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071U - 관절보호대 - Google Patents

관절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071U
KR20110008071U KR2020100001436U KR20100001436U KR20110008071U KR 20110008071 U KR20110008071 U KR 20110008071U KR 2020100001436 U KR2020100001436 U KR 2020100001436U KR 20100001436 U KR20100001436 U KR 20100001436U KR 20110008071 U KR20110008071 U KR 201100080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pocket
guard
inlet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규
Original Assignee
안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규 filed Critical 안병규
Priority to KR2020100001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071U/ko
Publication of KR20110008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0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부위 중 팔꿈치 또는 무릎과 같은 관절부위에 착용한 보호대가 잦은 관절운동으로 인해 최초 착용부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과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이루어진 몸체를 마련하고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입구와 삽입공간부가 형성된 포켓에 삽입되는 장력부재를 설치하여 보호대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변형되면서 신축성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보호대가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최초 착용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잦은 사용으로 인해 신축성이 저하된 보호대의 신축성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관절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관절보호대{articular protective}
본 고안은 신체의 관절부위에 착용하는 관절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부위 중 팔꿈치 또는 무릎과 같은 관절부위에 착용한 보호대가 잦은 관절운동으로 인해 최초 착용부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관절에 착용하는 보호대는 스포츠 또는 레포츠와 같은 운동을 즐기는 사용자, 공사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오랜 관절의 사용으로 관절 기능이 상실해 가는 노인이거나, 관절수술을 받고 재활 중인 환자 등의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서 착용하는 것으로, 관절을 보호하고자 하는 많은 사용자가 애용하는 물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보호대는 대체로 사용자의 신체와 밀착되도록 신축성을 갖으면서도, 신체의 열을 외부로 발산되도록 통기성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직물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대의 신축성은 통증이 있거나 또는 충격이 예상되는 관절 부분을 압박해서 관절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약한 관절을 지탱할 수 있는 보조기 역할을 하는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관절을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대는 신축성에 따라, 사용자의 관절에 압박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그 압박하는 정도는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신축성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관절에 사용되는 보호대는 잦은 관절운동과 함께 근육이 움직이면서 최초 착용위치에서 벗어나 발목이나 손목 부분으로 흘러내려 사용중에 자주 관절부위로 재착용을 해야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보호대의 사용횟수가 늘어날수록 신축성이 떨어지고 그리하여, 신체부위에 밀착력 저하로 인한 압박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보호대의 압박과 최초 착용 위치의 이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신축성이 우수한 스판으로 보호대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 제품은 전술한 보호대가 흘러내리는 문제는 해결하였으나, 통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피부에 악영향을 끼치고 특히, 여름과 같이 무더운 날씨에는 땀띠와 같은 피부병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른 종래에는 직물로 이루어진 보호대를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고, 그 각각의 단부에 암수로 이루어진 벨크로파스너로 고정하는 제품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보호대가 신체를 압박하도록 하는 밀착성 및 통기성에 관한 문제를 비교적 해결하였으나, 이 제품도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직물로 이루어진 제품으로 사용횟수가 늘어날 수로 자체 신축성이 저하되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상기 암수로 이루어진 벨크로파스너가 옷에 묻은 먼지 또는 오물 등과 결합되면서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와, 먼지나 오물 등에 의해 보호대 제품이 깔끔하지 않고 지저분해 보여 제품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신축성과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이루어진 보호대에 별도로 설치되는 장력부재를 설치하여 보호대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변형되면서 신축성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보호대가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시켜 최초 착용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잦은 사용으로 인해 신축성이 저하된 보호대의 신축성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신체의 관절 부분을 보호하도록 착용하는 보호대에 있어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포켓과, 상기 포켓의 입구를 통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대가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신체의 관절 부분을 보호하도록 착용하는 보호대에 있어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와 하부 단부의 외측둘레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포켓과, 상기 포켓의 입구를 통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대가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은 몸체에 덧대는 별도의 직물로 형성하거나, 몸체의 단부를 말아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갖도록 몸체에 포켓을 재봉시키되, 일부분에는 터짐이 되게하여 상기 장력부재가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는 삽입공간부의 양측에 형성된 설치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력부재는, 몸체를 신체에 밀착되어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장력부재는 몸체를 신체에 밀착되어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은, 구부러짐은 자유자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신장은 몸체의 신장보다 비교적 작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밴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력부재의 양단부에 설치시켜 포켓에 장력부재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가이드캡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장력부재의 사용으로 인하여 사용자 관절에 착용한 보호대가 발목이나 팔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이 용이한 효과와, 또한, 보호대의 최초 착용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이나 외부충격으로 인한 통증 부분의 치유가 용이한 효과와, 또한, 보호대의 잦은 사용으로 인한 신축성이 저하된 제품을 장력부재가 신축성을 대신하여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보호대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포켓으로부터 장력부재가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시킴으로 써, 사용 후, 더럽혀진 보호대에서 장력부재를 용이하게 탈거시킨 후, 보호대만을 세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절보호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호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다른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또 다른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력부재인 스프링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장력부재인 코일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장력부재인 고무밴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신체의 관절 부분을 보호하도록 착용하는 보호대(10)에 있어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는 입구(230)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40)을 갖는 포켓(200)과, 상기 포켓(200)의 입구(230)를 통해 수용공간(240)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대(10)가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력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신체의 관절 부분을 보호하도록 착용하는 보호대(10)에 있어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하부 단부의 외측둘레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는 입구(230)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40)을 갖는 포켓(200)과, 상기 포켓(200)의 입구(230)를 통해 수용공간(240)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대(10)가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력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제 2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원통체로 이루어진 몸체(100)는 사용자의 신체구조와 상응하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팔꿈치나 무릎에 적합하게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에 포켓(200)(210)(220)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 1특징에서 몸체(100)에 형성되는 포켓(200)은 몸체(100)의 양측에 별도의 신축성을 갖는 직물을 덧대고 이를 재봉하여 포켓(200)을 구비하거나, 상기 제 2특징에서와 같이, 상기 제 1특징과 마찬가지로 상부와 하부에 별도의 신축성을 갖는 직물을 덧대고 이를 재봉하여 각각의 포켓(210)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외측으로 말고 그 주위를 재봉하여 상,하부에 포켓(220)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수용공간(240)을 갖도록 몸체(100)에 포켓(200)(210)(220)을 재봉시키되, 일부분에는 재봉을 하지않고 터짐부분을 갖도록 하여, 상기 장력부재(300)가 삽입되는 입구(230)를 형성하며, 상기 포켓(200)(210)(220)에서 입구(230)가 형성되는 위치는 입구(230)의 양측으로 설치부(242)와 고정부(244)로 이루어진 삽입공간부(240)가 형성된 위치에 마련된다.
즉, 상기 장력부재(300)의 일단은 삽입공간부(240) 중 길게 형성된 설치부(242)에 삽입되고, 장력부재(300)의 타단은 상기 삽입공간부(240) 중 비교적 짧은 고정부(244)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포켓(200)(210)(220)의 일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 이유는, 상기 사용자가 보호대(10)를 착용하고 신체를 움직일 때, 설치된 장력부재(300)가 움직이더라도 양단부가 삽입공간부(240)의 설치부(242)와 고정부(244)에 각각 고정되어 장력부재(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장력부재(300)를 탈거할 때는 고정부(244)에 설치된 장력부재(300)의 단부를 꺼내면 쉽게 탈거가 이루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포켓(200)(210)(220)의 입구(230)는 도면상에서는 개구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그것은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시된 것이고, 실제로는 입구(230)의 상부에 해당하는 직물에 의해 덮여져 있다가, 상기 장력부재(300)를 삽입 또는 탈거 할 때, 입구를 벌려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력부재(300)는, 상기 보호대(10)를 신체의 관절부위에 착용할 때, 신축성을 갖는 보호대(10)는 신체의 형상을 따라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장력부재(300)의 신축성은 보호대(10)의 신축성보다 작아 보호대(10)가 늘어날 때, 상대적으로 장력부재(300)는 작게 신축되면서 오히려 신체와 보호대(10)가 서로 더욱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관절이 움직이는 각도와 상응하도록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포켓(200)에 삽입 설치되는 장력부재(300)는, 몸체(100)를 신체에 밀착되어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310)으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310)은 관절이 움직이는 각도와 상응하도록 구부러짐이 자유자재로 변형되고,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신장은 몸체(100)의 신장보다 비교적 작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밴드(31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310)은, 상기 스프링밴드(312)와 같은 목적으로 형성된 코일스프링(314)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상기 코일스프링(314)은 인장력을 갖는 코일스프링(31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스프링(314)의 코일은 원통체 형태로 세워져 길게 연속되어 형성되었으나, 스프링밴드(312)는 밴드형태로 형성되도록 스프링을 구성하는 코일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눕혀져 연속되어 형성된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부재(300)는,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제조원가가 저렴한 고무밴드(320)로 설치가 가능하며, 이 고무밴드(320) 역시 두께는 얇고 폭은 넓은 밴드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장력부재(300)는 신체에 보호대(10)를 압박하여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보호대(10)가 착용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켓(200)의 수용공간(240)에 장력부재(300)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장력부재(300)의 양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캡(4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캡(400)은 장력부재(300)의 단부에 직접 형성시켜 가이드캡(400)과 장력부재(30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가이드캡(400) 내부에 상기 장력부재(300)의 양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410)을 갖는 가이드캡(400)을 구비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캡(400)을 설치함으로 써, 탄성스프링(310)의 양단부를 마감처리하여 포켓(200)에 삽입시 탄성스프링(310)의 단부가 직물에 걸려지는 등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하고, 재질이 고무로 형성되어 높은 마찰력에 의해 삽입이 용이하지 않은 고무밴드(320)도 쉽게 삽입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착용은 다음과 같으며, 그 설명은 제 1특징 구성된 것으로 한다.
보호대(10)를 구성하는 몸체(100)에 마련된 포켓(200)의 입구(230)에 밀착과 압박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비되고, 양측에 가이드캡(400)이 설치된 장력부재(300)를 삽입시키는데, 이때, 장력부재(300)의 일단을 먼저 입구(230)를 벌려서 내부에 넣고, 길게 형성된 설치부(242) 측으로 이동시켜 장력부재(300)를 삽입시키며, 삽입이 완료되면, 장력부재(300)의 타단까지 포켓(200)의 입구(230)에 넣고 짧은 고정부(244) 측으로 넣어 장력부재(300)가 포켓(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설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력부재(300)가 모두 설치된 보호대(10)를 신체의 통증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관절에 착용한다.
이렇게 착용이 되면 보호대는 굴곡진 신체에 따라 늘어나면서 변형되고, 포켓에 설치되어 보호대(10)보다 비교적 신축이 작게 이루어지는 장력부재(300)는 신체 측으로 보호대(10)를 압박 밀착시켜 사용자가 통증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될 수 있으며, 또한, 보호대(10)가 최초 착용한 관절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호대(10)를 재착용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보호대..........10 몸체........100
포켓............200,210,220
입구............230
수용공간........240
설치부..........242 고정부........244
장력부재........300
탄성스프링......310
스프링밴드......312 코일스프링....314
고무밴드........320
가이드캡........400 수용홈........410

Claims (9)

  1. 신체의 관절 부분을 보호하도록 착용하는 보호대(10)에 있어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양 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는 입구(230)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40)을 갖는 포켓(200)과;
    상기 포켓(200)의 입구(230)를 통해 수용공간(240)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대(10)가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력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 신체의 관절 부분을 보호하도록 착용하는 보호대(10)에 있어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고,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는 직물로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하부 단부의 외측둘레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는 입구(230)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40)을 갖는 포켓(210)과;
    상기 포켓(210)의 입구(230)를 통해 수용공간(240)에 설치되어, 상기 보호대(10)가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력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210)은, 몸체(10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외측으로 말아서 형성되는 포켓(2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200)(210)(220) 내부에 수용공간(240)을 갖도록 몸체(100)에 포켓(200)(210)(220)을 재봉시키되, 일부분에는 터짐이 되게하여 상기 장력부재(300)가 삽입되는 입구(230)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230)는 삽입공간부(240)의 양측에 형성된 설치부(242)와 고정부(244) 사이에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재(300)는, 몸체(100)를 신체에 밀착되어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3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재(300)는 몸체(100)를 신체에 밀착되어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310)은, 구부러짐은 자유자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신장은 몸체(100)의 신장보다 비교적 작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밴드(3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관절보호대.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310)은, 구부러짐은 자유자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신장은 몸체(100)의 신장보다 비교적 작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스프링(3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관절보호대.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재(300)의 양단부에 설치시켜 포켓(200)에 장력부재(300)의 삽입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캡(40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KR2020100001436U 2010-02-09 2010-02-09 관절보호대 KR201100080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36U KR20110008071U (ko) 2010-02-09 2010-02-09 관절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36U KR20110008071U (ko) 2010-02-09 2010-02-09 관절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071U true KR20110008071U (ko) 2011-08-18

Family

ID=4559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436U KR20110008071U (ko) 2010-02-09 2010-02-09 관절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07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79B1 (ko) * 2013-11-27 2015-03-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프레임구조물이 삽입된 무릎보호대
KR101602185B1 (ko) * 2014-09-29 2016-03-10 (주)엠케이산업 무릎 보호대
WO2016104972A1 (ko) * 2014-12-23 2016-06-30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857219B1 (ko) * 2017-12-22 2018-05-11 주식회사 삼성보조기 양측 다리 깁스부의 연결 고정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79B1 (ko) * 2013-11-27 2015-03-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프레임구조물이 삽입된 무릎보호대
KR101602185B1 (ko) * 2014-09-29 2016-03-10 (주)엠케이산업 무릎 보호대
WO2016104972A1 (ko) * 2014-12-23 2016-06-30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857219B1 (ko) * 2017-12-22 2018-05-11 주식회사 삼성보조기 양측 다리 깁스부의 연결 고정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8951B2 (en) Wearable protective body appliance
US11284653B2 (en) Arm protector or other body part protector
US8353062B2 (en) Human limb/joint protective pad and method of making
US20040225245A1 (en) Knee brace with directional elastic
US9144253B1 (en) System for integrating a knee pad into a garment
KR20130101847A (ko) 무릎보호대
KR100970759B1 (ko) 관절 보호대
US20180133582A1 (en) Protective glove
US20190364990A1 (en) Stabilized support device for a limb guard
KR20110008071U (ko) 관절보호대
KR100938354B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EP3175894B1 (en) Joint movement supporting protector
KR101631706B1 (ko) 환자안전장갑
KR200484137Y1 (ko) 무릎 보호용 하의
CN211513373U (zh) 一种骑行用护具
KR20170090900A (ko) 착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가능한 보호장비
KR20180040789A (ko)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즈
KR20120005141U (ko) 무릎보호대
KR20130000452U (ko) 허리보호대
KR100660405B1 (ko) 격투기용 몸통보호대
KR200433187Y1 (ko) 작업용 팔꿈치 보호대
KR200318651Y1 (ko) 훈련보조용 관절보호구
KR102354144B1 (ko) 허리 보호대
CN206007985U (zh) 一种关节运动护具
CN219125461U (zh) 一种多功能运动保健护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