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354A - 스텝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텝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354A
KR20130005354A KR1020110066692A KR20110066692A KR20130005354A KR 20130005354 A KR20130005354 A KR 20130005354A KR 1020110066692 A KR1020110066692 A KR 1020110066692A KR 20110066692 A KR20110066692 A KR 20110066692A KR 20130005354 A KR20130005354 A KR 2013000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upled
footrest
spring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위현
Original Assignee
조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위현 filed Critical 조위현
Priority to KR102011006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354A/ko
Publication of KR2013000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텝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팔은 전/후방으로, 다리는 상/하로, 서로 엇갈리도록 움직여 전신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자의 체력에 맞춰 강도 조절이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전신운동을 할 수 있는 스텝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자의 양발이 놓이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의 하부면과 접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지지판 및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면 중앙에 돌출되고 외측면에 축결합되는 디스크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2 돌출편과, 상기 제2 돌출편의 양 측부에 구비되는 제1 돌출편과, 상기 제1 돌출편과 힌지결합되고 도중에 상기 디스크에 링크결합에 의해 편심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에 의하면, 팔, 다리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전신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운동자의 몸 상태에 맞도록 강도조절을 할 수 있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쉽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텝형 운동기구{Sport outfits of step type}
본 발명은 스텝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팔은 전/후방으로, 다리는 상/하로, 서로 엇갈리도록 움직여 전신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자의 체력에 맞춰 강도 조절이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전신운동을 할 수 있는 스텝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차량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점차 줄어들어 신체의 운동량이 극히 부족하여 근육의 노화현상과 경직현상이 발생하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실정이며, 이는 현대인들이 성인병에 걸리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적당한 운동을 하여 근육을 단련시키고 땀을 흘림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한편 땀을 통해 인체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근육의 노화현상과 경직현상을 방지해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비만 등의 성인병을 조금이나마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대부분의 헬스 운동은 주로 실외보다는 실내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보통 다양한 운동기구가 비치된 헬스클럽이나, 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다기능의 헬스 운동기구를 구비하여 적당한 운동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내에서 간단히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또한 하나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운동 즉, 팔운동, 다리운동, 허리운동 등의 세분화된 운동의 근력 강화기구를 결합한 종합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합운동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0370817호 상기 등록 특허의 경우 감속기어 장치가 내장된 DC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페달 구동 시 손잡이도 전, 후로 움직이게 하여 사용자의 발 운동과 팔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특허의 경우 별도의 전원장치를 이용하여야 구동이 가능하므로 전력소모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안장에 앉아서 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 효과적인 운동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운동자의 양 발이 놓이는 발판하부에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여 운동자의 체력상태에 맞춰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팔 운동까지 병행할 수 있어 전신운동이 가능한 스텝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동자의 양발이 놓이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의 하부면과 접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지지판 및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 상기 수직프레임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면 중앙에 돌출되고 외측면에 축결합되는 디스크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2 돌출편과, 상기 제2 돌출편의 양 측부에 구비되는 제1 돌출편과, 상기 제1 돌출편과 힌지결합되고 도중에 상기 디스크에 링크결합에 의해 편심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과 결합되는 제1 완충부재; 상기 제1 완충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축결합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1 완충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프링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외부와 내부의 결합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에 접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복수의 휠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의 하부와 결합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 외측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을 감싸서 이탈을 방지하는 밴딩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발판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발포고무재질의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프링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되도록 외주면에 휠이 구비되는 원통부재; 상기 하우징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의 푸싱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재와 상기 제한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한부재하우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프링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 중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는 돌출부;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의 내측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중심축;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축에 관통결합되며 도중에 단턱부가 형성되는 부싱; 상기 부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면이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 상부가 상기 회전체의 표면을 감싸며, 중심부는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과 접합고정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하부에 외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는 원추형상의 스톱퍼로 구성되는 회전제한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의 푸싱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재와 상기 제한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한부재하우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프링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중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는 돌출부와, 상기 발판의 하부와 나사결합되며, 상부 도중이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되고, 하부의 돌출부와 나사결합되는 중심축 및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더블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일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부가 형성되며, 도중에 돌출형성되는 돌출판이 구비되는 지지판; 운동자의 양발이 놓이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의 하부면과 접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접합고정되되, 일측단이 상기 수직부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하나 이상의 지지봉이 관통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체 및 상기 지지판의 타측단 중앙에 돌출되고 외측면에 축결합되는 디스크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2 돌출편과, 상기 제2 돌출편의 양 측부에 구비되는 제1 돌출편과, 상기 제1 돌출편과 힌지결합되고 도중에 상기 디스크에 링크결합에 의해 편심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전방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과 링크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돌출판이 고정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에 의하면, 팔, 다리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전신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운동자의 몸 상태에 맞도록 강도조절을 할 수 있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쉽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탭형 운동기구의 제1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2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원통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적용되는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적용되는 케이스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탭형 운동기구의 제1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1 실시예는, 운동자의 양발이 놓이는 발판(10)과, 상기 발판(10)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10)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1) 및 상기 스프링(11)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10)의 하부면과 접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를 지지하는 지지판(30)과, 상기 지지판(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30)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50)과, 상기 지지판(30) 및 수직프레임(5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10)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40)와, 상기 수직프레임(50)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60) 및 상기 수평프레임(60)의 상부면 중앙에 돌출되고 외측면에 축결합되는 디스크(73)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2 돌출편(72)과, 상기 제2 돌출편(72)의 양 측부에 구비되는 제1 돌출편(71)과, 상기 제1 돌출편(71)과 힌지결합되고 도중에 상기 디스크(73)에 링크(74)결합에 의해 편심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판(10)의 하부 및 제1 케이스(101)의 내측 중심부에는 스프링(11)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구(12)가 더 형성되어 스프링(1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완충부(40)는, 상기 지지판(30)의 하부면과 결합되는 제1 완충부재(41)와, 상기 제1 완충부재(4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프레임(50)과 축결합되는 지지축(42) 및 상기 지지축(42)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1 완충부재(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완충부재(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부재(41)는 'T'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41)의 수평부 하부에는 베어링(44)이 삽입된다. 또한, 제2 완충부재(43)는 凹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축(42)을 중심으로 양측부에 베어링(4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프링(1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외부와 내부의 결합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와, 상기 제2 케이스(102)에 접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복수의 휠(104)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10)의 하부와 결합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재(10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03)는, 상기 발판(10)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30)의 상부면에 발포고무재질의 완충부재(10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운동자는 상기 발판(10) 위로 올라선 후 상 핸들(70)을 파지하게 된다. 이후 핸들(70)을 전/후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발판(10)은 핸들(70)의 왕복운동과 엇갈리도록 발을 구르게 된다. 예를 들어 오른팔이 몸쪽으로 당겨지면 왼발을 구르는 식으로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운동자 본인이 생각하기에 운동 강도가 약하다고 생각될 경우 상기 제2 케이스(102)를 회전시켜 상승시키면 상기 스프링(11)의 늘어나면서 텐션이 강해지는 것이고 그에 따라 운동자가 발을 구를 때 더욱 힘이 들게 되면서 강도 높은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동자의 몸무게가 평균적인 사람들에 비해 무거울 경우 스프링(11)의 선경이 두꺼운 스프링(11)으로 교체해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가벼운 운동자의 경우는 선경이 비교적 얇은 스프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운동자의 몸무게에 맞춰 선경이 틀린 스프링의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03)는 발판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휠(104)은 지지부재(103)와 제2 케이스(102)가 서로 슬라이딩 되면서 서로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밴딩부(105)는 지지부재(103)를 감싸면서 지지부재(103)가 휘어지는 등의 파손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2 실시예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원통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케이스(100)의 구조가 상이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프링(1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11)와, 상기 하우징(111)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되도록 외주면에 휠(113)이 구비되는 원통부재(112)와, 상기 하우징(111)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10)의 푸싱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재(115)와 상기 제한부재(115)와 나사결합되는 제한부재하우징(1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핸들(70) 및 발판(10)을 통한 운동형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하우징(111)의 내측벽에 슬라이딩 되도록 외주면에 4등분되는 위치에 휠(113)이 구비되는 원통부재(112)가 발판(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한부재(115)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11)의 탄성정도를 조절하여 운동량의 강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3에 적용되는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다만 케이스(100)의 구조가 상이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프링(1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21)과, 상기 하우징(121)의 하부 중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1)이 끼워지는 돌출부(122)와, 상기 발판(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11)의 내측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122)를 관통하는 중심축(123)과, 상기 돌출부(122)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축(123)에 관통결합되며 도중에 단턱부(125)가 형성되는 부싱(124)과, 상기 부싱(124)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면이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126)와, 상부가 상기 회전체(126)의 표면을 감싸며, 중심부는 상기 지지판(30)의 하부면과 접합고정되는 리브(131)와, 상기 리브(131)의 하부에 외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는 원추형상의 스톱퍼(132)로 구성되는 회전제한부재(130) 및 상기 하우징(121)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10)의 푸싱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재(128)와 상기 제한부재(128)와 나사결합되는 제한부재하우징(127)으로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핸들(70) 및 발판(10)을 통한 운동형태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지지판(30)과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돌출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22)의 중심부에 중심축(123)보다 직경이 큰 관통공(123a)을 형성하여 운동자가 운동 시에 발생되는 흔들림을 회전제한부재(130) 및 회전체(126)가 대처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흔들림은 상기 스톱퍼(132)에 의하여 소정각도인 'θ' 만큼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3에 적용되는 케이스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다만 케이스(100)의 구조가 상이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프링(1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21)과, 상기 하우징(121)의 하부 중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1)이 끼워지는 돌출부(122)와, 상기 발판(10)의 하부와 나사결합되며, 상부 도중이 힌지(142)로 결합되어 회동되고, 하부의 돌출부(122)와 나사결합되는 중심축(140) 및 상기 발판(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10)의 회동을 제한하는 더블너트(14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발판(10)의 유격을 상기 더블너트(141)를 통하여 조절이 가능한 것이며, 사용자의 몸무게 및 몸상태에 따라 더블너트(141)를 상, 하부로 조절하여 상기 발판(1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제3 실시예는, 일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부(21)가 형성되며, 도중에 돌출형성되는 돌출판(22)이 구비되는 지지판(20)과, 운동자의 양발이 놓이는 발판(10)과, 상기 발판(10)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10)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1) 및 상기 스프링(11)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10)의 하부면과 접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면과 접합고정되되, 일측단이 상기 수직부(21)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하나 이상의 지지봉(81)이 관통결합되어 상기 지지봉(81)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체(80) 및 상기 지지판(20)의 타측단 중앙에 돌출되고 외측면에 축결합되는 디스크(73)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2 돌출편(72)과, 상기 제2 돌출편(72)의 양 측부에 구비되는 제1 돌출편(71)과, 상기 제1 돌출편(71)과 힌지결합되고 도중에 상기 디스크(73)에 링크(74)결합에 의해 편심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7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80)는, 전방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봉(82)과, 상기 돌출봉(82)과 링크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돌출판(22)이 고정되는 링크부재(8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핸들(70) 및 발판(10)을 통한 운동형태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운동자가 운동을 하면서 발판(10)에 발생되는 흔들림을 이동체(80)가 지지봉(81)에 슬라이딩 되면서 그 흔들림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체(80)가 전/후 운동만을 하도록 이동체(80)의 전방부에 돌출봉(82) 및 상기 돌출봉(82)의 일단부에 링크부재(83)를 구비하여 전/후 운동만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체(80)가 지지봉(81)에 슬라이딩 되는 부분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어 부드러운 전/후 운동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스텝형 운동기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발판 11 : 스프링
12 : 스프링 지지구 30 : 지지판
40 : 완충부 41 : 제1 완충부재
42 : 지지축 43 : 제2 완충부재
44, 45 : 베어링 50 : 수직프레임
60 : 수평프레임 61 : 돌출편
70 : 핸들 71 : 제1 돌출편
72 : 제2 돌출편 73 : 디스크
74 : 링크 80 : 이동체
81 : 지지봉 82 : 돌출봉
83 : 링크부재 100 : 케이스
101 : 제1 케이스 102 : 제2 케이스
103 : 지지부재 104 : 휠
105 : 밴딩부재 111 : 하우징
112 : 원통부재 113 : 휠
114 : 제한부재하우징 115 : 제한부재

Claims (10)

  1. 운동자의 양발이 놓이는 발판(10)과, 상기 발판(10)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10)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1) 및 상기 스프링(11)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10)의 하부면과 접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를 지지하는 지지판(30);
    상기 지지판(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30)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50);
    상기 지지판(30) 및 수직프레임(5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10)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40);
    상기 수직프레임(50)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60) 및
    상기 수평프레임(60)의 상부면 중앙에 돌출되고 외측면에 축결합되는 디스크(73)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2 돌출편(72)과, 상기 제2 돌출편(72)의 양 측부에 구비되는 제1 돌출편(71)과, 상기 제1 돌출편(71)과 힌지결합되고 도중에 상기 디스크(73)에 링크(74)결합에 의해 편심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형 운동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40)는,
    상기 지지판(30)의 하부면과 결합되는 제1 완충부재(41);
    상기 제1 완충부재(4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프레임(50)과 축결합되는 지지축(42) 및
    상기 지지축(42)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1 완충부재(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완충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형 운동기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프링(1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외부와 내부의 결합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
    상기 제2 케이스(102)에 접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복수의 휠(104)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10)의 하부와 결합되는 둘 이상의 지지부재(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형 운동기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3)는,
    그 외측부에 상기 지지부재(103)의 외측면을 감싸서 이탈을 방지하는 밴딩부재(1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형 운동기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3)는,
    상기 발판(10)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30)의 상부면에 발포고무재질의 완충부재(1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형 운동기구.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프링(1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11);
    상기 하우징(111)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되도록 외주면에 휠(113)이 구비되는 원통부재(112);
    상기 하우징(111)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10)의 푸싱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재(115)와 상기 제한부재(115)와 나사결합되는 제한부재하우징(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탭형 운동기구.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프링(1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21);
    상기 하우징(121)의 하부 중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1)이 끼워지는 돌출부(122);
    상기 발판(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11)의 내측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122)를 관통하는 중심축(123);
    상기 돌출부(122)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축(123)에 관통결합되며 도중에 단턱부(125)가 형성되는 부싱(124);
    상기 부싱(124)의 상부에 결합되며 표면이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체(126);
    상부가 상기 회전체(126)의 표면을 감싸며, 중심부는 상기 지지판(30)의 하부면과 접합고정되는 리브(131)와, 상기 리브(131)의 하부에 외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는 원추형상의 스톱퍼(132)로 구성되는 회전제한부재(130) 및
    상기 하우징(121)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10)의 푸싱되는 길이를 제한하는 제한부재(128)와 상기 제한부재(128)와 나사결합되는 제한부재하우징(1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형 운동기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스프링(1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21);
    상기 하우징(121)의 하부 중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1)이 끼워지는 돌출부(122);
    상기 발판(10)의 하부와 나사결합되며, 상부 도중이 힌지(142)로 결합되어 회동되고, 하부의 돌출부(122)와 나사결합되는 중심축(140) 및
    상기 발판(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10)의 회동을 제한하는 더블너트(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형 운동기구.
  9. 일측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부(21)가 형성되며, 도중에 돌출형성되는 돌출판(22)이 구비되는 지지판(20);
    운동자의 양발이 놓이는 발판(10)과, 상기 발판(10)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발판(10)을 탄성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1) 및 상기 스프링(11)을 수용하며, 상기 발판(10)의 하부면과 접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면과 접합고정되되, 일측단이 상기 수직부(21)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하나 이상의 지지봉(81)이 관통결합되어 상기 지지봉(81)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체(80) 및
    상기 지지판(20)의 타측단 중앙에 돌출되고 외측면에 축결합되는 디스크(73)를 포함하며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2 돌출편(72)과, 상기 제2 돌출편(72)의 양 측부에 구비되는 제1 돌출편(71)과, 상기 제1 돌출편(71)과 힌지결합되고 도중에 상기 디스크(73)에 링크(74)결합에 의해 편심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형 운동기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80)는,
    전방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봉(82)과, 상기 돌출봉(82)과 링크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도록 상기 돌출판(22)이 고정되는 링크부재(8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형 운동기구.
KR1020110066692A 2011-07-06 2011-07-06 스텝형 운동기구 KR20130005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692A KR20130005354A (ko) 2011-07-06 2011-07-06 스텝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692A KR20130005354A (ko) 2011-07-06 2011-07-06 스텝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354A true KR20130005354A (ko) 2013-01-16

Family

ID=4783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692A KR20130005354A (ko) 2011-07-06 2011-07-06 스텝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35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7270A (zh) * 2015-12-24 2016-05-25 浙江海洋学院 一种跑步机
KR20170053872A (ko) * 2015-11-09 2017-05-17 김주리 스마트 하체운동기
CN110251893A (zh) * 2019-07-01 2019-09-2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老年人腿部肌肉增强训练仪
CN111167081A (zh) * 2020-01-14 2020-05-19 莒县人民医院 一种辅助分娩的产科助产器
CN112891845A (zh) * 2021-01-15 2021-06-04 王纯 一种神经科用康复装置
CN113144528A (zh) * 2021-04-27 2021-07-23 丽水市第二人民医院 一种康复科用多功能行走锻炼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872A (ko) * 2015-11-09 2017-05-17 김주리 스마트 하체운동기
CN105597270A (zh) * 2015-12-24 2016-05-25 浙江海洋学院 一种跑步机
CN105597270B (zh) * 2015-12-24 2019-07-02 浙江海洋学院 一种跑步机
CN110251893A (zh) * 2019-07-01 2019-09-2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老年人腿部肌肉增强训练仪
CN111167081A (zh) * 2020-01-14 2020-05-19 莒县人民医院 一种辅助分娩的产科助产器
CN112891845A (zh) * 2021-01-15 2021-06-04 王纯 一种神经科用康复装置
CN113144528A (zh) * 2021-04-27 2021-07-23 丽水市第二人民医院 一种康复科用多功能行走锻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163B2 (en)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8678985B2 (en) Balanc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US20090170672A1 (en) Rehabilitation leg press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05354A (ko) 스텝형 운동기구
US20070298945A1 (en) Rotating exerciser system and methods
US7160231B2 (en) Port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preventing lactic-acid build-up
KR100963099B1 (ko) 하반신 운동기구
WO2013124930A1 (ja) 運動補助装置
US20190160327A1 (en) Exercise Apparatus
JP2010274117A (ja) 多目的運動器具
CN207627807U (zh) 一种便于调节的复健脚踏车
US9724557B2 (en) Exercise apparatus
US10493319B2 (en) Exercise equipment for limited mobility individuals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CN105727517B (zh) 一种多功能下肢力量训练设备
JP5213086B1 (ja) 運動補助装置
CN211357596U (zh) 一种用于室内的组合型可调节健身器材
CN111084963B (zh) 一种健身用的引体向上运动装置
KR200478393Y1 (ko) 복합 운동기구
KR20210001936U (ko) 종아리 근육 강화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JP2022553920A (ja) 運動用ペダル組立体
KR101634065B1 (ko)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KR20150067651A (ko) 뜀뛰기 운동기구
KR20130045119A (ko) 스텝형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