홀이 대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반려견의 뒷다리를 감싸도록 상호 중첩되는 상기 뒷다리커버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어, 해당 부분이 반려견의 뒷다리 상측부와 하측부와 각각 대응되도록 구분하는 구분절개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구방지부는
    상기 지지홀의 둘레부에 상기 지지몸체를 감싼 상태에서 지지몸체가 장착되도록 하는 연질소재의 장착포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 둘레부에 구비되어 반려견의 슬개골 둘레부에 원적외선 방사 가능한 원적외선 방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착용부재와 상기 후방착용부재 사이의 연결부에 반려견에 맞춰 상기 반려견 슈트의 전후방 길이를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미세조절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 연결부는
    상기 몸통착용부재와 상기 후방착용부재 중 어느 하나에 전후방으로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걸림홀과,
    상기 몸통착용부재와 상기 후방착용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복수개의 걸림홀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KR1020210133612A 2021-10-08 2021-10-08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KR102654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612A KR102654325B1 (ko) 2021-10-08 2021-10-08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612A KR102654325B1 (ko) 2021-10-08 2021-10-08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579A true KR20230050579A (ko) 2023-04-17
KR102654325B1 KR102654325B1 (ko) 2024-04-02

Family

ID=8613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612A KR102654325B1 (ko) 2021-10-08 2021-10-08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325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908U (ja) * 1991-10-25 1993-05-21 株式会社思動集団 オ―バ―ズボン
JP2003250378A (ja) * 2002-02-27 2003-09-09 Kitajima Sangyo Kk 愛玩動物用衣服
KR200351286Y1 (ko) * 2004-02-18 2004-05-20 조현준 무릎보호대
US20050034686A1 (en) * 2001-11-30 2005-02-17 Spatt Joel F. Support garment for quadrapeds
US20160324614A1 (en) * 2015-05-06 2016-11-10 Su-Ling Cheng Animal Protection Device
KR101976127B1 (ko) 2018-09-10 2019-05-08 하치수 애완견 슬개골 탈구 방지구
KR20190127446A (ko) * 2018-05-04 2019-11-13 한국과학기술원 슬개골 탈구 방지 보호대
KR20200086136A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닥터펫스타 고관절 및 무릎인대보호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KR20200086588A (ko) *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펫닥 고관절 및 무릎 슬개골 보호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KR20200001671U (ko) 2019-01-18 2020-07-28 김정현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US20210121278A1 (en) * 2019-10-28 2021-04-29 Upright Ideas Incorporated Support device for quadruped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908U (ja) * 1991-10-25 1993-05-21 株式会社思動集団 オ―バ―ズボン
US20050034686A1 (en) * 2001-11-30 2005-02-17 Spatt Joel F. Support garment for quadrapeds
JP2003250378A (ja) * 2002-02-27 2003-09-09 Kitajima Sangyo Kk 愛玩動物用衣服
KR200351286Y1 (ko) * 2004-02-18 2004-05-20 조현준 무릎보호대
US20160324614A1 (en) * 2015-05-06 2016-11-10 Su-Ling Cheng Animal Protection Device
KR20190127446A (ko) * 2018-05-04 2019-11-13 한국과학기술원 슬개골 탈구 방지 보호대
KR101976127B1 (ko) 2018-09-10 2019-05-08 하치수 애완견 슬개골 탈구 방지구
KR20200086136A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닥터펫스타 고관절 및 무릎인대보호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KR20200086588A (ko) *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펫닥 고관절 및 무릎 슬개골 보호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KR20200001671U (ko) 2019-01-18 2020-07-28 김정현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US20210121278A1 (en) * 2019-10-28 2021-04-29 Upright Ideas Incorporated Support device for quadrupe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325B1 (ko)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7274B (zh) 便攜式人體支架系統
CN204813013U (zh) 臀部座椅支座装置
CN103906486B (zh) 用于改善使用者姿势的装置
US11324621B2 (en) Supportive belt assembly for lower extremity orthotic devices
JP7468532B2 (ja) 腰部アシスト装置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NZ335931A (en) Pack with frame and special strap arrangement
JP2013144858A (ja) 前屈作業補助用具
WO2020129300A1 (ja) 屈伸動作補助装置
JP6342163B2 (ja) 子守帯
KR20200001671U (ko)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KR20160125856A (ko)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JP2008002035A (ja) インナー
NZ527022A (en) Improved pack and frame for pack
US20210274952A1 (en) Five point harness accommodating wearable blanket
KR20230050579A (ko) 슬개골 탈구 방지를 위한 반려견 슈트
JP6408764B2 (ja) 子守帯
JP6232811B2 (ja) ボトム衣類
KR102392453B1 (ko)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101955475B1 (ko)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101955476B1 (ko) 완충 패드를 구비한 힙 시트 캐리어
KR20230001346A (ko) 신발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의류
JP2006063485A (ja) 腰部保護ベルトを取り付けた衣服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JP3242074U (ja) 作業支援スー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