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592B1 - 재활치료기기 - Google Patents
재활치료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9592B1 KR101949592B1 KR1020170064650A KR20170064650A KR101949592B1 KR 101949592 B1 KR101949592 B1 KR 101949592B1 KR 1020170064650 A KR1020170064650 A KR 1020170064650A KR 20170064650 A KR20170064650 A KR 20170064650A KR 101949592 B1 KR101949592 B1 KR 1019495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bed portion
- rehabilitation
- delete delet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9468 Hemi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089 Multiple system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389 Nerv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738 Nervous System Trau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1127 Orthostatic hypo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8129 cerebral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64 nerv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20431 spinal cor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428 Muscle Weak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72 Muscular weak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911 Urinary Calcul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14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14 function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0 mo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412 nervous system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84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10), 환자(1)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는 베드부(20), 베드부(20)의 일단에 배치되어, 환자(1)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30), 및 베드부(20)에 결합되고, 환자(1)의 상체를 고정하는 상체벨트(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 등의 상하지 재활에 사용되는 재활치료기기에 관한 것이다.
신체기능이 상실되거나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그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재활치료기기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뇌졸증이나 척수손상, 또는 뇌성마비와 같은 중추신경계 환자는 편마비/경직 등으로 인해 상하지의 운동능력이 심각하게 저하되므로, 정상적인 거동 및 보행이 곤란하거나 불편하다. 따라서, 정상인으로서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재활훈련이 필요하고, 이때 보조적으로 다양한 재활치료기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보행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관절 움직임을 수동적으로 만들어 주고, 환자의 운동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재활치료가 행해지는데, 초기 재활단계에서는 빠른 움직임 훈련과 직립 상태에서의 체중 부하 훈련 등이 주로 이루어지며, 이때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재활치료기기가 사용된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상하지연동운동장치는 재활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호 형상의 궤적으로 운동하는 발과 연동하여 타원 궤적을 그리도록 팔을 운동시킴으로써, 팔과 어깨뿐만 아니라, 등과 허리 근육을 회복시킨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2의 전동식 기립형 하지재활 장치의 경우에는 재활환자의 둔부 또는 허리에 밴드를 감아 직립 상태를 유지시킨 채로 상지와 하지를 재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 재활치료기기의 경우는 재활환자의 상지 및 하지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재활훈련을 시킬 수 없고, 나아가 동시에 서로 다른 재활훈련을 실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편마비로 인해 어느 한쪽의 상하지에만 근력 저하가 일어남에도 정상측 상하지에 대해서도 마비된 상하지와 동일한 훈련이 제공되므로 재활효율도 떨어진다.
이에 종래 재활치료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환자가 누울 수 있는 베드부가 마련되고, 그 베드부가 회동하여 소정의 경사를 유지함으로써, 경사각도에 따라 다양한 재활치료를 실행할 수 있는 재활치료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무릎벨트가 손상측 하지만을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비손상측 하지에 대해서 분리된 기능적 훈련이 가능하고, 상지에 대한 안정적이고 큰 움직임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상지현수장치 및 상체 전방에 받침대가 각각 마련되어,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재활치료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는 베드부; 상기 베드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 및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상체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양쪽 하지 중 어느 하나의 손상측 하지를 고정하는 무릎벨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양쪽 하지 사이의 공간과 소통되도록, 상기 베드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무릎벨트는,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상기 손상측 하지의 무릎을 감싼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무릎벨트의 내면 중 상기 환자의 무릎에 밀착되는 부위가 상기 무릎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자의 상체 전방에 배치되어, 상지를 받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고 서로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연장부가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향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환자의 상지를 고정하고, 상기 환자의 상지가 하강할 때에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현수장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현수장치부는 상기 환자의 상지를 감싸는 패드; 및 일단은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패드에 연결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높이조절봉; 및 상기 높이조절봉의 말단에서부터 상기 환자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패드에 연결되는 연결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신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이 탄성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손 및 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여서 접촉할 수 있는 마커;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마커를 이미지로 생성하는 증강현실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시스템은, 상기 환자가 상기 마커를 접촉할 때에 접촉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 상태에서 재활치료가 진행되므로, 중추신경계 환자의 항 중력근 활성화, 관절 수용기의 자극, 운동감각 증가, 하지의 혈액순환 증가, 요로 결석 방지, 구축이나 기형 방지 효과가 있다. 또한,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립성 저혈압의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나아가, 경사각도에 따라 체중 지지 정도에 따른 체중 부하 훈련에 활용할 수 있고, 손상측 하지만을 고정하여 기립 상태가 유지되므로 비손상측 하지의 기능적 훈련을 통해 재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 상태를 통한 하지 재활훈련 단계에서, 상지현수장치 및 상체 전방에 받침대가 각각 마련되어, 상지에 대한 초기 재활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환자의 전방에 배치된 마커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비손상측 하지 및 상지에 대한 재활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마커가 증강현실에 따른 가상 이미지로 구현되어 게임 형태로 재활훈련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10), 환자(1)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는 베드부(20), 베드부(20)의 일단에 배치되어, 환자(1)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30), 및 베드부(20)에 결합되고, 환자(1)의 상체를 고정하는 상체벨트(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상하지 신체기능이 상실되어 재활치료가 요구되는 환자의 재활치료에 사용되는 기기이다. 특히, 뇌졸증,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경우에는 마비/경직으로 인한 운동능력 저하로 거동 및 보행에 장애가 발생하는바,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훈련이 요구되고, 이때 다양한 재활치료기기가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종래 재활치료기기는 상지와 하지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재활할 수 없고, 서로 다른 재활훈련을 동시에 실행할 수도 없으며, 비손상측 상하지에 대해서도 손상측 상하지와 마찬가지의 동일한 훈련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재활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에, 종래 재활치료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가 안출되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환자는 재활치료가 필요한 요치료자이면 족하고, 반드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재활환자의 초기 재활훈련에 최적화되지만, 그 재활훈련 시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도 없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베이스(10), 베드부(20), 발판부(30), 및 상체벨트(4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가 배치되는 건물 공간의 바닥에 배치되는 구성부분이다. 베이스(10)는 다수의 부재가 서로 결합된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신속한 이동성 확보를 위해 베이스(10)의 하부에는 캐스터(caster)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캐스터의 구름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가 함께 제공되어 소정의 위치에 베이스(10)를 정지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의 상부에는 베드부(20)가 배치된다.
베드부(20)는 환자(1)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된 매트리스이다. 기본적으로는 장방형의 판(plate) 형태로 구비되지만,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베드부(20)는 바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게,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경사각도는 0 ~ 90°에 이르는바, 베이스(10)는 회동하면서,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고, 또는 바닥에 나란하게 눕혀질 수 있다. 여기서, 베드부(20)의 회동은 별개의 승하강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승하강수단은 실린더 내에서 유체의 압력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베드부(20)와 베이스(10)의 힌지결합축으로부터 먼 쪽에 피스톤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베드부(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다만, 승하강수단이 반드시 이에 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경사각도로 베드부(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한 모든 공지의 승하강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베드부(20)의 일단에는 발판부(30)가 배치된다. 여기서, 베드부(20)의 일단은 베드부(20)의 길이방향쪽 양말단 중 어느 하나이다.
발판부(30)는 환자(1)의 발을 받칠 수 있도록, 환자(1)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발판부(30)는 환자(1)의 양발을 동시에 받칠 수 있게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각각의 발을 개별적으로 받칠 수 있게 서로 분리된 한 쌍의 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판부(30)는 베드부(20)에 대해서 0 ~ 180° 범위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베드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체벨트(40)는 베드부(20)에 결합되고, 환자(1)의 상체를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폭이 넓은 스트랩(strap)으로 형성된다. 상체벨트(40)는 환자(1)의 가슴이나 허리를 감싸도록 체결되어 환자(1)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체벨트(40)는 파스너(fastner)에 의해 체결되는데, 파스너는 예를 들어, 벨크로, 스냅(snap), 고리 등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환자(1)의 골반을 고정하는 골반벨트(41), 환자(1)의 양쪽 하지를 고정하기 위한 하지벨트(4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골반벨트(41), 및/또는 하지벨트(43)는 고정 부위만 다르고, 그 이외의 형태 및 체결 방식은 상기 상체벨트(4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는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중추신경계 환자의 항 중력근 활성화, 관절 수용기의 자극, 운동감각 증가, 하지의 혈액순환 증가, 요로 결석 방지, 구축이나 기형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중추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립성 저혈압의 예방 및 치료에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경사각도에 따라 체중 지지 정도가 변하므로, 이에 따라 환자에 적합한 부분 체중 부하 훈련을 실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무릎벨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릎벨트(50)는 베드부(20)에 결합되는 스트립으로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서 하지벨트(43, 도 1 참고)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이고, 하지벨트(43)가 포함된 경우에는 그 하지(3)벨트가 무릎벨트(50)로 대체된다.
무릎벨트(50)는 환자(1)의 양쪽 하지(3) 중 어느 하나의 손상측 하지(3a)를 고정한다. 따라서, 손상측 하지(3a)는 무릎벨트(50)에 의해 베드부(20)에 고정되는 반면, 비손상측 하지(3b)는 베드부(20)에 고정되지 않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손상측 하지(3a)에 대한 체중 부하 훈련 실시 중, 비손상측 하지(3b)에 대한 독립적 훈련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교차훈련을 통한 재활치료 효과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훈련은 비손상측 움직임 또는 기능적 훈련을 토대로 손상측의 기능에 미치는 요소를 증진시킴으로써 기능적 활동을 도출하는 훈련을 의미한다.
급성 및 뇌졸중 발병 3개월에서 9개월 사이 뇌졸증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손상측 하지(3a)에만 무릎벨트(50)를 적용하고, 하지 근력을 특정하기 위한 손잡이용 동력계와 시공간적 보행 자료를 측정하기 위해 보행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하지 근력과 보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차훈련을 실시한 환자들에게서 하지 근력, 보행 속도, 보행률, 그리고 보행 길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39명의 급성 뇌졸증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측 하지(3a)를 고정하고, 비손상측 하지(3b)에 대해서만 한 걸음씩 내딛는 동작을 반복하여 하지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근 활성도 측정은 근전도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분석결과 하지 근육들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근 활성도 패턴과 하지 기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에 따라, 무릎벨트(50)를 사용해 손상측 하지(3a)만을 고정하고, 양 하지(3)의 분리된 기능적 훈련을 실시하는 경우, 양 하지(3)를 동시에 고정하여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활치료 효과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릎벨트(50)가 베드부(20)에 결합되기 위해서, 베드부(20)에 관통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1)은 환자(1)의 양쪽 하지(3) 사이의 공간과 소통되도록, 베드부(20)의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무릎벨트(50)는 손상측 하지(3a)에 가까운 베드부(20)의 일측에서부터 관통홀(21)을 통과하면서 손상측 하지(3a)의 무릎을 감싸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받침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60)는 환자(1)의 상체 전방에 배치되어, 환자(1)의 상지(5)를 받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받침대(60)는 환자(1)의 상지(5)를 지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환자(1)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뿐만 아니라, 작업치료 등에 사용되는 물품(7)을 받침대(60)에 올려놓을 수도 있으므로, 손 움직임 장애 환자(1)에 대한 기능적 훈련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받침대(60)는 베드부(20)에 결합되는바, 베드부(2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연장부(6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61)는 환자(1)의 상체 전방에 배치되는 본체부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환자(1)의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베드부(20)는 한 쌍의 연장부(61)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환자(1)의 팔꿈치에서부터 손에 이르는 아래팔이 상기 연장부(61)에 의해 받쳐질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연장부(61)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1)의 신장을 고려하여 베드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받침대(60)를 움직이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받침대(60)는 한 쌍의 연장부(61)가 서로 결착될 때, 베드부(20)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데, 좀 더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베드부(20)의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23)은 베드부(20)의 양측면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수 개일 때에는 인접하는 걸림턱(23) 사이에 연장부(61)가 삽입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연장부(61)가 걸림턱(23)에 걸리는 방식으로, 받침대(60)가 베드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현수장치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수장치부(70)는 상향으로 올려진 환자(1)의 상지(5)를 고정하고, 환자(1)가 상지(5)를 하강시킬 때에 반발력을 발생시켜, 환자(1)의 현수운동을 보조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현수운동은 상지(5)의 근력을 회복·발달시키기 위한 운동으로, 환자(1)가 상지(5)의 힘으로 상기 현수장치부(70)의 반발력에 저항하여 지속적으로 상지(5)를 승하강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현수장치부(70)는 현수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패드(71), 및 지지봉(7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드(71)는 환자(1)의 상지(5)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패드(71)는 상지(5)와 밀착되므로, 상지(5)에 부담을 주지 않는 소재로서 가죽이나, 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하여 그 소재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봉(73)은 베드부(20)와 패드(71)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그 일단은 베드부(20)에, 타단은 패드(71)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지지봉(73)은 상지(5)가 하강할 때에 반발력을 발생하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그 반발력이 반드시 지지봉(73)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소정의 탄성부재(79)가 지지봉(73)과 패드(71)를 연결하고, 그 탄성부재(79)가 당겨지면서 반발력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부재(79)는 예를 들어, 탄력밴드를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력을 가지는 지지봉(73)과 탄성부재(79)는 동시에 사용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는바, 지지봉(73)과 패드(71)를 연결하는 부재가 반드시 탄성부재(79)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지지봉(73)은 높이조절봉(75)과 연결봉(77)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봉(75)은 베드부(20)에 연결되어, 베드부(2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로드(rod)이다. 신축 가능한 높이조절봉(75)은 중공관 형태의 2개 이상의 분절(75a, 75b)이 결합된 구조로서, 어느 하나의 제1 분절(75a)에 다른 하나의 제2 분절(75b)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삽입된 분절이 슬라이딩되면서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되는 분절은 소정의 위치에서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수단은 제1 분절(75a)의 외면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된 제2 분절(75b)의 외면에 밀착되는 나사봉(74)일 수 있다. 이때, 나사봉의 타단에는 나사봉(74)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76)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그 고정수단이 반드시 나사봉(7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공지의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환자(1)의 신장에 따라 높이조절봉(75)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연결봉(77)은 높이조절봉(75)의 말단에서부터 환자(1)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로드로서, 연결봉(77)의 말단에 패드(71)가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봉(77)도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높이조절봉(75)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그 고정수단에 의해 적합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환자(1)의 상지(5) 중 적합한 위치에 용이하게 패드(71)를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는 무릎벨트(50)의 내면 중 환자(1)의 무릎에 밀착되는 부위(51)가 그 무릎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여기서, 무릎벨트(50)의 내면은 환자(1)의 무릎과 대향되는 무릎벨트(50)의 표면을 의미한다. 무릎에는 무릎뼈가 돌출되어 있고, 손상측 하지(3)는 경직에 의해 완전히 펴지지 않고 다소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무릎벨트(50)의 함몰 부위로 말미암아, 환자(1)의 하지(3)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고, 재활치료 동안 환자(1)의 무릎에 가해지는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재활치료기기는 마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커(80)는 환자(1)의 전방에 배치되어, 환자(1)가 손과 발로 접촉할 수 있는 표적물이다. 환자(1)는 상지(5)와 하지(3)를 움직여 손이나 발로 마커(80)를 터치하면서 움직임 훈련을 하게 된다. 여기서, 마커(80)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지만, 치료사가 환자(1)의 전방으로 마커(80)를 던질 수도 있다. 이때, 움직이는 마커(80)를 환자(1)가 순간적으로 터치함으로써, 빠른 움직임을 단련할 수 있다. 마커(80)는 예를 들어, 볼(ball)이나, 다트판(dartboard)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손이나 발로 터치 가능한 물체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마커(80)는 실체적인 물체가 아니라, 가상의 이미지로도 구현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재활치료기기는 상기 마커(80)를 가상의 이미지로 생성하는 증강현실시스템(90)을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시스템(90)은 가상의 이미지로서 마커(80)를 생성할 수 있는 한, 모든 공지의 증강현실시스템(9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시스템(90)은 마커(80)를 가상의 이미지로 구현함과 동시에, 환자(1)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게임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1)가 마커(80)를 접촉할 때마다 소정의 접촉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접촉신호는 청각이나 시각적인 신호일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이한 사운드, 또는 마커(80)의 형태가 변하는 동적 이미지일 수 있다. 다만, 그 접촉신호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환자(1)에게 요구되는 움직임 정도에 따라 마커(80)에 점수를 매기고, 소정의 훈련시간 동안 얻은 점수를 합산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할 때에, 지루하고 힘든 재활치료가 게임과 접목되어 환자(1)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환자 3: 하지
5: 상지 10: 베이스
20: 베드부 21: 관통홀
23: 걸림턱 30: 발판부
40: 상체벨트 50: 무릎벨트
60: 받침대 61: 연장부
70: 현수장치부 71: 패드
73: 지지봉 75: 높이조절봉
77: 연결봉 80: 마커
90: 증강현실시스템
5: 상지 10: 베이스
20: 베드부 21: 관통홀
23: 걸림턱 30: 발판부
40: 상체벨트 50: 무릎벨트
60: 받침대 61: 연장부
70: 현수장치부 71: 패드
73: 지지봉 75: 높이조절봉
77: 연결봉 80: 마커
90: 증강현실시스템
Claims (15)
-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며, 상기 환자의 양쪽 하지 사이의 공간과 소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베드부;
상기 베드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발을 받치는 발판부;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상체를 고정하는 상체벨트; 및
상기 베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서부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상기 환자의 양쪽 하지 중 어느 하나의 손상측 하지의 무릎을 감싸되, 상기 손상측 하지가 펴진 상태로 구속되도록, 상기 손상측 하지의 무릎을 압박 고정하는 무릎벨트;를 포함하고, 펴진 상태로 구속된 상기 손상측 하지에 대한 체중 부하 훈련, 및 비구속된 비손상측 하지에 대한 독립적 훈련이 동시에 실시되도록, 상기 손상측 하지의 발이 상기 발판부에 받쳐진 상태에서, 상기 베드부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지며,
상기 무릎벨트는 상기 손상측 하지의 무릎에 밀착되는 내면 부위가 상기 손상측 하지의 무릎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고,
상기 베드부의 양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 개의 돌출형 걸림턱;
상기 환자의 상체 전방에 배치되는 판(plate) 형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걸림턱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베드부에 고정되는 받침대; 및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 상기 환자의 상지를 감싸는 패드,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고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가 삽입 연결되는 다수 개의 분절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베드부에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베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높이가 가변되는 높이조절봉, 상기 높이조절봉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환자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과 상기 패드를 연결하고 상기 환자의 상지가 하강할 때에 반발력이 발생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현수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신축 가능한 재활치료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봉, 및 상기 연결봉이 탄성력을 가지는 재활치료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환자의 손 및 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여서 접촉할 수 있는 마커;
를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마커를 이미지로 생성하는 증강현실시스템;
을 더 포함하는 재활치료기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시스템은, 상기 환자가 상기 마커를 접촉할 때에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재활치료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650A KR101949592B1 (ko) | 2017-05-25 | 2017-05-25 | 재활치료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4650A KR101949592B1 (ko) | 2017-05-25 | 2017-05-25 | 재활치료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9116A KR20180129116A (ko) | 2018-12-05 |
KR101949592B1 true KR101949592B1 (ko) | 2019-02-18 |
Family
ID=6474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4650A KR101949592B1 (ko) | 2017-05-25 | 2017-05-25 | 재활치료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95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5924B1 (ko) * | 2020-04-21 | 2021-09-30 | 주식회사 엠디로봇 | 상,하지 근력 강화운동 로봇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96720A (zh) * | 2015-12-10 | 2016-04-20 | 安阳市翔宇医疗设备有限责任公司 | 一种声波振动起立床 |
JP2017012691A (ja) * | 2015-07-06 | 2017-01-19 |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05831A (en) * | 1988-08-01 | 1991-04-09 | Tsutomu Hara | Athletic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
KR100630260B1 (ko) * | 2005-08-22 | 2006-10-02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지 재활 치료 장치 및 훈련 방법 |
KR101115545B1 (ko) | 2009-12-17 | 2012-02-22 | 주식회사 앞썬아이앤씨 | 재활치료용 상하지연동운동장치 |
KR101652334B1 (ko) | 2015-03-13 | 2016-08-31 | (주)맨엔텔 | 상지와 하지 슬라이딩에 의한 전동식 기립형 하지재활 장치 |
-
2017
- 2017-05-25 KR KR1020170064650A patent/KR1019495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12691A (ja) * | 2015-07-06 | 2017-01-19 |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 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5496720A (zh) * | 2015-12-10 | 2016-04-20 | 安阳市翔宇医疗设备有限责任公司 | 一种声波振动起立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9116A (ko) | 2018-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68163B1 (en) | Unweighted therapy and training device | |
US5169363A (en) |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system | |
US557348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the legs | |
US8083654B1 (en)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US20090107533A1 (en) | Hip assist walker | |
Aruin et al. |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while sitting: The effects of different leg supports | |
US10493322B2 (en) | Human hand-crawling apparatus | |
US6821262B1 (en) | Self operable knee extension therapy device | |
CN108452495A (zh) |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 |
US20120035027A1 (en) | Antigravity Spinal Exerciser | |
RU140060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ок | |
JP2000024138A (ja) | 腹筋を孤立させて鍛錬する装置 | |
KR101949592B1 (ko) | 재활치료기기 | |
EP2768462B1 (en) | Upper body attachment apparatus for whole body vibration equipment | |
KR20170001582U (ko) |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 |
CN114712172A (zh) | 膝过伸伴髋后突型偏瘫步态训练装置 | |
KR101186758B1 (ko) | 편마비 환자의 기립 교정장치 | |
KR101556951B1 (ko) | 스쿼팅 운동용 보드 | |
CN210698031U (zh) | 多功能康复训练轮椅 | |
KR101419187B1 (ko) | 회선근개 운동기구 | |
JP3179684U (ja) | スクワット用運動用具 | |
RU112638U1 (ru) | Имитатор ходьбы | |
KR101741413B1 (ko) | 보행치료용 운동보조기구, 보행치료용 운동보조기구 장착형 트레드밀 및 보행치료용 운동보조기구 장착형 보행보조장치 | |
KR102323812B1 (ko) |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 |
RU2400276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игательной реабилитации и тренировк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