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354B1 -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 Google Patents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354B1
KR100938354B1 KR1020080007478A KR20080007478A KR100938354B1 KR 100938354 B1 KR100938354 B1 KR 100938354B1 KR 1020080007478 A KR1020080007478 A KR 1020080007478A KR 20080007478 A KR20080007478 A KR 20080007478A KR 100938354 B1 KR100938354 B1 KR 100938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velcro tape
protective
joint
s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551A (ko
Inventor
손재문
Original Assignee
손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문 filed Critical 손재문
Priority to KR102008000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3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7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in an openable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신체의 관절부위를 보호하는 보호구가 구비되는 스포츠 의류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위에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구에는 상기 보호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1결합부재에 착탈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저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필요한 보호장비인 보호구가 스포츠 의류에 직접 구비되되 착탈식으로 구비하며 그 위치를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징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부상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릎, 팔꿈치, 어깨, 보호구, 스포츠, 의류

Description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 sports wear having supporter of adjusting location }
본 발명은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은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도중 낙상 또는 충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구가 일체로 구비되되 그 보호구의 위치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위치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라인 스케이트나 스케이트보드 등을 이용하는 레저 스포츠가 유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레저스포츠는 과격한 운동이 수반됨으로 인해 무릎이나 팔꿈치 또는 어깨와 같은 관절부위아, 등부위 또는 대퇴골 등에 물리적인 충격으로 인해 잦은 부상이 유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관절부위 등을 보호를 위해 무릎 보호구나 팔꿈치 보호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보호구는 실제로 레저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인라인 스케 이트 등의 레저 스포츠 기구와 별도로 준비해야 하므로 레저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장비를 챙기고 이를 현장에서 다시 착용해야 하는 등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무릎 보호구를 일체로 구비한 스포츠 의류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25778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는 무릎보호구가 구비된 운동복에 관한 것으로, 무릎의 전방을 감싸도록 무릎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수평배치되는 쿠션패드들과, 인접하는 쿠션패드들 사이에 형성된 주름부와, 착용자의 무릎과 접촉되는 쿠션패드의 안쪽에 부착되는 실리콘을 구비하여 운동복 하의에 봉제되는 무릎보호구; 및 무릎보호구의 하단을 따라 봉제되어 무릎후방을 감싸는 탄력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로 인해 무릎보호구가 운동복에 일체로 재봉 또는 부착되므로 격렬한 움직임에도 무릎보호구가 착용자의 무릎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항시 착용자의 무릎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종래와는 달리 무릎보호구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보관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에서 제시된 운동복의 경우 획일적으로 규격화해서 제작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인종(人種), 성별(性別) 또는 체형(體型)과 같은 신체적 특성에 따라 작합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실제로 운동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레저 스포츠를 즐기더라도 무릎보호대의 위치가 사용자의 무릎에 비해 높거나 또는 낮아 사용자의 무릎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고, 그 보호 위치가 부정확하여 이탈될 수 있어 그 효과가 상당부분 저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무릎보호구를 직접 운동복에 재봉질 등을 통해 직접 부착함으로 인해 운동복 제작시의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구가 일체로 구비되되 그 보호구의 위치를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스포츠 의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제작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포츠 의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체의 관절부위를 보호하는 보호구가 구비되는 스포츠 의류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위에 제1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구에는 상기 보호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1결합부재에 착탈되는 제2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저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필요한 보호장비인 보호구가 스포츠 의류에 직접 구비되되 착탈식으로 구비하며 그 위치를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징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부상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포츠 의류를 제작시에 보호구와는 별개로 제작하고, 제작 후 보호구 를 적절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스포츠 의류의 제작이 간단하여 생산성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의류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보호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보호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의류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의류의 또 다른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에 따른 보호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는 재킷과 같은 상의(上衣)와 바지와 같은 하의(下衣)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본원 발명의 다양한 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1)는 의류의 관절부위에 제1결합부재(100)가 구비되고, 신체의 관절부위를 보호하는 보호구(200)에는 제2결합부재(300)가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부재(300)는 상기 제1결합부재(100)에 착탈되며 그 위치가 조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1)의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하의(下衣)(10)에 관해 먼저 설명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1)의 일 예인 하의(10)는 그 관절부위인 무릎부분 일측에 제1결합부재(1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1결합부재(1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가지는 암밸크로테이프(110)가 하의(1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호구(200)는 관절을 감쌀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관절안착부(210)와, 정강이를 감싸도록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정강이안착부(2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호구(200)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압축스폰지, 스티로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지(公知)의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호구(200)의 상부에는 제2결합부재(300)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제2결합부재(300)는 상기 제1결합부재(100)인 암밸크로테이프(110)에 부착되는 수밸크로테이프(310)로 이루어져 제2결합부재(300)의 탈부착이 용이해진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100)를 수밸크로테이프로 구성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300)를 암밸크로테이프로 구성함도 단순 설계 변경에 불과한 것으로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채용한 것이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재(100,300)를 다수의 암/수 스 냅단추(미도시됨)로 구성하거나, 또는 일반 단추로 구성함도 동일한 기술적 범주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하의(10)의 관절부위인 무릎부분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하의(10)의 내부로 연통되는 절개부(400)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400)에는 개폐부재(410)가 구비되어 개방 및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개폐부재(41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퍼는 다수의 엘리먼트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2개의 지퍼테이프(412,413)가 절개부(400)에 재봉되고, 상기 지퍼테이프(412,413) 상에서 슬라이더(414)가 왕복이동하면서 엘리먼트끼리 서로 맞물리거나 해제됨으로서 개폐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414)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엘리먼트가 해제되어 절개부가 개방되고, 다시 슬라이더(414)를 원위치시키면 슬라이더(414)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엘리먼트가 서로 맞물려 절개부(400)가 폐쇄된다.
물론, 상기 개폐부재(410)는 지퍼 이외에도 단추나 암/수밸크로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한 기술 범주내의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하의(10)의 내측에는 상기 절개부(400)와 연통되며 일정한 공간부(400a)가 형성되며 그 공간부(400a)의 하단에는 제2결합부재(300)가 이동할 수 있는 통공(400b)이 더 형성되어, 보호구(2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300)를 통과시키고 이를 하의(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100)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하의(10)의 무릎 하단부에는 별도의 조임수단(42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조임수단(420)은 암/수밸크로테이프(422,424)를 하의(10)의 종아리부분을 감싸도록 재봉질을 통해 일체로 부착하여 주게 된다.
이는 보호구(200)의 정강이안착부(212)가 사용자의 정강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의(10)를 입은 사용자가 조임수단(420)을 조이게 되면 정강이안착부(212)가 사용자의 정강이에 밀착되어 보호구가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하의(10)의 엉덩이부와 양측 골반부에는 완충패드(11)가 일체로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완충패드(11) 역시 폴리우레탄 폼, 압축스폰지, 스티로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하의(10) 내부 무릎부분에 보호구(200)를 장착하는 경우 보호구(200)를 하의(10)의 내부로 삽입하여 사용자 자신의 무릎위치에 알맞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보호구(200)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300)를 하의(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100)에 부착하여 준다.
이때, 하의(10)를 입은 상태에서 보호구(200)의 위치를 좀 더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하의(10)를 벗을 필요없이 절개부(400)의 개폐부재(410)를 조절하여 절개부(400)를 개방한 후 제2결합부재(300)를 분리한 후 다시 보호구(200)의 위치를 조정한 후 부착하여 줌으로서 간편하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의(10)에서 보호구(200)를 착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하의(10)의 제작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도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위치를 조정함으로서 레저스포츠를 즐기던 중에 충돌사고 등이 발생되는 경우 무릎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200)를 직접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구(200)는 제2결합부재(300)가 구비되는 면 또는 합성섬유 재질의 포켓(302)의 내부에 삽입한다.
즉, 상기 보호구(200)는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한 일정한 공간부를 가지는 포켓(302)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며, 이때, 상기 포켓(302)에 제2결합부재(300)가 일체로 구비되어 보호구(200)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부 알레르기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포켓(302)은 하부에 개구부(302a)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에 밸크로테이프를 구비함으로서, 용이하게 보호구(200)를 삽입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의(上衣)(20)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의(20)의 관절부위인 팔꿈치부분에 제1결합부재(100)가 구비되며, 그 제1결합부재(1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부의 내측에 일정길이를 가지는 암밸크로테이프(112)가 팔부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호구(200)는 관절을 감쌀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관절안착부(미도시됨)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구(200)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압축스폰지, 스티로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지(公知)의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호구(200)의 상부에는 제2결합부재(300)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제2결합부재(300)는 상기 제1결합부재(100)인 암밸크로테이프(112)에 부착되는 수밸크로테이프(312)로 이루어져 제2결합부재(300)의 탈부착이 용이해진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100)를 수밸크로테이프로 구성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300)를 암밸크로테이프로 구성함도 단순 설계 변경에 불과한 것으로 동일한 기술적 원리를 채용한 것이며,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재(100,300)를 다수의 암/수 스냅단추(미도시됨)로 구성하거나, 또는 일반 단추로 구성함도 동일한 기술적 범주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상의(20)의 관절부위인 팔꿈치부분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팔부분의 내부로 연통되는 절개부(400)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400)에는 개폐부재(410)가 구비되어 개방 및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개폐부재(41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퍼나 또는 단추, 암/수밸크로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의(20)의 등부에는 완충패드(미도시됨)가 일체로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의(20)의 어깨부분에도 제1결합부재(100)가 구비되며, 어깨관절을 감쌀 수 있도록 보호구(200)를 구비하며, 그 보호구(200)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00)에 착탈되는 제2결합부재(300)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의(20)의 팔꿈치부분에 보호구(200)를 장착하는 경우 보호구(200)를 상의(20)의 내부로 삽입하여 사용자 자신의 팔꿈치 또는 어깨에 알맞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보호구(200)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300)를 상의(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재(100)에 부착하여 준다.
이때, 상의(20)를 입은 상태에서 보호구(200)의 위치를 좀 더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의(20)를 벗을 필요없이 절개부(400)의 개폐부재(410)를 조절하여 절개부(400)를 개방한 후 제2결합부재(300)를 분리한 후 다시 보호구(200)의 위치를 조정한 후 부착하여 줌으로서 간편하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의(20)에서 보호구(200)를 착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상의(20)의 제작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도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위치를 조정함으로서 레저스포츠를 즐기던 중에 충돌사고 등이 발생되는 경우 팔꿈치나 어깨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팔꿈치나 어깨를 보호하는 상기 보호구(200)는 직접 사용자의 팔꿈치나 어깨의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구(200)는 제2결합부재(300)가 구비되는 면 또는 합성섬유 재질의 포켓(304)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보호구(200)는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한 일정한 공간부를 가지는 포켓(304)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며, 이때, 상기 포켓(304)에 제2결합부재(300)가 일체로 구비되어 보호구(200)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부 알레르기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포켓(304)은 하부에 개구부(304a)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에 밸크로테이프를 더 구비함으로서, 용이하게 보호구(200)를 삽입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의류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보호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보호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의류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의류의 또 다른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에 따른 보호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스포츠 의류 10: 하의
20: 상의 100: 제1결합부재
200: 보호구 300: 제2결합부재

Claims (9)

  1. 신체의 관절부위에 제1결합부재(100)가 구비되고, 제1결합부재(100)에 착탈되는 제2결합부재(300)가 구비되어 신체의 관절부위를 보호하는 보호구(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포츠 의류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관절부위는 하의(下衣)(10)의 무릎 부분으로,
    상기 보호구(200)는 관절을 감쌀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진 관절안착부(210)와, 정강이를 감싸도록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정강이안착부(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결합부재(100)는 하의(10)의 내측 무릎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수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결합부재(300)는 상기 수밸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암밸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의 무릎 하측에는 상기 보호구의 정강이안착부가 사용자의 정강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암/수밸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조임수단(4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관절부위는 상의(上衣)(20)의 팔꿈치부분이며, 상기 제1결합부재(100)는 상기 상의(20)의 내측 팔꿈치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수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재(300)는 상기 수밸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암밸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관절부위는 상의(上衣)(20)의 어깨부분이며, 상기 제1결합부재(100)는 상기 상의(20)의 내측 어깨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수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재(300)는 상기 수밸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암밸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200)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흡수하는 폴리우레탄 폼, 압축스폰지, 스티로폴, 실리콘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위의 일측에는 의류의 외내부를 관통하는 절개부(400)가 형성되며, 그 절개부(400)에는 그 절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410)는 지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200)는 제2결합부재(300)가 구비되는 포켓(30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KR1020080007478A 2008-01-24 2008-01-24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KR100938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478A KR100938354B1 (ko) 2008-01-24 2008-01-24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478A KR100938354B1 (ko) 2008-01-24 2008-01-24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551A KR20090081551A (ko) 2009-07-29
KR100938354B1 true KR100938354B1 (ko) 2010-01-22

Family

ID=4129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478A KR100938354B1 (ko) 2008-01-24 2008-01-24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017B1 (ko) 2012-10-25 2013-06-04 이양수 슬관절 보호 바지
KR101352215B1 (ko) * 2012-05-09 2014-01-15 이건수 무릎보호대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바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37Y1 (ko) * 2016-08-31 2017-08-03 이호석 무릎 보호용 하의
KR200486139Y1 (ko) * 2016-09-27 2018-04-06 이종석 절복
KR200491525Y1 (ko) * 2018-11-23 2020-04-21 주식회사 토브더가먼트메이커 다기능 하의
KR102516632B1 (ko) * 2022-11-16 2023-03-31 주식회사 토브더가먼트메이커 보호대 일체형 해상진압복 상의
KR102516633B1 (ko) * 2022-11-16 2023-03-31 주식회사 토브더가먼트메이커 보호대 일체형 해상진압복 하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084A (en) 1994-12-07 1996-09-03 Globe Manufacturing Company Firefighters pants with insulated cushion knee
JP2005068562A (ja) * 2003-08-25 2005-03-17 Fuji Kosan Kk 膝部保護パットを有する衣服
JP2006083493A (ja) 2004-09-16 2006-03-30 Daiwa Seiko Inc 発泡ゴム・発泡合成樹脂製ウエア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084A (en) 1994-12-07 1996-09-03 Globe Manufacturing Company Firefighters pants with insulated cushion knee
JP2005068562A (ja) * 2003-08-25 2005-03-17 Fuji Kosan Kk 膝部保護パットを有する衣服
JP2006083493A (ja) 2004-09-16 2006-03-30 Daiwa Seiko Inc 発泡ゴム・発泡合成樹脂製ウエア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215B1 (ko) * 2012-05-09 2014-01-15 이건수 무릎보호대가 일체로 형성된 등산바지
KR101271017B1 (ko) 2012-10-25 2013-06-04 이양수 슬관절 보호 바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551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7892A (en) Ice hockey garment
KR100938354B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US6041441A (en) Athletic trousers
US6532599B1 (en) Athletic shorts with removable contoured pads
US8302212B1 (en) Athletic garment
US7757307B2 (en) Jock support short
US4811427A (en) Athletic garment for protecting genital area
US11284653B2 (en) Arm protector or other body part protector
US7082621B1 (en) Thigh pad protectors
US8808216B2 (en) Apparatus for use with a protective cup
US20140215679A1 (en) Padded pants
CA2356537C (en) Protective hockey undergarment
US20070199129A1 (en) Athletic unitard to position and secure protective equipment
US20150113717A1 (en) Protective Athletic Garment
US4024584A (en) Pad and garment assembly
KR200484137Y1 (ko) 무릎 보호용 하의
US7062789B1 (en) Outdoors sports apparel
US20150250633A1 (en) Roll-up knee brace liner
US20180169505A1 (en) Protective pad for protection from impact and a protective garment using the same
KR200464415Y1 (ko)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KR20140139252A (ko) 보호구가 장착되는 스포츠 의류
WO2014091793A1 (ja) スポーツウエア
EP0351147B1 (en) Protector and article of sportswear using the same
CN213663743U (zh) 一种新型硅胶泳装
KR102551851B1 (ko)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