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474B1 -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474B1
KR101915474B1 KR1020180034042A KR20180034042A KR101915474B1 KR 101915474 B1 KR101915474 B1 KR 101915474B1 KR 1020180034042 A KR1020180034042 A KR 1020180034042A KR 20180034042 A KR20180034042 A KR 20180034042A KR 101915474 B1 KR101915474 B1 KR 10191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in controller
electricity
splint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주)예담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담메디칼 filed Critical (주)예담메디칼
Priority to KR102018003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13Fracture hea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게다가 골절시 손상된 근육조직 등을 빨리 회복시킬 수 있는 초음파 진동기능이 부가된 부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이 개방되며 골절 부위에 위치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 소정 부위에 구비된 초음파 진동부를 포함하되, 초음파 진동부는 소정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하는 진동부재, 진동부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콘트롤러, 및 진동부재와 메인 콘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과 초음파 진동기능이 부가된 부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Length Adjustable Splint}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게다가 골절시 손상된 근육조직 등을 빨리 회복시킬 수 있는 초음파 진동기능이 부가된 부목에 관한 것이다.
신체 일부의 뼈가 골절된 경우 대부분은 골절부위를 감싸도록 깁스(plaster)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목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26290호에는 골절부와 인대 파열부와 같은 환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감싸주는 데 사용되는 절곡부목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주름부가 형성되지 않는 절곡상태로 시술형태와 유사하게 성형하여 시술을 편리하게 하고 부목이 들뜨지 않도록 환부에 밀착되게 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절곡부목의 구조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기재된 부목에 의하면, 팔꿈치, 무릎, 발뒤꿈치와 같은 인체의 굴곡부와 유사한 절곡 형태로 미리 성형한 것이므로 절곡부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아 부목을 골절부나 다친 부위에 들뜨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이고 치료기간을 단축시키며, 특히 시술시 골절부를 따라 절곡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시술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95589에는 고정요소를 구비하고, 신축성 소재로 구성되어 신체의 대상부분을 압박하는 피부보호대 및 상기 고정요소에 의해 상기 피부보호대에 고정되어 상기 대상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조립체는 견고한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재들은 상기 피부보호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되는 캐스트형 부목이 개시되어 있고, 상기 선행문헌에 기재된 부목에 의하면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써, 이용이 용이하여서 자가 시술도 가능하고 또한 깁스용 절단기를 사용하지 않아 제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골절환자는 어린이에서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발생하며, 이때 어린이와 성인은 팔이나 다리의 길이가 달라 빠른 시술을 목적으로 성형해둔 부목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목의 길이를 달리하는 어린이용과 성인용을 별도로 준비해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외부의 충격 등으로 뼈가 골절되는 경우, 뼈 뿐만 아니라 뼈를 감싸고 있는 근육 등 주변 조직들도 함께 손상되며, 이러한 손상된 주변조직으로 인해 심한 통증을 느끼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을 포함하여 지금까지의 부목은 손상된 주변조직의 치료나 통증완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골절된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순히 고정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어 왔고, 따라서 장기간 부목을 착용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른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2629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955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골절된 신체부위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골절부위를 고정할 수 있는 부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체의 굴곡된 부분에 위치하는 뼈가 골절된 경우에도 골절 부위를 안정감 있게 고정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 부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약물을 투여하지 않고도 굴절된 뼈 조직 부근에 위치하는 손상된 조직을 치유 또는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부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목은, 일측이 개방되며 골절 부위에 위치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 소정 부위에 구비된 초음파 진동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진동부(200)는 소정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하는 진동부재(210), 상기 진동부재(21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콘트롤러(220), 및 상기 진동부재(210)와 메인 콘트롤러(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선(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에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220)는, 상기 진동부재(210)로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전원 제어부(221),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포트(223) 및 상기 진동부재(210)로의 전기 공급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부(222), 및 메인 콘트롤러(220)를 의복의 주머니 또는 벨트에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2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에서, 상기 진동부재(210)는, 피부와 밀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된 커버부(211), 상기 커버부(211) 내부에 내장되어 골절된 뼈와 주변을 밀착시키는 변형 가능한 고정판(212), 상기 연결선(230)으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기 위한 접속단자(214)가 이면에 구비된 초음파 발생이 가능한 진동판(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커버부(211) 일면에는 피부와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도록 점착제가 도포되고, 가장자리에는 접촉하는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피의 변형이 가능한 쿠션부(21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곡이 용이하도록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며 내측으로 요입되는 다수개의 요홈부(211-2)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에서, 상기 고정판(212)의 소정 위치에는 소정 넓이로 절개된 개구부(215)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215) 내부에 상기 진동판(213)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에서, 본체부(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에서, 상기 본체부(100)는, 제1 본체부(110), 및 상기 제1 본체부(110) 일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2)이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2 본체부(120)로 이루어져, 제2 본체부(120)의 수용홈(122) 내부로 제1 본체부(110)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220)는, 상기 진동부재(210)로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전원 제어부(221),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포트(223), 상기 진동부재(210)로의 전기 공급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부(222), 및 메인 콘트롤러(220)를 의복의 주머니 또는 벨트에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2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목에 의하면, 부목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성인에서부터 어린이까지 골절된 신체 부위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목에 의하면, 피부와 접촉하는 진동부재 내부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판을 구비하고 있어, 골절된 뼈 조직 주변의 손상된 조직을 빨리 회복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부목에 의하면, 메인 콘트롤러는 표시부, 전원 제어부 및 걸고리가 구비되어 있어, 초음파를 발생하는 진동판를 쉽게 조작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부목의 길이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부목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길이 조절이 완료된 부목을 고정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부목을 뒤에서 바라도 도면이다.
도 6은 피부와 접촉하는 커버부를 위에서 바라본 초음파 진동부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초음파 진동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초음파 진동부의 커버부가 벗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초음파 진동부의 커버부가 벗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부목의 길이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부목은 성인에서부터 어린이까지 신체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골절부위 부근을 중심으로 부목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골절된 뼈 조직 주변의 손상된 조직을 빨리 회복시킬 수 있도록 음파 진동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부목은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며 골절 부위에 위치하는 본체부(100)와 초음파 진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표면에 1개 이상의 제1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본체부(110), 그리고 제1 본체부(110)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며 제1 통공과 유사한 제2 통공(1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본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의 부목의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의 길이 조절이 완료된 부목을 고정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길이 조절과 관련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본체부(120)의 일측 단부에는 제1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22)이 구비되어 있고, 따라서 제1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가 제2 본체부(120)의 수용홈(122) 내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므로, 골절된 환자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전체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게다가 제1 본체부(110)가 제2 본체부(120) 수용홈(122)에 이동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본체부(120) 소정 위치에는 고정수단(123)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12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본체부(120)의 일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소정 각도 휘어질 수 있도록 절개홈(123-1)이 형성되어 있고, 절개홈(123-1)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본체부(120) 일부 내측면에는 돌기(123-2)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2 본체부(120)의 수용홈(122) 내부로 제1 본체부(110)를 이동시키면, 제1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1 통공(111)에 돌기(123-2)가 삽입되므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팔이나 다리와 같이 관절부 인근의 뼈가 골절된 경우에 착용할 수 있도록 제2 본체부(120)의 외형이 ‘ㄴ’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예에 불과할 뿐 얼마든지 외형을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체부(100)도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개수도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도 1, 2 그리고 부목을 뒤에서 바라본 도 5를 참조하면서, 초음파 진동부(2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초음파 진동부(200)는 제1 몸체부(11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골절된 부위의 피부와 접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목에 구비되는 이러한 초음파 진동부(200)는 진동부재(210), 메인 콘트롤러(220) 그리고 연결선(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은 피부와 접촉하는 커버부를 위에서 바라본 초음파 진동부의 도면, 도 7은 초음파 진동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8 및 9는 초음파 진동부의 커버부가 벗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골절 부위를 중심으로 주변의 뼈와 피부를 잡아줄 수 있을 정도의 폭과 넓이를 갖는 진동부재(210)는, 골절된 뼈가 위치하는 피부를 덮고 또 소정 대역의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부재(210)는 커버부(211), 고정판(212), 진동판(213), 접속단자(214) 그리고 개구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커버부(211)에 관하여 설명하면, 커버부(211)는 신체의 근육조직이나 뼈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골절 부위 상부의 피부와 잘 밀착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밀착력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커버부(211) 일면에는 피부와 보다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점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의 폭과 깊이로 내측으로 요입되는 다수개의 요홈부(211-2)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다수개 형성시킴으로써 진동부재(210)의 유연성을 한층 증가시킨다.
게다가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커버부(211) 가장자리에는 쿠션부(21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커버부(211)가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고정판(212)이 커버부(211) 내부에 내장되어 있고,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갑작스런 행동으로 인해 진동부재(210)의 모서리가 피부를 강하게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커버부(21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쿠션부(211-1)는 외압이 가해질 경우 수축하고, 반대로 외압이 해제될 경우 원래의 부피로 돌아오는 스펀지일 수 있고, 이러한 쿠션부(211-1)가 구비됨으로써 커버부(210) 모서리부에 의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211)와 피부의 밀착력을 고려하여 상기 쿠션부(211-1) 상면에도 점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초음파 진동부의 커버부가 벗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 8 및 9를 참조하면서, 고정판(212), 진동판(213), 접속단자(214) 그리고 개구부(215)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판(212)은 커버부(211) 내부에 내장되어 있어, 커버부(211)가 골절된 뼈와 주변에 더욱 밀착되도록 도와주는 한편 골절된 뼈 주위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고정판(212)은 일정 이상의 외압에 의해 형상이 변할 수 있고 따라서 골절된 부위가 편평하지 않아도 골절된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주변 뼈조직들을 안전하게 잡아줄 수 있어 골절된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판(212)은 가벼우면서도 변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판(212)의 소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에 소정 넓이로 절개된 개구부(215)가 구비되어 있고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초음파 진동을 적용하여 응용한 기술에는 생활용품으로 부터 산업, 군사, 어업, 의료용으로까지 실로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실생활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생활용품으로는 초음파 가습기, 초음파 피부 마사지기 등이 있으며, 피부마사지기는 인체의 피부에 면접촉하여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가하여 줌으로써,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피부미용에 좋은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부의 충격 등으로 뼈가 골절되는 경우, 뼈 뿐만 아니라 뼈를 감싸고 있는 근육 등 주변 조직들도 함께 손상되며, 이러한 손상된 주변조직으로 인해 심한 통증을 느끼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의 초음파 진동부(200)는 골절된 뼈 조직 주변의 손상된 조직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고 나아가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커버부(211) 내부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판(213)을 더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판(213) 이면에는 연결선(230)으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기 위한 접속단자(214)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진동판(213)은 전술한 고정판(212)의 개구부(215)에 수용된 후, 이들 고정판(212)과 진동판(213)은 커버부(211)가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진동판(213)의 접속단자(214)는 커버부(2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선(230)과 접속단자(214)는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환자 혼자서도 연결선(230)을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또한 골절이 완치된 이후에는 연결선(230), 그리고 연결선(230)과 연결된 메인 콘트롤러(220)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진동판(213)은 고정판(212)의 개구부(215) 보다 작아야 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판(212)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초음파 원리 중 캐비테이션 작용에 의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캐비테이션에 의해 박리되기 때문에, 진동판(213)과 고정판(212)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0.5 cm 내지 1 cm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이격 거리가 0.5 cm 미만이면 강한 에너지 인가 시 진동판(213)이 고정판(212)과 접촉할 수 있고, 반대로 1 cm 이상 이격되면 진동판(213)의 면적이 너무 작아 충분한 진동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215)가 너무 커서 골절부위에 대한 고정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진동판(213)은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진동할 수 있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압전세라믹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212)과 진동판(213)은 이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지의 고정수단을 통해 커버부(211) 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커버부(211)와 고정판(212) 가장자리의 볼트 수용홈(216)을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하는 한편 진동판(213)의 전면과 후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고정판(212)과 진동판(213) 모두의 전면과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판(213)을 골절된 뼈의 피부에 위치시키면, 골절된 뼈 조직 주변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따라서 피부 내부의 상처난 조직들을 빨리 회복시킬 수 있다.
전술한 진동부재(210), 보다 정확하게는 진동판(213)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콘트롤러(220)는 전원 제어부(221), 표시부(222), 충전포트(223) 및 걸고리(224)로 구성된다.
메인 콘트롤러(22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전원 제어부(221)는 진동판(213)으로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되는 한편,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포트(223)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충전포트(223)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면 형상은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충전포트(223)를 생략하고 교체 가능한 1회용 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콘트롤러(220)는 진동판(213)에 전기가 공급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거나 또는 항상 점등할 수 있는 표시부(222)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게다가 전기를 공급하는 시간이나 간격, 출력 등을 사용자가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메인 콘트롤러(220)에는 사용자가 휴대함에 불편함이 없고 또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걸고리(224)가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걸고리(224)는 클립 모양일 수 있고 따라서 의복 주머니나 밸트에 고정시켜 휴대할 수 있다.
상기 연결선(230)은 진동부재(2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동판(213)과 메인 콘트롤러(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일측은 메인 콘트롤러(220)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되며 타측은 진동판(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선(230)은 메인 콘트롤러(22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도 사용함에 불편하지 않도록 코일 형상으로 신축가능한 형상이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부목 착용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부목은 주로 팔이나 다리 등이 골절된 경우 사용할 수 있고, 일예로 다리뼈가 골절된 경우의 사용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환자의 다리 길이에 고려하여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골절된 부위 중심으로 착용시킨다.
이때, 골절된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진동부재(210)를 신체에 부착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진동부재(210)를 약간 구부린 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진동판(213), 연결선(230) 그리고 메인 콘트롤러(220)를 서로 연결한 후, 메인 콘트롤러(220)의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진동판(213)의 진동시간이나 진동세기를 조절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보호테이프나 붕대를 사용하여 몸체부(100)를 피부에 고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본체부
110 : 제1 본체부
111 : 제1 통공
120 : 제2 본체부
121 : 제2 통공
122 : 수용홈
123 : 고정수단
123-1 : 절개홈 123-2 : 돌기
200 : 초음파 진동부
210 : 진동부재
211 : 커버부
211-1 : 쿠션부 211-2 : 요홈부
212 : 고정판 213 : 진동판
214 : 접속단자 215 : 개구부
216 : 볼트 수용홈
220 : 메인 콘트롤러
221 : 전원 제어부 222 : 표시부
223 : 충전포트 224 : 걸고리
230 : 연결선

Claims (8)

  1. 일측이 개방되며 골절 부위에 위치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 소정 부위에 구비된 초음파 진동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진동부(200)는, 피부와 밀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된 커버부(211), 상기 커버부(211) 내부에 내장되어 골절된 뼈와 주변을 밀착시키는 변형 가능한 고정판(212), 연결선(230)으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기 위한 접속단자(214)가 이면에 구비된 초음파 발생이 가능한 진동판(213)을 포함하는 진동부재(210); 상기 진동부재(210)로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전원 제어부(221),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포트(223), 상기 진동부재(210)로의 전기 공급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부(222), 및 메인 콘트롤러(220)를 의복의 주머니 또는 벨트에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224)를 포함하는 메인 콘트롤러(220); 및 상기 진동부재(210)와 메인 콘트롤러(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선(230)을 포함하고,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커버부(211) 일면에는 피부와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도록 점착제가 도포되고, 가장자리에는 접촉하는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피의 변형이 가능한 쿠션부(211-1)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212) 소정 위치에는 소정 넓이로 절개된 개구부(215)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15) 내부에 상기 진동판(213)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일측이 개방되며 골절 부위에 위치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 소정 부위에 구비된 초음파 진동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초음파 진동부(200)는, 피부와 밀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구성된 커버부(211), 상기 커버부(211) 내부에 내장되어 골절된 뼈와 주변을 밀착시키는 변형 가능한 고정판(212), 연결선(230)으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기 위한 접속단자(214)가 이면에 구비된 초음파 발생이 가능한 진동판(213)을 포함하는 진동부재(210); 상기 진동부재(210)로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전원 제어부(221),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포트(223), 상기 진동부재(210)로의 전기 공급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부(222), 및 메인 콘트롤러(220)를 의복의 주머니 또는 벨트에 고정하기 위한 걸고리(224)를 포함하는 메인 콘트롤러(220); 및 상기 진동부재(210)와 메인 콘트롤러(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선(230)을 포함하고,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커버부(211) 일면에는 피부와 긴밀하게 접촉 고정되도록 점착제가 도포되고, 절곡이 용이하도록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며 내측으로 요입되는 다수개의 요홈부(211-2)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212) 소정 위치에는 소정 넓이로 절개된 개구부(215)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15) 내부에 상기 진동판(213)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본체부(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목.
  8. 삭제
KR1020180034042A 2018-03-23 2018-03-23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KR10191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042A KR101915474B1 (ko) 2018-03-23 2018-03-23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042A KR101915474B1 (ko) 2018-03-23 2018-03-23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474B1 true KR101915474B1 (ko) 2019-01-30

Family

ID=6527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042A KR101915474B1 (ko) 2018-03-23 2018-03-23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4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789B1 (ko) * 2020-12-29 2021-05-28 하범준 환부의 견인이 가능한 부목
CN113633450A (zh) * 2021-06-25 2021-11-12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六医学中心 多功能四肢胸部固定支具
KR102448650B1 (ko) * 2021-09-09 2022-09-27 명광희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인체공학적인 밀착력을 갖는 깁스
KR102551851B1 (ko) * 2023-02-08 2023-07-05 (주)풍전티.티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290B1 (ko) 1996-12-23 1999-10-15 정몽규 터보차저의 손상방지를 위한 경보장치
KR200268250Y1 (ko) * 2001-12-29 2002-03-15 김경진 골절고정을 위한 부목겸용 깁스부재
KR20060018560A (ko) * 2004-08-25 2006-03-02 이종호 조립형 깁스
KR20110032392A (ko) * 2009-09-23 2011-03-30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신체 정형용 분할형 부목
KR20120088087A (ko) * 2011-01-31 2012-08-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깁스용 진동자극장치
KR101750374B1 (ko) * 2016-01-18 2017-07-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골절 치료용 깁스 및 보조 치료 장치
KR20170095589A (ko) 2016-02-15 2017-08-23 (주)올손 피부보호대와 결합되는 지지 조립체를 가지는 캐스트형 부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290B1 (ko) 1996-12-23 1999-10-15 정몽규 터보차저의 손상방지를 위한 경보장치
KR200268250Y1 (ko) * 2001-12-29 2002-03-15 김경진 골절고정을 위한 부목겸용 깁스부재
KR20060018560A (ko) * 2004-08-25 2006-03-02 이종호 조립형 깁스
KR20110032392A (ko) * 2009-09-23 2011-03-30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신체 정형용 분할형 부목
KR20120088087A (ko) * 2011-01-31 2012-08-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깁스용 진동자극장치
KR101750374B1 (ko) * 2016-01-18 2017-07-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골절 치료용 깁스 및 보조 치료 장치
KR20170095589A (ko) 2016-02-15 2017-08-23 (주)올손 피부보호대와 결합되는 지지 조립체를 가지는 캐스트형 부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789B1 (ko) * 2020-12-29 2021-05-28 하범준 환부의 견인이 가능한 부목
CN113633450A (zh) * 2021-06-25 2021-11-12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六医学中心 多功能四肢胸部固定支具
KR102448650B1 (ko) * 2021-09-09 2022-09-27 명광희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인체공학적인 밀착력을 갖는 깁스
KR102551851B1 (ko) * 2023-02-08 2023-07-05 (주)풍전티.티 보호대가 구비되는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474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목
US47278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obilizing an eyelid
US9480863B2 (en) Ultrasound coupling device
US6093164A (en) Vibratory sleeve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repetitive trauma syndrome
AU7437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 ultrasound transducer
JP4166829B2 (ja) 胴部用超音波治療装置
JP2020049284A (ja) 膣萎縮を治療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6081926A (ja) ゲル封入構造
US46779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obilizing an eyelid
US4370976A (en) Dynamic foam orthosis
US20200315894A1 (en) Dressing with targeted low-intensity vibration
WO2014126707A1 (en) Carpal tunnel relief device
AU757417B2 (en) Ultrasonic delivery system
KR20170034010A (ko) 안마 및 소염 기능을 갖는 요대
JP2018510704A (ja) 睾丸マッサージ器
JP2004512910A (ja) 医療用プラスタ
CN107349532B (zh) 一种作用于眼部的超声波治疗头
BR112014031680B1 (pt) Bloco de pressão para transferir pressão para uma estrutura anatômica e conjunto para transferir pressão para uma estrutura anatômica
KR102584800B1 (ko) 의료용 혈류 개선을 위한 가압 장치 및 그 구성요소
KR101965611B1 (ko) 초음파 진동기능이 부가된 부목
US4300543A (en) Protective cast device
CN213190489U (zh) 一种用于腰椎中药热敷治疗的护带
KR102115395B1 (ko) 무릎 관절 치료용 밴드
KR200453144Y1 (ko)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US20130012850A1 (en) Knee pain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