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44Y1 -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44Y1
KR200489544Y1 KR2020180005425U KR20180005425U KR200489544Y1 KR 200489544 Y1 KR200489544 Y1 KR 200489544Y1 KR 2020180005425 U KR2020180005425 U KR 2020180005425U KR 20180005425 U KR20180005425 U KR 20180005425U KR 200489544 Y1 KR200489544 Y1 KR 200489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link
hinge
foo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용
Original Assignee
전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승용 filed Critical 전승용
Priority to KR2020180005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부재; 양 발을 안전하게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부재에 설치되는 발판부재; 손으로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지주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재;를 마련하여 제1 발판과 제2 발판에 각각 발을 올려놓고서 걷기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제1 발판과 제2 발판의 상면에 상부발판을 설치하여 상부발판으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부발판과 연결발판으로 발판을 간편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고, 하나의 운동기구로 걷기 운동 및 허리 운동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Walking and Waist Exercise Equipment}
본 고안은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체를 이용한 걷기 운동 및 허리 운동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만 예방 또는 성인병 예방 차원과 방송 매체를 통한 몸짱 열풍으로 인해 남녀노소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양한 운동을 즐겨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을 즐기는 것은 단순히 외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것도 있지만 문명의 이기를 누리고 있는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부분에서는 무엇보다도 건강한 신체를 가꾸어야 하기 때문에 운동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헬스클럽, 공원, 가정 등에서 널리 행하여지고 있고, 대표적인 것으로, 걷기, 달리기, 허리 운동, 옆구리 운동 등의 하체 위주의 운동이 많다.
일반적으로 운동하고자 하는 사람이 헬스클럽에서 보통 제일먼저 하는 것이 간단한 스트레칭 후 런닝머신 또는 걷기운동기구 등을 이용하고, 그 이후에는 허리운동, 팔 등의 근력운동을 하고 있다.
나아가 공원이나 가정에서도 살펴보면 가장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이 걷기운동기구, 옆구리운동기구, 허리를 비트는 허리운동기구 등이 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대다수이 운동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위와 같은 운동기구를 통해 걷기, 옆구리, 허리 등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수행한다.
즉, 하체 쪽의 운동이 보다 높은 운동효과를 주기 때문임과 동시에 유산소 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이 취하는 운동 형태를 기준으로 운동기구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운동기구는 단순히 하나의 운동기구로써의 역할, 즉, 허리운동기구는 허리를 비틀어 허리 근력을 하는 것이고, 옆구리 운동기구는 하체를 좌우로 왕복회동하면서 옆구리를 구부렸다 펴기를 반복하는 형태로 하는 운동이며, 공중걷기 운동은 하체의 단련과 신체의 수평감각 등을 고려한 운동만이 가능하여 하나의 운동기구만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때, 신체를 고르게 발달시키지 못하고 획일적인 운동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헬스 클럽에서 운동하는 이유는 운동기구가 다양하며, 자신의 신체 조건과 운동량에 따라 근육 운동의 중량 부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헬스 클럽은 계절과 날씨 그리고 시간에 관계없이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헬스 클럽에서 하는 운동은 크게 유산소운동과 기구운동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시 운동 목적에 따라 상체 근육운동, 하체 근육운동, 복부 근육운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하체 근육운동을 위한 대표적인 운동기구로서, 워킹 머신(Walking Machine), 레그익스텐션컬(Leg Extentioncal) 등이 있다.
또한 상체 근육 운동기구들은 중량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부가하여 운동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급격하게 일고 있는 웰빙(well-being) 붐과 함께 사회전반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어린이, 노인, 일반 성인들의 레저 활동뿐만 아니라 각종 실내외 운동에 대한 전반적인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헬스 클럽에 다니기 힘든 저소득층 주민들도 운동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 전반적인 욕구에 부응하여,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에도 야외공원에 주민 복지차원에서 다양한 운동시설들의 설치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 운동기구를 야외에 그대로 설치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종래의 실내 운동기구를 야외에 설치할 경우, 어린이나 노인 어르신들도 지도자나 관리자가 없는 상태에서 운동할 경우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운동기구에 녹이 스는 등 운동 기구의 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야외에 설치되는 실외 운동기구는 그 구성이 비교적 단조롭고, 운동기구의 관리가 비교적 용이한 평행봉, 철봉, 허리돌리기,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기구가 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실내 운동기구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며, 운동기구의 관리도 비교적 용이한 실외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공중걷기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에는 좌우대칭구비되는 지주 상단에 전후회동가능한 스윙암이 형성되고, 상기 스윙암 하부에 발판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발판에 발을 올려 걷는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스윙암이 전후로 왕복회동하여 공중에서 걷기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한 손잡이가 상기 지주 상측에 형성된 공중걷기 운동기구로서, 상기 좌우대칭 구비되는 지주 외측에 일체로 결합 형성되고, 사용자가 발을 올려 뜀과 비틀림을 통해 상하 운동과 동시에 좌우 트위스트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옆구리측을 구부렸다 폈다를 반복하는 옆구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되는 트위스트스윙수단이 구비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공중걷기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공중걷기 운동기구에는 "ㅅ"자 형태의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 좌우로 대칭 형성되고, 하부에 수평발판이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평발판에 발을 올려 걷는 동작을 전후로 수행함과 함께 전후 스윙궤적상에서 좌우로 상기 수평발판이 선회되는 스윙유닛, 상기 지지유닛 상부에 결합된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 좌우측으로 상기 지지유닛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 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45114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47402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걷기 운동 또는 허리 운동을 자유롭게 전환하여 겸용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운동기구로 2가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부재; 양 발을 안전하게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부재에 설치되는 발판부재; 손으로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지주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재는 걷기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한 쌍의 지주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 및 허리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발판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발판은 상기 지주부재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상부발판이 회전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경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첩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상부발판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지주부재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상부발판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링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링크; 상기 제1 회전링크와 상기 제2 지지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1 회전링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발판; 상기 지주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 발판; 상기 제2 발판의 일면에 상기 제1 발판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발판은 상기 제1 발판 또는 제2 발판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발판에는 상기 제1 발판 및 제2 발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에 의하면, 제1 발판과 제2 발판에 각각 발을 올려놓고서 걷기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제1 발판과 제2 발판의 상면에 상부발판을 설치하여 상부발판으로 허리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부발판과 연결발판으로 발판을 간편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고, 하나의 운동기구로 걷기 운동 및 허리 운동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경첩부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경체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경체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경체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발판부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발판부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받침부재(10), 상기 받침부재(10)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주부재(20), 양 발을 안전하게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지주부재(20)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부재(20)에 설치되는 발판부재(30), 손으로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지주부재(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재(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는 양 밭을 발판에 밟은 상태에서 걷기 운동을 하거나 허리 운동을 겸용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는 지면 등에 자유로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10), 상기 받침부재(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부재(20), 상기 지주부재(20)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부재(30) 및 사용자가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는 지면 등의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일정 크기를 갖는 수평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1) 사이에 고정되는 중간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11)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1)의 양측에는 지주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지주부재(20)는 발판부재(30)가 지지되도록 수평프레임(1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주부재(20)는 수평프레임(11)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주부재(2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1), 상기 수직프레임(21)의 내측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는 회전앵글(22), 상기 수직프레임(21) 및 회전앵글(22)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4)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4)에 설치되는 회전축(25)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은 소정 높이로 고정되며, 상기 수직프레임(21)의 내측에는 회전앵글(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앵글(22)은 발판이 설치되되도록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의 외측에는 수직프레임(21)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조프레임(23)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21) 및 회전앵글(22)의 상면에는 고정플레이트(24)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4)에는 회전앵글(22)이 회전되도록 회전축(25)이 설치된다.
아울러 회전앵글(22)에는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발판부재(30)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경첩부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경체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경체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경체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재(30)는 한 쌍의 회전앵글(22)에 설치되는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 및 상기 발판(21, 22)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상부발판(3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앵글(22)에는 제1 발판(31)이 설치되며, 다른 회전앵글(22)에도 제2 발판(32)이 설치되며, 제2 발판(32)의 일측에는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의 상면을 일체로 덮는 상부발판(3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발판부재(30)는 걷기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한 쌍의 지주부재(20)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발판(31, 32) 및 허리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발판(31, 3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발판(33)을 포함한다.
즉,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은 양 발로 올라설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부발판(33)은 하나의 발판에 양 발을 동시에 딛고 올라설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발판(31, 32)은 한 발로 밟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부발판(33)은 두 발을 동시에 밟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발판(33)은 상기 지주부재(20)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4), 상기 상부발판(33)이 회전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34)의 상면에 설치되는 경첩부재(3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은 각각 회전앵글(22)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발판(33)은 회전앵글(22)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4)과 경첩부재(35)로 설치된다.
상기 경첩부재(35)는 상기 지주부재(20)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 고정부(36)와 상기 상부발판(33)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 고정부(40) 및 상기 제1 고정부(36)와 제2 고정부(4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36)는 상기 지주부재(20)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37),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3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링크(38)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부(40)는 상기 상부발판(33)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41),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링크(4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링크부(45)는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제1 지지링크(4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링크(46), 상기 제1 회전링크(46)와 상기 제2 지지링크(42)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47),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37)와 상기 제1 회전링크(4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링크(48)를 포함한다.
상기 경첩부재(35)는 상부발판(33)을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게 함은 물론 상부발판(33)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경첩부재(35)는 고정프레임(34)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36)와 상부발판(33)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40) 및 상기 제1 고정부(36)와 제2 고정부(40)가 회전되도록 하는 링크부(45)로 이루어진다.
즉, 제1 고정부(36)는 회전앵글(22) 상면의 고정프레임(34)에 고정되고, 제2 고정부(40)는 상부발판(33)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 고정부(36)와 제2 고정부(40)는 상부발판(33)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대략 90°각도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경첩부재(35)는 링크부(45)를 중심으로 제1 고정부(36)와 제2 고정부(40)가 일(一)자형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부발판(33)을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의 상면에 전개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제1 고정부(36)는 고정프레임(34)에 고정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37)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37)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지지링크(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37)는 제1 지지링크(38)와 제2 회전링크(48)가 결합되며, 이들 제1 지지링크(38)와 제2 회전링크(48)가 회전되도록 힌지가 결합된다.
아울러 제2 고정부(40)는 상부발판(33)에 고정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41) 및 제1 지지링크(38)에 결합되는 제2 지지링크(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41)는 상부발판(33)에 고정되며, 제2 고정플레이트(41)에는 제2 지지링크(42)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링크부(45)는 제2 고정플레이트(41)와 제1 지지링크(3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링크(46), 상기 제1 회전링크(46) 및 제2 지지링크(42)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47), 상기 제1 회전링크(46)와 제1 고정플레이트(37)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링크(4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링크(46)에는 제2 고정플레이트(41)에 결합되도록 제1 힌지구멍(46a)이 형성되고, 제2 회전링크(48)가 결합되도록 제2 힌지구멍(46b)이 형성되며, 제1 지지링크(38)가 결합되도록 제3 힌지구멍(46c)이 형성되고, 실린더(47)를 지지하는 힌지가 결합되도록 제4 힌지구멍(46d)이 형성된다.
이들 힌지구멍(46a, 46b, 46c, 46d)에는 각각 힌지가 결합됨은 물론이다.
또한 실린더(47)는 제4 힌지구멍(46d)과 제2 지지링크(4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7)는 제1 지지링크(38)와 제2 지지링크(42)에 결합된 힌지와 제4 힌지구멍(46d)에 결합된 힌지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실린더(47)는 제1 지지링크(38)와 제2 지지링크(42)에 결합되는 힌지와 제4 힌지구멍(46d)에 결합되는 힌지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재(50)가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걷기 운동을 하거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걷기 운동은 하체의 근력을 이용하여 보행과 동일한 동작을 지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고, 허리 운동은 하체 전체를 움직여 줌으로써, 하체 운동 또는 허리 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발판부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걷기 운동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의 상면에 각각 왼발과 오른발을 올려 놓게 된다.
이렇게 양 발을 각각 발판(31, 32)에 올려 놓고 상체는 움직이지 않도록 손으로 손잡이부재(50)를 잡게 된다. 이와 같이 상체는 손잡이부재(50)를 잡은 상태에서 양 발을 각각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지주부재(20)에 설치된 회전앵글(22)은 회전축(25)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사용자는 보행 동작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걷기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발판부재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걷기 운동 외에 허리 운동을 선택적으로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상부발판(33)을 제1 발판(31) 및 제2 발판(32)의 상면으로 젖히게 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발판(33)은 경접부재(35)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상부발판(33)을 사용하기 위하여 젖히게 됨에 따라 상부발판(33)이 발판(31, 32)의 상면으로 회전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발판(33)은 경첩부재(35)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전되며, 이는 경첩부재(35)의 제1 고정부(36)와 제2 고정부(40)가 링크부(4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된다.
즉, 상기 제1 고정부(36)의 제1 지지링크(37)는 제1 고정플레이트(37)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2 고정부(40)의 제2 지지링크(42) 또한 제1 지지링크(37)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함께 링크부(45)의 제1 회전링크(46)와 제2 회전링크(48)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실린더(47)는 제1 지지링크(38)와 제2 지지링크(42) 사이에서 길이가 신장되면서 제1 지지링크(38)와 제2 지지링크(42)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47)는 제1 지지링크(38)와 제2 지지링크(42)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신장되며, 제1 지지링크(38)와 제2 지지링크(42)는 실린더(47)에 의해 임의로 움직이지 않으면서 접히거나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의 받침부재(10), 지주부재(20) 및 손잡이부재(5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발판부재(30)는 상기 지주부재(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발판(31), 상기 지주부재(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 발판(32), 상기 제2 발판(32)의 일면에 상기 제1 발판(31)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발판(60)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부재(30)는 걷기운동을 하거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발판부재(30)는 각각 회전앵글(22)에 설치되는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 및 상기 발판(31, 32) 사이를 잇는 연결발판(6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발판(60)은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을 서로 연결 결합시키는 것으로, 연결발판(60)은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의 이격된 길이로 형성된다.
아울러 연결발판(60)은 제1 발판(31) 또는 제2 발판(3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연결발판(60)은 제1 발판(31) 또는 제2 발판(32)에 록킹수단(61)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록킹수단(6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발판(60) 또는 발판(31, 32)에 고정되는 고정구(62),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1 평판(63), 상기 제1 평판(63)과 제2 평판(65)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힌지(64), 상기 힌지(6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평판(63)에 결합되는 제2 평판(65) 및 상기 제2 평판(65)에 고정구(62)에 결속되도록 형성되는 후크(6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걷기 및 허리운동기구는 2개의 발판(31, 32)에 각각 발을 올려 놓고서 걷기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이에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은 각각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에 사용자는 걷기 동작, 즉 보행에 따른 다리 운동, 근력 등을 자유로이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을 연결발판(60)으로 연결 고정하게 된다. 즉, 록킹수단(60)의 후크(66)를 고정구(6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 평판(65)을 회전시킴에 따라 후크(66)는 고정구(62)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1 발판(31), 제2 발판(32)은 연결발판(6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며, 사용자는 허리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록킹수단(61)을 해제시킴에 따라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은 각각 회전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제1 발판(31)과 제2 발판(32)에 각각 발을 올려놓고서 움직임에 따라 걷기 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받침부재 11: 수평프레임
12: 중간프레임
20: 지주부재 21: 수직프레임
22: 회전앵글 23: 보조프레임
24: 고정플레이트 25: 회전축
30: 발판부재 31: 제1 발판
32: 제2 발판 33: 상부발판
34: 고정프레임 35: 경첩부재
36: 제1 고정부 37: 제1 고정플레이트
38: 제1 지지링크 40: 제2 고정부
41: 제2 고정플레이트 42: 제2 지지링크
45: 링크부 46: 제1 회전링크
47: 실린더 48: 제2 회전링크
50: 손잡이부재

Claims (5)

  1.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마련되되, 지면의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일정 크기를 갖고 사각형,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수평프레임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앵글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 수직프레임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및 회전앵글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앵글이 회전도도록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주부재;
    양 발을 안전하게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부재의 회전앵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발판부재;
    손으로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지주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재는 걷기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지주부재의 회전앵글 상면에 설치되는 제1 발판과, 상기 제1 발판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회전앵글 상면에 설치되는 제2 발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발판; 및 허리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2 발판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발판;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발판은,
    상기 지주부재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상부발판이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및 제2 발판의 상부면을 일체로 덮도록 회전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경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발판과 상기 제1 발판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 발판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발판과 제2 발판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발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의 고정프레임 일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상부발판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지주부재의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고정플레이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지지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상부발판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링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1 지지링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링크;
    상기 제1 회전링크와 상기 제2 지지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1 회전링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링크에는 제2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힌지가 결합되는 제1 힌지구멍이 형성되고, 제2 회전링크가 결합되도록 힌지가 결합되는 제2 힌지구멍이 형성되며, 제1 지지링크가 결합되도록 힌지가 결합되는 제3 힌지구멍이 형성되고, 실린더를 지지하는 힌지가 결합되는 제4 힌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는 제4 힌지구멍과 제2 지지링크 사이에 설치되며, 제1 지지링크와 제2 지지링크에 결합된 힌지와 제4 힌지구멍에 결합된 힌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는 제1 지지링크와 제2 회전링크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는 상부발판에 고정되며, 제2 지지링크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상부발판이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져 90°각도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경첩부재의 링크부를 중심으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가 일자형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부발판이 제1 발판과 제2 발판의 상면에 전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발판은 상기 제1 발판 또는 제2 발판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발판에는 상기 제1 발판 또는 제2 발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록킹수단은 연결발판 또는 발판부재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1 평판과, 상기 제1 평판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평판, 및 상기 제2 평판에 고정구를 결속하도록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를 고정구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 평판을 회전시켜 후크가 고정구에 걸림 상태가 유지되어 제1 발판과 제2 발판이 연결발판에 의해 상호 연결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KR2020180005425U 2018-11-23 2018-11-23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KR200489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25U KR200489544Y1 (ko) 2018-11-23 2018-11-23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25U KR200489544Y1 (ko) 2018-11-23 2018-11-23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44Y1 true KR200489544Y1 (ko) 2019-07-03

Family

ID=6722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425U KR200489544Y1 (ko) 2018-11-23 2018-11-23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44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078U (ja) * 2007-11-14 2008-01-31 キング アイ テ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スイング式腰捻りフィットネス機器
KR20120131630A (ko) *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CN202672923U (zh) * 2012-06-05 2013-01-16 刘仕荣 缓冲弹子铰链
KR20130045114A (ko) 2011-10-25 2013-05-03 김대승 공중걷기 운동기구
KR20130116531A (ko) * 2012-04-16 2013-10-24 김혜선 절첩식 다목적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1347402B1 (ko) 2012-07-24 2014-01-15 주식회사 런텍 공중걷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078U (ja) * 2007-11-14 2008-01-31 キング アイ テ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スイング式腰捻りフィットネス機器
KR20120131630A (ko) *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KR20130045114A (ko) 2011-10-25 2013-05-03 김대승 공중걷기 운동기구
KR20130116531A (ko) * 2012-04-16 2013-10-24 김혜선 절첩식 다목적 공중걷기 운동기구
CN202672923U (zh) * 2012-06-05 2013-01-16 刘仕荣 缓冲弹子铰链
KR101347402B1 (ko) 2012-07-24 2014-01-15 주식회사 런텍 공중걷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990B1 (en) Jumping jack exercise machine
US8317664B2 (en) Portable exercise device
US20070298945A1 (en) Rotating exerciser system and methods
US20050245370A1 (en) Powerwalk plus
US20060189451A1 (en) Invercycle device and method for exercise
US7931575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body exercises
US9352179B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CN20564977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家用康复健身器
US20090054210A1 (en) Station for Gymnastics in Water
KR101244716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102150353B1 (ko) 다변형 자전거 운동기구
US6524355B1 (en) Exercise device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KR101230029B1 (ko) 안전장치를 갖는 역기내리기 운동기구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CN110947156A (zh) 一种平衡健身器
CN207101738U (zh) 一种用于运动、娱乐和vr游戏或体验的悬挂装置
KR200437422Y1 (ko) 자동트위스트 기능을 가진 스텝퍼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05231Y1 (ko) 훌라후프 운동기구
KR101472218B1 (ko) 종합 운동기구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KR101634065B1 (ko)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KR200429304Y1 (ko) 복합 서킷 트레이닝 운동기구
KR200342369Y1 (ko) 레그프레스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