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965A -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965A
KR20060059965A KR1020067001278A KR20067001278A KR20060059965A KR 20060059965 A KR20060059965 A KR 20060059965A KR 1020067001278 A KR1020067001278 A KR 1020067001278A KR 20067001278 A KR20067001278 A KR 20067001278A KR 20060059965 A KR20060059965 A KR 2006005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pillow
head
pai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조우 카사이
사치요 스즈키
후미코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1934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8103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6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99095B2/ja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자세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산소 포화도의 저하를 막는 유소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기도 폐색이 생기지 않는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유소아용 자세 유지구(60)는, 상하 및 좌우로 연재되는 매트(61)와, 매트 위에 눕혀 있는 유아의 몸통의 양측부에 맞닿도록 매트의 좌우 측부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몸통 서포트(62, 63)를 구비하고, 각 몸통 서포트는 유아의 몸통 측부 배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하층부(62b, 63b)와, 이 하층부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유아의 몸통 측부에 옆으로부터 맞닿는 상층부(62a, 63a)를 구비한다.
유아용 베개(10)는, 제 1의 높이를 가지며, 유아의 후두부의 양측부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12)와, 제 1의 높이보다도 낮은 제 2의 높이를 가지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유아의 목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경추 지지부(13)를 구비한다.
유아, 베개

Description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POSTURE HOLDING STRUCTURE FOR INFANT AND PILLOW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의 자세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산소 포화도의 저하를 막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기도 폐색이 생기지 않는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유아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실용 신안 등록 제3079785호 공보는, 유아용 베개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유아용 베개는, 전체 형상을 도넛 형상 또는 역U자 형상으로 함에 의해 갓난 아기의 머리의 형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개2003-70602호 공보는, 유소아의 기저귀 교환시, 유소아의 몸의 뒤척임을 방지할 수 있는 깔개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유소아의 몸의 뒤척임 방지 깔개에서는, 깔개에, 유소아의 흉위(胸圍)를 고정하는 띠와 좌우 어깨를 고정하는 띠를 부착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11-276312호 공보는, 유소아의 기저귀 교환시에 사용하는데 편리한 몸의 뒤척임 방지구(防止具)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몸의 뒤척임 방지구에서는, 유소아의 상반신에 장착 가능한 장착구(裝着具)를 깔개에 부착하고 있다.
일본 특표2002-539852호 공보는, 유아의 수면시에 잠자리의 이동 및 몸의 뒤척임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쿠션을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다기능 쿠션은, 얇고 평탄한 패드와, 이 패드의 양측부상에 위치하는 원주 형상의 한 쌍의 쿠션을 구비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79785호 공보에 개시된, 도넛 형상의 유아용 베개의 예를 도 26A, 26B, 26C에 도시한다. 도 26A는 도넛 형상 베개에 유아를 눕힌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B는 도 26A에 도시한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유아의 두부가 도넛보다 작고, 목의 부분만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C는, 유아의 두부가 도넛 형상의 베개로부터 빗나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넛 형상 베개(90)에서는, 본래 유아의 두부를 도넛 형상의 베개로 들어올려서, 두부 전체를 뜨게 하여, 유아의 후두부가 편평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만이 베개위에 위치 결정되고, 어깨부로부터 아래 부분의 위치가 특정되지 않기 때문에, 어깨로부터 아래의 부분이 도면의 1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두부에 대해 이동할 경우가 있다.
또한,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의 정두부(頂頭部)가 도넛 베개로 지지되지 않고, 목부분만이 도넛 베개로 지지되면, 유아의 목 부분이 부자연스럽게 들어 올려져, 유아가 고통받게 된다.
또한, 도 2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넛 형상의 베개로 유아의 두부가 베개로부터 벗어나 그 후두부를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목 부분이 압박되어, 기도 폐색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유아가 등을 대고 누운 자세(仰臥位)에서 빈번하게 자다가 몸을 뒤척이는 동작을 행하면, 때때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갑갑한 자세로 되는 일이 있다. 도 2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유아의 목부위가 굴곡하여 있고, 그 때문에 기도 폐색에 의한 산소 포화도 저하의 우려가 있다. 또한, 유아의 복부도 굴곡하여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복식 호흡이 방해되어 산소 포화도를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일본 특개2003-70602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11-276312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띠나 장착구에 의해 유아의 상반신을 구속하면 몸의 뒤척임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유아의 상반신의 움직임을 거의 고정시켜 버리는 것이므로 장시간의 사용에는 부적당하다.
일본 특표2002-539852호 공보에 개시된 다기능 쿠션의 경우에는, 원주 형상의 한 쌍의 쿠션을 유아의 양측부에 위치시킬 뿐이므로 유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허용한다. 한편, 유아의 측부와 쿠션과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의 목부위의 굴곡이나 복부의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유아의 자세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산소 포화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의 목부위 및 복부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가 안심하고 수면할 수 있는 유아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는, 상하 및 좌우로 연재되는 매트와, 이 매트 위에 눕혀 있는 유아의 몸통의 양측부에 맞닿도록, 매트의 좌우 측부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몸통 서포트를 구비한다. 각 몸통 서포트는, 유아의 몸통 측부 배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하층부와, 이 하층부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유아의 몸통 측부에 옆에서 맞닿는 상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몸통 서포트를 구성하는 상층부 및 하층부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층부는 발포 배율이 높은 발포 재료로 형성되고, 하층부는 상층부보다도 발포 배율이 낮은 발포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몸통 서포트의 하층부가 유아의 몸통 측부 배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고, 상층부가 유아의 몸통 측부에 옆에서 맞닿기 때문에, 유아의 몸통 부분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부가 굴곡하여 압박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복식 호흡을 유지할 수 있고 산소 포화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모친의 뱃속에 있는 태아는 양수안에 있고, 항상 수압에 의해 전신의 피부에 압력을 받고 있다. 이때의 기억으로부터인지, 신생아나 미숙아는, 큰 영역에서 둘러싸이도록 신체의 피부에 압력을 느끼면 안심하고 잘 잔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몸통 서포트가 유아의 몸통 부분을 둘러싸도록 압력을 주기 때문에, 특히 신생아나 미숙아는 안심하고 잘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층부는, 하층부가 유아의 체중에 의해 압박되는데 수반하여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아의 몸통 부분을 보다 단단히 고정 지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 몸통 서포트는, 매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아의 체형이나 신체의 크기에 맞추어 한 쌍의 몸통 서포트의 간격이나 위치 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는, 매트 위에 눕혀 있는 유아의 머리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도록, 매트의 상부에 마련된 베개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베개는, 예를 들면, 매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베개는, 제 1의 높이를 가지며, 유아의 후두부의 양측부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와, 제 1의 높이보다도 낮은 제 2의 높이를 가지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유아의 목을 아래로부터 지지한 경추(頸椎) 지지부를 구비한다.
두부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유아의 두부를 위치 결정함과 함께, 유아의 목을 두부 위치 결정부보다 낮은 경추 지지부로 수평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유아의 기도를 폐색시키는 일 없이, 기도를 올바르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아가 안심하고 수면할 수 있는 유아용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가, 상기한 바와 같은 베개를 구비함에 의해, 목부위의 굴곡을 막아서 산소 포화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추 지지부상에서 유아가 목을 회전하여 옆을 향한 때에, 유아의 코 및 입에 대향하는 두부 위치 결정부의 높이는, 유아의 코 및 입의 높이보다 낮다. 두부 위치 결정부의 높이를 이와 같이 설정하였기 때문에, 유아가 옆을 향하여도, 질식하는 일이 없다.
또한,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는 두정부(頭頂部)측에서 상호 연속되어도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경추 지지부는 유아의 목측에서 긴 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또한,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의 높이는 두정부측으로부터 목측으로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추 지지부는 두정부측으로부터 목측으로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는, 목측에서 경추 지지부에서 목측으로 연재되고, 그것에 의해 유아의 어깨를 위치 결정하는 어깨 패드를 구성한다.
두부 위치 결정부로부터 늘어난 어깨 패드부가 마련되어 유아의 어깨가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유아의 두부와 어깨부가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유아의 두부와 신체가 뒤틀리기 어려워지고, 기도 폐색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유아용 자세 유지구(baby position holding tool)는, 한 쌍의 몸통 서포트로부터 연결되고 유아의 하반신을 둘러싸도록, 매트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입벽부(立壁部)를 또한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는, 제 1의 높이를 가지며, 유아의 후두부의 양측부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와, 제 1의 높이보다도 낮은 제 2의 높이를 가지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유아의 목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경추 지지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서의 유아용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아용 베개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유아용 베개의 Ⅲ-Ⅲ로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유아용 베개의 Ⅳ-Ⅳ로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유아용 베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용 베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용 베개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유아용 베개의 VⅢ-VⅢ로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용 베개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유아용 베개의 X-X로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용 베개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유아용 베개의 XⅡ-XⅡ로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유아용 자세 유지구의 횡단면도.
도 15는 유아의 몸통 부분이 유아용 자세 유지구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유아가 자세 유지구상에 눕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유아가 자세 유지구상에 눕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양손이 한 쌍의 몸통 서포트 위에 놓여 있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등을 대고 누운 자세에서의 산소 포화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19는 좌부와 등받이부와의 사이의 각도를 30도로 하였을 때의 산소 포화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20은 유아용 자세 유지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유아가 도 20에 도시한 유아용 자세 유지구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유아용 자세 유지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유아가 도 22에 도시한 유아용 자세 유지구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4는 유아용 자세 유지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5는 도 24의 선 25-25을 따라 본 단면도.
도 26A는 도넛 형상 베개에 유아를 눕힌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B는 도 26A에 도시한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유아의 두부가 도넛보다 작고, 목의 부분만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6C는 유아의 두부가 도넛 형상의 베개로부터 빗나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유아의 목부위 및 복부가 굴곡하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아용 베개(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Ⅲ-Ⅲ 및 Ⅳ-Ⅳ로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유아용 베개(10)는, 깔개층(下敷層)(11)과, 깔개층(11)의 위에 비교적 부드러운 천으로 구성된, 상단부(上端部)에 대해 역U자 형상으로 융기한 두부 위치 결정부(12)와, 유아용 베개(10)의 하단부 근처의 중앙부에 마련된 경추 지지부(13)를 갖고 있다. 경추 지지부(13)는 하단부측의 변이 긴 사다리꼴 형상을 갖은 융기부로 되어 있다.
역U자 형상의 두부 위치 결정부(12)는 경추 지지부(13)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연재되고, 제 1 및 제 2의 돌출부(14a, 14b)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두부 위치 결정부(12) 및 경추 지지부(13)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목부(15)를 구성한다. 두부 위치 결정부(12)와, 경추 지지부(13)와, 오목부(15)는 각각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추 지지부(13)의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는, 두부 위치 결정부(12)의 정부측(頂部側)의 높이보다 낮고, 그곳으로부터 상단측 및 하단측으로 매끄럽게 하강하고 있다. 경추 지지부(13)를 이와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함에 의해,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아를 유아용 베개(10)상에 눕혔을 때, 목의 부분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유아의 목으로부터 어깨의 부분의 지방(脂肪)을 이 부분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두부 위치 결정부(12)의 양측은, 상단부로부터 경추 지지 부(13)의 약간 상측 위치까지는 그 높이가 거의 일정하고, 그곳으로부터는 돌출부(14)의 단부까지 서서히 저하되어 있다. 또한, 두부 위치 결정부(12)의 양측부(12a, 12b)의, 유아가 경추 지지부(13)상에서 옆을 향한 때에 유아의 코 및 입에 대향하는 부분의 높이는, 유아의 코 및 입의 높이보다 낮은 치수이다. 이와 같은 높이로 함에 의해, 유아가 옆을 향하여도, 질식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형상의 유아용 베개(10)에 있어서, 유아의 두부(18)를 그 후두부가 오목부(15)에 들어가도록 유아의 두부에 닿게 하면(도 3 참조), 유아의 두부(18)의 위치는 두부 위치 결정부(12)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유아의 좌우의 어깨도 제 1 및 제 2의 돌출부(14a, 14b)로 위치 결정된다. 유아의 두부(18) 및 어깨부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수면중에 유아의 신체가 비틀릴 걱정이 없다. 또한, 유아의 목은 경추 지지부(1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유아가 눕혔을 때, 목이 수평으로 되고, 종래와 같이 목의 부분이 들어 올려져 갑갑하게 되거나, 목의 부분이 지나치게 내려가서 기도 폐색으로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유아용 베개(10)로서의 높이 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에, 깔개층(11)을 구성하는 재료는 그 위에 형성되는 두부 위치 결정부(12), 경추 지지부(13)나 제 1 및 제 2의 돌출부(14a, 14b)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밀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이 실시의 형태에 관한 유아용 베개(10)를 사용한 때의, 유아의 수면중의 상태에 있어서의, 산소 포화도(SpO2 : 펄스 옥시미터에 의한 측정치)와 맥박 수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유아를 유아용 베개(10)상에서 눕힌 경우(A)와, 유아용 베개(10)를 없앤 경우(B)와, 재차 유아용 베개(10)를 닿게 한 경우(C)의 각각을 비교할 수 있도록 나열하여 도시하고 있다. 모든 데이터에 있어서 맥박은 정상이다.
도 5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아용 베개(10)를 사용한 경우(A)는 유아는 산소 포화도의 저하도 보이지 않고(95 부근) 안면하고 있다. 유아용 베개(10)를 벗기고 잠시 후면(B) 산소 포화도가 저하되어 감을 알 수 있다(85 정도까지 강하). 이것은, 몸의 뒤척임 등에 의해 목의 뒤틀림이 서서히 생기고, 산소 포화도의 저하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 후, 재차 유아용 베개(10)를 닿게 하면(C) 산소 포화도는 재차 상승한다(95 부근까지). 도 5에서, 이 유아용 베개(10)의 효과는 분명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아용 베개(20)가 유모차(baby carriage)를 비롯한 유아용 육아 기구에 내장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모차(21)의 내벽면에 적합하게 유아용 베개(20)가 내장되어 있다. 이 유아용 베개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유아용 베개(20)를 유모차와 같은 육아 기구의 내벽면에 적합하게 하거나, 또는, 고정되어 있으면, 육아 기구 내에서 유아의 두부와 어깨부를 단단히 위치 결정하여, 기도 폐색 없이 유아를 수면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깔개층(11)은 유아용 베개(20)가 얹혀지는 유모차(21)와 같은 육아 기구의 윗면을 형성하는 재료의 밀도보다도 큰 밀도의 재료로 형성되고, 유아용 베개(20)가 얹혀지는 육아 기구의 윗면의 경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 유아용 베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VⅢ-VⅢ로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의 형태에 관한 유아용 베개(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앞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두부 위치 결정부(32)가 도넛 형상인 점과, 돌출부가 마련되지 않는다는 점과, 경추 지지부(33)가 직사각형이라는 점이 다르다. 두부 위치 결정부(32) 및 경추 지지부(33)로 둘러싸인 부분이 오목부(35)를 구성하고 있는 점을 포함하여, 상기 이외의 부분은 기본적으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용 베개(30)는, 기본적으로는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기본 형상을 갖고 있어,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이룬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X로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 실시의 형태에 관한 유아용 베개(40)에서는, 앞의 실시의 형태와 달리, 두부 위치 결정부(42)는 정부(頂部)에서 홈(46)에 의해 좌우의 두부 위치 결정부(42a, 42b)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두부 위치 결정부(42) 및 경추 지지부(43)는 깔개층(41)으로부터 비교적 급하게 세워져 있다.
그 외의 부분은 기본적으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유아용 베개(40)는, 기본적으로는 앞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필수의 부분을 갖고 있어,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이룬 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XⅡ-XⅡ로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 실시의 형태에 관한 유아용 베개(50)에서는, 앞의 실시의 형태와 달리, 앞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42a, 42b)의 각각이, 2개의 돌기부(52a, 53a 및 52b, 53b)로 나누어져 있다. 이와 같이 홈(56a, 56b)을 마련함에 의해, 유아가 누워있는 동안에 옆을 향하여도, 유아가 옆을 향한 때의 유아의 코 및 입에 대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유아가 질식하는 일은 없다.
또한, 홈(56a, 56b)은, 도 11에서 중심부로부터, 유아가 옆을 향하여도 코 등이 맞닿지 않는 위치(도 11에서 1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 부근)까지로 하고, 그곳에서부터 외측은 다소의 높이를 갖도록 하여도 좋다(도 12에서 1점 쇄선의 부분 참조). 이와 같이하여도,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돌기부(52a, 53a, 52b, 53b) 및 경추 지지부(43)로 둘러싸인 부분이 오목부(45)를 구성하고 있는 점을 포함하여, 상기 이외의 부분은 기본적으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의 한 실시 형태의 유아용 자세 유지구(baby position holding tool; 6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그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유아가 유아용 자세 유지구(60)상에 눕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유아용 자세 유지구(60)는, 상하 및 좌우로 연재되 는 매트(61)와, 매트상에 눕히는 유아의 몸통(100)의 양측부에 맞닿도록 매트(61)의 좌우 측부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몸통 서포트(62, 63)를 구비한다. 각 몸통 서포트(62, 63)는, 각각, 유아의 몸통(100)의 측부 배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하층부(62b, 63b)와, 이 하층부(62b, 63b)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유아의 몸통(100)의 측부에 옆에서 맞닿는 상층부(62a, 63a)를 포함한다. 도 15에서, 유아의 양팔(101, 102)은 몸통 서포트의 상층부(62a, 63a)상에 놓여 있다.
유아용 자세 유지구(60)는, 실내의 바닥 위, 이불 위, 베이비 베드 위 등에서 사용되어도 좋고, 유모차, 유아용 시트, 육아 의자 등의 육아 기구상에서 사용되어도 좋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몸통 서포트(62, 63)의 상층부(62a, 63a) 및 하층부(62b, 63b)는, 각각, 단면 형상이 타원형의 기둥형상체이다. 상층부(62a, 63a)와 하층부(62b, 63b)는, 적당한 접합 수단에 의해 접속된다. 예를 들면, 그것들을 꿰매어도 좋고, 면 패스너를 통하여 이탈 가능하게 접속하여도 좋다.
몸통 서포트(62, 63)는 유아의 몸통의 양측부에 맞닿는 것이기 때문에, 유아에 대해 부드러운 감촉을 줄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상층부(62a, 63a) 및 하층부(62b, 63b)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층부(62a, 63a)를 발포 배율이 높은 발포 재료로 형성하고, 하층부(62b, 63b)를 상층부보다 발포 배율이 낮은 발포 재료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 서포트(62, 63)의 하층부(62b, 63b)는 유아의 몸통(100)의 측부 배면에 눌려 유아의 등과 매트(61)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옆으로 퍼진다. 또한, 이 하층부(62b, 63b)가 유아의 체중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하는데 수반하여, 상층부(62a, 63a)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몸통(100)의 양측부에 옆에서 맞닿는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아의 몸통 부분의 위치를 단단히 또한 안정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수면중에 있어서의 유아의 복부의 굴곡을 방지하고, 산소 포화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각 몸통 서포트(62, 63)를 매트(61)상에 완전하게 고정하여도 좋고, 면 패스너 등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각 몸통 서포트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두면, 유아의 체형이나 신체의 크기에 맞추어 한 쌍의 몸통 서포트의 간격이나 위치 관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말할 필요도 없지만, 각 몸통 서포트를 착탈할 수 없도록 매트상에 부착하는 구조의 경우에도, 한 쌍의 몸통 서포트의 간격이나 위치 관계의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시한 유아용 자세 유지구(60)는, 매트(61)상에 눕히는 유아의 머리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도록, 매트(61)의 상부에 부착된 베개(10)를 구비한다. 이 베개(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베개(10) 대신에, 도 6에 도시한 베개(20), 도 7에 도시한 베개(30), 도 9에 도시한 베개(40), 도 11에 도시한 베개(50)를 사용하여도 좋다.
베개(10)는, 매트(61)의 상부에 완전하게 고정되어도 좋고, 면 패스너 등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유아의 신체 크기에 맞추어 베개(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유아용 자세 유지구(60)가 상기한 바와 같은 베개(10)를 구비함에 의해, 유아의 목부위의 굴곡을 막아서 산소 포화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유아용 자세 유지구(60)상에 유아가 등을 대고 누운 자세로 눕혀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유아는 양손을 머리측으로 올리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몸통 서포트(62, 63)가 유아의 겨드랑이의 하방에 위치한다. 도 17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유아는 양손을 내리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몸통 서포트(62, 63)가 유아의 양팔을 아래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몸통 서포트(62, 63)가 존재하고 있어도 유아의 양팔이 갑갑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유아에 대해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도 18은, 생후 2개월의 유아를 등을 대고 누운 자세로 한 상태에서 유아용 자세 유지구(60)를 사용한 경우(실선)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점선)에 있어서의 산소 포화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유아용 자세 유지구(6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유아의 신체가 움직인 때에 산소 포화도가 크게 저하되어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한편, 유아용 자세 유지구(60)를 사용한 경우에는, 산소 포화도의 저하는 인정되지 않았다.
도 19는, 좌부에 대해 등받이부를 30도의 경사 각도가 되도록 일으킨 상태에서 유아용 자세 유지구(60)를 사용한 경우(실선)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점선)에 있어서의 생후 2개월의 유아의 산소 포화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유아용 자세 유지구(6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산소 포화도가 저하되는 상태가 계속 하여 보였다. 이것은, 등받이부가 일으켜져 있기 때문에, 유아의 목부위 및 복부가 굴곡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고려된다. 한편, 유아용 자세 유지구(60)를 사용한 경우에는, 산소 포화도의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매트(61)를 어느 정도의 보형성(保形性)을 갖는 재질의 것으로 형성하면, 유아용 자세 유지구(60)상에 눕혀 있는 유아를 유아용 자세 유지구와 함께 끌어안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모차나 차일드 시트 등의 육아 기구의 좌석으로부터 유아를 내리거나, 또는 유아를 좌석상에 태우거나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20 및 도 21은, 유아용 자세 유지구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유아용 자세 유지구(70)는, 매트(71)와, 한 쌍의 몸통 서포트(72, 73)와, 띠(74)를 구비한다. 각 몸통 서포트(72, 73)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층부(72a, 73a)와 하층부(72b, 73b)를 포함한다. 띠(74)의 양단은, 각 몸통 서포트(72, 73)의 상층부(72a, 73a)와 하층부(72b, 73b)의 사이를 통과하여, 좌석을 형성한 양측 벽(75)에 연결되어 있다. 유아가 자세 유지구(70)상에 눕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띠(74)의 중앙 부분은 매트(71)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가 자세 유지구(70)상에 눕혀지면, 띠(74)의 중앙 부분이 유아의 몸통(10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띠(74)의 양단 부분이 각 몸통 서포트(72, 73)의 상층부(72a, 73a)를 내측방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도 22 및 도 23은, 유아용 자세 유지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유아용 자세 유지구(80)는, 매트(81)와, 한 쌍의 몸통 서포트(82, 83)를 구비한 다. 각 몸통 서포트(82, 83)는, 유아의 몸통 측부 배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하층부(82b, 83b)와, 이 하층부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유아의 몸통 측부에 옆에서 맞닿는 상층부(82a, 83a)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몸통 서포트(82, 83) 내에는, 하방을 향하여 볼록형상으로 만곡한 판형상의 강성 부재(84, 85)가 수용되어 있다. 유아가 자세 유지구(80)상에 눕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강성 부재(84, 85)의 내측 단부는 매트(81)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떨어져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가 자세 유지구(80)상에 눕혀지면, 강성 부재(84, 85)의 내방단(內方端)이 하방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각 강성 부재(84, 85)가 도 23에서 화살표(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회동하고, 상층부(82a, 83a)를 내측방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도 24 및 도 25는, 유아용 자세 유지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유아용 자세 유지구(110)는, 매트(111)와, 한 쌍의 몸통 서포트(112, 113)와, 한 쌍의 몸통 서포트로부터 연결되고 매트(111)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입벽부(立壁部)(114)를 구비한다. 입벽부(114)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유아의 하반신을 둘러싸는 것이다. 매트(111)에는, 육아 기구에 부착된 갈래 벨트를 삽통(揷通)시키기 위한 노치(115)가 마련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몸통 서포트(112, 113)는, 유아의 몸통 측부 배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하층부(112b, 113b)와, 이 하층부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유아의 몸통 측부에 옆에서 맞닿는 상층부(112a, 113a)를 포함 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매트(111)를 형성하는 천이 하층부(112b, 113b) 및 상층부(112a, 113a)를 덮고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유아의 자세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상하 및 좌우로 연재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 위에 눕혀 있는 유아의 몸통의 양측부에 맞닿도록, 상기 매트의 좌우 측부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몸통 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각 몸통 서포트는, 유아의 몸통 측부 배면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하층부와, 이 하층부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고 유아의 몸통 측부에 옆에서 맞닿는 상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는 발포 배율이 높은 발포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층부는 상기 상층부보다도 발포 배율이 낮은 발포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는, 상기 하층부가 유아의 체중에 의해 압박되는데 수반하여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몸통 서포트는, 상기 매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위에 눕혀 있는 유아의 머리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도록, 상기 매트의 상부에 마련된 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상기 매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제 1의 높이를 가지며, 유아의 후두부의 양측부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1의 높이보다도 낮은 제 2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유아의 목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경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부상에서 유아가 목을 회전하여 옆을 향한 때에, 유아의 코 및 입에 대향하는 상기 두부 위치 결정부의 높이는, 유아의 코 및 입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는 두정부측에서 상호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부는 유아의 목측에서 긴 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의 높이는 두정부측에서부터 목측으로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12.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부는 두정부측에서부터 목측으로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13.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는, 목측에서 상기 경추 지지부로부터 목측으로 연재되고, 그것에 의해 유아의 어깨를 위치 결정하는 어깨 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14. 제 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통 서포트로부터 연결되고 유아의 하반신을 둘러싸도록, 상기 매트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입벽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15. 제 1의 높이를 가지며, 유아의 후두부의 양측부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 1의 높이보다도 낮은 제 2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유아의 목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경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부상에서 유아가 목을 회전하여 옆을 향한 때에, 유아의 코 및 입에 대향하는 상기 두부 위치 결정부의 높이는, 유아의 코 및 입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는 두정부측에서 상호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18. 제 15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부는 유아의 목측에서 긴 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19.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의 높이는 두정부측에서부터 목측으로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20. 제 15항 내지 제 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부는 두정부측에서부터 목측으로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21. 제 15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두부 위치 결정부는, 목측에서 상기 경추 지지부로부터 목측으로 연재되고, 그것에 의해 유아의 어깨를 위치 결정하는 어깨 패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KR1020067001278A 2003-09-11 2004-08-25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KR20060059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9340A JP2005081039A (ja) 2003-09-11 2003-09-11 乳児用枕
JPJP-P-2003-00319340 2003-09-11
JP2003346298A JP4299095B2 (ja) 2003-10-03 2003-10-03 乳児用姿勢保持構造
JPJP-P-2003-00346298 2003-10-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965A true KR20060059965A (ko) 2006-06-02

Family

ID=3431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278A KR20060059965A (ko) 2003-09-11 2004-08-25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007336A1 (ko)
EP (1) EP1665958B8 (ko)
KR (1) KR20060059965A (ko)
AT (1) ATE418895T1 (ko)
DE (1) DE602004018798D1 (ko)
RU (1) RU2006107554A (ko)
TW (1) TW200513216A (ko)
WO (1) WO20050253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772A (ko) * 2020-03-09 2021-09-17 김남엽 골반 교정용 기구
KR102333449B1 (ko) * 2020-06-01 2021-12-02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30143708A (ko) 2022-04-06 2023-10-13 김영래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3592B2 (ja) * 2005-07-12 2011-11-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クッション
JP4758699B2 (ja) * 2005-07-21 2011-08-3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ラック用クッション
EP2412566B1 (en) * 2005-10-07 2014-05-07 Combi Corporatio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US11510800B2 (en) 2006-06-05 2022-11-29 Micam W. Tullous Lateral support craniocervical orthosis and method
US7647660B2 (en) 2006-06-08 2010-01-19 Tullous Micam W Mattress incorporating a headrest for preventing and correcting non-synostotic cranial deformities in infants
US20070287942A1 (en) * 2006-06-08 2007-12-13 Tullous Micam W Headrest and method for correcting non-synostotic cranial deformities in infants
CA2752656C (en) * 2009-02-19 2014-12-16 Micam W. Tullous Mattress incorporating a headrest for preventing and correcting non-synostotic cranial deformities in infants
JP5479813B2 (ja) * 2009-08-13 2014-04-23 コンビ株式会社 子守帯
US20110107518A1 (en) * 2009-09-11 2011-05-12 Mark Kelly Infant sleep positioning aid
US8468629B2 (en) 2010-08-23 2013-06-25 Beevers Manufacturing & Supply, Inc. Infant support device
US9226596B2 (en) * 2010-08-23 2016-01-05 Salter Labs Infant support device
US9585494B2 (en) 2011-08-10 2017-03-07 Kids Ii, Inc. Infant lounger
US9757303B2 (en) 2012-04-27 2017-09-12 John Marinkovic Therapeutic pillow
US9237771B2 (en) 2013-03-11 2016-01-19 Steven Paperno Neck, spine, and spinal cord support device for newborn baby and infant, and blanket assembly for same
US8914927B1 (en) * 2013-12-17 2014-12-23 Jamie S. Leach Infant support pillow with attached activity mat
US9907412B2 (en) 2014-05-15 2018-03-06 Michael J. Perry Diaper changing apparatus
CN104352127A (zh) * 2014-11-24 2015-02-18 苏州卫生职业技术学院 一种“π”型枕头
JP6688806B2 (ja) * 2015-03-19 2020-04-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配置デバイスに関する成形可能なバックボーン
USD804850S1 (en) * 2015-12-18 2017-12-12 Measure Me Creations, LLC Inclined pillow with a depression feature
USD790803S1 (en) 2015-12-18 2017-07-04 Steven Paperno Swaddling garment
USD848763S1 (en) * 2016-08-08 2019-05-21 Tonya Potter Inclined headrest pillow
US11659941B2 (en) * 2016-09-01 2023-05-30 Steven Paperno Support assembly for infant
US10842292B2 (en) * 2016-09-01 2020-11-24 Steven Paperno Support pad for infant
USD808686S1 (en) * 2016-12-14 2018-01-30 SnoozeWell, LLC Pillow
US9943179B1 (en) 2016-12-14 2018-04-17 SnoozeWell, LLC Upright sleep system
US20180199731A1 (en) * 2017-01-13 2018-07-19 General Electric Company Mattress with embedded head support for infants
USD856706S1 (en) * 2017-02-17 2019-08-20 Linda Moffett Sitting cushion having a cutout portion
US11793498B2 (en) 2017-05-19 2023-10-24 Merit Medical Systems, Inc. Biopsy needle devices and methods of use
EP3624698A4 (en) 2017-05-19 2021-06-09 Merit Medical Systems, Inc. SEMI-AUTOMATIC BIOPSY NEEDLE DEVICE AND METHODS OF USE
EP3624699B1 (en) 2017-05-19 2023-10-04 Merit Medical Systems, Inc. Rotating biopsy needle
USD878106S1 (en) 2017-12-12 2020-03-17 John Marinkovic Pillow
USD878807S1 (en) 2017-12-12 2020-03-24 John Marinkovic Pillow
USD878105S1 (en) 2017-12-12 2020-03-17 John Marinkovic Pillow
US11076706B2 (en) 2018-01-17 2021-08-03 Jared W McLusky Configurable multipurpose mat assembly
USD876127S1 (en) * 2018-07-24 2020-02-25 Se Il Park Baby pillow
CN109156905A (zh) * 2018-11-16 2019-01-08 英氏婴童用品有限公司 早产儿襁褓及其使用方法
CN110123075A (zh) * 2019-03-25 2019-08-16 尹慧平 婴儿床
USD932783S1 (en) 2019-10-30 2021-10-12 Brett Harris Inclined infant sleeping seat
CN111568687B (zh) * 2020-05-22 2022-02-01 常州市金坛区人民医院 一种耳科用幼儿检查防动辅助固定架
US20230371710A1 (en) * 2020-10-12 2023-11-23 Wonderland Switzerland Ag Adjustable infant seat
USD972336S1 (en) * 2021-03-05 2022-12-13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Infant feeding positioning cushion
USD1011089S1 (en) * 2023-02-23 2024-01-16 Yaoxi Chen Face down pillow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9774Y1 (ko) * 1970-05-16 1973-06-06
JPS5061914U (ko) * 1973-10-11 1975-06-06
US3924282A (en) * 1974-06-21 1975-12-09 Helen Inez Bond Therapeutic prop-like support for hemiside reclining persons
US4259757A (en) * 1979-11-28 1981-04-07 Watson Robert L Support cushion
US4383713A (en) * 1981-01-08 1983-05-17 Roston Stewart A Orthopedic support apparatus for infants
JPH0379785U (ko) 1989-12-04 1991-08-14
US5018231A (en) * 1990-08-27 1991-05-28 Jason Wang Neck guard pillow
EP0672372B1 (en) * 1994-03-15 2000-02-02 Instituto Vesalio S.L. A cervical reclination cushion
US5524640A (en) * 1994-08-24 1996-06-11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And Research Foundation Infant positioning device
JPH11276312A (ja) 1998-03-30 1999-10-12 Haruyo Shimada 寝返り防止具
KR19990011946U (ko) 1998-12-24 1999-03-25 강도중 다기능 쿠션
JP2003070602A (ja) 2001-08-30 2003-03-11 Tomoko Sugaya 乳幼児寝返り防止敷物
US6954954B2 (en) * 2002-02-06 2005-10-18 Pediatric Medical Solutions, Llc Infant sleep guard system and method
US6779211B1 (en) * 2002-05-04 2004-08-24 Ann Williams Baby support assembly and a method for forming a baby support assembl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772A (ko) * 2020-03-09 2021-09-17 김남엽 골반 교정용 기구
KR102333449B1 (ko) * 2020-06-01 2021-12-02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961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620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959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10148960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쥬와엔 다용도 유아용 쿠션
KR20230143708A (ko) 2022-04-06 2023-10-13 김영래 신생아 자세 유지를 위한 유모차용 보조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5958B1 (en) 2008-12-31
US20090007336A1 (en) 2009-01-08
EP1665958B8 (en) 2009-06-03
EP1665958A1 (en) 2006-06-07
RU2006107554A (ru) 2006-07-27
WO2005025385A1 (ja) 2005-03-24
DE602004018798D1 (de) 2009-02-12
EP1665958A4 (en) 2007-07-18
ATE418895T1 (de) 2009-01-15
TW200513216A (en) 200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9965A (ko) 유아용 자세 유지 구조 및 유아용 베개
US7716764B2 (en) Infant positioner
US6023802A (en) Infant sleeper
US7213281B2 (en) Infant safety system
US7761933B2 (en) Baby h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170333B2 (ja) 伏臥用枕
JP2016511040A (ja) 乳児シートベッド
JP6787558B1 (ja) マット付き枕
JP2016135249A (ja) 首枕及び首枕と楔部材との組み合わせ並びに首枕の使用方法
JP4299095B2 (ja) 乳児用姿勢保持構造
CA2505699A1 (en) Convert-a-pillow
CN100488413C (zh) 婴幼儿用枕
EP1557117A1 (en) Unit for supporting a baby
KR102571552B1 (ko) 자세변환용 기능성 쿠션용구
KR20110005207U (ko) 임부용 슬리핑 쿠션
JP2005118397A (ja) 快適枕
KR101574773B1 (ko) 기능성 베개
CN217644911U (zh) 一种婴幼儿哺乳垫
JP4462965B2 (ja) 授乳用クッション
KR20230012734A (ko) 유아용 머리 및 다리 받침대
JP3071309U (ja) 就寝用具
CN210354050U (zh) 一种婴儿睡眠辅助装置
CN210124892U (zh) 一种小儿外科治疗约束带
JP3064277B1 (ja) クッション
JP4892141B2 (ja) 枕兼用クッショ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