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639B1 - 골반 교정용 기구 - Google Patents

골반 교정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639B1
KR102316639B1 KR1020200028922A KR20200028922A KR102316639B1 KR 102316639 B1 KR102316639 B1 KR 102316639B1 KR 1020200028922 A KR1020200028922 A KR 1020200028922A KR 20200028922 A KR20200028922 A KR 20200028922A KR 102316639 B1 KR102316639 B1 KR 10231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generating
generating member
frame
strap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772A (ko
Inventor
김남엽
이성현
Original Assignee
김남엽
이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엽, 이성현 filed Critical 김남엽
Priority to KR102020002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63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75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on the side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 교정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하향 연장되는 장력발생부재, 및 장력발생부재에 연결되고 바닥 또는 매트에 비스듬하게 누운 상태인 피교정자의 다리를 삽입 허용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상체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스트랩에 비스듬하게 눕거나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걸어 전후 왕복 이동하는 운동을 함으로써, 스트랩의 벡터합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으로 인해 대퇴부의 대퇴근막장근을 해부학적으로 열린 각도로 교정 치료가 가능함에 따라, 대퇴근막장근의 정확한 교정 치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골반 교정용 기구{DEVICE FOR CORRECTING BENT BASIN}
본 발명은 골반 교정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체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스트랩에 비스듬하게 눕거나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걸어 전후 왕복 이동하는 운동을 함으로써, 스트랩의 벡터합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으로 인해 대퇴부의 대퇴근막장근을 해부학적으로 열린 각도로 교정 치료가 가능함에 따라, 대퇴근막장근의 정확한 교정 치료가 가능한 골반 교정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하나, 실제로는 단순한 2차원적인 기형이 아니라 추체 자체의 회전 변형이 동반되어 옆에서 보았을 때에도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아닌 3차원적인 변형을 보이는 상태이다.
환자의 후방에서 볼 때, 흉추 부분이 오른쪽으로 만곡되어 있는 경우, 흉추 중앙부는 환자의 머리 위에서 내려다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오른쪽 늑골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척추는 경추쪽으로 올라갈수록 점차 반시계 방향으로 뒤틀려서 오른쪽 어깨는 상대적으로 위로 들림과 동시에 전방을 향해 있다. 또한, 골반은 시계방향으로 뒤틀려서 좌측 장골이 위로 들림과 동시에 전방을 향해 있다.
척추 중심선(SP)의 중앙부, 즉 흉추 부분이 오른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 결과 어깨선(SH)은 오른쪽이 위로 들림과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틀어져 있고, 오른쪽 견갑골 내측 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슴선(CH)도 오른쪽이 위로 들림과 동시에 시계 방향으로 틀어져 있으며, 골반선(PE)은 왼쪽이 다소 높고 시계 방향으로 틀어져 있다. 이와 같이, 척추측만증에 따른 신체 변형은 3차원적으로 일어난다. 또한, 척추의 회전 변형으로 인해 늑골들은 오른쪽 후방과 왼쪽 전방으로 돌출되고, 왼쪽 후방은 안쪽으로 함입된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변형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는데, 흉강의 변형이 심해지면 폐활량이 줄어들고 호흡곤란이 일어나는 등 장기의 기능이 저하되기도 한다.
의료보조기구 분야에서는 척추측만증으로 인한 불편과 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교정기구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89953호의 "척추 측만증 보조기"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5951호의 "신체 교정을 위한 교정 밸트" 등이 있는데, 이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착용이 어렵고, 척추의 회전 변형을 포함한 3차원적인 변형을 교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08579호의 "밸트형 척추 측만증 교정기"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척추 측만증을 교정하기 위해 기계의 작동을 통해 물리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척추를 견인하는 치료 방법으로는 고도로 숙련된 의료인의 직접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기계 작동을 통한 물리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척추를 견인하는 치료 방법은 교정을 요구하는 부위가 아닌 다른 신체 부위에 집중 운동이 가해짐에 따라, 교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체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스트랩에 비스듬하게 눕거나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걸어 전후 왕복 이동하는 운동을 함으로써, 스트랩의 벡터합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으로 인해 대퇴부의 대퇴근막장근을 해부학적으로 열린 각도로 교정 치료가 가능함에 따라, 대퇴근막장근의 정확한 교정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 골반 교정용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피교정자가 다리를 스트랩에 걸고 나서 대퇴부의 근육을 집중 이용하여 스트랩을 전후 왕복 이동함에 따라 대퇴근막장근의 교정 치료 기간을 단축시키고자 하는 골반 교정용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하향 연장되는 장력발생부재; 및 상기 장력발생부재에 연결되고, 바닥 또는 매트에 비스듬하게 눕거나 옆으로 누운 상태인 피교정자의 다리를 삽입 허용하는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스트랩에 삽입된 피교정자의 다리가 상기 장력발생부재에 지지된 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 상기 장력발생부재의 장력 발생 방향으로도 당겨짐으로써, 상기 다리의 해당 부위가 해부학적으로 열린 각도로 교정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발생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경질로 이루어진 경질연결부재; 및 상기 경질연결부재에 연결되고,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을 연결한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 또는 상기 매트는 비스듬히 누운 피교정자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발생부재는 높낮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높이 조절을 달리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로어빔, 및 상기 장력발생부재를 연결하는 어퍼빔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빔은 승하강작동부에 의해 상기 로어빔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연장빔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장빔은 축 방향을 따라 개방구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구는 상기 장력발생부재의 지지점을 변경하기 위해 연속 또는 비연속되는 요철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회전허용부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는 종래 기술과 달리 상체보다 높은 위치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하향 연장되는 스트랩에 비스듬하게 눕거나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걸어 전후 왕복 이동하는 운동을 함으로써, 스트랩의 벡터합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으로 인해 대퇴부의 대퇴근막장근을 해부학적으로 열린 각도로 교정 치료가 가능함에 따라, 대퇴근막장근의 정확한 교정 치료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교정자가 다리를 스트랩에 걸고 나서 대퇴부의 근육을 집중 이용하여 스트랩을 전후 왕복 이동함에 따라 대퇴근막장근의 교정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를 통해 대퇴근막장근을 교정한 상태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를 통해 대퇴근막장근을 교정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100)는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되는 스트랩(130)에 다리를 삽입 후 능동적으로 전후 왕복 이동 운동에 의해 골반을 교정하는 기구로서, 프레임(110), 장력발생부재(120) 및 스트랩(13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100)는 고관절 교정이나 휨 다리 교정 등에도 교정치료기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100)는 피교정자가 비스듬히 눕거나 옆으로 누운 상태로 다리를 왕복 이동 안내하여, 피교정자가 능동적이고 반복적인 운동으로써 대퇴부의 대퇴근막장근의 근육 길이와 긴장도를 통한 조절(교정)을 하는 설비이다.
프레임(110)은 장력발생부재(1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프레임(110)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프레임(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지만, 편의상 수직폴대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프레임(110)은 바닥(10)에 구속될 수도 있고, 이동 가능하게 바닥(10)에 단순히 놓여질 수도 있다.
그리고, 장력발생부재(120)는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장력발생부재(120)는 세워진 수직폴대 형상 등의 프레임(110)에서 하향 연장된다. 그래서, 피교정자가 장력발생부재(120)에 다리를 거치할 경우, 다리는 장력발생부재(120)에 의해 경사진 상부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대퇴근막장근은 해부학적으로 열린 각도로 교정을 해야 한다. 이때, '해부학적으로 열린 각도'는 신체의 정면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20도 내지 50도의 각도로 벌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대퇴근막장근이 신체의 정면으로만 또는 측면으로만 근육 길이가 교정될 경우, 교정 효율이 극히 저하된다.
또한, 스트랩(130)은 장력발생부재(120)에 연결되고, 바닥(10) 또는 매트(20)에 비스듬하게 눕거나 옆으로 누운 상태인 피교정자의 다리를 삽입 허용한다. 이때, 스트랩(130)은 다리를 거치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장력발생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피교정자는 비스듬히 눕거나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스트랩(130)에 삽입하여 거치한 후 능동적으로 신체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대퇴근막장근의 반복적인 운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1을 참조하면, 특히, 골반 전방 경사 자세는 요추의 전만 증가로 요통의 주요원인이 되며 더 나아가 흉추나 경추의 자세이상 및 요추 전방전위증까지 이어지게 된다.
즉, 척추 중심선(SP)의 중앙부, 즉 흉추 부분이 오른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 결과 어깨선(SH)은 오른쪽이 위로 들림과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틀어져 있고, 오른쪽 견갑골 내측 부분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슴선(CH)도 오른쪽이 위로 들림과 동시에 시계 방향으로 틀어져 있으며, 골반선(PE)은 왼쪽이 다소 높고 시계 방향으로 틀어져 있다. 이와 같이, 척추측만증에 따른 신체 변형은 3차원적으로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발생부재(120)가 비스듬한 상부 방향으로 장력을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트랩(130)에 삽입된 피교정자의 다리(골반)가 장력발생부재(120)에 지지된 채 전후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왕복 이동함에 따라, 다리의 해당 부위(대퇴근막장근)가 해부학적으로 열린 각도로 교정된다.
편의상, 피교정자는 바닥(10)에 놓인 매트(20)에 비스듬히 눕거나 옆으로 누운 상태로 다리를 스트랩(130)에 삽입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피교정자가 매트(20) 위에 누운 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다리가 스트랩(130)에 삽입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다리는 엉덩이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바닥(10) 또는 매트(20)는 비스듬히 눕거나 옆으로 누운 피교정자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재(30)를 구비한다. 즉, 지지부재(30)는 피교정자의 눕는 방향에 따라 엉덩이 부위를 지지하거나, 또는 배나 전측 허벅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지지부재(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재(30)가 교정을 위해 왕복 이동되는 다리를 전후진 안내하도록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장력발생부재(120)는 경질연결부재(122) 및 와이어(124)를 포함한다.
경질연결부재(122)는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경질로 이루어져 왕복 이동되는 다리의 상하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경질연결부재(122)는 신장 가능한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피교정자의 다리의 대퇴부나 골반 부위의 휨 상태나 신체 조건에 따라, 스트랩(130)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물론, 경질연결부재(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와이어(124)는 경질연결부재(122)에 연결되고,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스트랩(130)을 연결한다. 가요성을 갖는 와이어(124)가 스트랩(130)을 연결함으로써, 스트랩(130)에 삽입되거나 거치된 다리가 능동적으로 왕복 이동시, 순간적 이동 저항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다리에 가해지는 압박력이 감소된다.
물론, 와이어(124)는 다양한 방식으로 경질연결부재(122)와 스트랩(130)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와이어(124)가 일측이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트랩(1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장력발생부재(120)는 높낮이조절부(140)에 의해 프레임(110)에 높이 조절을 달리하며 연결된다.
여기서, 높낮이조절부(140)는 슬리브바디(142) 및 거치돌기(144)를 포함한다.
슬리브바디(142)는 장력발생부재(120)의 경질연결부재(122)를 일체로 연결한다. 아울러, 슬리브바디(142)는 축 방향으로 슬리브홀(143)을 통공한다.
그리고, 거치돌기(144)는 프레임(110)에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해당 위치의 거치돌기(144)는 슬리브홀(143)에 축 삽입된다. 그래서, 슬리브바디(142)는 거치돌기(144)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슬리브바디(142)에서 하향 연장되는 장력발생부재(120)는 왕복 회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와이어(124)가 슬리브바디(142)의 둘레면에 감긴 채 스트랩(130)을 연결할 수도 있다.
특히, 와이어(124)는 신장 가능한 탄성 변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슬리브바디(142)와 거치돌기(1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거치돌기(144)는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개수가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거치돌기(144)는 프레임(1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100)는 프레임(110), 장력발생부재(120) 및 스트랩(130)을 포함한다.
장력발생부재(120)와 스트랩(13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프레임(110)은, 로어빔(111), 및 장력발생부재(120)를 연결하는 어퍼빔(112)을 포함한다.
이때, 어퍼빔(112)은 로어빔(111)의 내부에 축 삽입된 채 출입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로써, 프레임(110)의 높이가 가변된다.
특히, 어퍼빔(112)은 상술한 거치돌기(144)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거치돌기(144)가 슬리브바디(142)의 슬리브홀(143)에 축 삽입된다. 그리고, 장력발생부재(120)의 경질연결부재(122)가 슬리브바디(142)에 일체로 연결된다. 편의상, 거치돌기(144)는 어퍼빔(112)에 한 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복수 개 구비되어 슬리브바디(142)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특히, 어퍼빔(112)은 승하강작동부(150)에 의해 로어빔(111)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승하강작동부(150)는 피니언기어(152), 래크기어(154) 및 가동모터(156)를 포함한다.
피니언기어(152)는 바닥(1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로어빔(111)의 둘레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래크기어(154)는 로어빔(111)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위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이때, 래크기어(154)는 피니언기어(152)와 기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가동모터(156)는 피니언기어(152)를 양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가동모터(156)가 가동시, 피니언기어(152)는 로어빔(111)에 위치 고정된 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그래서, 래크기어(154)는 축 방향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어퍼빔(112)이 축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프레임(110)의 높낮이가 가변된다.
특히, 장력발생부재(120)가 어퍼빔(112)에 위치 고정되도록 연결됨에 따라, 스트랩(130)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반 교정용 기구(100)는 프레임(110), 장력발생부재(120) 및 스트랩(13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로어빔(111) 및 어퍼빔(112)을 포함한다.
어퍼빔(112)은, 상술한, 승하강작동부(150)에 의해 로어빔(111)의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출입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프레임(110)의 어퍼빔(112)은 매트(20)에 나란한 연장빔(113)을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연장빔(113)은 축 방향을 따라 개방구(116)를 형성한다. 개방구(116)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장빔(113)의 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개방구(116)는 장력발생부재(120)의 지지점을 변경하기 위해 연속 또는 비연속되는 요철홈(117)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장력발생부재(120)를 연결한 슬리브바디(142)는 승하강작동부(150)에 의해 매트(20)에 대한 높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슬리브바디(142)는 개방구(116)에 수용된다. 그래서, 슬리브바디(142)는 요철홈(117)에 의해 연장빔(113)의 축 방향으로 위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개방구(116) 내측에서 슬리브바디(142)의 위치에 따라, 피교정자에 대한 장력발생부재(120)의 장력이 조절된다.
이때, 요철홈(117)을 갖는 개방구(116)가 연장빔(113)에 복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리브바디(142)는 복수 열의 개방구(116)에 의해 높이 조절될 수도 있다.
물론, 요철홈(117)과 개방구(1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연장빔(113)이 항상 매트(20)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미사용시에 사람과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프레임(110) 특히, 어퍼빔(112) 또는 연장빔(113)은 회전허용부(1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편의상, 어퍼빔(112)이 회전허용부(160)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어퍼빔(112)은 승하강작동부(150)의 래크기어(154)를 구비한 제 1빔(114), 및 제 1빔(114)의 축 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된 채 연장빔(113)을 연장 형성하는 제 2빔(11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허용부(160)는 원형홈부(162), 플랜지(164) 및 캡(166)을 포함한다.
원형홈부(162)는 제 1빔(114)의 상측(상단)에 함몰 형성된다.
플랜지(164)는 제 2빔(115)의 하측(하단)에 형성되어 원형홈부(162)에 삽입된다. 이때, 플랜지(164)는 원형홈부(162)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캡(166)은 플랜지(164)가 원형홈부(162)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로 나뉘어져 제 2빔(115)의 둘레면과 플랜지(164)의 상측을 감싼 상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캡(166)은 원형홈부(162)의 가장자리에 결속된다.
따라서, 어퍼빔(112)의 제 2빔(115)과 연장빔(113)은 원주 방향으로 각도 조절됨으로써 장력발생부재(120)의 장력 발생 방향이 설정 또는 가변될 수 있다. 아울러, 연장빔(113)은 플랜지(164)와 함께 회전되며, 선택적으로 사람과의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이 편리해 질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바닥 20: 매트
30: 지지부재 100: 기구
110: 프레임 111: 로어빔
112: 어퍼빔 113: 연장빔
120: 장력발생부재 122: 경질연결부재
124: 와이어 130: 스트랩
140: 높낮이조절부 142: 슬리브바디
143: 슬리브홀 144: 거치돌기
150: 승하강작동부 152: 피니언기어
154: 래크기어 156: 가동모터
160: 회전허용부 162: 원형홈부
164: 플랜지 166: 캡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채 하향 연장되는 장력발생부재; 및
    상기 장력발생부재에 연결되고, 바닥 또는 매트에 비스듬하게 눕거나 옆으로 누운 상태인 피교정자의 다리를 삽입 허용하는 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스트랩에 삽입된 피교정자의 다리가 상기 장력발생부재에 지지된 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 상기 장력발생부재의 장력 발생 방향으로도 당겨짐으로써, 상기 다리의 해당 부위가 해부학적으로 열린 각도로 교정 유도되고,
    상기 바닥 또는 상기 매트는 비스듬히 누운 피교정자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발생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경질로 이루어진 경질연결부재; 및
    상기 경질연결부재에 연결되고,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을 연결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기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발생부재는 높낮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높이 조절을 달리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로어빔, 및 상기 장력발생부재를 연결하는 어퍼빔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빔은 승하강작동부에 의해 상기 로어빔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기구.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연장빔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장빔은 축 방향을 따라 개방구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구는 상기 장력발생부재의 지지점을 변경하기 위해 연속 또는 비연속되는 요철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회전허용부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교정용 기구.
KR1020200028922A 2020-03-09 2020-03-09 골반 교정용 기구 KR10231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22A KR102316639B1 (ko) 2020-03-09 2020-03-09 골반 교정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22A KR102316639B1 (ko) 2020-03-09 2020-03-09 골반 교정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772A KR20210113772A (ko) 2021-09-17
KR102316639B1 true KR102316639B1 (ko) 2021-10-22

Family

ID=7792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922A KR102316639B1 (ko) 2020-03-09 2020-03-09 골반 교정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6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43Y1 (ko) 2001-03-05 2001-09-26 정원 척추골반 강화장치
KR101932902B1 (ko) 2017-10-17 2019-04-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반 교정 운동 기구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6749395B2 (ja) 2016-07-14 2020-09-02 ▲隆▼ 石黒 側臥位での仙腸関節運動補助器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965A (ko) * 2003-09-11 2006-06-02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KR100697798B1 (ko) * 2005-04-18 2007-03-23 김경동 스트레칭 기구
KR20080103804A (ko) * 2007-05-25 2008-11-28 신영덕 교구용 높이 조절장치
KR101600627B1 (ko) * 2009-08-12 2016-03-09 황인철 탄력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기구
KR20130032040A (ko) * 2011-09-22 2013-04-01 장용주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343Y1 (ko) 2001-03-05 2001-09-26 정원 척추골반 강화장치
JP6749395B2 (ja) 2016-07-14 2020-09-02 ▲隆▼ 石黒 側臥位での仙腸関節運動補助器具
KR101932902B1 (ko) 2017-10-17 2019-04-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반 교정 운동 기구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772A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834B2 (e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US7654974B2 (en) Recliner spinal traction device
KR101715519B1 (ko) 경부 교정 장치
CN104470590A (zh) 脊柱矫正用康复运动器械
CN110353944A (zh) 坐式联合驱动下肢康复机器人
CN110433022A (zh) 一种采用气动肌肉驱动的腰椎牵引装置
JP4915645B2 (ja) マッサージ機
US6905447B1 (en) Rehabilitation device
KR101937835B1 (ko) 요추천골 견인 장치
KR102316639B1 (ko) 골반 교정용 기구
KR101998626B1 (ko) 수동 척추 치료기
KR20170130767A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JP2006141694A (ja) ストレッチ台
KR102031246B1 (ko) 등근육 운동기구
JP3892476B1 (ja) 身体伸長矯正装置
KR20170050500A (ko) 입식형 자세교정장치
CN211863053U (zh) 一种坐式脊柱用牵引设备
KR101975317B1 (ko) 골반교정장치
KR200353892Y1 (ko) 교정벨트
JP2006102256A (ja) 矯正装置
KR102020146B1 (ko) 신체 교정기
WO2022070434A1 (ja) 胸腰椎装具
KR200450660Y1 (ko) 골반 교정 장치
RU107477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астяжки позвоночника
KR20180097042A (ko) 경추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