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849B1 - 고간부(股間部) 및 고관절(股關節) 근방보호용의류 - Google Patents

고간부(股間部) 및 고관절(股關節) 근방보호용의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849B1
KR0134849B1 KR1019940023796A KR19940023796A KR0134849B1 KR 0134849 B1 KR0134849 B1 KR 0134849B1 KR 1019940023796 A KR1019940023796 A KR 1019940023796A KR 19940023796 A KR19940023796 A KR 19940023796A KR 0134849 B1 KR0134849 B1 KR 013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hip
protective
clothing
hip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737A (ko
Inventor
마사미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츠카모토 요시타카
가부시기가이샤 와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카모토 요시타카, 가부시기가이샤 와콜 filed Critical 츠카모토 요시타카
Publication of KR95000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81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permanent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81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permanent fastening means
    • A41D13/0593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permanent fastening means in a seal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41D1/084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for cycl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41D1/08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with crotch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고관절보다 아래쪽에 다리부의 옷단선을 가지고, 가랑이부근처에 보호용패드를 가진 짧은 팬츠형상, 또는 바지형상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패드가 부직포 또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로 이루어진 패드심과 그 위를 덮는 편물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패드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용 패드는 고간부로부터 적어도 착용자의 고관절을 넘는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정도까지 다리부의 옷단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관한 것이며, 장시간의 사용에도 의류와 피부의 마찰에 의한 고간부나 고관절위치의 피부에의 통증이나 찰과상이 발생하기 어렵고, 통기성이 양호하고 진부름이 적은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을 보호하기 위한 의류를 제공할 수 있고, 자전거, 오토바이, 승마 그밖의 스포츠용으로서 바람직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이다.

Description

고간부(股間部) 및 고관절(股關節)근방보호용의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짧은 팬츠형상(반바지 형상)의 보호의류의 앞쪽에서 본 평면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서 본 평면개략도.
제3도는 제1도, 제2도에 표시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의 측면쪽에서 본 경우의 평면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보호의류를 뒤집어서 가랑이부 근방부에 붙여진 보호패드를 거의 관찰할 수 있도록 펼치고, 또한 족부를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가랑이부 상부로부터 관찰한 상태의 평면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패드심의 1태양의 단면모식도.
제6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호패드의 패드심의 이음부의 맞붙이기 봉제구조의 1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이음부근방의 부분단면모식도.
제7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보호패드의 패드심의 이음부의 맞붙이기 봉제구조의 1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이음부근방의 부분평면모식도.
제8도는 제1도의 A-A' 방향의 단면의 개략부분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1태양의 패드심의 분해부분전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른 1태양의 패드심의 분해부분전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1태양의 입체성형패드심의 위에서 본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B-B'선에 의한 입체성형패드심의 절단면의 단부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1태양의 입체성형패드심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1태양의 입체성형패드심의 제11도의 위쪽에서 본 측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C-C'선에 의한 절단면의 단부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D-D'선에 의한 절단면의 단부면도.
제17도는 제13도의 D-D'선에 의한 절단면의 다른 태양의 단부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른 태양의 입체성형패드심의 위쪽에서 본 평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F-F'선에 의한 입체성형패드심의 절단면의 단부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입체성형패드심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입체성형패드심의 제18도의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1태양의 짧은 팬츠형상의 보호용의류의 앞쪽에서 본 평면개략도.
제23도는 제22도에서 표시한 짧은 팬츠형상의 보호용의류의 뒤쪽에서 본 평면개략도.
제24도는 종래의 고간부 보호의류의 앞쪽에서 본 평면개략도.
제25도는 종래의 고간부 보호의류의 뒤쪽에서 본 평면개략도.
제26도는 종래의 고간부 보호의류의 측면쪽에서 본 평면개략도.
제27도는 종래의 고간부 보호의류를 뒤집어서 고간부에 붙여진 보호패드를 거의 관찰할 수 있도록 펼치고, 또한 족부를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가랑이부 상부로부터 관찰한 상태의 평면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호의류본체 2 : 다리부
3 : 옥단입구 4, 120 : 보호용패드
5, 6, 63, 3, 88 : 봉제라인 7 : 가랑이부중앙부
8 : 허리부 9, 10, 11 : 본체의 이음부
12, 12' : 앞부분 이음부 13 : 보호패드의 앞쪽의 선단부
14 : 보호패드의 뒤쪽의 선단부 15, 16, 17 : 본체 뒤쪽의 이음부
18 : 패드커버의 이음부 20 : 교점
51 : 부직포나 폴리우레탄발포체 52a, 52b : 패드심
61, 61' : 편물 또는 직물 62 : 보강천
81 : 패드커버 82, 86 : 이음부
84, 87 : 시접 85 : 본체천
91 : 구성편 92 : 주요구성편
본 발명은,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전거, 오토바이, 승마, 그밖의 스포츠용에 적합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의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트라이애슬론이나 각종 자전거 경기, 사이클링 등의 자전거를 사용하는 스포츠에 있어서, 고간부가 새들 등으로부터 경기중에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고간부 및 그 연장으로서 앞쪽으로 치골부근방까지 뒤쪽은 미골근방까지를 덮는 보호패드가 의류의 안쪽면에 봉제에 의해 붙여진 짧은 팬츠형상(반바지형상)이나 그보다 옷자락이 긴 바지형상의 보호용의류가 사용되고 있다.
모터크로스, 각종 오토바이의 경기 등의 오토바이용으로서는, 그다지 충격완화를 고려한 것이 없고, 자전저용의 것이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를 자주볼 수 있다. 승마술 그밖의 승마스포츠에 있어서도, 그다지 충격완화를 고려한 것이 없고, 승마바지 등에 이어서는 바지생지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혁류가 바지에 대어져 있는 정도로서, 전용 충격완화용 내부의류 등은 거의 시판되지 있지 않아, 어쩔 수 없이 통상의 일상착용의 내부의류를 착용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저전거용의 것이 전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또, 자동차랠리 등 새들이나 안장에 걸러탈 필요는 없으나, 고간부가 경기용 기구에 접하거나, 좌우의 고관절 근방의 대퇴부상부 안쪽이 상호 페달액션 등에 의해서 스칠 가능성이 있는 스포츠에 있어서는, 이들 부분에의 경기중에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보호패드가 붙여진 보호용의류로서 그다지 적절한 것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현상황이다.
종래의 이종류의 의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자전거용 반바지형상의 스패츠타입의 의류를 구체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통상 보호패드는 전후방향에 있어서는, 앞쪽은 치골부 근방까지와 뒤쪽은 미골근방까지를 덮고, 한편, 좌우방향에 있어서는 주로 고간부를 덮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고 있고, 또한 그 주위는 봉제에 의해 본체에 붙여지고, 봉제에 사용된 본제사는 피부측면에 노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가장 전형적인 짧은 팬츠형상(반바지 형상)의 이 종류의 보호의류의 일례를 제24∼제27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4도는 종래의 가랑이부 보호의류의 앞쪽에서 본 평면개략도(단, 양옆을 접는 선으로 해서 거의 평평하게 되도록 접은 상태의 평면개략도), 제25도는 그 뒤쪽에서 본 평면개략도(제24도와 마찬가지로 접은 경우), 제26도는 그 측면쪽에서 본 경우의 평면개략도(단, 바지를 바지프레서 등에 의해서 프레스할 때에 접는 것과 거의 마찬가지로 접은 경우의 측면에서 본 평면개략도), 제27도는 이 보호의류의 내면의 보호패드가 붙여져 있는 모양이 보이도록 보호의류를 뒤집어서 고간부에 붙여진 보호패드를 거의 관찰할 수 있도록 펼치고, 또한 족부를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가랑이부 상부로부터 관찰한 상태의 평면개략도를 표시하고 있다.
제24도∼제27도에 있어서, (201)이 보호의류본체, (202)는 그 다리부, (203)은 본체의 안쪽에 봉제되어 있는 보호패드, (204)는 가랑이 하부, (205)(207)은 보호패드의 주위의 봉제라인, (212)는 보호용의류의 본체의 다리부의 옷단끝에서의 되접기 부분을 표시하고, 옷단이 옷단끝에서 안쪽으로 되접어져서 되접기부분의 가장자리가 옷단주위방향으로 봉제라인(213)에 의해서 봉제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옷단의 되접기는 안쪽으로 있는 경우와 바깥쪽으로 되접어져 있는 경우가 있고, 또, 게다가 테이프형상물이 봉제에 의해 붙여져 있는 것도 있다. 제26도의 (210)은 보호패드(203)의 앞쪽의 거의 선단부이고, 제24도를 아울러서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앞부분의 치골근방을 덮을 수 있는 부분까지 뻗어 있고, (211)은 보호패드(203)의 뒤쪽의 거의 선단부이고, 제25도를 아울러서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뒷부분이 미골근방을 덮을 수 있는 부분까지 뻗어 있다.
제27도는 도면의 지면 좌우상하방향중 상부방향의 앞쪽(앞부분), 지면하부방향이 뒤쪽(뒤부분)에 상당한다. 보호패드(203)는 하부패드부재(203a)와 상부패드부재(203b)로 이루어지고, 상부패드부재(203b)는 앞쪽은 인체의 국부내지 음부의 근방으로부터 뒤쪽은 미골근방까지 고간부를 덮고 있다. (206)은 가랑이 아래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부패드부재(203b)의 중앙이음부의 봉제라인이다. 하부패드부재(203a)는 앞쪽은 상부패드부재(203b)보다도 앞쪽까지 덮고 있으며, 통상 치골근방까지 덮는 정도로 뻗어 있다. 뒤쪽은 미골근방까지 덮고 있으며, 상기 상부패드부재(203b)의 아래에 걸쳐져서 봉제되어 있다. 하부패드부재(203a)는 좌우의 이음부 봉제라인(208)에 의해서 이어져 있고, 이에 의해 하부패드부재(203a)의 앞부분이 본체천에 붙여졌을 때에, 본체천과 틈새가 벌여져서 퍼커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들 보호패드(203)는 그 좌우방향은, 고간부를 덮고 있는 정도로 고관절을 넘는 부분까지 다리부의 옷단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하부패드부재(203a)는, 본체천쪽에 폴리우레탄 발포체시트, 피부쪽부에 두꺼운 파일편물 내지 파일직물이 사용된 2중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패드부재(203b)는 또 위로부터 봉제되어 있고, 상부패드부재(203b)로서는 통상의 직물이나 편물에 비해서 약간 두꺼운 새미가죽이나 그것과 유사한 느낌의 합성피혁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호패드를 가진 의류를 착용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스포츠를 할 경우, 이들 스포츠중에는 상당한 장시간을 요하는 것도 많고, 예를 들면 트라이애슬론 경기에서는 6시간 정도 자전거를 타지 않으면 안되고, 사이클링에서도 1일 소요 또는 수일 소요의 사이클링도 있고, 오토바이의 내부레이스 등이나 자동차랠리 등도 장시간을 요한다. 또, 경기자체는 그다지 장시간을 요하지 않는 것이라도, 평소의 연습은 필요하므로, 어떤 스포츠든 합계 연습시간을 상당한 장시간이 된다.
따라서, 자전거나 오토바이, 승마술 등의 경우는,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에 걸터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종래의 보호용의류를 착용한 경우에는 제27도의 주위봉제라인(205)과, 상부패드부재(203b), 하부패드부재(203a)의 가장자리의 단차가 있는 부분근방은 거의 상시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에 닿고, 체중 등의 무게가 가해져서 이 부분에서 좌우방향에 있어서는 고관절에, 또 앞부분에 있어서는 상부패드부재(203b)의 주위봉제라인(205)과, 상부패드부재(203b)의 가장자리의 단차가 있는 부분근방은 국부나 음부가 강하게 스치고,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패드의 좌우방향의 폭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보호패드가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은, 예를 들면 새들의 옆으로 스치거나, 오토바이에서의 커브를 주행할 때 등 소위 옆타기상태(타는 사람의 가랑이가 새들의 중앙으로부터 옆으로 벗어난 상태에서 타는 것)에서 상기 고관절 근방이 보다 강하게 새들이나 시트와 스치거나, 또, 거꾸로 구부리기의 커브 등에 접어들었을 경우는, 신체를 반대쪽으로 벗어나게 해서 체중이동하기 때문에 그 반대쪽의 고관절 근방이 강하게 스치고, 결국은 찰과상을 발생하여, 아파서 더 착용할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상체에 의해 경기의 속행에도 지장을 초래하는 이도 생길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충격완화를 고려하지 않은 종래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내부 의류 등을 착용한 경우에는, 충격완화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옷단의 되접기나 옷단테이프의 두께에 따라 생기는 단의 부분이나, 솔기가 피부에 닿아서 스치고, 마찬가지로 찰과상을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새들 등에 걸터타지 않는 종류의 스포츠에서도 자동차랠리 등 고간부가 시트 등의 사용하는 스포츠용구에 접하는 스포츠에 있어서는 충격완화를 위하여 상기한 종래의 자전거용 보호의류를 착용한 경우, 예를 들면 자동차랠리 등에 있어서는, 일반사람들의 예상에 반해서, 액셀이나 클러치, 브레이크의 매우 빈번한 페달류의 바꾸어밟기액션이 요구되고, 이들 동작에 의해 고간부가 자동차시트에 스치는 동시에, 좌우의 고관절근방이 발의 페달바꾸기밟기액션에 의해 주위봉제라인(205)과 스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고관절위치의 피부의 통증이나 찰과상을 발생하기 쉽고, 착용감이 상당히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품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패드커버 등에 새미가죽이나 그것과 유사한 느낌의 합성피혁 등의 통기성이 나쁜 소재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땀을 흘린 경우에 진무르기 쉽고, 국부나 음부의 위생에도 나쁘고, 가렵게 되는 등 착용감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고, 장시간의 사용에도 의류와 피부의 마찰에 의한 고간부나 고관절위치의 피부에 통증이나 찰과상이 생기기 어렵고, 통기성이 양호하고, 진무름이 적은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 근방을 보호하기 위한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착용자의 고관절보다 아래쪽에 다리부의 옷단선을 가지고, 가랑이부 근방에 보호용패드를 가진 짧은 팬츠형상, 또는 바지형상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패드가 부직포 또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이루어진 패드심과 그 위를 덮는 편물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패드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용패드는 고간부로부터 적어도 착용자의 고관절을 넘는 부분을 덮을 수 있을 정도까지 다리부의 옷단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이다.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보호용패드가, 보호용의류본체천의 안쪽에 붙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보호용패드가 그 앞쪽은 치골근방까지, 뒤쪽은 미골근방까지 덮고 있는 보호용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패드심을 구성하는 부직포가 단위면적당 무게 0.05∼0.09g/cm3의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패드심을 구성하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외관밀도 0.02∼0.09g/cm3의 연속기포연질 폴리우레탄발포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패드심이 부직포 또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와 적어도 그 편면에 편물 또는 직물이 적층된 패드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패드커버가 이음부를 가지지 않는 패드커버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패드커버가 이음부를 가진 패드커버이고, 상기 패드커버의 이음부가 그 시접이나 솔기가 패드커버의 이음부의 안쪽에서 처리되고, 겉쪽에 이음부의 시점이나 솔기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보호용패드가, 패드커버와 패드심이 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적층되어 이루어진 보호용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패드심이 연속시트형상이고,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접합하도록 입체형성된 패드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패드심이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부재가 맞붙여져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입체형상으로 완성된 패드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패드심이 가랑이 아래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은 중앙이음부와 앞부분치골부보다 약간 아래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비스듬히 상방향으로 뻗은 앞부분이음부를 가지고, 상기 패드심을 맞댄 상태에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봉제되어 있거나 또는 열융착되어 이루어진 패드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의 본체의 다리부의 옷단끈이 되접기 부분 또는 옷단끝보강테이프를 가지지 않고 옷단끝 근처에 있어서 상기 되접기부분 또는 옷단끝보강테이프를 봉제하기 위한 옷단주위방향의 봉제를 가지지 않는 옷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보호용의류를 구성하는 본체천이 신축성을 가진 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보호용의류가 자전거용, 오토바이용, 승마용의 어느 하나의 라이딩용 의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는 착용자의 고관절보다 아래쪽에 다리부의 옷단선을 가지고, 가랑이부 근방에 보호용패드을 가진 짧은 팬츠형상 또는 바지형상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패드가 부직포 또는 연소기포의 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이루어진 패드심과 그 위를 덮는 편물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패드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보호용패드의 패드커버로서 합성피혁, 천연피혁 등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통기성이 좋고,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진부름이 적어서 위생적이고 땀을 흘려도 착용감의 저하가 적다. 또, 패드심도 부직포 또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로 이루어지므로 통기성이 유지된다. 특히 부직포의 경우에는 매우 뛰어난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용패드는 적어도 착용자의 고관절을 넘는 부분을 덮을 수 있을 정도까지 다리부의 옷단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고, 즉, 종래품에서는 주목되고 있지 않았던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보호패드가 다리부의 옷단방향을 향해서 뻗어 있다. 따라서 문제가 되는 착용자의 고관절부분에는 보호패드의 솔기나 두께가 있는 보호패드의 주위가장자리부의 단차도 없고, 보호패드의 솔기가 천의 두께가 있는 가장자리부가 피부와 강하게 스치거나, 피부에 죄어들거나 할 염려가 없고, 장시간의 사용에도 의류와 피부의 마찰에 의한 통증이나 찰과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착용감이 뛰어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보호용패드가, 보호용의류본체천의 안쪽에 붙여져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보호용패드가 의류본체의 겉쪽에 나타나고 있지 않으므로, 외관이 말끔한 단순한 디자인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보호용패드가 그 앞쪽은 치골근방까지, 뒤쪽은 미골근방까지 덮고 있는 보호용패드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인체가 전후로 움직이거나 새들 그밖의 사용하고 있는 스포츠용구와의 인체의 전후 방향으로부터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나 스침에 의한 찰과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착용감이 뛰어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을 구성하는 부직포가 단위면적당 무게 0.05∼0.09g/cm3인 부직포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패드심을 구성하는 부직포이 단위면적당 무게가 0.05∼0.09g/cm3의 범위이므로 적당한 쿠션성(충격완화성)과 양호한 통기성을 가지고, 충격완화성과 뛰어난 통기성을 균형좋게 구비한 바람직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을 구성하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가, 외관밀도 0.02∼0.09g/cm3의 연속기포연질 폴리우레탄발포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패드심을 신체의 고간부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소정의 모양으로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경우에 성형성이 양호하고, 코스트로 비교적 연가로 할 수 있다. 외관밀도 0.02∼0.09g/cm3의 연속기포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를 사용하므로,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하고 또한 필요한 충격완화성을 가진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이 부직포 또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와 적어도 그 편면에 편물 또는 직물이 적층된 패드심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패드심이 부직포인 경우에는 편물 또는 직물에 의해서 보강되어 모양붕괴를 방지할 수 있고, 봉제나 재단시에 취급이 부직포만으로 이루어진 패드심에 비해서 용이하게 되고, 보풀이 일거나 보플이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패드심이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의 경우에는 그 표면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적층하는 편물 또는 직물로서, 항균성이나 항취성가공이 실시된 천이나 흡수성이 좋은 천을 사용할 수도 있고,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도 땀흘림이나 진무름에 대해서 위생적인 면에서의 개량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가려움 등이 생기기 어려운 보다 차용감이 좋은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커버가 이음부를 가지지 않는 패드커버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패드심의 이음부의 봉제부분이나 오목블록의 피부쪽에의 영향을 완화하고, 또, 패드커버자체도 이음부를 가지지 않으므로, 이음부의 봉제사가 피부와 스쳐서 피부를 아프게 하는 일도 없고 장시간 착용해도 착용감의 저하가 더욱 적고, 보다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특히 이음부를 가지지 않는 패드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드심도 이음부를 가지지 않는 패드심을 사용해서 입체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보호패드로 하므로써, 보다 뛰어난 착용감을 가진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커버가 이음부를 가진 패드커버이고, 상기 패드커버의 이음부가 그 시접이나 솔기가 패드커버의 이음부의 안쪽에서 처리되고, 겉쪽에 이음부의 시접이나 솔기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구조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패드커버의 이음부의 봉제사가 피부쪽에 나타나게 되는 일이 없으므로, 이음부의 봉제사와의 마찰에 의한 착용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고, 또, 이음부의 봉제사가 마찰에 의해 마모해서 절단된 염려가 적어져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보호용패드가, 패드커버와 패드심이 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적층되어 이루어진 보호용패드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봉제에 비해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호용패드가 신체의 고간부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입체성형된 보호용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드심의 입체성형시에 패드커버를 겹쳐두어서 양자를 동시에 입체성형함으로써, 이 양자의 접착 또는 열융착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보다 제조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는, 패드심이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입체성형된 연속시트형상의 패드심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패드심을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복수의 부재를 맞붙여서 작성할 필요가 없고, 일체적으로 연속하고 있는 패드심용 소재를 소망의 모양으로 입체성형함으로써, 소망의 형상의 패드심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심을 작성할 경우에 맞붙임의 필요가 없고, 대폭적으로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 패드심에 이음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양호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이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부재가 맞붙여져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입체형상으로 완성된 패드심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패드심의 의류본체의 형상을 따라서 모양좋게 봉제할 수 있고, 또한, 인체와 고정하기 쉬운 형상이 되고, 운동시에 넓적다리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착용감이 뛰어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이 가랑이 아래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은 중앙이음부와 앞부분치골부보다 약간 아래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비스듬히 상방향으로 뻗은 앞부분이음부를 가지고, 상기 이음부가 패드심을 맞댄 상태에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봉제되어 있거나 또는 열융착되어 이루어진 패드심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패드심의 이음부에서 단차를 적게 할 수 있고,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이들 이음부가 존재함으로써, 패드심을 의류본체의 형상에 따라서 모양좋게 봉제할 수 있고, 또한, 본체와 고정하기 쉬운 상태로 봉제할 수 있어, 운동시에 넓적다리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착용감이 뛰어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본 보호용의류본체의 다리부의 옷단끝이 되접기 부분 또는 옷단끝보강테이프를 가지지 않고 옷단끝 근처에 있어서 상기 되접기부분 또는 옷단끝보강테이프를 봉제하기 위한 옷단주위방향의 봉제를 가지지 않는 옷단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옷단부분의 두께를 보다 적게 할 수 있고, 이 부분의 생지의 단차나 봉제사가 피부와 닿아서 스치는 것에 의해 착용감의 저하가 방지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보호용의류를 구성하는 본체천이 신축성을 가진 천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동작하는 경우의 저항감이 보다 적고 보다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고, 따라서 착용감이 양호하고 피로도 보다 적게 할 수 있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의류가 자전거용, 오토바이용, 승마용중의 어느 하나의 라이딩용 의류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특히 자전거에 탄 경우, 오토바이에 탄 경우, 승마술의 경우에 있어서는, 넓적다를 벌려서 걸러탄 모양으로 타기 때문에, 고간부가 직접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 등에 접촉하기 때문에,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 등으로 부터의 충격을 비교적 직접 받지 않으면 안되고, 또 사아기한 바와 같이 고관절부분이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 등에 강하게 당접되어 스침이 생기기 쉬운 상태가 되나,본 발명의 의류는 이들 충격을 완화하고, 스침에 의한 통증, 찰과상의 발생을 막는데 매우 적합하고 또한 통기성이 좋고, 상기한 작용이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어, 상기 라이딩용 보호용의류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는 착용자의 고관절보다 아래쪽에 다리부의 옷단선을 가지고, 가랑이부 근방에 보호용패드를 가진 짧은 팬츠형상 또는 바지형상의 의류, 즉, 허리부로부터 적어도 고관절을 넘는 부위에 이르는 부분을 덮고 가랑이부를 가진 짧은 팬츠형상 또는 바지형상의류는 물론, 적어도 착용자의 허리부로부터 적어도 고관절을 넘는 부분을 덮고 또한 가랑이부를 가진 의류이며, 허리부로부터 보다 위쪽의 부분, 예를 들면 가슴, 등 따위가 일체로 되어 있는 등 상반신부분이 부수하고 있는 의류도 포함된다. 즉 본 발명에서「짧은 팬츠형상 또는 바지형상의 의류」란 짧은 팬츠부분 또는 바지부분을 가지고 있으면, 상반신부분 등이 일체적으로 부수하고 있는 의류도「짧은 팬츠형상 또는 바지형상의 의류」로서 포함된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자전거, 오토바이, 승마에 관련된 스포츠, 즉, 이들의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 등에 걸터타서 행하는 스포츠용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나 자동차랠리 등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 등에 걸터탈 필요는 없으나, 둔부나 고관절부분 등이 경기용 기구에 접하느 스포츠용 보호용의류 등으로서 고간부나 고관절근방에의 충격이나 그 부분의 피부에의 스침의 영향을 완화하고, 쾌적하고 스포츠를 행하는데 적합한 의류로서 바람직하고, 특히 자전거, 오토바이, 승마 등과 같이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 등에 걸터타서 행하는 스포츠의 라이딩용 보호의류로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짧은 팬츠형상(반바지형상)의 보호의류에 대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짧은 팬츠의 옷안이 더욱 길어져서 무릎보다 아래의 하지부(下肢部)에 까지 도달하고 있는 바지형상의 것이나, 이들에 상반신부분 등이 일체적으로 부수하고 있는 의류 등도 포함되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짧은 팬츠형상(반바지형상)의 보호의류의 앞쪽에서 본 평면개략도(단, 가랑이부 근처의 상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양옷단을 각각 좌우방향으로 벌린 상태에서 표시되어 있다). 제2도는 그 뒤쪽에서 본 평면개략도(제1도와 마찬가지고 양 옷단을 각각 좌우방향으로 벌린 상태), 제3도는 그 측면쪽에서 본 경우의 평면개략도(단, 바지를 바지프레서 등에 의해서 프레스할 때에 접는 것과 거의 마찬가지로 접은 경우의 측면에서 본 평면개략도), 제4도는 이 보호의류의 이면의 보호패드가 붙여져 있는 모양이 보이도록 보호의류를 뒤집어서 가랑이부 근방부에 붙여진 보호패드를 거의 관찰할 수 있도록 펼치고, 또한 족부를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가랑이부 상부로부터 관찰한 상태의 평면개략도를 표시하고 있다.
제1도∼4도에 있어서, (1)이 보호의류본체, (2)는 다리부이고,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다리부의 옷단입부(3)는 고관절을 넘어서, 대퇴부의 거의 중간, 즉 무릎과 고관절의 거의 중간근방까지 뻗어 있다. 또 옷단입구(3)의 부분은 통상 행해지는 옷단끝처리를 위한 되접기가 없고, 그 되접기부분을 봉제하기 위한 옷단주위방향의 봉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즉 옷단끝이 풀리지 않도록 직조 혹은 편조되어 있는 천(즉, 옷단처리를 위한 봉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천)을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상기한 바와 같이 옷단부분의 두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이 부분의 생지의 단차가 보다 적어지고, 이 부분에 의해서 생긴 단차부분이 피부와 닿아서 스치는 것에 의한 착용감이 저하가 방지되고, 보다 바람직하다. 단, 물론 보호래드(4)와 보호의류본체(1)가 옷단입구부분에서 봉제라인(6)에 의해 봉제되어 있는 것은 지장없다. 또한, 다리부가 긴 의류의 경우 등에 있어서는 옷단입구가 되접어져서 2중구조로 되어 있어도 지장없다.
보호의류본체(1)를 구성하는 본체천은 예를 들면 파워네트편물, 투웨이트리콧편물, 스트레치새틴직물 등, 그밖에 스판덱스섬유사용한 각종의 신축성을 가진 천(편물 또는 직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4)는 보호의류본체(1)의 내면쪽에 봉제에 의해 붙여져 있는 보호용패드이고, (5)는 보호패드의 주위의 봉제라인, (6)은 상기 보호패드의 주위의 봉제라인(5)중의 옷단부봉제라인으로서 이 예에서는 옷단입구(3)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보호패드(4)는 고관절을 넘어서, 대퇴부의 거의 중간, 즉 무릎과 고관절의 거의 중간근처까지 뻗어 있는 옷단입구(3)와 동일위치까지 뻗어 있다. (7)은 가랑이부 중앙부, (8)은 허리부, (9)(10)(11)은 본체의 이음부, (12)(12')는 앞부분 치골부보다 약간 아래의 중앙(20)으로부터 좌우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각각 뻗은 패드심의 앞부분 이음부이고, 실제로는 이 부분은 패드심이 본체천(1)이나 후술하는 패드커버에 의해서 덮여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13)은 보호패드의 앞쪽의 선단부로서 이 예에서는 국부나 음부를 넘어서 치골부의 위까지 달하고 있다. (14)는 보호패드의 뒤쪽의 선단부로서 이 예에서는 고간부를 덮어서 미골의 근방에 달하고 있다. (15)(16)(17)은 본체(1)의 뒤쪽의 이음부이다. 또, 제4도에 표시되고 있는 (18)은 가랑이부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드커버의 이음부이고, 또, 그 아래의 패드심도 거의 마찬가지의 위치에 이음부를 가지고 있다. 단, 가랑이부 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드심의 이음부는, 남성용과, 여성용에서 다른 태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남성용은 국부의 팽창이 있기 때문에, 그 팽창이 실현하기 쉽도록, 가랑이부 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드심의 이음부는, 보호패드의 뒤쪽의 선단부(14)로부터 패드시의 앞부분 이음부(12)(12')의 교차하는 부분(앞부분 치골부보다 약간 아래의 중앙)(20)까지와, 또 이 교점(20)으로부터 보호패드의 앞쪽의 선단부(13)의 부분에도 이음부를 형성하고 있다. 여성용은 음부에 팽창이 없으므로, 가랑이부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드심의 이음부는 보호패드의 뒤쪽의 선단부(14)로부터 패드심의 앞부분이음부(12)(12')의 교차하는 부분(앞부분치골부보다 약간 아래의 중앙)(20)까지여도 되고, 이 교점(20)으로부터 보호패드의 앞쪽의 선단부(13)의 부분에는 이음부가 없고 좌우일체인 피스를 사용함으로써, 앞부분에 불필요한 팽창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패드심이 가랑이 아래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은 중앙이음부」란 이 양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패드심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태양에 있어서는 부직포가 사용되고, 특히 단위면적당 무게 0.05∼0.09g/cm3의 부직포,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0.07g/cm3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당한 쿠션성(충격완화성)과 매우 뛰어난 통기성을 가지고, 충격완화성과 양호한 통기성을 균형좋게 구비한 바람직한 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태양에 있어서 패드심으로서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로서는 외관밀도 0.02∼0.09g/cm3의 연속기포연질 폴리우레탄발포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속기포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를 사용하는 것이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하고 또한 필요한 충격완화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또, 패드심으로서는, 부직포단독이나 연속기포연질 폴리우레탄발포체 단독이어도 되나, 예를 들며 제5도에 그 단면모식도를 표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나 폴리우레탄발포체(51)의 적어도 편면(도시한 제5도의 예는 양면의 경우를 표시했다)에 편물 또는 직물(61)(61')이 적층된 패드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패드심을 사용함으로써, 부직포의 경우에는 패드심이 편물 또는 직물에 의해서 보강되어 모양붕괴를 방지할 수 있고, 봉제나 재단시의 취급이 부직포만으로 이루어진 패드심에 비해서 용이하게 되고, 보풀이 일거나 보풀이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폴리우레탄발포체의 경우에는 그 표면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적층하는 편물 또는 직물로서 향균성이나 항취성가공이 실시된 천이나 흡수성이 좋은 천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이러한 태양으로 하면,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땀흘림이나 진무름에 대해서 위생적인 면에서의 개량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학 되고, 가려움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보다 착용감이 좋은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제6도, 제7도에 보호패드의 패드심의 이음부의 맞붙이기 봉제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6도에 있어서는 이음부근방의 부분단면모식도를, 제7도에 있어서는 제6도의 위에서 본 평면모식도를 표시했다. 제6도, 제7도에 있어서, 이음부의 봉제가 패드심(52a)(52b)를 맞댄 상태에서, 이 예에서는 맞댐부분의 위쪽에 통상의 비교적 얇은 직물 내지 편물 등의 보강천(62)을 대서, 당해 보강천(62)과 함께 봉제라인(63)에 의해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봉제되어 있다. 보강천(62)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나, 보강천을 사용하는 편이 봉제강도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봉제구조로 하므로써, 패드심의 이음부에서의 단차를 적게할 수 있고, 보다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지그재그형상의 봉제의 대신에, 마찬가지로 패드심(52a)(52b)을 맞댄 상태에서 열융착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열융착의 경우는, 패드심심(52a)(52b)의 부직포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의 일부에 열융착섬유를 사용해도 되고, 패드심심(52a)(52b)의 맞댐부분의 상하에 열융착테이프(열융착섬유시트로 이루어진 테이프형상물을 포함한다)를 대서 열융착을 해도되고, 이 양자를 병용하는 등 적당한 열융착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8도에 본 발명의 보호의류의 보호패드부분이 붙여져 있는 부분의 단면의 단부면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보호패드가 붙여진 부분의 가량이부 중앙부(7)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의 단부면도를 표시했다. 제1도의 A-A' 방향의 단면의 개략부분단부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제8도에 있어서 패드심(52a)(52b)의 봉제구조는 제6도에 표시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했다. 이 예에서는 패드커버(81)는 중앙부에 이음부(82)를 가지고, 패드커버(81)의 단부의 시접(84)은 패드심(51a)(52b)쪽(이하 안쪽이라고 약칭한다)으로 절곡되고 또한, 안쪽에서 봉제라인(83)에 의해서 봉제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하므로써, 패드커버의 이음부의 봉제사나 시접이 피부쪽으로 나타나게 되는 일은 없고, 이음부의 봉제사나 시접과의 마찰에 의한 착용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85)는 보호의류본체(1)의 본체천의 일부를 표시하고 있고 중앙부(제1도의 가랑이부 중앙부(7)에 상당하는 부분)에 이음부(86)를 가지고, 본체천(85)의 단부의 시접(87)은 패드심(52a)(52b)쪽(이하 안쪽이라고 약칭)으로 절곡되고 또한 안쪽에서 봉제라인(88)에 의해서 봉제되고 있다. 이와같은 봉제구조로 하므로써, 시접(87)이 외부로 나타나지 않고 겉보기가 좋은 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보호패드가 보호의류본체(1)의 겉쪽에 붙여질 경우에는, 제8도에 있어서 (85)가 패드커버이고 (81)이 보호의류본체(1)의 본체천의 일부라고 간주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8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예를 들면 패드커버(81)와 패드심(52a)(52b)과의 사이에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편물 또는 직물을 또 삽입해도 되고, 이러한 편물 또는 직물로서 항균성이나 항취성가공이 실시된 천이나 흡수성이 좋은 천을 사용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땀흘림이나 진무름에 대해서 위생적인 면에서의 개량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가려움 등이 생기기 어려운 보다 착용감이 좋은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제9도와 제10도에 패드심을 구성하는 각 패드심의 구성편으로 분해한 경우의 부분전개도의 일태양을 표시했다. 제9도가 남성용이고, 제10도가 여성용이다. 모두 우측절반의 구성편의 전개도를 표시하고 있고, 좌측의 좌우대칭이므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한 제4도에 있어서의 패드심의 이음부의 설명과 아울러서 참조하면 보다 이해가 용이하게 된다.
제9도의 남성용 패드심에 있어서는 패드심의 앞부분의 구성편(91)과 그보다 뒤쪽의 주요구성편(92)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시하고 있지 않은 좌측의 구성편도 합하면 4개의 구성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B-C, E-F의 선으로 각각 좌측의 각 대응구성편과 봉제되고 제4도에 있어서 설명한 가랑이부 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는 패드심의 이음부가 된다. 남성용의 경우는 또 C-D선과 E-J선이 서로 약간 블록하게 되어 있고 이 부분을 상호로 봉제한다. 이렇게 하므로써, 남성용은 국부의 팽창에 대응하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좌측의 구성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GHIJ로 포위되는 부분은 패드심이 다리부의 옷단방향으로 뻗어 있는 부분이다. 제9도에 있어서는 다리부의 옷단방향으로의 뻗음이 제10도의 것에 비해서 약간 짧은 태양의 것을 표시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것은 아니고, 적어도 고관절을 넘는 정도 이상으로 뻗어 있으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고관절과 무릎의 사이의 대퇴부안쪽의 고관절근처의 대퇴부 안쪽상부까지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길이를 수치로 표시하는 것은 착용자의 신체치수에 따라서 다르므로 신체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어려우나, 예를 들면 표준적인 성인남자등의 치수로서, 제1도의 가랑이부중앙부(7)로부터 다리부의 옷단입부(3)방향으로의 길이로 해서 대강 12cm 정도이면 고관절부분을 넘는 정도의 길이가 된다고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수로서 대강 13cm 이상이 바람직하다.
제10도의 여성용패드심에 있어서도 패드심의 앞부분의 구성편(91)과 그 보다 뒤쪽의 주요구성편(92)으로 이루어져 있고, 앞부분의 구성편(91)의 B-C선을 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는 것은, 도시하고 있지 않은 그 왼쪽부분은 B-C선을 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는 것은, 도시하고 있지 않은 그 왼쪽부분의 B-C선으로 잘려있는 것이 아니라, B-C선에서 좌우대칭이 되어 일체로 된 1개의 구성편이 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용패드심의 구성편은 주요구성편(92)이 좌우대칭이고 2개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합계 3개의 구성편으로 이루어진 점이 상기 남성용 구성편과 다르다. 주요구성편(92)은 E-F선에서 각각 왼쪽의 각 대응 구성편과 봉제되고, 또, E-K선에서 C-D선과 봉제되어 있다. E-K선과 C-D선은 서로 약간 오목형상의 곡선으로 되어 있고, 봉제에 의해, 여성의 서혜부근방의 형상에 보다 따르기 쉬운 모양이 된다.
E-K선의 왼쪽대칭부분에 있어서도 C-D선의 왼쪽대칭부분에 마찬가지로 봉제되어 있다. 여성용은 음부에 팽창이 없으므로, 앞부분의 구성편(9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일체인 연속된 구성편이 사용되고 있다. GHIJ로 포위되는 부분은 다리부의 옷단방향으로 뻗어 있는 부분에는, 제10도에 있어서는 옷단반향으로의 뻗음이 제9도의 것에 비해서 약간 긴 태양의 것을 표시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상기한 바와같다. 이상, 제4도, 제9도, 제10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패드심은 패드심이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복수의 부재가 맞붙여져서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바의 형상이 거의 적합하도록 입체형상으로 완성된 패드심의 예이다. 이러한 입체형상으로 하므로써, 패드심을 의류본체의 형상을 따라서 모양좋게 봉제할 수 있고, 또한, 인체와 고정하기 쉬운 모양이 되고, 운동시에 넓적다리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착용감이 뛰어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이음이 없는 연속시트형상의 폴리우레탄발포체나 부직포를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한 모양으로 입체성형해서 얻어진 성형패드심의 위에서 본 평면도를 제11도에, 또 제11도의 B-B'선에 의한 절단면의 단부면도를 제12도에, 성형패드심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를 제13도에, 제11도의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를 제14도에, 제13도의 C-C'선에 의한 절단면의 단부면도를 제15도에, 제13도의 D-D'선에 의한 절단면의 단부면도를 제16도에, 제13도의 D-D'선에 의한 절단면의 다른 태양의 단부면도를 제17도에 각각 표시했다. 제11도~제14도에 있어서 패드심의 앞쪽부분(111)이 신체의 앞쪽이 되고, 이 예에서는 착용자의 국부나 음부를 넘어서 치골부의 위까지 달하고 있다. 패드심의 뒤쪽부분(112)이 신체의 뒤쪽이 되고, 이 예에서는 착용자의 미골의 근방에까지 달하고 있다. (113)은 신체의 오른쪽의 고관절을 넘어서 다리부의 옷단입구 방향을 향해서 뻗어 있는 부분이고, (114)가 신체의 왼쪽의 고관절을 넘어서 다리부의 옷단입구방향을 향해서 뻗어 있는 부분이다. 제12도, 제13도로 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고관절을 넘어서 다리부의 옷단입구방향을 향해서 뻗어 있는 부분(113)과 (114)는 각각 착용자의 고관접근방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된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13도와 제14도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패드심의 앞쪽부분(111)과 패드심의 뒤쪽부분(112)은 신체의 형상을 따라서 각각 위쪽으로 구부러진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15도는 제13도의 C-C'선에 의해 절단면의 단부면도인, 제15도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패드심의 뒤쪽부분(112)은 힙의 둥그스름한 모양을 따르도록 곡면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패드심의 앞쪽부분(111)의 제13도의 D-D'선에 의한 절단면의 단부면도는, 그 일태양인 제16도 또는 그 다른 태양인 제17도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약간 구부러지고 있거나 비교적 평평한 모양이고, 이 예에서는 제16도에 표시한 모양이 남성용에 적합한 형상이고, 제17도에 표시한 모양이 여성용에 적합한 모양이다. 또, 필요에 따라서 패드심의 각 부분의 두께 등을 신체의 형상과 일치하기 쉽도록 바꾸어서 두께방향으로 오목블록을 적당히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남성의 신체의 국부나 여성의 신체의 음부의 모양이 다르므로, 이 부분에 대어지는 패드심의 두께방향의 형상등을 남성용과 여성용에서 다른 모양으로 성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입체성형된 패드심은 앞의 실시예에서 표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부재를 맞붙이고 있지 않으므로, 대폭으로 제조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 패드심은 이음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한층 더 양호하게 된다. 또한 이음이 없는 연속시트형상물을 패드심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편평한 시트형상인 그대로 의류본체천을 붙이면, 신체의 고간부근처의 형상에 적합하기 어려우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한 모양으로 입체성형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성형은 금형 등을 사용해서 가열하여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입체성형을 행하는 경우 패드심의 소재로서는 상기한 폴리우레탄발포체가 성형성의 점에서 뛰어나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부직포가 마찬가지로 입체성형해서 사용할 수 있다.
입체성형의 성형조건은,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의 경우에는, 폴리우레탄의 종류나, 발포체의 외관밀도나, 발포체의 두께 등에 따라 다르나, 예를 들면, 200~230℃에서 20~60초 정도이다.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의 입체성형의 성형조건은,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나,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무게 등에 따라 다르나 폴리에스테르섬유나 폴리아미드섬유등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200~250℃에서 20~50초 정도이다.
이러한 입체성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패드커버도 이음이 없는 연속시트형상의 패드커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시트형상의 패드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드심과 패드커버의 사이에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열융착성 접착제 그밖의 적당한 접착제를 개재시켜 두어 패드심과 패드커버를 동시에 입체성형함으로써, 입체성형된 보호용패드를 얻을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패드커버 및/또는 패드심의 구성 성분에 열융착성 섬유등의 열접착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입체성형시에 이 양자를 동셰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입체성형도 보호패드는 그 주위의 가장자리를 의류본체전에 봉제에 의해 붙여진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짧은 팬츠형상의 보호용의류의 앞쪽에서 본 평면개략도를 제22도에 표시했다. 또, 그 뒤쪽에서 본 평면개략도를 제23도에 표시했다. 또한, 제22도, 제23도에 있어서 (120)이 보호용패드이고, 이 보호용패드(120)는 상기한 태양과 마찬가지로 보호의류본체(1)의 안쪽에 봉제에 의해 붙여져 있다.
다음에 제18도~제21도를 인용해서 연속시트형상의 폴리우레탄발포체나 부직포를 마찬가지로 입체성형해서 얻은 다른 태양의 성형패드심에 대해서 설명한다.
입체성형해서 얻어진 성형패드심의 위에서 본 평면도를 제18도에, 또 제18도의 F-F'선에 의한 절단면의 단부면도를 제19도에 성형패드심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를 제20도에, 제18도의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를 제21도에 표시했다.
제18도~제21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 입체형상은 앞의 실시태양과 거의 동일하다. 제11도~제17도에서 표시한 태양의 패드심과 다른 부분은, 신체의 고관절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 적당한 구멍(115)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 구멍(115)을 형성함으로써, 고관절부분에서 한층 더 적곡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감이 한층 더 양호하게 되고, 또 착용자가 운동할 때에 넓적다리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고, 통기성도 한층 더 양호하게 되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멍(115)을 형성하는 것은 특히 패드심으로서 폴리우레탄발포체를 사용한 경우에 바람직하다. 그밖의 점은 실질상 제11도와 제12도에 표시한 태양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부분에는 동일기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제20도의 C-C'선에 의한 절단면의 단부면도는 제15도와 동일하고, 제20도의 D-D'선에 따른 절단면의 단부면도는 제16도나 제17도에 표시한 도면과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또, 패드커버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이 패드심을 사용해서 짧은 팬츠형상의 보호용의류로 한 경우의 앞쪽에서 본 평면개략도는 제22도와, 또 그 뒤쪽에서 본 평면개략도는 제23도와 거의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했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보호의류의 본체의 다리부를 더욱 길게 해서 바지형상으로한 경우에, 보호패드는 원칙적으로 고간부로부터 고관절을 넘는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정도까지 다리부의 옷단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으면 되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보다 길게 해도 되고, 또 고간부로부터 고관절을 넘는 부분까지의 보호패드가 붙여지고, 또 필요한 부분, 예를 들면 무릎과 복사뼈의 사이 등에 보호패드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와 같은 필요부분에 또 보호패드를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한 패드커버에 대해서는 편물 또는 직물이 사용되고, 패드커버는 봉제에 의해 패드심 및/또는 본체천에 붙여져 있어도 되고, 또 패드커버는 패드심과 접착 또는 열융착등에 의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패드커버에 사용되는 편물 또는 직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콧편물, 평직물 등의 비신축성의 편물 또는 직물이나, 파워네트편물, 투웨이트리콧편물, 스트레치새틴직물, 그밖에 스판덱스섬유 사용한 각종의 신축성을 가진 편물 또는 직물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거나, 보호용패드는 필요하면, 의류본체천의 겉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의류본체천의 일부부품의 대체로서 보호패드를 사용해도 된다. 즉, 고간부로부터 적어도 착용자의 고관절을 넘는 부분에 본체천을 사용하지 않고, 이부분을 보호용패드로 대체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는 통기성이 좋고,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진무름이 적어서 위생적이고 땀을 흘려도 착용감의 저하가 적고, 또한, 고간부나 고관절부분은 보호패드에 의해서 충격을 완화할 수 잇고, 장시간의 사용에도 의류와 피부의 마찰에 의한 통증이나 찰과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착용감이 뛰어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보호용패드의 패드심으로부터 부직포를 사용한 경우에는 매우 뛰어난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보호용패드가 보호용의류본체천의 안쪽에 붙여져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보호용패드가 의류본체의 겉쪽에 나타나고 있지 않으므로 외관이 말끔한 단순한 디자인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보호용패드가 그 앞쪽은 치골근방까지, 뒤쪽은 미골근방까지 덮고 있는 보호용패드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인체의 전후방향으로부터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나 스침에 의한 찰과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착용감이 뛰어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을 구성하는 부직포가 단위면적당 무게 0.05~0.09g/㎤의 부직포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적당한 쿠션성(충격완화성)과 양호한 통기성을 가지고, 충격완화성과 뛰어난 통기성을 균형좋게 구비한 바람직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을 구성하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와, 외관밀도 0.02~0.09g/㎤의 연속기포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패드심을 신체의 고간부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소정의 모양으로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경우에 성형성이 양호하고, 코스트도 염가로 할 수 있다. 외관밀도 0.02~0.09g/㎤의 연속기포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를 사용하므로, 통기성도 비교적 양호하고 또한 필요한 충격완화성을 가진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을 부직포 또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와 적어도 그 편면에 편물 또는 직물이 적층된 패드심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패드심이 부직포인 경우에는 편물 또는 직물에 의해서 보강되어 모양붕괴를 방지할 수 있고, 봉제나 재단시의 취급이 부직포만으로 이루어진 패드심에 비해서 용이하게 되고, 보풀이 일거나 보풀이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패드심이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의 경우에는 그 표면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적층하는 편물 또는 직물로서 항균성이나 항취성가공이 실시된 천이나 흡수성이 좋은 천을 사용할 수도 있고,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땀흘림이나 진무름에 대해서 위생적인 면에서의 개량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가려움 등이 생기기 어려운 보다 착용감이 좋은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커버가 이음부를 가지지 않는 패드커버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패드심의 이음부의 봉제부분이나 오목블록의 피부쪽에의 영향을 완화하고, 또 패드커버자체도 이음부를 가지지 않으므로, 이음부의 봉제사가 피부와 스쳐서 피부를 아프게 하는 일도 없고 장시간 착용해도 착용감의 저하가 더욱 적고, 보다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음부를 가지지 않는 패드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패드심도 이음부를 가지지 않는 패드심을 사용해서 입체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보호패드로 하므로써, 보다 뛰어난 착용감을 가진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커버가 이음부를 가진 패드커버이고, 상기 패드커버의 이음부와 그 시접이나 솔기가 패드커버의 이음부의 안쪽에서 처리되고, 겉쪽에 이음부의 시접이나 솔기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구조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패드커버의 이음부의 봉제사가 피부쪽에 나타나게 되는 일이 없고, 이음부의 봉제사와의 마찰에 의한 착용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음부의 봉제사가 외부에 나타나게 되므로 봉제사가 마찰에 의해 마모해서 절단될 염려가 적어진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보호용패드가, 패드커버와 패드심이 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적층되어 이루어진 보호용패드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봉제에 비해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이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입체성형된 연속시트형상의 패드심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패드심을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복수의 부재를 맞붙여서 작성할 필요가 없고, 일체적으로 연속하고 있는 패드심용 소재를 소망의 모양으로 입체성형함으로써, 소망의 형상의 패드심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심을 작성할 경우에 맞붙임의 필요가 없고, 대폭적으로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 패드심에 이음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양호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이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부재가 맞붙여져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적합하도록 입체형상으로 완성된 패드심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패드심을 의류본체의 형상을 따라서 모양좋게 봉제할 수 있고, 또한, 인체와 고정하기 쉬운 형상이 되고, 운동시에 넓적다리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착용감이 뛰어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패드심이 가랑이 아래 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은 중앙이음부와 앞부분 치골부보다 약간 아래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비스듬히 상방향으로 뻗은 앞부분이음부를 가지고, 상기 이음부가 패드심을 맞댄 상태에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봉제되어 있거나 또는 열융착되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패드심의 이음부에서의 단차를 적게할 수 있고, 착용감이 개량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의 다리부의 옷단끝이 되접기부분 또는 옷단끝보강테이프를 가지지 않고 옷단끝 근처에 있어서 상기 되접기부분 또는 옷단끝보강테이프를 봉제하기 위한 옷단주위방향의 봉제를 가지지 않는 옷단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옷단부분의 두께를 보다 적게 할 수 있고, 이 부분의 생지의 단차나 봉제사가 피부와 닿아서 스치는 것에 의한 착용감의 저하가 방지된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보호용의류를 구성하는 본체천이 신축성을 가진 천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동작하는 경우의 저항감이 보다 적고 보다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고, 따라서 착용감이 양호하고 피로도 보다 적게 할 수 있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의류에 있어서, 보호용의류가 자전거용 오토바이용, 승마용의 어느하나의 라이딩용 의류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 하므로써, 특히 자전거에 탄 경우, 오토바이에 탄 경우, 승마술의 경우에 있어서는 넓적다리를 벌려서 걸터탄 모양으로 타기 때문에, 고간부가 직접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 등에 접촉하기 때문에,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 등으로부터의 충격을 비교적 직접 받지 않으면 안되고,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고관절부분이 새들이나 시트 혹은 안장 등에 강하게 당접되어 스침이 생기기 쉬운 상태가 되나, 본 발명의 의류는 이들 충격을 완화하고, 스침에 의한 통증, 찰과상의 발생을 막는데 매우 적합한 또한 통기성이 좋고, 상기한 작용이 보다 유효하게 발휘되고, 상기 라이딩용 보호용의류로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5)

  1. 착용자의 고관절보다 아래쪽에 다리부의 옷단선을 가지고, 가랑이부 근처에 보호용 패드를 가진 짧은 팬츠형상, 또는 바지형상의 의류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패드가 부직포 또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로 이루어진 패드심과 그 위를 덮는 편물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패드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용 패드는 고간부로부터 적어도 착용자의 고관절을 넘는 부분을 덮을 수 있을 정도까지 다리부의 옷단방향으로 뻗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패드가 보호용 의류본체천의 안쪽에 붙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패드가 그 앞쪽은 착용자의 치골근방까지, 뒤쪽은 미골근방까지 덮고 있는 보호용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심을 구성하는 부직포가 단위면적당 무게 0.05∼0.09g/cm3인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심을 구성하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가, 외관밀도 0.02∼0.09g/cm3의 연속기포연질 폴리우레탄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심이 부직포 또는 연속기포의 연질폴리우레탄발포체와 적어도 그 편면에 편물 또는 직물이 적층된 패드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커버가 이음부를 가지지 않는 패드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커버가 이음부를 가진 패드커버이고, 상기 패드커버의 이음부가, 그 시접이나 솔기가 패드커버의 이음부의 안쪽에서 처리되어, 겉쪽에 이음부의 시접이나 솔기가 나타나고 있지 않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패드가, 패드커버와 패드심이 접착 또는 열융착에 의해 적층되어 이루어진 보호용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심이 연속시트형상이고,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접합하도록 입체성형된 패드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심이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부재가 맞붙여져 신체의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의 형상에 거의 접합하도록 입체형상으로 완성된 패드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심이 가랑이 아래 중앙을 전후방향으로 뻗은 중앙이음부와 앞부분치골부보다 약간 아래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비슴듬히 상방향으로 뻗은 앞부분이음부를 가지고, 상기 이음부 패드심을 맞댄 상태에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봉제되어 있거나 또는 열융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의 본체의 다리부의 옷단끝이 되접기부분 또는 옷단끝보강테이프를 가지지 않고 옷단끝근처에 있어서 상기 되접기부분 또는 옷단끝보강테이프를 봉제하기 위한 옷단주위방향의 봉제를 가지지 않는 옷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요용의류를 구성하는 본체천이 신축성을 가진 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의류가 자전거용, 오토바이용 및 승마용중의 어느 하나의 라이딩용 의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간부 및 고관절근방보호용 의류.
KR1019940023796A 1993-09-21 1994-09-17 고간부(股間部) 및 고관절(股關節) 근방보호용의류 KR0134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51241 1993-09-21
JP5124193 1993-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737A KR950007737A (ko) 1995-04-15
KR0134849B1 true KR0134849B1 (ko) 1998-04-18

Family

ID=1288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796A KR0134849B1 (ko) 1993-09-21 1994-09-17 고간부(股間部) 및 고관절(股關節) 근방보호용의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643929A1 (ko)
KR (1) KR0134849B1 (ko)
CN (1) CN1092944C (ko)
TW (1) TW29873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2669A (en) * 1994-09-01 1996-03-06 Jeffrey Norman Webb Garment-shaping device
US5836015A (en) * 1995-01-05 1998-11-17 Tytex A/S Pants with hip protectors
DE59607625D1 (de) * 1995-12-02 2001-10-11 Anton Maier Radfahrerhose
JP3652533B2 (ja) * 1998-12-09 2005-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ランクス型着用物品
JP3652535B2 (ja) * 1998-12-09 2005-05-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トランクス型パンツ
CH695529A5 (it) * 2001-06-18 2006-06-30 Roger Maier Tuta da ciclista.
USD498037S1 (en) 2003-02-13 2004-11-09 Robison's Inc. Jacket
US7707659B2 (en) 2004-08-23 2010-05-04 Dashamerica, Inc. Chamois for athletic shorts having relatively elastic portion and relatively inelastic portion
FR2886818B1 (fr) * 2005-06-14 2007-11-23 Francoise Troplent Vetements de sport pour personnes obeses et en surpoids
US7966668B2 (en) 2006-08-15 2011-06-28 Sullivans, Inc. Ventilated garment
ES2350146B1 (es) * 2007-08-31 2011-11-16 Teo Sport Srl Badana y pantalon o culote de ciclista con badana, con superficie de elevada aireacion y de bajo coeficiente de rozamiento, provista de microcapsulas
ITTV20070145A1 (it) 2007-08-31 2009-03-01 Teo Sport S R L Fondello e pantalone o pantaloncino da ciclista con fondello, con superficie ad elevata aerazione ed a basso coefficiente d'attrito provvista di piolini.
US8001618B2 (en) 2007-09-21 2011-08-23 Sullivans, Inc. Ventilated double-closure garment
US8336116B2 (en) 2008-04-28 2012-12-25 Angela Jodie Gomes Seguin Garment closure system
USD620231S1 (en) 2008-07-16 2010-07-27 Parker Synergies Llc Venting motorcycle jacket
USD618440S1 (en) 2008-07-16 2010-06-29 Parker Synergies, LLC Venting motorcycle jacket
USD622937S1 (en) 2008-10-08 2010-09-07 Sullivans, Inc. Jacket with partially attached vest
CN102497790B (zh) * 2009-09-06 2015-09-02 小森谷则子 防水透湿内衣以及防水透湿衬里
EP2815661B1 (en) 2013-06-18 2016-10-19 Assos of Switzerland GmbH A cycling suit with a seat pad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2878217B1 (en) * 2013-11-29 2017-04-05 Assos of Switzerland GmbH A cycling suit with a seat pad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16149459A1 (en) * 2015-03-17 2016-09-22 Dashamerica, Inc. D/B/A Pearl Izumi Usa, Inc. Sport apparel seat pad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4757722A (zh) * 2015-04-01 2015-07-08 大连华工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E-tpu发泡防护服装
USD785286S1 (en) 2015-06-12 2017-05-02 Nike, Inc. Pant
USD795534S1 (en) 2015-11-19 2017-08-29 Nike, Inc. Pa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723764U1 (de) * 1977-07-29 1977-11-03 Geissler, Walter, 8043 Unterfoehring Sporthose fuer insbesondere radfahrer
FR2476987B2 (fr) * 1980-02-29 1986-05-16 Belmas Joseph Culotte de sport
DE8905746U1 (ko) * 1989-05-08 1989-06-22 K.W. Hochschorner Gmbh, 8033 Martinsried, De
US4961233A (en) * 1989-12-04 1990-10-09 Cannondale Corporation Cycling pants
US5068920A (en) * 1991-01-18 1991-12-03 O. S. Systems, Incorporated Dry suit/water sport suit with reinforced seat
US5271101A (en) * 1992-09-18 1993-12-21 Nike, Inc. Cycling shorts with anatomical seat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43929A1 (en) 1995-03-22
CN1106242A (zh) 1995-08-09
KR950007737A (ko) 1995-04-15
TW298733U (en) 1997-02-21
CN1092944C (zh) 200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849B1 (ko) 고간부(股間部) 및 고관절(股關節) 근방보호용의류
US4987613A (en) All-in-one slider sport pants
JPS6237121B2 (ko)
US20210037902A1 (en) Garment
TWI760529B (zh) 下半身用衣物
JP2886784B2 (ja) 股間部および股関節近傍保護用衣類
JP6017175B2 (ja) 尾てい骨保護下着
JP2016050367A (ja) 肌着
JPWO2012023208A1 (ja) ショーツ等の衣料
JP2007277737A (ja) 男性用パンツ
JP591796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126488B1 (ko) 운동복 하의 및 그 제작방법
CN111150130A (zh) 一种运动裤
JPH08158109A (ja) 股部を有するフィットタイプの衣類
JP4953671B2 (ja) 姿勢補整用ボトムズ
JP3214243U (ja) ズボン
JP2012224957A (ja) 痛み防止ショーツ
KR200486398Y1 (ko) 앞 가림부를 갖는 여성용 자전거 타이즈
JP3223205U (ja) パンツ
JP5500466B2 (ja) 臀部サポートパンツ
JP7162118B2 (ja) 下半身用衣類
JP7057622B1 (ja) 下半身衣類
CN218682121U (zh) 加强收腹功能的运动塑形瑜伽裤
JP6811832B1 (ja) スポーツ用衣料
JP7005057B1 (ja) 吸収ショー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