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415Y1 -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 Google Patents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415Y1
KR200464415Y1 KR2020100012843U KR20100012843U KR200464415Y1 KR 200464415 Y1 KR200464415 Y1 KR 200464415Y1 KR 2020100012843 U KR2020100012843 U KR 2020100012843U KR 20100012843 U KR20100012843 U KR 20100012843U KR 200464415 Y1 KR200464415 Y1 KR 200464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orrection
wearer
correction
band
abdo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429U (ko
Inventor
황나영
Original Assignee
황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나영 filed Critical 황나영
Priority to KR2020100012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41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4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의 착용시 허리를 비롯하여 아랫배와 윗배인 복부에 밀착되어 날씬한 몸매 라인을 형성하는 체형교정부를 구비하면서도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하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서 연결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위치하는 허리띠부와, 그리고 착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체형교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형교정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연결형성되고, 상기 허리띠부가 체형교정부의 일부를 덮는 형태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BOTTOMS}
본 고안은 착용자의 하체가 수용되는 형태에 따라 바지 또는 스커트로 이용될 수 있는 하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의 착용시 허리를 비롯하여 아랫배와 윗배인 복부에 밀착되어 날씬한 몸매 라인을 형성하는 체형교정부를 구비하면서도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여성의 미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여 신체에 밀착되어 날씬한 몸매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의류들이 다수 소개되고 있는데,
특히 속옷의 경우에는, 신체 주요 부위를 가리고 보호 및 보온해주기 위한 기본적 기능 외에도 속옷에 체형 보정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착의감을 좋게 하는 동시에 겉옷을 입었을 때 외관을 보기 좋게 하고자 한 소위, 파운데이션(Foundation)으로 불리는 거들, 웨이스트니퍼, 올인원(바디슈트) 등의 기능성 속옷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속옷의 체형보정은 신체에 밀착되는 원단을 중심으로 복부압박, 힙업, 가슴의 불륨업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날씬한 곡선미 연출을 위해 대부분의 여성들은 이러한 속옷을 착용 한 후 겉옷을 입게 된다.
따라서 속옷은 보다 효과적인 복부압박, 힙업, 가슴의 볼륨업 등을 위해서 속옷의 소재가 달라지거나 구조가 변형되거나 또는 특수 체형 보정 기능을 위해 별도의 소재가 기본 소재에 덧대어지거나 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되게 되는데,
이러한 속옷을 입고 겉옷을 착용하게 되면, 그리고 속옷이 착용감을 최대한 좋게하도록 디자인되었다 하더라도, 착용자는 속옷이 주는 압박이나 특정 기능을 위한 재질 및 구조적인 문제로 안입은 듯한 착용감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고,
더욱이 조깅이나 헬스 등의 운동을 위해 겉옷으로 피트니스웨어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착용감을 비롯하여 활동성이 떨어지기에 앞서 언급된 체형보정용 속옷을 입지않고 단순히 피트니스웨어만 입고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운동시에만 착용하여 체형보정과 동시에 운동에 따른 착용감을 높이는 피트니스웨어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단순히 신축성이 큰 폴리우레탄(스판덱스)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소재를 이용하여 신체에 밀착되어 그리고 발한을 촉진함으로써 체중감량을 도모하는 피트니스웨어가 보편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피트니스웨어는 착용시 몸래 라인을 속옷을 착용한 것에 비해 부각시켜주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어 최근 실용신안등록 제20-0323411호(2003.08.04)『체형보정기능을 가지는 피트니스웨어』가 제안된바 있다.
즉 실용신안등록 제20-0323411호는 특정 형태의 절개선을 이용하여 신체요철을 고려한 디자인을 통하여 가슴과 둔부 등 여성 신체의 돌출부분은 강조하면서 복부에서 옆구리에 이르는 부분은 날씬한 형태로 한 체형보정기능과 종래보다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은 착용자의 몸매 곡선미 도출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반면에 지나친 밀착으로 인해 활동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체형을 가지는 착용자에게는 일괄적으로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의 피트니스웨어에 체형보정기능 특히, 허리와 복부를 중심으로 한 몸매 부위에 대한 체형보정기능을 추가하면서 이와 함께 활동성을 비롯한 착용감을 높이고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복부에 밀착되어 옆구리, 허리 내지 복부에 대한 교정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체형교정부를 하의에 일체 형성하되,
이러한 체형교정부를 수용부 상단에서 형성하되 허리띠부의 내측에서 연결형성하여 운동과 같은 과격한 활동을 하더라도 흘러내림이 없고 신체와의 밀착에 있어 부담이 적으면서도 체형보정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종국적으로는 체형보정기능만이 아니라 착용감 및 활동성을 높일 수 있는 하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의는,
착용자의 하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서 연결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위치하는 허리띠부와, 그리고 착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체형교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형교정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연결형성되고, 상기 허리띠부가 체형교정부의 일부를 덮는 형태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형교정부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복부에 밀착되고, 체형교정부의 상단은 흘러내림방지를 위한 제1 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하의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체형교정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허리띠부 상단에는 제2 밴드부가 구비되어 체형교정부에 밀착되고, 체형교정부와 허리띠부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하의는, 하의에 연결형성되는 체형교정부를 더 구비하여 하의 착용시 체형교정부가 옆구리와 복부 부위에 밀착됨으로서 착용자의 허리선 등 몸매 라인을 살릴 수 있는 체형보정기능 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특히 체형교정부 상단은 흘러내림 방지를 위한 밴드부가 구비되어 착용시 체형교정부가 상단부터 말려서 흘러내려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더욱이 체형교정부의 일면을 허리띠부가 덮고 있고, 허리띠부 역시 조임기능을 구비하도록 하고 나아가 허리띠부와 체형교정부의 소재를 상이한 소재로 구성하여 과격한 운동을 하더라도 체형교정부 착용에 있어 흘러내림 현상을 확실히 방지시킬 수 있게 되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의를 설명하기 위해 도면으로 작성한 사시도인 것으로 우측의 확대부분은 표시된 부분의 단면확대도임.
도 2는 본 고안의 하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하의의 실제품을 촬영한 사시사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하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의를 도면으로 작성한 것이고, 도 1에 도시된 하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의의 실제 제품을 촬영한 사시 사진인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의는
착용자의 하체가 수용되는 수용부(10)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서 연결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위치하는 허리띠부(20)와, 착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체형교정부(3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 하의는 길이가 긴 바지로 하여 도시를 하였으나, 이는 착용자의 하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짧은 반바지 또는 스커트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도면에 첨부된 상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참고로 도 4에서는 스커트로 본 고안을 도시하였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의를 바지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형교정부를 제외한 구성 자체는 바지의 보편적인 구성과 동일하다.
즉, 일반적인 피트니스웨어와 같이 수용부(10) 상단에 연결형성되는 허리띠부(20)를 고무줄밴드를 삽입하여 조임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리하여 구성하고 있는데, 상기 고무줄밴드 처리 부분이 이하 설명될 제2 밴드부로(50)서 기능을 하게 된다.
또는 피트니스웨어 형태에 따라 폐곡선과 같은 형상으로 고무줄로 허리띠부를 구성할 것이 아니라 정장 바지에서와 같이 일부 구간에서 트임부가 형성되고 트여진 양 측을 단추 등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도 허리띠부가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 경우에서도 허리띠부에는 별도의 고무줄과 같은 밴드 처리가 된 부분을 도입하여 착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이하 설명될 제2 밴드부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체형교정부(30)를 살펴보면,
상기 체형교정부(30)는 허리를 비롯한 착용자의 복부 부분에 밀착되는 것으로 신체부위에 밀착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형교정부(30)의 형성 높이는 체형교정 부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지만, 도 2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과 같이 하의 착용시 체형교정부의 상단이 가슴아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높이가 옆구리살 내지 복부 부분에 대한 체형교정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형교정부(30)가 신체에 밀착되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착용 후 활동을 하게 되면 가슴 부분에서부터 아래로 체형교정부가 흘러내릴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체형교정부 상단에 착용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밴드부(40)를 구비해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밴드부(40)라 함은 체형교정부의 상단을 조여 가슴부위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밴드부 구성으로는 폭이 넓은 고무줄 밴드를 이용하여 제1 밴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물론, 조임기능을 가진 구조라면 여러 방식을 통해 본 고안의 제1 밴드부 구현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형교정부(30)는 수용부(10)에서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허리띠부(20)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서 박음질을 통하여 수용부(10)로부터 연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허리띠부(20)의 내측에서 체형교정부(30)가 형성됨으로써 하의 착용시 허리띠부(20)가 체형교정부(30)의 일부를 덮는 형태가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허리띠부(20)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허리띠부를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조임기능을 가지는 제2 밴드부(50)가 구비되는데,
제2 밴드부 역시 제1 밴드부와 마찬가지로 폭이 넓은 고무줄 밴드로 이루어진다.
결국, 본 고안의 체형교정부(30)는 체형교정부 상단에 형성된 제1 밴드부(40)로 인해 1차적으로 흘러내림이 방지될 수 있지만 상기 제1 밴드부만으로는 완벽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없다.
즉, 간단한 워킹을 비롯하여 허리 돌리기라던가 옆구리를 좌우로 접는 운동과 같은 활동을 하게 되면 제1 밴드부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체형교정부(30)가 밀착을 지속하지 못하고 가슴 아래에서부터 흘러내리게 되는데,
허리띠부에 구비된 제2 밴드부(50)가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서 허리를 조여주면서 체형교정부의 하부를 잡아주게 됨으로써 이러한 활동 폭이 넓은 운동을 하더라도 체형교정부가 흘러내리지 않고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형교정부(30)와 허리띠부(20)의 소재를 달리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허리띠부(20)가 체형교정부 일부에 밀착됨에 있어 서로의 소재가 다르다면 이로 인한 마찰로 인해 보다 높은 밀착력, 다르게는 마찰로 인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착용자의 하체가 수용되는 수용부(10)와 이의 상단에서 연결형성되는 허리띠부(20)는 동일한 재질로 하고,
허리띠부의 내측에서 수용부 상단에서 박음질되어 연결형성되는 체형교정부(30)는 허리띠부와 수용부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하의"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하기에서 언급되는 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본 고안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용부 20: 허리띠부 30: 체형교정부
40: 제1 밴드부 50: 제2 밴드부

Claims (3)

  1. 착용자의 하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서 연결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위치하는 허리띠부; 및
    착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체형교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형교정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연결형성되되, 상기 허리띠부 내측에서 수용부 상단에서 박음질되어 연결형성되어 상기 허리띠부가 체형교정부의 일부를 덮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형교정부는 체형교정부의 상단이 착용자의 가슴 아래 부분에 위치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형교정부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체형교정부의 상단에는 흘러내림방지를 위한 제1 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허리띠부에는 흘러내림방지를 위한 것으로 상기 체형교정부에 밀착되는 제2 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형교정부와 허리띠부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2. 삭제
  3. 삭제
KR2020100012843U 2010-12-13 2010-12-13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KR200464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43U KR200464415Y1 (ko) 2010-12-13 2010-12-13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843U KR200464415Y1 (ko) 2010-12-13 2010-12-13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29U KR20120004429U (ko) 2012-06-21
KR200464415Y1 true KR200464415Y1 (ko) 2013-01-02

Family

ID=4685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843U KR200464415Y1 (ko) 2010-12-13 2010-12-13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4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113B1 (ko) 2015-05-13 2015-12-17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체형 보정용 하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93Y1 (ko) * 2014-08-20 2015-02-16 코웰패션 주식회사 레깅스
KR102114702B1 (ko) * 2018-10-04 2020-05-26 김동현 기능성 바지
KR102632080B1 (ko) * 2020-04-24 2024-02-01 황연재 기능성 레깅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411Y1 (ko) 2003-05-26 2003-08-19 황대연 체형보정기능을 가지는 피트니스웨어
KR200327668Y1 (ko) * 2003-06-20 2003-09-26 한연희 체형보정 기능을 가진 스포츠 의류
KR200330677Y1 (ko) 2003-06-20 2003-10-17 크리원 월드(주) 기능성 의류
KR200399204Y1 (ko) * 2005-08-01 2005-10-19 김희옥 거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411Y1 (ko) 2003-05-26 2003-08-19 황대연 체형보정기능을 가지는 피트니스웨어
KR200327668Y1 (ko) * 2003-06-20 2003-09-26 한연희 체형보정 기능을 가진 스포츠 의류
KR200330677Y1 (ko) 2003-06-20 2003-10-17 크리원 월드(주) 기능성 의류
KR200399204Y1 (ko) * 2005-08-01 2005-10-19 김희옥 거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113B1 (ko) 2015-05-13 2015-12-17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체형 보정용 하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29U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5434B2 (en) Support and compression garments
US9596893B2 (en) Exercise garment with crotch part
US10987534B2 (en) Exercise garment
US20220104570A1 (en) Men's & Women's Activewear
US8769726B2 (en) Lower torso garment system
KR200464415Y1 (ko) 체형보정력과 활동성을 겸비한 하의
KR20090081551A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KR200474107Y1 (ko) 원피스형 보정속옷
KR101291565B1 (ko) 벨트가 부착된 탈착형 히퍼지어
WO2013033648A1 (en) Garment with hidden protective padding
US20110179552A1 (en) Casual exercise garment
KR20110012027U (ko)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US20230240401A1 (en) Pair of trousers comprising a waistband system
US8235926B2 (en) Brace for restraining shoulder movement
KR20140056596A (ko) 체형 보정 기능을 가지는 의류
JPWO2014125609A1 (ja) 運動用パンツ
RU2538513C1 (ru) Комбинезон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людей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двигатель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инвалидов-колясочников)
RU2498748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дель верхней одежды для школьников
CN219645092U (zh) 一种双腰头休闲裤
RU211569U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для нижней части тела
JP3236395U (ja) 下肢用衣料
CN209862359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运动裤
CN211483055U (zh) 一种便于调节负重的暴汗服
CN215958415U (zh) 一种加强收腹功能的运动裤
KR102096670B1 (ko) 기능성 신체 보정 치마레깅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