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144Y1 -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144Y1
KR200453144Y1 KR2020080001964U KR20080001964U KR200453144Y1 KR 200453144 Y1 KR200453144 Y1 KR 200453144Y1 KR 2020080001964 U KR2020080001964 U KR 2020080001964U KR 20080001964 U KR20080001964 U KR 20080001964U KR 200453144 Y1 KR200453144 Y1 KR 200453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aser device
waist
backres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302U (ko
Inventor
이춘성
윤도흠
전창훈
안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이춘성
안동기
전창훈
윤도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이춘성, 안동기, 전창훈, 윤도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Priority to KR2020080001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14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1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벨트에 탈착 가능한 레이저 장치를 구비하여 척추 질환 또는 척추 수술 후 해당 환부에 저주파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통증 개선 및 수술 부위의 피부조직의 재생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와, 상기 허리벨트의 중앙으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침대와, 상기 등받침대의 일면 중앙에 탈부착되어 위치조정이 가능하며, LED를 통해 저주파 레이저를 발산하는 레이저 장치와, 상기 레이저 장치와 연결되어 레이저 장치의 레이저의 발산 모드 및 발산 시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허리벨트, 복대, 척추, 질환, 치료, 보조기, 레이저, 저주파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Spine disease treatment instrument using a laser}
본 고안은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리벨트에 탈착 가능한 레이저 장치를 구비하여 척추 질환 또는 척추 수술 후 해당 환부에 저주파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통증 개선 및 수술 부위의 피부조직의 재생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 질환은 척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노화현상으로 인해 척추가 탈출 또는 변형되어 발생하며, 변형된 척추가 신경을 누르게 되어 허리의 통증이 유발하게 된다.
한편, 근래 직장인들은 업무의 특성상 대부분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척추에 무리가 오게 되고, 이에 따라 노년층뿐 아니라 젊은 층 일반인들의 척추질환 발생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척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로서 척추보조기와 요추 보호 및 치료용 복대 등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 척추보조기는 다수의 보강대가 내장되어 허리의 요추를 정확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벨크로가 부착된 보조밴드가 부착되어 더욱 견고하게 지지부를 허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움직이거나 활동할 때 척추보조기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지지부와 고정부에는 다수개의 통풍 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땀이 차지 않도록 해준다.
그러나 상기 척추보조기는 허리를 압박하여 척추를 지지해주는 보호 기능만 있을 뿐 척추 수술 후 빠른 회복을 위한 치료 기능이 없으며, 통상적으로 척추보조기는 허리의 힘을 지탱해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심리적으로 척추보조기에 의존하게 되어 근육을 덜 쓰게 되므로 근육의 위축 및 연부조직의 연축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의 상기 요추 보호 및 치료용 복대는 복대의 내부에 펌프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받는 공기주입관이 수개 설치되어 펌프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주입관이 종방향으로 팽창되면서 복대가 요추를 받쳐주어 요추가 곧게 펴지도록 해준다.
그러나 상기 상술한 종래기술은 공기가 팽창될 시 복대의 부피가 커져 활동에 불편함을 주고, 허리와 배를 압박하여 소화 기관이 약한 환자에게는 소화 장애 를 유발시킬 수 있어 장시간 착용이 필요할 시 그 사용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척추 질환의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가능한 한 조속한 시일 내에 척추보조기의 착용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순히 척추를 고정하고 보호하는 기능의 복대가 아닌 환부의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연질의 유연성 허리벨트를 사용하여 착용시 활동의 불편함을 덜어주고, 상기 허리벨트에 구비된 레이저 장치를 구동시켜 척추 질환 또는 척추 수술 후 해당 환부에 저주파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세포의 활성화 및 신진대사의 촉진을 증대시켜 통증 개선 및 수술 부위의 피부 재생 회복에 도움을 주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와, 상기 허리벨트의 중앙으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침대와, 상기 등받침대의 일면 중앙에 탈부착되어 위치조정이 가능하며, LED를 통해 저주파 레이저를 발산하는 레이저 장치와, 상기 레이저 장치와 연결되어 레이저 장치의 레이저의 발산 모드 및 발산 시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유연성 허리벨트를 이용하여 착용시 압박감으로 인한 불편함을 덜어주고, 척추 질환 및 척추 수술 후의 해당 환부에 저주파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수술 부위의 피부 회복을 촉진시키고 염증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에서 발생되는 열이 환부에 전달되어 조직 내 온도를 상승시키 고 이에 따라 혈액 순환이 증진되어 환부의 통증이 완화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의 전체적인 구성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100)와, 상기 허리벨트(100)의 중앙으로 연결 및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침대(200)와, 상기 등받침대(200)의 일면 중앙에 부착 및 탈착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저주파 레이저를 발산하는 레이저 장치(300)와, 상기 레이저 장치(300)와 연결되어 레이저의 발산 모드 및 발산 시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허리벨트(100)는 유연성이 있는 구성요소로서, 그 재질은 캔바스나 직물 또는 피혁 등으로 이루어지고, 끈이나 버클을 단 스트랩으로 사용자의 몸통 둘레를 조이며 벨크로나 후크로 일체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된다.
이러한 허리벨트(100)는 허리을 둘러싸는 한 쌍의 허리보호대(110)와, 서로 마주보는 각 허리보호대(110)의 일측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부(120)와, 상기 각 허리보호대(110)의 타측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상기 각 허리보호대(110)를 일체로 결합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켜주는 결합부(130)와, 상기 연결부(120)와 연결되어 한 쌍의 허리보호대(110)를 조여주고 결합부(130)에 결착되는 조임부(140)로 구성된다.
허리보호대(110)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질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허리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일정 길이로 제작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등받침대(200)와 연결되는 고정 밴드(230)와 레이저 장치(300)의 연결선(330)이 컨트롤러(400)와 연결되도록 연결홀(150)이 형성된다.
연결부(120)는 서로 마주보는 각 허리보호대(110)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조임클립(121)과 낙하산에 사용되는 특수 소재의 조임끈(1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임끈(122)은 조임클립(121)을 따라 지그재그로 체결되어 상기 각 허리보호대(110)를 연결시켜 준다.
결합부(130)는 각 허리보호대(110)의 타측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한 쌍의 허리보호대(11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싼 후, 허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 허리보호대(110)를 결합시킨다.
조임부(140)는 밴드(141)와 손잡이(142)로 구성되며, 밴드(141)는 손잡이(142) 사이를 통과하여 일체형으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일체형으로 이어진 밴드(141) 내측을 연결부(120)의 조임끈(122)이 통과함으로써 조임부(140)와 연결부(120)가 연결되어 진다.
즉, 연결부(120)의 조임클립(121)은 다수의 도르래가 일렬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조임끈(122)이 도르래 형태의 조임클립(121)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따라가며 체결되고, 조임클립(121)에 체결된 조임끈(122)이 상기 조임부(140)의 밴드(141) 내측을 통과하여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조임부(140)와 연결부(120)가 이어지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조임부(140)의 손잡이(142)를 당길 경우 밴드(141)와 연결된 조임끈(122)이 당겨져 조임클립(121)에 체결된 조임끈(122)의 체결 간격이 좁아지면서 허리보호대(110) 전체가 한번에 조여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임부(140)의 손잡이(142) 일측에는 벨크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조인 후 상기 허리보호대(110)에 구비된 결합부(130)의 벨크로에 결착됨으로써 조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한번 더 조여주는 효과가 있다.
등받침대(200)는 상기 허리벨트(100)의 중앙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며, 그 구성으로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해주고, 일면의 중앙에 벨크로를 구비하여 레이저 장치(300)가 결착되는 지지대(210)와, 지지대(210)의 타면에 위치되어 상기 허리벨트(100)가 등받침대(200)를 삽입 및 통과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해주는 고정부(220)로 구성된다.
지지대(210)의 내부는 연질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외부에는 캔바스나 직물 또는 피혁 재질의 외피로 감싸여 제작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 지지해주고 상기 허리벨트(100)의 허리보호대(110)와 함께 사용자의 허리을 보호한다.
그리고, 지지대(210)의 일면 중앙에는 일정 면적의 벨크로가(211) 구비되어 레이저 장치(300)가 벨크로(211)에 결착되도록 해준다.
고정부(220)는 캔바스나 직물 또는 피혁 등의 지지대(2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지지대(210)의 타면에 부착되어 허리벨트(100)가 지지대(210)와 고정 부(220)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등받침대(200)가 허리벨트(100)의 중앙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부(220)의 양측에는 고정밴드(230)가 통과하는 고정링(221)이 구비되고, 고정밴드(230)는 허리벨트(100)의 허리보호대(110)에 구비된 것으로 일측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링(221)을 통과하여 허리보호대(110)의 결합부(130)에 결착됨으로써 등받침대(200)가 허리벨트(1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해준다.
레이저 장치(300)는 등받침대(200)에 포함되어 결착되도록 일정 크기로 제조되며, 장치의 외부는 등받침대(200)와 동일한 캔바스, 직물 또는 피혁 등의 재질의 외피로 감싸지고, 등받침대(200)에 결착되는 결착부(310)와, 레이저가 발산되는 다수개의 LED(320)와, 레이저 장치(3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00)와 연결되는 연결선(330)으로 구성된다.
결착부(310)는 레이저 장치(300)의 일면에 벨크로로 구성되어 상기 등받침대(200)의 지지대(210)에 구비된 벨크로(211)와 결착하여 레이저 장치(300)가 등받침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가 환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이저 장치(300)를 이동시켜 등받침대(200)에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LED(320)는 본 고안에서는 6개로 구성되어 635 나노미터의 저주파 레이저가 발산되고 레이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사용자의 허리에 직접적으로 전달시켜주며, 상기 LED(320)가 구비되는 위치 및 숫자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연결선(330)은 허리벨트(100)의 연결홀(150)을 통해 허리벨트(100)의 외부로 통과되어 컨트롤러(400)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컨트롤러(400)를 조작하여 레이저 장치(300)의 레이저 발산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컨트롤러(400)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410)과,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레이저 장치(300)의 작동 시간 정보를 나타내주는 표시장치(420)와,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표시해주는 알림LED(430)와, 레이저 장치(300)의 연결선(330)을 꼽는 연결 단자(440)와, 어댑터와 연결하는 충전 단자(450) 및 허리벨트(100)의 일측 상단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클립으로 구성된다.
컨트롤러(4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600)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의 사시도 및 레이저 장치(300)에서 발산되는 레이저(6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침대(200)는 허리벨트(100)의 중앙에 연결 및 고정되고, 등받침대(200)의 중앙에는 일정 크기의 레이저 장치(300)가 벨크로로 결착된다.
또한, 사용자가 척추치료기를 완전히 착용한 후 컨트롤러(400)를 상기 허리벨트(100)의 일측 상단에 고정클립(460)으로 끼워 고정시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레이저 장치(300)에서는 저주파 레이저(600)가 발산되는데, 여기서 저주파 레이저(600)는 약 400~800 나노미터 정도의 파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주로 피부질환을 치료하는데에 사용되어 진다.
이러한 저주파 레이저(600)에 있어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레이저(600)는 약 635나노미터의 저주파 레이저(600)로 해당 파장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척추질환의 치료에 활용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635나노미터의 저주파 레이저(600)는 가시광선 내에 속해있는 적색광 중의 한 영역으로서, 인체에 조사될 경우 피부를 기준으로 약 8~10mm 가량 투과되어 인체의 조직에 영향을 주며, 광자극만으로 세포와 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율이 뛰어나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피부 조직의 재생을 증진시킨다.
또한, 상기 레이저(600)는 열을 발생하여 종래에 흔히 사용되었던 초음파에 비해 조직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어 혈액 순환을 개선해주고, 환부의 통증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635 나노미터의 저주파 레이저(600)를 발산하는 레이저 장치(300)는 사용자의 척추 질환 또는 척추 수술 후의 환부에 저주파 레이저를 조사해주어 특정 부작용없이 환부의 빠른 회복에 도움을 준다.
상기 레이저 장치(300)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컨트롤러(400)를 조작하여 저주파 레이저(600)를 인체에 지속적으로 조사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간격에 따라 조사할 수 있으며, 레이저 장치(300)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장치(300)의 작동 시간은 최대 30분으로 제한하는데, 그 이유는 레이저(6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는 약 1도 가량 상승하여 고온에 의한 피부 손상 등의 우려는 발생되지 않으나, 해당 레이저(600)를 인체에 장시간 조사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이용 시간을 최대 30분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5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500)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부(510)와, 조작부(51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정보 및 레이저 장치의 기능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해주는 출력부(520)와, 조작부(51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정보 및 레이저 장치 기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530)와, 레이저장치와 연결되어 레이저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접속부(540)와, 상기 조작부(510), 출력부(520), 저장부(530) 및 접속부(540)의 각 입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560) 및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550)로 구성된다.
조작부(510)는 온/오프, 모드, 타임 기능의 세 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해당 입력 정보를 입력받고, 출력부(520)는 스피커, LCD 및 LED 등의 표시장치로 구비되어 레이저 장치의 레이저 연속 발산 및 펄스 발산 모드와 레이저 장치의 작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음성 및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시켜주고, 컨트롤러의 전원의 충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LED를 통해 나타내준다.
저장부(530)는 상기 조작부(5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저장하고, 레이저 장치에서 저주파 레이저가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연속 모드나 또는 일정시간 동안 간헐적으로 레이저가 발산되는 펄스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레이저 장치의 작동 시간에 대한 타이머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레이저 장치의 작동 시간은 10분, 20분 및 30분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이 지날 경우 레이저의 발사가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접속부(540)는 레이저 장치와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저장부(53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기능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레이저 장치로 전송해준다.
제어부(560)는 상기 각 부의 입출력 신호를 제어하여, 조작부(5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저장부(530)에 저장된 해당 기능 정보를 독출하여 접속부(540)를 통해 레이저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전원부(550)는 어댑터와 연결되어 컨트롤러에 전원을 충전시켜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해주고, 상기 어댑터는 220V의 직류 전원장치로 일반 휴대폰을 충전시키는 전원장치와 그 기능이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상술한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는 척추를 지지 및 보호해주는 허리벨트에 635 나노미터의 저주파 레이저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자의 척추 질환 및 척추 수술 후의 해당 환부에 해당 레이저를 조사해 줌으로써, 피부의 조직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의 재생 및 회복을 증진시켜주고, 혈액 순환의 개선으로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환부의 통증을 완화해주어 사용자의 척추 질환의 치료에 도움을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의 전체적인 구성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의 사시도 및 레이저 장치에서 발산되는 레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허리벨트 110 : 허리보호대
120 : 연결부 200 : 등받침대
210 : 지지대 300 : 레이저 장치
310 : 결착부 400, 500 : 컨트롤러

Claims (9)

  1.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로서, 캔바스, 직물 또는 피혁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을 감싸는 허리보호대와; 서로 마주보는 각 허리보호대의 일측단에 다수의 도르래가 일렬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는 조임클립이 구비되어 조임끈이 조임클립에 지그재그 방향으로 따라가며 결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허리보호대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와; 상기 각 허리보호대의 타측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한 쌍의 허리보호대를 일체로 결합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켜주는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의 조임끈과 연결되고,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가 당겨질 때 상기 조임끈이 손잡이를 따라 당겨지면서 한 쌍의 허리보호대를 조여주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허리벨트와;
    상기 허리벨트의 중앙으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침대로서, 일면 중앙에 벨크로가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타면에 일정 크기의 판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허리벨트가 등받침대를 삽입 및 통과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등받침대가 허리벨트의 중앙에 연결 고정되도록 해주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등받침대와;
    상기 등받침대의 일면 중앙에 탈부착되어 위치조정이 가능하며, LED를 통해 저주파 레이저를 발산하는 레이저 장치로서, 상기 레이저 장치의 일면에 벨크로로 구성되어 상기 등받침대에 레이저 장치가 환부의 위치에 따라 이동 결착되도록 해주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장치와;
    상기 레이저 장치와 연결되어 레이저 장치의 레이저의 발산 모드 및 발산 시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충전 건전지 방식으로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캔바스, 직물 또는 피혁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캔바스, 직물 또는 피혁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 측면에 각각 고정링이 구비되어 상기 허리벨트에 구비되는 밴드와 연결됨으로써 등받침대가 허리벨트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는,
    상기 레이저 장치의 일면에 벨크로로 구성되어 상기 등받침대에 레이저 장치가 환부의 위치에 따라 이동 결착되도록 해주는 결착부와;
    저주파 레이저가 발산되는 다수개의 LED와;
    상기 레이저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연결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는,
    상기 허리벨트 또는 등받침대의 재질과 동일한 캔바스, 직물 또는 피혁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로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와 전원 충전 정보와 레이저 장치의 레이저 발산 모드 및 작동 시간 정보를 해당 음성 및 영상으로 출력해주는 출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와, 레이저 발산 모드 및 작동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레이저 장치와 연결되어 레이저 발산 모드 및 작동 시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접속부와;
    상기 조작부, 출력부, 저장부 및 접속부의 각 입출력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른 저장부의 해당 정보를 독출하여 접속부를 통해 레이저 장치로 해당 제어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9. 삭제
KR2020080001964U 2008-02-14 2008-02-14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KR200453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64U KR200453144Y1 (ko) 2008-02-14 2008-02-14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964U KR200453144Y1 (ko) 2008-02-14 2008-02-14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02U KR20090008302U (ko) 2009-08-19
KR200453144Y1 true KR200453144Y1 (ko) 2011-04-08

Family

ID=4130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964U KR200453144Y1 (ko) 2008-02-14 2008-02-14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1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84B1 (ko) * 2014-03-24 2015-05-20 이성종 허리 보호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441B1 (ko) 2020-04-03 2022-03-23 박의한 마사지 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722Y1 (ko) * 2000-07-20 2001-01-15 박대식 착탈식 허리보호대
KR200305857Y1 (ko) * 2002-11-25 2003-03-03 박태상 광학 에너지를 이용한 저출력 생체 조직 치료용 벨트
KR200371927Y1 (ko) 2004-10-04 2005-01-15 김인한 저출력 광 발생장치가 설치된 치료 보조대
KR200401329Y1 (ko) * 2005-09-02 2005-11-15 안승만 허리 벨트용 및 관절 밴드용 레이저 치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722Y1 (ko) * 2000-07-20 2001-01-15 박대식 착탈식 허리보호대
KR200305857Y1 (ko) * 2002-11-25 2003-03-03 박태상 광학 에너지를 이용한 저출력 생체 조직 치료용 벨트
KR200371927Y1 (ko) 2004-10-04 2005-01-15 김인한 저출력 광 발생장치가 설치된 치료 보조대
KR200401329Y1 (ko) * 2005-09-02 2005-11-15 안승만 허리 벨트용 및 관절 밴드용 레이저 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84B1 (ko) * 2014-03-24 2015-05-20 이성종 허리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02U (ko)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72024B2 (en) Device and method to treat vaginal atrophy
US8578939B1 (en) External pressure therapy apparatus
ES2703163T3 (es)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l ronquido y apnea del sueño
US20070255187A1 (en) Vibrating therapy device
JP2000506755A (ja) 胴部用超音波治療装置
US10974047B2 (en) Adjustable TMJ headband
US20160228325A1 (en) Motorized Muscle Relaxing Therapy System
KR200447430Y1 (ko) 허리 가압복대
KR20170034010A (ko) 안마 및 소염 기능을 갖는 요대
KR20120001366U (ko) 복합 물리치료용 허리 밴드
KR200453144Y1 (ko) 레이저를 이용한 척추질환치료기
CN208942813U (zh) 一种多功能护腰带
US20200383826A1 (en) System and method to relieve pain
US10226623B2 (en) Wearable soaking physiotherapeutic device with inflatable seal
ES2446244T3 (es) Aparato para terapia auricular
WO2021048846A1 (en) Impotence treatment
CN110624179A (zh) 一种基于热疗磁极的类风湿关节炎用防护装置
CN116472016A (zh) 压缩装置
KR20040023866A (ko)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CN211158171U (zh) 一种腰椎康复仪
KR101749175B1 (ko) 저주파 치료기
CN110478114A (zh) 前列腺治疗仪
KR200484239Y1 (ko) 온열 및 저주파 치료가 가능한 허리견인 보호대
CN219126952U (zh) 护膝
CN219878950U (zh) 一种多功能腹部理疗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