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191B1 -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191B1
KR101543191B1 KR1020140187045A KR20140187045A KR101543191B1 KR 101543191 B1 KR101543191 B1 KR 101543191B1 KR 1020140187045 A KR1020140187045 A KR 1020140187045A KR 20140187045 A KR20140187045 A KR 20140187045A KR 101543191 B1 KR101543191 B1 KR 10154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racket
spring
installation plate
work
upp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완
Original Assignee
박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1680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431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완 filed Critical 박종완
Priority to KR102014018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191B1/ko
Priority to PCT/KR2015/012914 priority patent/WO20161049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는 농업 또는 용접 작업과 같은 좌식 작업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장시간의 좌식 작업으로 인한 다리의 피로감을 줄이고, 작업 후 기립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일어설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 되게 형성되어 신체의 무릎관절 하부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을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부(15, 25)와, 상기 힌지축(3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50)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50)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또는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안내봉과 일정 각도에서 접촉되는 작용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ASSISTANT APPARATUS FOR SITTING WORKS}
본 발명은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는 농업 또는 용접 작업과 같은 좌식 작업시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장시간의 좌식 작업으로 인한 다리의 피로감을 줄이고, 작업 후 기립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쉽게 일어설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밭일 또는 논일이나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을 하는 사람이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어렵고 다리에 쥐가 나거나 무릎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즉,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면 체중이 다리에 집중됨과 아울러 무릎에 집중됨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다리가 쉽게 저리거나 무릎이 아프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지면에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이 편안하며 장시간 작업을 하고 있어도 허리에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로도 적게 느낀다.
그러나, 지면에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행한다면 의복에 진흙이나 풀즙 등의 이물질이 묻을 수 있으며,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의복이 닳아서 떨어지는 등의 훼손이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1021720호 및 실용신안 등록 제20-0468083호와 같이 스프링 및 스펀지를 이용하여 좌식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공지된 기술은 장시간 좌식 작업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의 엉덩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방석을 구비하여 좌식 작업시 지면에 엉덩이를 깔고 앉아 작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발 뒤꿈치와 대퇴부 사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완충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오랜 시간 앉아서 작업할 때 무릎에 치우치는 하중을 분산시킬수는 있지만, 오랜 작업 후 일어설 때 순수하게 사용자의 하체의 힘으로 일어설 수밖에 없어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경우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 농업에 종사하는 연령층의 나이가 고령인 점을 고려하면 오랜 시간 좌식작업에 상기 종래 기술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동 및 일어날 때에는 무릎 관절에 큰 무리를 주어 고통이 수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을 기준으로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와,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장착대를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장착대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앉을 때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한 쿠션으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스프링의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고자 하는 탄성력을 바탕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사로를 보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한 완충작용 및 복원작용으로 무릎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경사로를 보행할 수 있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 되게 형성되어 신체의 무릎관절 하부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을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부(15, 25)와, 상기 힌지축(3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50)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50)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또는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안내봉과 일정 각도에서 접촉되는 작용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안내봉의 길이가 상이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용홈은, 상기 안내봉과 접촉되는 각도가 상이하도록 깊이가 다른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가 수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61)과,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를 신체에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끈(65)을 포함하며, 신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커버(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안내봉 사이의 작동각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작용홈은, 상기 안내봉과 접촉되는 각도가 상이하도록 깊이가 다른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부의 바깥쪽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작용홈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측면과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어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아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손쉽게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할 수 있고, 장시간의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고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완충커버의 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의복 외부에 착용하여도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완충커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서 완충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및 동작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안전벨트 보조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완충커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서 완충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및 동작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인 대퇴부 후면에 착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상호 연결되어 회동되기 위해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는 연결부(15, 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15, 25)는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볼트(40)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연결하는 힌지축(30)에는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접철되는 각도에 따라 접촉되어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50)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틀림스프링(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공지된 바와 같이 코일 부분의 양단에 안내봉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또는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는 상기 안내봉과 일정 각도에서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작용홈이 형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홈(11, 21)은 안내봉(51a)과 일정한 유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에 의한 탄성력의 작용되는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릎을 일정한 각도 이하로 굽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무릎을 일정한 각도 이하로 굽히는 경우에만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장착대와 하부장착대에 작용하기 때문에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즉, 무릎을 일정 각도 이하로 굽히는 경우에는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무릎을 일정 각도까지 펴는 경우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게 되고,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앉았다 일어나는 것을 손쉽게 반복할 수 있고, 장시간의 좌식작업을 하여도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고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링은, 그 안내봉의 길이가 상이한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상이한 스프링의 안내봉(51a, 53a)은 각각 그 작용각도를 달리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안내봉(53a)을 갖는 스프링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먼저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접철되는 각도가 작아짐에 따라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안내봉(51a)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추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안내봉의 길이가 상이한 스프링을 다수개 구성하여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작용홈의 깊이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의 안내봉(51a)을 갖는 스프링(51)으로 탄성부를 구성하고, 상기 작용홈의 깊이가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용홈(11, 21)의 깊이를 a만큼 형성하고, 다른 작용홈(12, 22)의 깊이를 b만큼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용홈의 깊이가 a로 형성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접철 각도와, 작용홈의 깊이가 b로 형성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접철 각도가 각각 상이하게 된다. 이는 상기와 같이 작용홈의 깊이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의 작동각이 상이한 다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작동각을 각각 상이하게 스프링을 구성하여,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내봉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거나, 작용홈의 깊이를 상이하게 하거나, 스프링의 작동각을 각각 독립적으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상이한 구성을 각각 조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을 연결부(15, 25)의 바깥쪽 측면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부(15, 25)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축(31)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전면이나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작용홈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측면과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 측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5, 25)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전면이나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슬림하게 본 발명의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다양한 태양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으로 제1스프링(51)과 제2스프링(53)의 양 끝단인 안내봉(51a, 53a)을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안내봉(51a, 53a)이 삽입되는 작용홈(11, 21)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작용홈(11, 21)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일정 각도 이하로 접철되는 경우에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내봉(51a, 53a)의 지름에 비해 상기 작용홈(11, 21)의 깊이를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안내봉(51a, 53a)은,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의해 가압되는데, 일정 각도 이하인 경우에만 가압되도록 하고, 가압 되는 압력에 의해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 사이에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상기 탄성부(50)가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일어날 때에는 가압된 상기 탄성부(50)가 풀리면서 탄성력에 의해 쉽게 일어날 수 있어 빈번하게 무릎을 굽혔다 폈다하는 작업의 무릎이나,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접철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힌지축(30)에 삽입된 탄성부(5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봉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거나, 작용홈의 깊이를 상이하게 하거나, 스프링의 작동각을 각각 상이하게 구성하여 탄성력이 발생하는 각도를 조절하여 완충력 증대 내지 탄성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기 체중이 다른 사용자에 따른 조건과, 사용자의 작업 종류에 따른 대퇴부의 내측과 종아리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각기 다른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외측으로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피부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커버(60)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커버(60)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신체에 착용하기 위한 결속끈(6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완충커버(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외관형상에 대응되게 결합홈(61)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끈(65)은 벨크로테이프나 버클 등으로 구성되는 결속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다.
또한, 완충커버(60)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결합되어 신체착용시에 연질로 형성된 상기 완충커버(60)의 지지 및 가압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장착대(10)의 상부와 하부장착대(20)의 하부에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지지대(18, 28)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8, 28)는, 상기 상부장착대(10)의 상부와 하부장착대(20)의 하부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착용자의 대퇴부의 내측과 종아리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인해 연질로 형성된 상기 완충커버(60)가 꺽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완충커버(60)는, 연질의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 실리콘재, 직물재를 사용하여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하고,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의복의 외부에 착용하는 경우에도 착용이 용이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의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는, 완충커버(60)로 감싸진 상부장착대(10)는 착용자의 대퇴부 내측으로 상기 완충커버(60)에 구비된 결속끈(65)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되고, 종아리의 안쪽으로 하부장착대(20)가 상기 완충커버(60)에 구비된 결속끈(65)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착용된다.
이때,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각각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된 연결부가 힌지축(30)에 의해 회동되고, 이러한 힌지축은 볼트(40)에 의해 결속된다.
상기 힌지축(3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는, 착용자의 일상생활 내지 작업시 대퇴부와 종아리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접철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좌식작업 및 기립시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손쉽게 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힌지축(30)에 복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50)는 착용자가 앉을 때에는 상기 탄성부(50)가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기 체중이 다른 사용자의 상태나, 사용자의 작업 종류에 따른 대퇴부의 내측과 종아리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각기 다른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가 접철되는 각도에 따라 가압되는 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스프링의 양끝단에 형성된 안내봉(51a, 53a)의 길이를 상이하게 함에 따라 가압되는 탄성력이 변화된다.
즉,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51)과 제2스프링(53) 형성된 안내봉(51a, 53a)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여, 실시 예로서, 착용자의 대퇴부와 종아리 내측이 이루는 각도가 100°이하일 때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작용홈(11, 21)과 제1스프링(51)이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제2스프링(53)의 안내봉(53a)은, 착용자의 대퇴부와 종아리 내측이 이루는 각도가 70°이하일 때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의 작용홈(11, 21)과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50)의 탄성력 조절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안내봉(51a, 53a)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는 방법과 함께 상기 작용홈(11, 21)의 깊이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가압되는 스프링의 개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앉을 때에는 스프링이 가압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고, 일어날 때에는 가압된 스프링이 풀리면서 쉽게 일어날 수 있어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의 무릎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게 되고,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거나 자주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하는 농업 종사자 및 용접공들에게는 손쉽게 앉았다 일어나길 반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완충커버의 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의복 외부에 착용하여도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 상부장착대 11, 12, 21, 22 : 작용홈
15, 25 : 연결부 18, 28 : 지지대
20 : 하부장착대 30, 31 : 힌지축
40 : 볼트 50 : 탄성부
51 : 제1스프링 53 : 제2스프링
51a, 53a : 안내봉 60 : 완충커버
61 : 결합홈 65 : 결속끈

Claims (11)

  1. 신체의 무릎관절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장착대(1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와 대응 되게 형성되어 신체의 무릎관절 하부에 착용되는 하부장착대(20)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과 하부장착대(20)의 상측을 힌지축(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부(15, 25)와, 상기 힌지축(3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장착대(10)와 하부장착대(2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50)를 포함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50)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또는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안내봉과 일정 각도에서 접촉되는 작용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안내봉의 길이가 상이한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용홈은, 상기 안내봉과 접촉되는 각도가 상이하도록 깊이가 다른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가 수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61)과,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를 신체에 착용시키기 위한 결속끈(65)을 포함하며, 신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커버(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안내봉 사이의 작동각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된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용홈은, 상기 안내봉과 접촉되는 각도가 상이하도록 깊이가 다른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가 수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61)과,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를 신체에 착용시키기 위한 결속끈(65)을 포함하며, 신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커버(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부의 바깥쪽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작용홈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측면과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부의 바깥쪽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작용홈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측면과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부의 바깥쪽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작용홈은, 상기 상부장착대(10)의 하측 측면과 상기 하부장착대(20)의 상측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가 수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61)과, 상기 상부장착대(10) 및 하부장착대(20)를 신체에 착용시키기 위한 결속끈(65)을 포함하며, 신체와 접촉되는 위치에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완충커버(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20140187045A 2014-10-22 2014-12-23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4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45A KR101543191B1 (ko) 2014-10-22 2014-12-23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PCT/KR2015/012914 WO2016104972A1 (ko) 2014-12-23 2015-11-30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3713 2014-10-22
KR1020140143713 2014-10-22
KR1020140187045A KR101543191B1 (ko) 2014-10-22 2014-12-23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191B1 true KR101543191B1 (ko) 2015-08-07

Family

ID=5616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045A KR101543191B1 (ko) 2014-10-22 2014-12-23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3191B1 (ko)
WO (1) WO201610497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534A (ja) 2000-09-14 2002-03-27 Ashi To Aruki No Kenkyusho:Kk 膝用サポーター
US7704218B2 (en) 2005-10-12 2010-04-27 Ossur, Hf Knee br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24B1 (ko) * 1994-12-17 1997-06-17 임헌만 관절 보호대
KR20110008071U (ko) * 2010-02-09 2011-08-18 안병규 관절보호대
KR20130101847A (ko) * 2012-03-06 2013-09-16 (주)세일코리아마케팅 무릎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534A (ja) 2000-09-14 2002-03-27 Ashi To Aruki No Kenkyusho:Kk 膝用サポーター
US7704218B2 (en) 2005-10-12 2010-04-27 Ossur, Hf Knee br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4972A1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6507B1 (en) Full leg joint pad appliance
JP6678109B2 (ja) 装着型支持構造
KR102115016B1 (ko)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1727502B1 (ko) 착용의자
CN108582042B (zh) 一种无动力助坐机械腿
US20040260219A1 (en) Orthopedic device allows kneeling without contact to the knee and protects other joints
JP2019090132A (ja) 腰用サポーター
KR20160023293A (ko) 다리에 착용하는 보행보조기
KR20160125856A (ko)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690422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JP4671816B2 (ja) 起立負担軽減具、ズボン
KR101512985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0695558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101543191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383763B1 (ko) 무릎관절 보호 및 하체 근육 피로 경감을 위한 작업보조기구
KR200431890Y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101599670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99669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JP7389982B2 (ja) 体重支持装置
KR200405809Y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100699064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JP3156477U (ja) 腰、背部の疲労緩和具
KR100819127B1 (ko) 의자 부착용 스트레칭 기구
JP7166943B2 (ja) 腰アシスト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62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1118

Effective date: 2020062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94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0711

Effective date: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