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851B1 -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 Google Patents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851B1
KR102551851B1 KR1020230016873A KR20230016873A KR102551851B1 KR 102551851 B1 KR102551851 B1 KR 102551851B1 KR 1020230016873 A KR1020230016873 A KR 1020230016873A KR 20230016873 A KR20230016873 A KR 20230016873A KR 102551851 B1 KR102551851 B1 KR 10255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protector
clothing
zipp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천
Original Assignee
(주)풍전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전티.티 filed Critical (주)풍전티.티
Priority to KR102023001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보행 또는 운동 중에 주의를 태만이 하여 넘어지거나 낙상 등이 발생할 경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전에 보호 영역 위치를 손쉽게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는 의류용 보호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류용 보호대(100)는 제1 시트부재(10)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적어도 1면에 적층되는 제2 시트부재(20)와, 상기 제2 시트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그 제2 시트부재에 고정되는 복수의 완충부재(30)와, 상기 제2 시트부재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적어도 1면을 따라 그 제2 시트부재의 폭을 자유롭게 변형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4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Clothing with protection}
본 발명은 성인은 물론 노인과 어린이에게 유용한 신체 개호용 보호대가 구비된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 또는 운동 중에 주의를 태만이 하여 넘어지거나 낙상 등이 발생할 경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전에 보호 영역 위치를 손쉽게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는 보호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는 다양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한 예로 특허문헌 1(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60387호)은 낙상 사고 발생시 착용자의 하체 고관절을 포함하여 꼬리뼈와 엉치뼈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내측에 이중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패드체를 이용하여 보호부를 구성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 기술은 엉덩이의 볼륨을 보정하기 위한 의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노약자가 착용시 보호에는 한계가 있으며, 의류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기 착탈하기 어려운 점과 세탁등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20-0008448호)에 기재된 하체 보정 의류는 허리 부분과 엉덩이의 상부 부분 사이에 패드부가 형성됨에 따라 엉덩이의 볼륨이 허리 아랫부분부터 형성되도록 하여 하체가 더욱 길어 보이게하는 착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서 짧은 하체를 가진 사람이 체형의 컴플렉스를 보완하기 위하여 착용하거나 맵시있는 몸매를 연출하기 위하여 착용하는데는 유용하나, 노약자의 신체 보호용으로 착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 특허문헌 3(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4-0139252호)에는 인라인 스케이트, 모터사이클 등의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도중 낙상 또는 충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부상당하지 않도록 무릎, 어깨, 팔꿈치 등에 보호구가 장착되는 스포츠 의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보호구가 장착되는 스포츠 의류는 그 의류의 관절부위에 내피의 외측면과 외피의 내측면 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제1 암벨크로가 구비되는 보호구 포켓이 형성되고, 보호구에는 제1 암벨크로에 대응 부착되도록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제1 수벨크로가 구비되며, 보호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구 포켓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보호구를 삽입하여 제1 암벨크로와 제1 수벨크로에 의해 관절부위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호구가 장착되는 스포츠 의류는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보호구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보호구를 착용할 수 있고, 평상복으로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보호구를 장착하더라도 외관상 보호구가 노출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보호구의 보호 위치 및 형태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손쉽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착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4(대한민국 특허등록 10-1907613호)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이 넘어졌을 때 엉덩이 부분의 골절이나 타박상을 입지 않도록 엉덩이를 보호할 수 있게한 엉덩이 보호대를 기재하고 있다.
종래 엉덩이 보호대는 의류에 형성된 포켓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두겹 이상 적층되어 완충 효과를 높일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공기 챔버를 분할 형성하여 어느 한 층의 에어챔버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다른 층의 에어챔버에 의해 완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사용자가 보호구의 보호 위치 및 형태를 신체 조건에 따라 손쉽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착용하는데는 한계가 있고 보호대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5(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9-0070769호)에는 경찰특공대나 군인 등이 훈련, 작전이나 전투의 과정에서 무릎이나 팔꿈치 등의 부상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보호대를 갖는 의류가 기재되어 있다.
종래 보호대를 갖는 의류는 그 의류 상부에 구비되는 루프 또는 후크구조의 제 1 벨크로층과, 제 1 벨크로층에 대응하는 후크 또는 루프구조의 제 2 벨크로층과, 제 2 벨크로층 이면에 구비되는 보호대인 매개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대가 의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인서팅 타입의 성형방식에 의해 의류 또는 보호대 매개체에 벨크로 루프 또는 후크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보호대는 쉽게 착탈하거나 운반할 수 있고, 보호대가 부드럽고 접혀질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보호구의 보호 위치 및 형태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손쉽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착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60387호(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20-0008448호(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4-0139252호(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907613호(특허문헌 4)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9-0070769호(특허문헌 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노약자의 보호용 의류에 적합하도록 기능면에서는 착용의 편리성, 안정성, 청결성을 유지하기 쉽고, 착용자가 보호 범위를 간단하게 변경하거나 보호에 유리하도록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호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신체 보호가 필요한 부위 예를 들면 무릎, 팔목, 정강이, 엉덩이, 발목, 머리, 코, 입, 가슴 등 노약자가 전도되었을 때에 부상하기 쉬운 신체부위에 해당하는 의류 위치에 개호용 보호대 소재를 재봉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보호대를 넣을 수 있는 주머니를 설치하고, 또는 보호대 소재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보호대 또는 의류에 체결구를 설치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노약자가 낙상이나 전도되었을 경우 부상 발생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가 자신의 신체 특성에 맞게 간단히 형태나 구조를 변형하여 의류에 결합할 수 있는 보호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의, 하의, 내복 등 다양한 종류의 의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본 발명의 보호대를 덧대 결합하는 형태의 의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는 제1 시트부재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적어도 1면에 적층되는 제2 시트부재와,
상기 제2 시트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그 제2 시트부재에 고정되는 복수의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시트부재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적어도 1면을 따라 그 제2 시트부재의 폭을 자유롭게 변형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부착되는 지퍼 테이프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지퍼 테이프의 지퍼 이빨에 치합되고 상기 제2 시트부재의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상측 지퍼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하단에 고정된 지퍼 테이프의 지퍼 이빨에 치합되고 상기 제2 시트부재의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하측 지퍼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부착되는 지퍼 테이프는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양면에 연속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시트부재는 벌집형 원단으로 구성되고, 그 원단에 적어도 1층 이상의 직조층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시트부재는 적어도 1곳 이상 접을 수 있도록 접힘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시트부재는 면, 양모, 합성섬유 솜을 겹층으로 배열한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 시트부재는 신축성 섬유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는 튜브형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시트부재의 폭 변화에 따라 그 완충부재들의 배열 간격이 연동하여 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호대는 상기 의류의 무릎, 팔목, 정강이, 엉덩이, 발목, 머리, 가슴 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1곳 이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호대는 그 보호대를 감싸는 외피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시트부재는 신축성이 있는 섬유를 사용하여 다층구조의 포를 소재로 사용하거나, 또는 탄성이 우수한 수지로 제조한 튜브 형태의 것을 평면으로 배열하고 접착한 것, 또는 탄성이 우수한 수지로된 튜브 형태의 것을 경위 방향으로 배열하고 접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는, 보호대를 의복에 재봉으로 고정하지 않고 보호대를 개호할 부위의 크기에 따라 제조한 후 벨크로로 고정하거나 또는 똑딱이 단추로 고정하거나, 또는 끈 등의 고정용 착탈구를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능성을 가진 소재의 포를 상기 열거한 예의 보호대 소재와 결합함으로써 의복를 착용하였을 때 의복과 피부간에 쾌적한 환경이 이루어지도록 기능성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구성의 예로는,
가) 제전과 도전기능; 의복을 착용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정전기를 억제하거나 발생한 정전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소재이다.
나) 항균 방취기능; 의복을 착용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냄새를 없에주는 기능과 항균 기능 가진 소재이다.
다) 흡수 흡한기능; 의복을 착용하였을 경우 몸에서 발생한 땀을 공기중으로 발산하여주거나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소재이다.
라) 전자파 차폐기능; 몸에 해로운 전자파를 막아주는 기능을 가진 소재이다
마) 방충기능; 착용시에 벌레 등을 막아주는 기능을 가진 소재이다.
바) 방오기능; 착용시에 오염을 막아주는 기능을 가진 소재이다.
본 발명의 의류에 부착되는 개호용 보호대는,
제1 시트부재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적어도 1면에 적층되는 제2 시트부재와,
상기 제2 시트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그 제2 시트부재에 고정되는 복수의 완충부재와,
상기 제2 시트부재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적어도 1면을 따라 그 제2 시트부재의 폭을 자유롭게 변형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함으로써, 착용자가 보호 범위를 간단하게 변경하거나 보호에 유리하도록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노약자가 전도되었을 때에 부상하기 쉬운 신체부위에 해당하는 의류 위치에 개호용 보호대 소재를 재봉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보호대를 넣을 수 있는 주머니를 설치하고, 또는 보호대 소재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보호대 또는 의류에 체결구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노약자가 낙상이나 전도되었을 경우 부상 발생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호대가 구비되는 상의와 모자를 예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호대가 구비되는 하의를 예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호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호대를 구성하는 제1 시트부재, 제2 시트부재, 완충부재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예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호대를 구성하는 제1 시트부재, 제2 시트부재, 완충부재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예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호대를 구성하는 제1 시트부재, 제2 시트부재, 완충부재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예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호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호대가 외피로 감싸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의류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보호대(100)의 기술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호대(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의 소매의 팔꿈치 부위, 모자, 하의 무릎 부위 등에 보호대(100)를 부착하거나 넣을 수있도록 보호대 수용부(200)를 구비한다.
의류에 구성되는 보호대 수용부(200)는 본 발명의 보호대(100)를 재봉으로 고정하거나, 도 8과 같이 보호대에 구성된 끈(150)을 이용하여 상의나 하의의 필요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보호대 수용부(200)를 주머니 형태로 구성하고 그 주머니 형태의 보호대 수용부(200) 내에 보호대(100)를 넣은 후 다양한 체결 수단(단추, 지퍼, 벨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대(100)는 의류의 무릎, 팔목, 정강이, 엉덩이, 발목, 머리, 가슴 등 어느 위치에나 결합될 수 있다. 또, 상의, 하의, 내복 등 다양한 종류의 의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본 발명의 보호대(100)를 덧대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대(100)는 도 3과 같이 제1 시트부재(10)와, 제1 시트부재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 시트부재(20)와, 제2 시트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그 제2 시트부재에 재봉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완충부재(30)와, 제2 시트부재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상,하면을 따라 그 제2 시트부재의 폭을 자유롭게 변형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4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시트부재(1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쿠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벌집형 원단 또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면, 양모, 합성섬유 솜을 겹층으로 배열한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트부재(10)는 쉽게 접을 수 있도록 중앙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한 접힘부(11)가 구성된다. 상기 접힘부(11)는 보호대(100)의 사이즈에 따라 2곳 이상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제1 시트부재(10)는 신축성이 있는 섬유를 사용하여 다층구조의 포를 소재로 사용하거나, 또는 탄성이 우수한 수지로 제조한 튜브 형태의 것을 평면으로 배열하고 접착한 것, 또는 탄성이 우수한 수지로된 튜브 형태의 것을 경위 방향으로 배열하고 접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시트부재(20)는 탄력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신축성이 좋은 재질의 천, 길이 방향으로 주름이 접혀있는 직물 또는 합성섬유로 된 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트부재(20)는 제1 시트부재(10) 상에 1개만 구성하여도 되고, 도 3과 같이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분리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제2 시트부재(20)에 일정 간격으로 재봉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완충부재(30)는 제2 시트부재에 고정하기 쉽고 충격 흡수와 쿠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형(봉 모양) 탄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완충부재(30)는 튜브형 탄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구형, 육면체 등으로 구성된 작은 사이즈의 다수의 쿠션부재를 제2 시트부재(20) 면에 도트형으로 배열하여 고정하여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40)은 한 예로 도 3과 같이 제1 시트부재(10)의 상,하단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한쌍의 지퍼 테이프(41), 한쌍의 지퍼 테이프의 일측을 따라 고정되는 지퍼 이빨(42), 상기 상,하단의 지퍼 이빨에 치합되는 지퍼 슬라이더(43)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시트부재(10)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부착되는 지퍼 테이프(41) 및 지퍼 이빨(42)은 제1 시트부재(10)의 양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제2 시트부재(20)의 4 모서리 부분은 4개의 지퍼 슬라이더(43)에 고정된다. 제2 시트부재(20)는 신축성을 갖는 천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양쪽의 지퍼 슬라이더(43)의 간격을 벌려 제1 시트부재(10) 상에 제2 시트부재(20)를 넓게 펼칠 수 있다. 제2 시트부재(20)를 넓게 펼치는 경우에는 제2 시트부재(20) 상에 고정된 완충부재(30)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보호대(100)의 전체 면적에 균등하게 완충부재(30)를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시트부재(20)를 넓게 펼친 경우에는 지퍼 슬라이더(43)에 형성된 스토퍼(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지퍼 슬라이더(43)가 지퍼 이빨(42)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30)는 신축성을 갖는 천 등으로 구성되는 제2 시트부재(20)의 폭 변화에 따라 그 완충부재(30)들의 배열 간격이 연동하여 변하게 된다.
반대로 양쪽의 지퍼 슬라이더(43)의 간격을 좁히면 제2 시트부재(20) 상에 고정된 완충부재(30)의 배치 간격이 좁아지므로 보호대(100)에 국지적으로 완충부재(30)를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제2 시트부재(20)에 다수의 완충부재(30)를 고정함으로서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4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호대(100) 영역 내에서 신체 보호 위치에 맞추어 제2 시트부재(20) 및 완충부재(30)를 손쉽게 간단히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40)을 이용하여 일측의 제2 시트부재(20)를 제1 시트부재(10)의 상면 중앙에 이동시켜 위치시키고, 타측의 제2 시트부재(20)를 제1 시트부재(10)의 하면 중앙에 이동시켜 위치킬 경우 보호대(10)의 양쪽면 중앙부에 완충부재(30)를 집중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 도 5와 같이 도 3의 보호대(100)를 접힘부(11)를 기준으로 하여 접으면 제1 시트부재(10)의 두께가 2배로 되므로 보호대(100)의 두께를 충분히 크게하여 충격의 완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퍼 슬라이더(43)의 간격을 벌려 제1 시트부재(10) 상에 양쪽의 제2 시트부재(20,20)를 넓게 펼친 후 스토퍼를 이용하여 지퍼 슬라이더(43)들을 지퍼 이빨(42)에 고정하면 도 6과 같이 보호대(100)의 상면 전체에 완충부재(30)를 고르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호대(100)는 도 3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 7과 같이 제1 시트부재(10)에 적어도 1층 이상의 직조층(60)을 추가로 구성하여 제1 시트부재(10)를 보강하거나, 완충부재(30)의 상단에 직조층(50)을 추가로 구성하여 충격에 의한 완충 작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보호대(100)는 외피(110)를 이용하여 감싼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외피에 체결구 즉, 고정 끈(150)이나 고정 고리 등을 구성하여 의류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호대(100)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구성의 예로는, 제전과 도전기능, 항균 방취기능, 흡수 흡한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방충기능, 방오기능을 가진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의류용 보호대(100)는 상기 예시된 되면 구조 및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발명의 목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제1 시트부재
11 - 접힘부
20 - 제2 시트부재
30 - 완충부재
40 -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
41 - 지퍼 테이프
42 - 지퍼 이빨
43 - 지퍼 슬라이더
50,60 - 직조층
100 - 보호대
150 - 고정끈
200 - 보호대 수용부

Claims (10)

  1.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는 제1 시트부재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적어도 1면의 동일 평면상에 서로 분리되어 적층되는 2조 이상의 제2 시트부재와,
    상기 각 제2 시트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그 제2 시트부재에 고정되는 복수의 완충부재와,
    상기 각 제2 시트부재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적어도 1면을 따라 그 제2 시트부재의 폭을 자유롭게 변형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제2 시트부재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부착되는 지퍼 테이프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지퍼 테이프의 지퍼 이빨에 치합되고 상기 제2 시트부재의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상측 지퍼 슬라이더와, 상기 제1 시트부재의 하단에 고정된 지퍼 테이프의 지퍼 이빨에 치합되고 상기 제2 시트부재의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하측 지퍼 슬라이더와, 상기 상측 지퍼 슬라이더 및 하측 지퍼 슬라이더에 각각 구성되는 지퍼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부착되는 지퍼 테이프는 상기 제1 시트부재의 양면에 연속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재는 벌집형 원단 또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그 제1 시트부재에 적어도 1층 이상의 직조층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재는 적어도 1곳 이상 접을 수 있도록 접힘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부재는 면, 양모, 합성섬유 솜을 겹층으로 배열한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부재는 신축성 섬유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완충부재는 튜브형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시트부재의 폭 변화에 따라 그 완충부재들의 배열 간격이 연동하여 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는 상기 의류의 무릎, 팔목, 정강이, 엉덩이, 발목, 머리, 가슴 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1곳 이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는 그 보호대의 적어도 일면에 외피가 추가로 구성되고, 의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덧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를 구비하는 의류.
KR1020230016873A 2023-02-08 2023-02-08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KR102551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873A KR102551851B1 (ko) 2023-02-08 2023-02-08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873A KR102551851B1 (ko) 2023-02-08 2023-02-08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851B1 true KR102551851B1 (ko) 2023-07-05

Family

ID=8715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873A KR102551851B1 (ko) 2023-02-08 2023-02-08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85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180A (ja) * 1988-07-08 1990-01-23 K & K Kogyo Kk プロテクタ
KR20110061560A (ko) * 2008-09-04 2011-06-09 엑스-테크날러지 스위스 게엠베하 사이클 팬츠용 보호 부재
KR200460387Y1 (ko) 2011-09-29 2012-05-24 임주현 하체 보정 의류
KR20140139252A (ko) 2013-05-27 2014-12-05 손재문 보호구가 장착되는 스포츠 의류
KR101907613B1 (ko) 2017-09-20 2018-10-12 임재록 엉덩이 보호대
KR101915474B1 (ko) * 2018-03-23 2019-01-30 (주)예담메디칼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KR20190070769A (ko) 2017-12-13 2019-06-21 김예린 보호대가 구비된 의류
KR20200008448A (ko) 2018-07-16 2020-01-28 주식회사 지니트레저 고관절 보호 의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180A (ja) * 1988-07-08 1990-01-23 K & K Kogyo Kk プロテクタ
KR20110061560A (ko) * 2008-09-04 2011-06-09 엑스-테크날러지 스위스 게엠베하 사이클 팬츠용 보호 부재
KR200460387Y1 (ko) 2011-09-29 2012-05-24 임주현 하체 보정 의류
KR20140139252A (ko) 2013-05-27 2014-12-05 손재문 보호구가 장착되는 스포츠 의류
KR101907613B1 (ko) 2017-09-20 2018-10-12 임재록 엉덩이 보호대
KR20190070769A (ko) 2017-12-13 2019-06-21 김예린 보호대가 구비된 의류
KR101915474B1 (ko) * 2018-03-23 2019-01-30 (주)예담메디칼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KR20200008448A (ko) 2018-07-16 2020-01-28 주식회사 지니트레저 고관절 보호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7418A (en) Protector and article of sportswear using the same
US9981177B2 (en) Apparatus for use with a protective cup
US8966667B2 (en) Outer garment with suspension system for attaching an inner garment
EP2956027B1 (en) Articles of apparel with garment components and pad components
EP1175840A2 (en) A shock absorbing device
US7891018B2 (en) Knee protective device
US20060277647A1 (en) Performance apparel
US9144253B1 (en) System for integrating a knee pad into a garment
KR0134849B1 (ko) 고간부(股間部) 및 고관절(股關節) 근방보호용의류
US20060277644A1 (en) Knee support system
US20050060782A1 (en) Infant pants having knee pockets and replaceable knee pads
CN102665461A (zh) 结合有保护性元件的服装
US20080000002A1 (en) Garment for protecting a part of an extremity
KR100938354B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US3146461A (en) Athletic equipment
CN108244723A (zh) 一种护膝护肘
CN109069911B (zh) 用于肩部衬垫系统的分立肩部袖筒以及其穿戴方法
KR102551851B1 (ko)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US9066544B1 (en) Protective knee pads for toddlers and children
EP0351147B1 (en) Protector and article of sportswear using the same
JP2004277967A (ja) プロテクター
WO2006137992A2 (en) Performance apparel and knee support system
CN113474052A (zh) 可调节全身保护装置
JP2009019312A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を備えた衣服
CN209862359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运动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