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313B1 -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313B1
KR101947313B1 KR1020180031920A KR20180031920A KR101947313B1 KR 101947313 B1 KR101947313 B1 KR 101947313B1 KR 1020180031920 A KR1020180031920 A KR 1020180031920A KR 20180031920 A KR20180031920 A KR 20180031920A KR 101947313 B1 KR101947313 B1 KR 10194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hole
longitudinal direction
lower mounting
k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완
Original Assignee
박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완 filed Critical 박종완
Priority to KR1020180031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313B1/ko
Priority to PCT/KR2019/003191 priority patent/WO20191823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61F2005/016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in stand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79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무릎관절 측면방향에 탄성유닛을 마련하여 보행시에는 상기 탄성유닛에 탄성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보행편의성을 높이고, 상기 탄성유닛에 마련된 탄성조절부를 통해 상황별로 기립에 필요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 및 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무릎관절 상부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착용패드(100)와,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착용패드(300)와, 착용자의 무릎관절 측면방향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와 하부착용패드(300)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중앙힌지부(420)를 매개로 길이방향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400)으로 이루어진 기립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400)은,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장착대(410);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부착용패드(3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장착대(440);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위치한 상태로 기립시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450)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450)는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코일구(451)와, 상기 코일구(451)의 양측단에서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형성된 탄성작용공(43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탄성연장구(452)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연장구(452)는 보행시 무릎을 펴거나 굽히는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측에서 걸림되지 않는 무부하상태로 왕복되며,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시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걸림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코일구(451)에 형성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조절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ASSISTANT APPARATUS FOR KNEE WORKING}
본 발명은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무릎관절 측면방향에 탄성유닛을 마련하여 보행시에는 상기 탄성유닛에 탄성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보행편의성을 높이고, 상기 탄성유닛에 마련된 탄성조절부를 통해 상황별로 기립에 필요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 및 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밭일 또는 논 일이나 용접 등과 같은 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을 하는 사람이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어렵고 다리에 쥐가 나거나 다리 및 무릎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즉, 쪼그리고 앉아서 장시간 일을 하게 되면 체중이 다리에 집중됨과 아울러 무릎에 집중됨으로써 혈액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다리가 쉽게 저리거나 무릎이 아프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지면에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행하게 되면, 작업이 편안하여 장시간 자겁을 하고 있어도 허리에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로도 적제 느낀다.
그러나, 지면에 무릎을 지지하고 작업을 행한다면 의복에 진흙이나 풀의 즙등의 이물질이 묻을 수 있으며,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외복이 닳아서 떨어지는 등의 훼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1021720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468083호와 같이 스프링 및 스펀지를 이용하여 좌식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장시간 좌식 작업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의 엉덩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방석을 구비하여 좌식 작업시 지면에 엉덩이를 깔고 앉아 작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발뒤꿈치와 대퇴부 사이에 쿠션력을 구비한 완충부재를 구비한 것으로서 오랜시간 앉아서 작업할 때 무릎에 치우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지만 오랜 작업 후 일어설 때 순수하게 사용자의 하체 힘으로 일어설 수밖에 없어 작업자의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1599670호에서는 무릎의 뒤부분에 작업용 보조기구를 착용하여 무릎을 구부려 앉는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한 쿠션으로 완충작용을 하고, 기립시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바탕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용 보조기구는 무릎의 뒤부분에 위치됨에 따라 기립이나 착석시 대퇴부나 종아리 상측에 압박이 가해져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대퇴부 및 종아리에 착용되는 상,하부착용패드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유닛을 마련하여 보행시에는 상기 탄성유닛에 탄성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보행편의성을 높이고, 상기 탄성유닛에 탄성조절부를 설치하여 기립이나 계단을 오르는 과정 등 상황별로 상기 탄성유닛에 형성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 및 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무릎관절 상부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착용패드(100)와,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착용패드(300)와, 착용자의 무릎관절 측면방향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와 하부착용패드(300)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중앙힌지부(420)를 매개로 길이방향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400)으로 이루어진 기립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400)은,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장착대(410);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부착용패드(3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장착대(440);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위치한 상태로 기립시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450)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450)는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코일구(451)와, 상기 코일구(451)의 양측단에서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형성된 탄성작용공(43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탄성연장구(452)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연장구(452)는 보행시 무릎을 펴거나 굽히는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측에서 걸림되지 않는 무부하상태로 왕복되며,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시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걸림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코일구(451)에 형성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조절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조절부(500)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31)에 왕복이동되게 설치되는 파지슬라이더(510)와, 상기 파지슬라이더(51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431)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스토퍼돌기(432)에 걸림되는 탄성걸림구(520)와, 상기 파지슬라이더(5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걸림되는 걸림위치조절구(5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연장구(452)를 바라보는 상기 걸림위치조절구(530)의 일측면은,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531)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연장구(452)를 바라보는 상기 걸림위치조절구(530)의 일측면은,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단(533)이 연이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시 탄성유닛에 탄성력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보행중 무릎관절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보행편의성 및 무릎관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기립이나 계단을 오르는 과정 등 상황별로 상기 탄성유닛에 형성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 및 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위치조절구가 적용된 탄성조절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위치조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위치조절구가 적용된 탄성조절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위치조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릎의 슬개부 방향을 무릎의 전면으로 하고, 슬와부 방향을 무릎의 배면으로 하며, 상기 슬개부 및 슬와부의 측면방향을 무릎의 측면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유닛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위치조절구가 적용된 탄성조절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위치조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위치조절구가 적용된 탄성조절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위치조절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는 착용자의 무릎관절 상부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착용패드(100)와,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착용패드(300)와, 착용자의 무릎관절 측면방향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와 하부착용패드(300)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중앙힌지부(420)를 매개로 길이방향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400)으로 이루어진 기립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400)은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장착대(410)와, 상기 하부장착대(44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장착대(440)와,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4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는 상기 상,하부착용패드(100,300)를 대퇴부 및 종아리부분에 착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때, 계단을 오를 때 무릎의 측면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기 상,하부착용패드(100,300) 양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부(450)를 통해 손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하여 기립의 효율성을 높이고, 단순 보행을 위해 무릎을 굽히거나 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450)에 탄성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행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착용패드(100,300)는 탄성직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대퇴부 및 종아리에 밀착되게 착용되고 뒤틀리지 않는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착용패드(100,300)에는 착용자의 인체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밴드(110)가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유닛(400)은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장착대(410)와,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부착용패드(3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장착대(440)와,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위치한 상태로 기립시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450)로 구성된다.
즉, 단순 보행시에는 상기 탄성부에서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로 탄성력을 부가하지 않게 됨에 따라 보행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쪼그려 앉거나 지면에 있는 물건을 들어올리기 위해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450)에 탄성력이 형성되어 그 탄성력이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부가됨에 따른 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하부장착대(410,440)는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작용공(430)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450)는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코일구(451)와, 상기 코일구(451)의 양측단에서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형성된 탄성작용공(43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탄성연장구(4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연장구(452)는 보행시 무릎을 펴거나 굽히는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측에서 걸림되지 않는 무부하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코일구(451)에 탄성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450)의 탄성연장구(452)가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탄성작용공(430)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무릎을 펴거나 굽히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작용공(430) 내측에서 왕복이동하게 되고, 이때 보행을 위해 무릎을 펴거나 굽히는 각도가 작음에 따라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내주면에 걸림되지 않게 되어 상기 코일구(451)에 탄성력이 형성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보행시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주면에 걸림되면 보행을 위해 무릎을 굽히는 과정에서 무릎관절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게 되어 보행불편함을 야기함으로 본 발명에서는 보행시 상기 탄성부(450)에 탄성력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행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힌지부(42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상부장착대(410)의 단부에 제1관통공(422)을 갖는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연결브라켓(421)과, 상기 하부장착대(440)의 단부에 제2관통공(424)을 갖는 상태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연결브라켓(423)과, 상기 제1,2관통공(422,424)을 관통하여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4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축(425)에는 상기 탄성부(450)의 코일구(451)가 감싸지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별도의 커버구(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중앙힌지부(420)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걸림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무릎의 굽힘각도에 따라 상기 코일구(451)에 형성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조절부(500)가 구비된다.
즉,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기 위해 큰 탄성력이 필요한 경우 무릎을 조금만 굽히더라도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탄성연장구(452)에 걸림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무릎의 굽힘 각도가 커질 수록 상기 코일구(451)에 큰 탄성력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기립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는 상기 탄성조절부(500)를 상기 탄성연장구(452)방향으로 이동시켜 보행에 따른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무부하 왕복구간의 길이를 줄여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걸림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탄성조절부(500)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31)에 왕복이동되게 설치되는 파지슬라이더(510)와, 상기 파지슬라이더(51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431)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스토퍼돌기(432)에 걸림되는 탄성걸림구(520)와, 상기 파지슬라이더(5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걸림되는 걸림위치조절구(53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보행시에는 상기 파지슬라이더(510)를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삽입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상기 걸림위치조절구(530)에 걸림되지 않도록 위치시키고,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기립시 큰 탄성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파지슬라이더(510)를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무릎의 작은 굽힘각도에서 상기 탄성연장구(452)에 걸림력이 발생하여 상기 코일구(451)에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연장구(452)를 바라보는 상기 걸림위치조절구(530)의 일측면에 대한 일 실시예로써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531)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경사면(531)은 상기 탄성조절부(500)를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리에 따라 상기 탄성연장구(452)와의 거리가 점차 줄어들어 무릎의 굽힘 각도에 따른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걸림발생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연장구(452)를 바라보는 상기 걸림위치조절구(530)의 일측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단(533)이 연이어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조절부(500)를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단부가 상기 걸림위치조절구(530)의 단턱에 걸림되어 상기 탄성조절부(500)의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단부에 무릎관절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굴곡지는 굴곡부(453)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조절부(500)가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삽압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하부착용패드(100,300)를 일체로 형성하여 착용자의 무릎관절에 착용하도록 할 수 있으나 무거운 물건을 들기에 위해 앉는 경우 무릎관절의 배면에 이질감이 느껴져 착용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장시간 쪼그려 앉아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무릎관절의 배면에서 분비되는 땀의 증발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착용자의 무릎관절 배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하부착용패드(100,300)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상,하부착용패드(100,300)보다 얇은 재질로 이루어진 신축성을 갖는 메쉬형 직조편(200)이 구비된다.
즉, 상기 메쉬형 직조편(200)은 여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스타킹과 같이 얇은 재질로 이루어져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를 착용한 후, 쪼그려 앉게 되더라도 상기 메쉬형 직조편(200)으로 인해 무릎관절 배면에서의 이질감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무릎관절 배면에서 분비되는 땀의 증발효과를 얻을 수 있어 쾌적한 착용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상부착용패드 110: 착용밴드
200: 메쉬형 직조편 300: 하부착용패드
400: 탄성유닛 410: 상부장착대
420: 중앙힌지부 430: 탄성작용공
431: 슬라이딩홈 432: 스토퍼돌기
440: 하부장착대 450: 탄성부
451: 코일구 452: 탄성연장구
453: 굴곡부 500: 탄성조절부
510: 파지슬라이더 520: 탄성걸림구
530: 걸림위치조절구 531: 경사면
533: 걸림단

Claims (4)

  1. 착용자의 무릎관절 상부 대퇴부에 착용되는 상부착용패드(100)와,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종아리에 착용되는 하부착용패드(300)와, 착용자의 무릎관절 측면방향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와 하부착용패드(300)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중앙힌지부(420)를 매개로 길이방향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유닛(400)으로 이루어진 기립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400)은,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착용패드(1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부장착대(410);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부착용패드(3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장착대(440);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위치한 상태로 기립시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450)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450)는 상기 중앙힌지부(42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코일구(451)와, 상기 코일구(451)의 양측단에서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에 형성된 탄성작용공(43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탄성연장구(452)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연장구(452)는 보행시 무릎을 펴거나 굽히는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측에서 걸림되지 않는 무부하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시 상기 탄성연장구(452)의 걸림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코일구(451)에 형성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조절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조절부(500)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31)에 왕복이동되게 설치되는 파지슬라이더(510)와, 상기 파지슬라이더(51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431)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스토퍼돌기(432)에 걸림되는 탄성걸림구(520)와, 상기 파지슬라이더(5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탄성작용공(43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걸림되는 걸림위치조절구(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장구(452)를 바라보는 상기 걸림위치조절구(530)의 일측면은,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531)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장구(452)를 바라보는 상기 걸림위치조절구(530)의 일측면은, 상기 탄성연장구(452)가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상,하부장착대(410,4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단(533)이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4. 삭제
KR1020180031920A 2018-03-20 2018-03-20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KR101947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920A KR101947313B1 (ko) 2018-03-20 2018-03-20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PCT/KR2019/003191 WO2019182328A1 (ko) 2018-03-20 2019-03-19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920A KR101947313B1 (ko) 2018-03-20 2018-03-20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313B1 true KR101947313B1 (ko) 2019-02-12

Family

ID=6536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920A KR101947313B1 (ko) 2018-03-20 2018-03-20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7313B1 (ko)
WO (1) WO20191823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966U (ko) 2021-02-04 2022-08-11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릅 보호대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96Y1 (ko) * 2006-01-09 2006-03-27 조상덕 정형외과 무릎관절 보조기구
JP4442794B2 (ja) * 2002-10-29 2010-03-31 橋本義肢製作株式会社 下肢装具における膝継手
KR20100102259A (ko) * 2009-03-11 2010-09-24 (주)트리플씨메디칼 피스톤식 무릎보조기
KR20100110084A (ko) * 2009-04-02 2010-10-12 류실근 무릎보조기
KR200455208Y1 (ko) * 2010-02-02 2011-08-23 서영춘 무릎 지지장치
KR101555850B1 (ko) * 2015-06-30 2015-09-25 (주)엔에스시스템 신전 및 굴곡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KR101575998B1 (ko) * 2015-01-26 2015-12-21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20160003614U (ko) * 2015-04-10 2016-10-19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미세 폭 조절이 가능한 다이얼식 무릎 관절 보조 기구
JP6034186B2 (ja) * 2009-05-19 2016-11-30 ビジョン・クエスト・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ディビイエイ・ブイキュー・オーソケア 関節炎を治療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690422B1 (ko) * 2015-07-29 2016-12-27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4081B2 (ja) * 2005-10-31 2011-05-18 保 佐喜眞 関節支持装具
KR20100055643A (ko) * 2008-11-18 2010-05-27 조경일 무릎관절 보조기구
KR101117099B1 (ko) * 2009-11-05 2012-03-14 (주)트리플씨메디칼 회전체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무릎 보조기
KR101512985B1 (ko) * 2014-04-22 2015-04-17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2794B2 (ja) * 2002-10-29 2010-03-31 橋本義肢製作株式会社 下肢装具における膝継手
KR200412396Y1 (ko) * 2006-01-09 2006-03-27 조상덕 정형외과 무릎관절 보조기구
KR20100102259A (ko) * 2009-03-11 2010-09-24 (주)트리플씨메디칼 피스톤식 무릎보조기
KR20100110084A (ko) * 2009-04-02 2010-10-12 류실근 무릎보조기
JP6034186B2 (ja) * 2009-05-19 2016-11-30 ビジョン・クエスト・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ディビイエイ・ブイキュー・オーソケア 関節炎を治療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455208Y1 (ko) * 2010-02-02 2011-08-23 서영춘 무릎 지지장치
KR101575998B1 (ko) * 2015-01-26 2015-12-21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20160003614U (ko) * 2015-04-10 2016-10-19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미세 폭 조절이 가능한 다이얼식 무릎 관절 보조 기구
KR101555850B1 (ko) * 2015-06-30 2015-09-25 (주)엔에스시스템 신전 및 굴곡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KR101690422B1 (ko) * 2015-07-29 2016-12-27 박종완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966U (ko) 2021-02-04 2022-08-11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릅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328A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09892B (zh) 一种可穿戴式智能外骨骼座椅装置
US10561518B2 (en) Wearabl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supporting a torso
KR20170139116A (ko) 신체 지지장치
JP2022507479A (ja) 重量分散外骨格
US20070252419A1 (en) Seating Mechanism and Chair
KR101026825B1 (ko) 척추 보정용 속옷
CN208557478U (zh) 一种防止行走干涉的下肢助坐外骨骼
CN108582042A (zh) 一种无动力助坐机械腿
KR101947313B1 (ko)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US4583533A (en) Orthopedic lumbar apparatus
CN109770597A (zh) 一种穿戴式座椅
US20200375775A1 (en) Knee brace
KR101690422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575998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US5882321A (en) Leg sling and abdominal belt
KR200431890Y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US20030106576A1 (en) Mobility appliance
GB2375962A (en) Orthopaedic device
JP4006071B2 (ja) 股関節症用装具
CN209140888U (zh) 一种用于承重屏蔽服的外骨骼装置
KR20200104183A (ko) 의자기능이 구비된 작업용 기립 보조기구
KR101929176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US20150096568A1 (en) Upper body support device
CN214631091U (zh) 作业场所人员随身外骨骼自锁式人体功效学支撑椅
KR100699064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