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980B1 - 관절 인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관절 인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980B1
KR101575980B1 KR1020140133700A KR20140133700A KR101575980B1 KR 101575980 B1 KR101575980 B1 KR 101575980B1 KR 1020140133700 A KR1020140133700 A KR 1020140133700A KR 20140133700 A KR20140133700 A KR 20140133700A KR 101575980 B1 KR101575980 B1 KR 101575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height
pair
us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태홍
Original Assignee
마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태홍 filed Critical 마태홍
Priority to KR102014013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와 허리, 무릎 등의 관절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근력을 키우기 위한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체와 하체 및 전신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한 관절 인장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관절 인장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길게 누울 수 있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판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 위치하여 양쪽 측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고정기둥과, 상판의 길이방향 반대쪽 끝부분에 위치하여 양쪽 측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높이조정기둥과, 고정기둥에 평면에서 보아서 18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발걸이부재와, 높이조정기둥에 평면에서 보아서 18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ㅋ"형상으로 형성되는 팔.발걸이부재와, 상판의 같은 측면쪽에 위치하는 고정기둥과 높이조정기둥을 각각 서로 연결하며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부재와, 레일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구름이동하는 복수 쌍의 이동바퀴와, 이동바퀴의 축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관절 인장 운동기구 {Joint Tensile Type Health and Fitness Facilities}
본 발명은 관절 인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절이 인장된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는 상태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관절 인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허리와 무릎, 어깨, 팔목, 발목 등의 관절에 하중을 실어 운동하기 때문에, 근력을 키우는 것은 가능하지만, 허리와 무릎 등의 관절에 부담을 많이 준다. 육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이러한 관절의 부담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환자의 재활운동이나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 체력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관절의 통증이 발생하는 등의 역효과가 있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직립 보행을 하는 사람은 평상시에도 무릎과 허리 등의 관절에 상당한 무리가 가고 통증을 유발시키며,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나르는 경우에는 관절에 더욱 심한 압력이 가해져 통증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몸매관리와 근육을 키우기 위해 헬스기구나 각종 운동기구를 사용하거나, 등산이나 자전거, 마라톤 등의 다양한 종목의 운동을 하고 있지만, 근육의 향상이나 폐활량 증진 등에는 상당한 효과를 얻는 반면, 각종 관절 및 허리 통증에는 부담만 주며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6195호, 제10-0996699호, 제10-0909449호, 제10-0659910호 등에는 다양한 운동기구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운동기구들의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고, 관절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기능이 부족하고, 다양한 관절에 대한 운동을 하기에 부적당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척추와 허리, 무릎관절 등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근력을 키우기 위한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체와 하체 및 전신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한 관절 인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길게 누울 수 있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 위치하여 양쪽 측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반대쪽 끝부분에 위치하여 양쪽 측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높이조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에 평면에서 보아서 18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발걸이부재와, 상기 높이조정기둥에 평면에서 보아서 18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ㅋ"형상으로 형성되는 팔.발걸이부재와, 상기 상판의 같은 측면쪽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기둥과 높이조정기둥을 각각 서로 연결하며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구름이동하는 복수 쌍의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의 축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의 양 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무릎관절지지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무릎관절지지부재는 상기 상판의 저면 양쪽 모서리부분에 힌지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파이프와, 상기 안내파이프의 내부를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고 인장력이 작용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을 갖는 한쌍의 지지끈과, 상기 지지끈 각각의 다른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사용자의 무릎 부위를 밀착된 상태로 감싸는 탄력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릎관절지지부재의 안내파이프의 바깥쪽(상판으로부터 먼 쪽) 끝부분에는 상기 지지끈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도 상기 지지끈이 상기 안내파이프로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끈은 고무나 실리콘, 스프링 등의 다양한 고강도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높이조정기둥은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으로 구성하고, 나사결합 또는 홈과 돌기, 구멍과 고정쇠 등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높이조정기둥은 상기 상판이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까지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판에 누운 상태로 상기 발걸이부재 또는 팔.발걸이부재에 발을 걸친 상태에서 힘을 주어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 허벅지운동이나 상체를 일으켰다 눕는 동작을 반복하는 상체운동 등을 관절이 이완된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판이 힘을 받는 것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께 하므로, 관절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판에 누운 상태로 팔.발걸이부재를 손으로 잡은 상태로 팔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 팔운동을 관절이 이완된 상태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판이 이동하므로, 관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판에 누운 상태에서 무릎관절지지부재의 탄력밴드를 각각 양쪽 발의 무릎을 감싸도록 채운 상태로 양쪽 무릎을 붙였다 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운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탄성을 갖는 지지끈이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하중을 부과하여 운동효과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에 의하면, 관절을 이완시킨 상태로 체력보강과 재활치료 등을 위한 다양한 운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종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에 있어서, 무릎관절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상판의 저면에 대한 부분확대 저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0)과, 고정기둥(20)과, 높이조정기둥(30)과, 발걸이부재(40)와, 팔.발걸이부재(50)와, 레일부재(60)와, 이동바퀴(64)와, 지지부재(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10)은 사용자가 길게 누울 수 있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10)의 상면에는 쿠션감을 주기 위하여 완충시트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판(10)에는 사용자가 위치를 확인하기 편리하도록 복수의 부위에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기둥(20)은 상기 상판(10)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 위치하여 양쪽 측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정기둥(30)은 상기 고정기둥(20)이 설치된 상기 상판(10)의 길이방향 반대쪽 끝부분에 위치하여 양쪽 측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정기둥(30)은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높이조정기둥(30)은 내관(34)과 외관(32)의 이중관으로 구성한다.
상기 내관(34)은 외관(32)의 내부에 상하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내관(34)과 외관(32)은 30~80cm 정도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내관(34)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외관(32)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으로 구성하면, 필요에 따라 외관(32)을 회전시키는 것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외관(32)에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홈 또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내관(34)에 상기 외관(32)쪽으로 탄성력을 갖고 돌출하는 돌기를 설치하여 상기 내관(34)과 외관(32)의 높이를 조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내관(34)에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외관(32)의 한곳에 상기 내관(34)에 형성한 구멍과 대응되는 구멍을 형성한 다음, 외부에서 상기 외관(32)과 내관(34)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고정쇠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높이를 조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정기둥(30)을 구성하면, 상기 상판(10)이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까지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걸이부재(40)는 상기 고정기둥(20)에 평면에서 보아서 18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발걸이부재(40)는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된다.
상기 발걸이부재(40)의 수직부(42)는 상기 고정기둥(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발걸이부재(40)는 수평부(44)가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상판(10)의 상면 위쪽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상판(10)의 상면을 벗어나 반대쪽으로 위치하도록 18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발걸이부재(40)와 상기 고정기둥(20)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발걸이부재(40)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돌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발걸이부재(50)는 상기 높이조정기둥(30)에 평면에서 보아서 18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팔.발걸이부재(50)는 "ㅋ"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높이조정기둥(30)의 내관(34) 내부에 상기 팔.발걸이부재(50)의 수직부(52)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팔.발걸이부재(50)는 상수평부(56) 및 하수평부(54)가 평면에서 보아서 상기 상판(10)의 상면 위쪽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위치하거나 상기 상판(10)의 상면을 벗어나 반대쪽으로 위치하도록 18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팔.발걸이부재(50)와 상기 높이조정기둥(30)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팔.발걸이부재(50)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돌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팔.발걸이부재(50)는 사용자가 발뒤꿈치를 상기 하수평부(54)에 걸치 상태에서 발등이 상기 상수평부(56)에 걸리도록 상기 상수평부(56)와 하수평부(54)의 간격을 설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팔.발걸이부재(50)를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양쪽 발목을 상기 상수평부(56)와 하수평부(54)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등이 상기 상수평부(56)에 걸리게 한 자세로 발등으로 힘을 지탱하면서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일부재(60)는 상기 상판(10)의 같은 측면쪽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기둥(20)과 높이조정기둥(30)을 각각 서로 연결하며 고정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60)는 한쌍이 짝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재(60)는 상기 고정기둥(20)과 높이조정기둥(30)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부재이므로, 구조적인 강도가 우수한 강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바퀴(64)는 상기 레일부재(60)에 결합된 상태로 구름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64)는 복수 쌍으로 조합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판(10)의 길이방향 양쪽에서 지지하도록 2개의 쌍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판(10)의 무게 및 사용자의 체중 등을 분산하여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쌍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68)는 상기 이동바퀴(64)의 축(65)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상판(10)을 지지한다.
상기 상판(10)은 상기 지지부재(68)와 축(65), 이동바퀴(64)를 통하여 상기 레일부재(60)에 이동가능하게 구조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68)의 상단부는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68)는 상기 상판(10)의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68)에는 상기 이동바퀴(64)의 축(65)의 끝부분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68)와 이동바퀴(64)를 구성하면, 상기 상판(10)은 레일부재(6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의 양 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무릎관절지지부재(70)를 설치한다.
상기 무릎관절지지부재(70)는 상기 상판(10)의 저면 양쪽 모서리부분에 힌지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파이프(74)와, 상기 안내파이프(74)의 내부를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고정되고 인장력이 작용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을 갖는 한쌍의 지지끈(76)과, 상기 지지끈(76) 각각의 다른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사용자의 무릎 부위를 밀착된 상태로 감싸는 탄력밴드(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릎관절지지부재(70)의 안내파이프(74)의 바깥쪽(상판으로부터 먼 쪽) 끝부분에는 상기 지지끈(76)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75)를 각각 설치한다.
또, 상기 상판(10)의 저면에도 상기 지지끈(76)이 상기 안내파이프(74)로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75)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끈(76)은 고무나 실리콘, 스프링 등의 다양한 고강도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지지끈(76)의 한쪽 끝부분은 고정구(72)를 이용하여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릎관절지지부재(70)는 사용자가 상기 상판(10)에 눕거나 앉은 상태로 상기 탄력밴드(78)를 양쪽 무릎부위에 각각 밀착되는 상태로 착용하고, 양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양 무릎이 맞닿은 상태에서 벌어지는 상태로 다리를 움직이는 운동을 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끈(76)은 양 무릎이 맞닿은 상태에서는 늘어난 상태이고, 양 무릎이 벌어진 상태에서는 수축하도록 길이를 조정하여 설치한다. 즉 사용자가 양 무릎을 맞닿는 상태로 움직일 때에 지지끈(76)의 탄성력에 의하여 힘이 가해져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고정기둥(20)보다 높이조정기둥(30)의 높이가 높게 유지되도록 높이를 조정하여 상판(10)이 높이조정기둥(30)쪽에서 고정기둥(20)쪽으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엉덩이를 상판(10)에 닿은 상태로 앉은 자세에서 손을 뻗어 상기 양 팔.발걸이부재(50)의 상수평부(56)를 양쪽 손으로 움켜잡고 팔에 힘을 주어 잡아당기면, 상판(10)이 높이조정기둥(30)쪽으로 이동하면서 팔을 굽히는 동작이 가능해지고, 팔을 펴는 동작을 행하게 되면 다시 상기 상판(10)이 고정기둥(20)쪽으로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팔이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상체운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팔목과 어깨 관절 등은 상판(20)이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자연스럽게 매달린 자세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상판(10)에 머리가 높이조정기둥(30)쪽을 향하고 하늘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손을 뻗어 상기 양 팔.발걸이부재(50)의 상수평부(56)를 양쪽 손으로 움켜잡고 팔에 힘을 주어 잡아당기면, 상판(10)이 높이조정기둥(30)쪽으로 이동하면서 팔을 굽히는 동작이 가능해지고, 팔을 펴는 동작을 행하게 되면 다시 상기 상판(10)이 고정기둥(20)쪽으로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팔이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상체운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사용자가 상기 상판(10)에 머리가 고정기둥(20)쪽을 향하고 하늘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발을 뻗어 발목을 상기 양 팔.발걸이부재(50)의 상수평부(56)와 하수평부(54) 사이에 끼우고, 발등을 상수평부(56)의 위쪽에서 걸친 상태에서 다리에 힘을 가하여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상판(10)이 높이조정기둥(30)쪽으로 또는 고정기둥(20)쪽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하체운동이 이루어진다.
이 때, 허리 및 발목.무릎의 관절 등은 상판(20)이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자연스럽게 매달린 자세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상판에 머리가 높이조정기둥(30)쪽을 향하고 하늘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발을 뻗어 상기 발걸이부재(40)의 수평부(44)에 발바닥이 닿도록 한 상태에서 다리에 힘을 가하여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상판(10)이 높이조정기둥(30)쪽으로 또는 고정기둥(20)쪽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하체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예를 든 자세 이외에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자세를 사용하여 상체운동과 하체운동 및 전신운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 인장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상판, 20 - 고정기둥, 30 - 높이조정기둥, 32 - 외관, 34 - 내관
40 - 발걸이부재, 42 - 수직부, 44 - 수평부, 50 - 팔.발걸이부재
52 - 수직부, 54 - 하수평부, 56 - 상수평부, 60 - 레일부재
64 - 이동바퀴, 65 - 축, 68 - 지지부재, 70 - 무릎관절지지부재
72 - 고정구, 74 - 안내파이프, 75 - 안내롤러, 76 - 지지끈
78 - 탄력밴드

Claims (4)

  1. 삭제
  2. 사용자가 길게 누울 수 있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분에 위치하여 양쪽 측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반대쪽 끝부분에 위치하여 양쪽 측면에 쌍을 이루어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높이조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에 평면에서 보아서 18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발걸이부재와,
    상기 높이조정기둥에 평면에서 보아서 180도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ㅋ"형상으로 형성되는 팔.발걸이부재와,
    상기 상판의 같은 측면쪽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기둥과 높이조정기둥을 각각 서로 연결하며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구름이동하는 복수 쌍의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의 축이 연결 고정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관절 인장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의 양 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무릎관절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무릎관절지지부재는 상기 상판의 저면 양쪽 모서리부분에 힌지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파이프와, 상기 안내파이프의 내부를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고 인장력이 작용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을 갖는 한쌍의 지지끈과, 상기 지지끈 각각의 다른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사용자의 무릎 부위를 밀착된 상태로 감싸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관절 인장 운동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릎관절지지부재의 안내파이프의 바깥쪽(상판으로부터 먼 쪽) 끝부분에는 상기 지지끈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상판의 저면에도 상기 지지끈이 상기 안내파이프로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설치하는 관절 인장 운동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기둥은 내관과 외관의 이중관으로 구성하고,
    상기 내관과 외관은 나사결합 또는 홈과 돌기, 구멍과 고정쇠 중에서 선택한 구조를 이용하여 다단으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관절 인장 운동기구
KR1020140133700A 2014-10-05 2014-10-05 관절 인장 운동기구 KR101575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700A KR101575980B1 (ko) 2014-10-05 2014-10-05 관절 인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700A KR101575980B1 (ko) 2014-10-05 2014-10-05 관절 인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980B1 true KR101575980B1 (ko) 2015-12-09

Family

ID=5487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700A KR101575980B1 (ko) 2014-10-05 2014-10-05 관절 인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9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267B1 (ko) * 2013-01-28 2013-06-07 김인석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신장이완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267B1 (ko) * 2013-01-28 2013-06-07 김인석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신장이완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1277B2 (en) Portable therapeutic strengthen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resistance
JP3180637U (ja) ストレッチャー
RU2768670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US10434351B1 (en) Multi-use fitness and rehabilitation machine
US6595904B1 (en) Exercise apparatus for stimulating muscle coordination, contraction and joint stability and mobility in the lower extremity joints of the hip, knee and ankle with variable application of weight bearing force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US10682542B2 (en) Athletic training apparatus to facilitate a hamstring muscle stretch
US7976446B2 (en) Exercise apparatus
KR101946783B1 (ko) 수동식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US8425381B2 (en) Exerciser and rehabilitative device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US11259986B1 (en) Reduced friction massage surfaces and exercise equipment
KR101575980B1 (ko) 관절 인장 운동기구
KR102325166B1 (ko)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KR101652056B1 (ko) 척추 교정 장치
ITLU20100014A1 (it) Attrezzo portatile per autodecongestionare e disinfiammare il rachide
KR101949592B1 (ko) 재활치료기기
RU112638U1 (ru) Имитатор ходьбы
US20150335933A1 (en) Balance training apparatus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Gramatikova et al. Kinesitherapy after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knee joint
RU2816159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биомеханики в поясничном отделе позвоночника и поясе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челове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