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812B1 -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 Google Patents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812B1
KR102323812B1 KR1020210092954A KR20210092954A KR102323812B1 KR 102323812 B1 KR102323812 B1 KR 102323812B1 KR 1020210092954 A KR1020210092954 A KR 1020210092954A KR 20210092954 A KR20210092954 A KR 20210092954A KR 102323812 B1 KR102323812 B1 KR 10232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worn
wearing part
elastic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정건영
Original Assignee
김광수
정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정건영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21009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61H2001/027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에 관한 것으로, 손목, 팔, 어깨 등의 상지 근육을 단련시키며 그 단련과정에서 편마비가 발생한 하지의 발가락과 발목 및 무릎이 연계하여 반복적으로 접혔다 펴지도록 하여 재활 효과를 불러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는, 무릎에 착용되는 제1 착용부; 상기 무릎쪽 발에 착용되는 제2 착용부; 하측이 상기 제2 착용부의 상면 중에서 발가락에 해당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제1 착용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1 탄성줄; 하측이 상기 제2 착용부의 상면 중에서 발목에 근접한 발등에 해당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1 착용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착용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제1 탄성줄과 연결되어 사용자 제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2 탄성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Both upper and lower limb joint treatment and mobility welfare equipment}
본 발명은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 팔, 어깨 등의 상지 근육, 근력을 강화 및 단련시키며 그 단련과정에서 편마비가 발생한 하지를 재활할 수 있는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마비(偏痲痺)란 오른쪽 또는 왼쪽의 상지와 하지의 근력이 함께 저하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편마비를 반신불수(Hemiplegia)라 한다. 편마비는 수의운동(隨意運動)을 관장하는 추체로(錐體路)가 대뇌의 피질 및 피질 하, 내포(內包), 뇌간(腦幹) 어느 부위에서 장애를 받아 일어나는데, 그때 추체로가 연수와 척수 경계부에서 대부분이 교차 되므로 마비는 장애 쪽과는 반대쪽에서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편마비는 뇌혈관장애 즉 뇌졸증으로 인한 것이 가장 많고, 그 밖에 뇌종양·다발성경화증·두부외상·뇌농양 등에 의해 발병할 때도 있다.
뇌졸중(stroke)은 6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신체불구를 일으키는 병으로서, 아주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뇌의 한쪽에 병변이 한정되어 나타나므로 전형적으로 뇌손상이 있는 반대편 상하지의 마비와 기능장애를 수반하게 된다.
뇌졸중에 의한 편마비 환자들의 상지 재활을 위해 일반적으로 물리치료사가 수동적 운동치료를 수행해야 하는데, 이는 치료사의 상당한 수고를 요구한다.
편마비 치료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대칭성 운동이며, 이 대칭성 운동의 중요한 요소가 무게중심이동(Weight Bearing)이다. 편마비 치료에 많이 이용되는 운동으로서, 팔꿈치·손목·무릎 등의 관절을 축으로 하여 굽히는 굴곡(flexion)과, 반대로 펴는 신전(extention), 상지 또는 하지 등을 안쪽으로 돌려 트는 회내(回內)(pronation)와 반대로 바깥쪽으로 돌려 트는 회외(supination) 등의 운동이 있다. 편마비환자의 아픈측을 환측(Affected Side)이라 하며, 손상받지 않은 반대측을 건측 (Unaffected Side)이라 의학용어로 표현한다. 편마비의 경우 건측은 시간이 흐를수록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편마비 환자는 뇌에서 환측을 도와 주어야 한다는 보상작용이 작용하여 환측을 운동시킬때 보상작용이 발생하여 오랜시간이 흐르면서 변형된다.
환측으로 몸무게를 이동시키지 못하는 것도 뇌에서 환측이 위험하다고 지시하여 몸무게 이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종래 편마비의 재활기구들은 주로 어깨(shoulder)나 팔꿈치(elbow)에 관한 것을 다루었으며, 양팔과 양발, 이와 더불어 전신을 함께 운동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종래 편마비의 상지 재활기구들은 팔꿈치와 어깨의 운동에 있어서 대칭성의 운동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하나의 재활기구로 단지 하나의 운동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근력은 강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지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그 강화과정에서 편마비가 발생한 측의 하지를 재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제10-109904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손목, 팔, 어깨 등의 상지 근육을 단련시키며 그 단련과정에서 편마비가 발생한 하지의 발가락과 발목 및 무릎이 연계하여 반복적으로 접혔다 펴지도록 하여 재활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는, 무릎에 착용되는 제1 착용부; 상기 무릎쪽 발에 착용되는 제2 착용부; 하측이 상기 제2 착용부의 상면 중에서 발가락에 해당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제1 착용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1 탄성줄; 하측이 상기 제2 착용부의 상면 중에서 발목에 근접한 발등에 해당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1 착용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착용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제1 탄성줄과 연결되어 사용자 제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2 탄성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착용부는, 발에 착용되고 상기 제1 탄성줄이 고정되는 내피부; 상기 내피부 및 발목을 공동으로 감싸면서 고정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탄성줄에 고정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탄성줄의 일부분을 팔 부위에 고정시키도록 팔에 착용되는 아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팔꿈치 부위에 착용되는 제3 착용부; 및 어깨 부위에 착용되는 제4 착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줄은 상기 제3 착용부 및 제4 착용부에 의해 팔 부위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와, 제3 착용부 및 제4 착용부에는 해당 신체부위에 저주파를 공급하는 저주파 치료부 및 일정온도의 열을 공급하는 발열기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는, 손목, 팔, 어깨 등의 상지 근육을 단련시키며 그 단련과정에서 편마비가 발생한 하지의 발가락과 발목 및 무릎이 연계하여 반복적으로 접혔다 펴지도록 하여 재활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가 사용자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에 적용된 제2 착용부 및 제1 탄성줄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에 적용된 제2 탄성줄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에 적용된 제2 탄성줄 및 아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에 적용된 착용부에 저주파 치료부 및 발열기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1)는,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1 탄성줄(30) 및 제2 탄성줄(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용부(10)는 무릎에 착용되는 구성이다.
제1 착용부(10)는 펼쳤을 때 대략 판 형상을 이루어 무릎을 감싼다.
제1 착용부(10)는 양측이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무릎을 감싸게 된다.
제1 착용부(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1 착용줄(11)과 제2 착용줄(12)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착용줄(11)에는 제1 밸크로드 테이프가 형성되고, 제2 착용줄(12)에는 제1 밸크로드 테이프와 부착되는 제2 밸크로드 테이프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착용부(10)로 무릎을 감싼 상태에서 제1 밸크로드 테이프와 제2 밸크로드 테이프를 서로 붙히면 제1 착용부(10)가 무릎에 착용된다.
제1 착용부(10)에는 무릎을 노출시키는 일정 직경의 노출홀(10a)이 형성된다.
노출홀(10a)을 통해 후술되는 제1 탄성줄(30)과 제2 탄성줄(40)의 일부분이 제1 착용부(10)의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제2 착용부(20)는 무릎쪽 발에 착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착용부(10)가 오른쪽 무릎에 착용된다면 제2 착용부(20)는 오른쪽 발에 착용되고, 제1 착용부(10)가 왼쪽 무릎에 착용된다면 제1 착용부(10)는 왼쪽 발에 착용된다.
이러한 제2 착용부(20)는 내피부(21) 및 본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부(21)는 통상의 양말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발에 신을 수 있다.
이때, 내피부(21)는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노출시키도록 후방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피부(21)는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게 신축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2)는 내피부(21)의 외면과 발목 및 정강이 등을 공동으로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부(22)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내피부(2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체부(22) 중 정강이 부분을 감싸는 부분의 일측에는 밸크로드(미도시)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정강이의 양 옆면과 뒷면을 감싸는 착용띠(221)가 형성된다.
착용띠(221)의 내측면에는 본체부(22)의 밸크로드와 부착되는 밸크로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줄(30)은 사용자가 발, 다리, 손, 팔 등의 근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구성이다.
제1 탄성줄(30)은 고무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줄(30)의 하측 부분에는 제1 갈래(31)와 제2 갈래(32)로 분할된다.
따라서, 제1 탄성줄(30)은 대략 '人'자 단면으로 형성된다.
제1 갈래(31)는 내피부(21)의 상면 중에서 엄지 발가락에 해당되는 부위에 재봉, 열접착 등을 통해 결합되고, 다른 제2 갈래(32)는 내피부(21)의 상면 중 새끼 발가락의 해당되는 부위에 재봉, 열접착 등을 통해 결합된다.
즉, 제1 갈래(31)는 내피부(21)를 사이에 두고 엄지 발가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갈래(32)는 내피부(21)를 사이에 두고 새끼 발가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탄성줄(30)은 제1 착용부(10)의 노출홀(10a)을 통과하여 제1 착용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제1 탄성줄(30)의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정강이 부분과 마주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탄성줄(30)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어 사용자가 발, 다리, 손, 팔 등의 근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제1 탄성줄(30)의 사용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탄성줄(40)은 제1 탄성줄(30)과 함께 사용자가 발, 다리, 손, 팔 등의 근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구성이다.
제2 탄성줄(40)은 고무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줄(40)의 하측 부분은 내피부(21)의 상면 중에서 발목에 근접한 발등에 해당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상측은 제1 착용부(10)의 노출홀(10a)을 통과한다.
이때, 제2 탄성줄(40)의 하측 부분은 발목과 약 2cm 내지 5cm 정도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줄(40)의 일부분은 제1 착용부(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1 탄성줄(30)과 함께 사용자의 무릎부분에 밀착되고, 다른 일부분은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2 탄성줄(40)은 제1 착용부(1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제1 탄성줄(30)과 연결된다.
제2 탄성줄(40)의 돌출된 부분에는 대략 막대 형상의 손잡이(50)가 형성된다.
손잡이(5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면에는 손잡이(50)가 제2 탄성줄(4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손잡이(5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직경이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손잡이(50)에는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파지홈 또는 파지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팔을 굽히면서 손잡이(50)를 어깨 방향으로 당기면 제1 탄성줄(30) 및 제2 탄성줄(40)이 함께 팽창되고, 다시 팔을 펴면 수축되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손잡이(50)의 윗부분에는 제2 탄성줄(40)을 손목 부위에 고정시키도록 손목에 착용되는 아대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아대부(60)에는 제2 탄성줄(40)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홀(6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50)를 놓치더라도 제2 탄성줄(40)이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1) 는 편마비가 있는 환자의 재활용으로 사용되거나 일반인의 근력운동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편마비가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아대부(60)로 인해 손잡이(50)가 항상 손 주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탄성줄(40)은 손등을 직진방향으로 지나 수용홀(60a)에 수용된다.
제2 탄성줄(40) 중에서 수용홀(60a)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에 의해 팔 부위에 밀착된다.
제3 착용부(70)는 중앙부분이 팔꿈치 부위를 감싸고, 상측은 팔꿈치 윗부분을 감싸며, 하측은 팔꿈치 아랫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된다.
제3 착용부(70)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팔을 넣을 때 벌어지면서 밀착된다.
제4 착용부(80)는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된다.
제4 착용부(80) 역시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벌어지면서 밀착된다.
제2 탄성줄(40)의 일부분은 제3 착용부(70)의 내부에 수용되어 팔꿈치 및 팔꿈치 근방 부위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2 탄성줄(40)의 다른 일부분은 제4 착용부(80)의 내부에 수용되어 어깨에 밀착된다.
아울러, 제2 탄성줄(40) 중에서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에 의해 팔 부위에 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줄(40)은 2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대부(60)의 수용홀(60a)을 통과한 하나의 제2 탄성줄(40) 끝부분에는 관통홀(40a)이 형성되고,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에 의해 팔에 밀착되는 다른 하나의 제2 탄성줄(40)의 하측에는 일면에 밸크로드 테이프(41)가 형성된 통과부(42)가 마련된다.
밸크로드 테이프(41)는 제2 탄성줄(40)에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통과부(42)를 관통홀(40a)에 관통시킨 다음, 서로 접촉되게 접으면 밸크로드 테이프(41)가 서로 부착되어 2개의 제2 탄성줄(40)이 연결된다.
제2 탄성줄(40)을 접는 길이에 따라 제2 탄성줄(40) 전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 팔이 짧거나 긴 사용자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 설명한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에는 해당 신체부위에 저주파를 공급하는 저주파 치료부(90) 및 해당 부위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저주파 치료부(90)는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거나 또는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의 내면에 각각 배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저주파 치료부(90)는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저주파 치료부(90)는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의 외면에는 저주파 치료부(90)의 작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온/오프 버튼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온 버튼을 누르면 저주파 치료부(90)가 작동하여, 발과 무릎과 팔과 어깨에 각각 저주파가 전달된다.
그리고, 오프 버튼을 누르면 저주파 치료부(90)의 작동이 정지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1)는 전술한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에 각각 설치된 저주파 치료부(90)의 작동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모콘에는 저주파 치료부(90)의 작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온/오프 버튼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저주파 치료부(90)는 일반적으로 외과에서 사용되는 저주파 치료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발열기(100)는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거나 또는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의 내면에 각각 배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발열기(100)는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발열기(100)는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발열체인 열선이 매립될 수 있다.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의 외면에는 발열기(100)의 작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온/오프 버튼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온 버튼을 누르면 발열기(100)가 작동하여, 발과 무릎과 팔과 어깨에 각각 저주파가 전달된다.
그리고, 오프 버튼을 누르면 발열기(100)의 작동이 정지된다.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의 외면에는 발열기(100)의 발열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다이얼(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1)는 전술한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20)와,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에 각각 설치된 발열기(100)의 작동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모콘에는 발열기(100)의 작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온/오프 버튼 및 발열기(100)의 발열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다이얼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발열기(100)는 일반적으로 외과에서 사용되는 발열기(10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1)의 사용 예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1)는 편마비가 있는 사용자의 재활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편마비가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다리를 90도 각도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편마비가 발생한 쪽의 발과 무릎에 제1 착용부(10) 및 제2 착용부(20)를 각각 착용하고, 편마비가 발생하지 아니한 팔과 어깨에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를 각각 착용한다.
예를 들어 편마비가 발생한 쪽이 좌측이라면 좌측 발과 무릎에 제1 착용부(10) 및 제2 착용부(20)를 각각 착용하고, 우측 팔고 어깨에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를 각각 착용하면 된다.
이후, 우측 손으로 손잡이(50)를 잡고 우측 손목에 아대부(60)를 착용한다.
이때, 제2 탄성줄(40) 중에서 제2 착용부(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일부분은 우측 손등과 연결되는 우측 팔등(척측수근, 단요측 수근신근)과 팔꿈치 및 위팔노근, 팔삼두근이 해당하는 신체 부위 및 어깨에 밀착된다.
이후에, 팔을 굽히는 형태로 손잡이(50)를 어깨 방향으로 당기면 제1 탄성줄(30) 및 제2 탄성줄(40)이 팽창됨으로, 우측 팔의 근력이 강화된다.
이때, 제2 탄성줄(40)의 상측부분은 팔꿈치, 팔등 등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팔을 굽힐 때 팽창되어 사용자가 근력과 힘을 사용하도록 한다.
아울러, 팔을 굽히는 형태로 손잡이(50)를 우측 어깨, 좌측 어깨 또는 목 아래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당기면 편마비가 있는 왼쪽 발가락들이 제1 탄성줄(30)에 의해 상 방향으로 소정각도 꺾이고, 왼쪽 발도 발목을 기준으로 상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꺽이며, 무릎이 펼쳐지게 됨으로, 도 5와 같이 비복근과 단비골근 등이 해당하는 무릎 아래 부분이 허벅지에 해당하는 무릎 윗부분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왼쪽 발가락과 발목 및 무릎에 자극이 발생되고 운동효과가 발생하여 근육이 굳는 것을 방지하는 등 편마비가 있는 다리에 재활운동 효과를 줄 수 있다.
아울러, 좌측 다리는 일종의 웨이트 기능을 함으로, 사용자는 좌측 다리를 들어올리기 위해 오른손과 팔의 힘을 더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웨이트 기구 없이도 근력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팔을 굽혔다 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손과 팔의 근력을 강화시킴과 아울러 편마비가 발생한 쪽을 재활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 상,하지 관절 및 근력 재활치료기는 2개 한 셋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재활 환자 뿐만 아니라 편마비가 없는 일반인도 근력 단련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근력 단련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측과 우측 발과 무릎에 제1 착용부(10) 및 제2 착용부(20)를 각각 착용하고, 좌측과 우측의 팔과 어깨 부위에 제3 착용부(70) 및 제4 착용부(80)를 각각 착용한다.
그리고, 오른손으로 좌측 다리에 위치한 제2 탄성줄(40)에 고정된 손잡이(50)를 잡고, 왼손으로는 우측 다리에 위치한 제2 탄성줄(40)에 고정된 손잡이(50)를 잡는다.
이와 같은 경우 오른손과 왼손이 서로 교차되고, 2개의 제2 탄성줄(40)도 서로 교차된다.
그리고, 양 팔을 굽히는 형태로 오른손은 우측 어깨 방향으로 당기고 왼손은 좌측 어깨 방향으로 당기면 발가락들이 제1 탄성줄(30)에 의해 상 방향으로 소정각도 꺾이고, 발도 발목을 기준으로 상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꺽이며, 무릎이 펼쳐지게 된다. 이로 인해 양 팔의 근력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10 : 제1 착용부 10a : 노출홀
20 : 제2 착용부 21 : 내피부
22 : 본체부 221 : 착용띠
30 : 제1 탄성줄 31 : 제1 갈래
32 : 제2 갈래 40 : 제2 탄성줄
40a : 관통홀 41 : 밸크로드 테이프
50 : 손잡이 60 : 아대부
60a : 수용홀 70 : 제3 착용부
80 : 제4 착용부 90 : 저주파 치료부
100 : 발열기

Claims (5)

  1. 무릎에 착용되는 제1 착용부;
    상기 무릎쪽 발에 착용되는 제2 착용부;
    하측이 상기 제2 착용부의 상면 중에서 발가락에 해당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제1 착용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사용자 제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1 탄성줄;
    하측이 상기 제2 착용부의 상면 중에서 발목에 근접한 발등에 해당되는 부위에 고정되고, 상측은 상기 제1 착용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착용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제1 탄성줄과 연결되어 사용자 제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제2 탄성줄;
    팔꿈치 부위에 착용되는 제3 착용부; 및
    어깨 부위에 착용되는 제4 착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줄은 상기 제3 착용부 및 제4 착용부에 의해 팔 부위에 밀착되는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용부는,
    발에 착용되고 상기 제1 탄성줄이 고정되는 내피부;
    상기 내피부 및 발목을 공동으로 감싸면서 고정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줄에 고정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제2 탄성줄의 일부분을 팔 부위에 고정시키도록 팔에 착용되는 아대부;를 더 포함하는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용부와, 제2 착용부와, 제3 착용부 및 제4 착용부에는 해당 신체부위에 저주파를 공급하는 저주파 치료부 및 일정온도의 열을 공급하는 발열기가 설치되는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KR1020210092954A 2021-07-15 2021-07-15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KR102323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54A KR102323812B1 (ko) 2021-07-15 2021-07-15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54A KR102323812B1 (ko) 2021-07-15 2021-07-15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812B1 true KR102323812B1 (ko) 2021-11-11

Family

ID=7851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954A KR102323812B1 (ko) 2021-07-15 2021-07-15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8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125Y1 (ko) * 2001-06-25 2001-10-17 조현규 저주파기가구성된온열물리치료패드
KR200329570Y1 (ko) * 2003-05-10 2003-10-10 이종화 발관절운동밴드
KR100767192B1 (ko) * 2006-12-14 2007-10-17 윤상근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KR101099047B1 (ko) 2009-11-25 2011-12-28 대한민국 하반신 마비 환자용 재활운동기구
KR20200134721A (ko) * 2019-05-23 2020-12-0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튜브 고정용 손목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125Y1 (ko) * 2001-06-25 2001-10-17 조현규 저주파기가구성된온열물리치료패드
KR200329570Y1 (ko) * 2003-05-10 2003-10-10 이종화 발관절운동밴드
KR100767192B1 (ko) * 2006-12-14 2007-10-17 윤상근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KR101099047B1 (ko) 2009-11-25 2011-12-28 대한민국 하반신 마비 환자용 재활운동기구
KR20200134721A (ko) * 2019-05-23 2020-12-0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튜브 고정용 손목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541B1 (ko) 자세 및 운동 기능의 장애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장치
US11116686B2 (en) Methods for inducing full knee flexion
US9265646B2 (en) Orthotic device for treating knee flexion contracture
US11285356B2 (en) Portable lower limb therapy device
CN107106405A (zh) 肌筋膜压迫放松装置
US10981035B2 (en) Portable lower limb therapy device
KR101874689B1 (ko)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US10926124B2 (en) Wearable anchor for a therapy device
JP2003250842A (ja) 人体運動補助装置及び該人体運動補助装置に用いるアクチュエータを具備したマッサージ機及び該人体運動補助装置に用いるアクチュエータを具備した血圧計
KR101707195B1 (ko) 엘보우 예방 및 증상완화 장치
US20130196833A1 (en) Handheld Extremity Flexibility Treatment Device
KR102323812B1 (ko)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KR20190043907A (ko) 충격완화 보행 보조기
JP6473862B1 (ja) ストレッチ兼用マッサージ器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Mulder Exercises for people with hemophilia
US20080228117A1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arm disorders and the methods of using same
JPH01214361A (ja) ベルト押さえ付膝蓋骨装具
WO2004028645A1 (ja) 運動用具
US11730656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ower limb contractures
JP7138274B2 (ja) ストレッチ器具
JP4481934B2 (ja) サポータ
US10350133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reating myofascial and musculoskeletal tissue imbalances using a soft tissue mobilizing device that can be manually lifted and shifted for normalizing myofascial and musculoskeletal tissue imbalances
US11701288B2 (en) Pivoting lower limb therapy device
CA2850861C (en) Device and method for passive flexibility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