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192B1 -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192B1
KR100767192B1 KR1020060127641A KR20060127641A KR100767192B1 KR 100767192 B1 KR100767192 B1 KR 100767192B1 KR 1020060127641 A KR1020060127641 A KR 1020060127641A KR 20060127641 A KR20060127641 A KR 20060127641A KR 100767192 B1 KR100767192 B1 KR 10076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aralyzed
user
string
wais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근
Original Assignee
윤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근 filed Critical 윤상근
Priority to KR102006012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고무의 탄성을 이용하여 하지 편마비환자가 최소한의 근력만으로 마비된 다리가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진행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등판에 밀착되는 등판부(11)와 등판부(11)의 상부 양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단부에 제1연결부(b1)가 설치되는 한 쌍의 어깨상부끈(12)을 포함하는 어깨지지부(10)와; 사용자의 허리에 착탈 가능한 허리벨트(21)와 허리벨트(21)의 뒤쪽 역삼각형 모양의 양측 하부에 본 발명을 위해 제작한 연결고리(c)가 마비된 다리 쪽 제1신축견인줄(31)과 연결되기 위해 설치되고, 허리벨트(21)의 양 옆에 마비되지 않은 쪽 즉, 사용자의 앞쪽에서 마비된 다리 쪽으로 대칭으로 제2신축견인줄(32)을 연결할 수 있는 제4연결부(b4)를 포함하는 허리지지부(20)와; 제1신축견인줄(31)과 제2신축견인줄(32)이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발뒤꿈치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발목연결대(45) 및 다리신축견인부(4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견인력과 추진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편마비환자가 층계를 오르내리거나 도로상에서 튀어나온 부분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A walking aid for side paralysis patient}
도 1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구의 오른쪽마비환자용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구의 왼쪽마비환자용 배면도
도 3은 도 1의 자비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버클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금형 고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구의 정면 하체 쪽 착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구의 배면 하체 쪽 착용상태도
도 8은 손잡이가 달린 제3신축견인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양 단부에 벨크로파스너가 부착된 고정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어깨지지부 11 :등판부
12 :어깨상부끈 13 :상부연결끈
14 :가로연결끈 15 :제1하부연결끈
16 :제2하부연결끈 17 :제3하부연결끈
20 :허리지지부 21 :허리벨트
31 :제1신축견인줄 32 :제2신축견인줄
33 :제3신축견인줄 40 :다리신축견인부
45 :발목연결대 45a:걸개
b1 :제1연결부 b2 :제2연결부
b3 :제3연결부 b4 :제4연결부
b5 :제5연결부 b6 :제6연결부
b7 :제7연결부 c :연결고리
55 :고정밴드 56 :손잡이
본 발명은 뇌졸중이나 뇌성마비 혹은 교통사고 등으로 인하여 하지 편마비환자의 보행을 돕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고무의 탄성을 이용하여 하지 편마비환자가 몸에 착용한 후 최소한의 근력만으로 마비된 다리가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진행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편마비 장애가 있는 환자들의 보행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행보조기구는 지팡이에서부터 동력을 이용한 다양한 기구들이 많이 있다.
하지만, 지팡이의 경우 한 쪽팔,다리가 마비된 환자가 마비되지 않은 쪽 손만을 사용하여 걷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도로상에는 돌출된 부분이 많고 층계와 같은 높은 곳이 많아 마비된 다리를 들어올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동력을 이용한 여러 가지 첨단과학이 동원된 신체착용식 보행보조기구가 발명되었으나 이 또한 그 복잡함에 있어 전문적인 훈련과 적응기간이 필요하고 무게에 있어서도 환자에게는 무리가 갈 수밖에 없으며 가격이 비싸 구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천연고무의 탄성을 이용한 전체무게가 650g 내외의 가벼운 보행보조기구로써 환자가 신체에 간단히 착용한 후 최소한의 근력만으로 마비된 다리가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진행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며 층계와 같은 높은 곳으로 올라갈 수 있고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치 않으며 환자 스스로 마비되지 않은 쪽 손을 이용하여 길이의 조절을 통해 속도와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판에 밀착되는 등판부(11)와 등판부(11)의 상부 양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단부에 제1연결부(b1)가 설치되는 한 쌍의 어깨상부끈(12)을 포함하는 어깨지지부(10)와; 사용자의 허리에 착탈 가능한 허리벨트(21)와 허리벨트(21)의 뒤쪽 역삼각형 모양의 양측 하부에 본 발명을 위해 특수 제작한 연결고리(c)가 제1신축견인줄(31)과 연결되기 위해 설치되고, 허리벨트(21)의 양 옆에 마비되지 않은 쪽 즉, 사용자의 앞쪽에서 마비된 다리 쪽으로 대칭으로 제2신축견인줄(32)을 연결할 수 있는 제4연결부(b4)를 포함하는 허 리지지부(20)와; 제1신축견인줄(31)과 제2신축견인줄(32)이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발뒤꿈치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발목연결대(45) 및 다리신축견인부(4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견인력과 추진력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신축견인줄(32)이 마비된 다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 양 단부에 벨크로파스너(55a)를 부착한 띠 형태의 고정밴드(55)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6연결부(b6)에 연결해서 마비된 팔운동을 할 수 있는, 손잡이(56)에 연결고리(c)를 매개로 제3신축견인줄(33)이 연결되고 상기 제3신축견인줄(33)의 단부에는 연결고리(c)를 매개로 제6연결부(b6)와도 연결이 가능한 제7연결부(b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편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구의 오른쪽마비환자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구의 왼쪽 마비환자의 배면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1의 자비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버클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연결고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구의 정면 하체 쪽 착용상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구의 배면 하체 쪽 착용상태도 이며, 도 8은 손잡이가 달린 제3신축견인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양 단부에 벨크로파스너가 부착된 고정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구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11은 등판부로써 조끼를 연상시키며 상기 허리벨트(21)와 일체형으로써 상부 양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며 단부에 제1연결부(b1)가 설치되는 한 쌍의 어깨상부끈(12)을 포함하는 어깨지지부(10)로써 사용자의 허리벨트(21)의 양 옆 상부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연결끈(13)이 상기 어깨상부끈(12) 및 상기 제1연결부(b1)에 대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자비조이다.
상부연결끈(13)은 자비조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대에 유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부연결끈(1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어떠한 키가 크거나 작은 사람이더라도 본원의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자비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4각형의 고리에 2개의 연결대가 형성되어 구현된 것으로 끈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구조로 일반적인 가방이나 백에 적용되는 구조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어깨지지부(10)는 다리신축견인부(40)에 의하여 하체 쪽으로 강한 탄성이 발생할 경우에 허리벨트(21)에 가중되는 압력을 분산시켜줌과 동시에 착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어깨상부끈(12)에는 양분되는 가로연결끈(14)이 설치되고, 상기 가로연결끈(14)의 양분된 부분은 제2연결부(b2)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b2)는 양분된 상기 가로연결끈(14)이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착탈되는 버클(b2')(b2")인 것이 바람직하다.
버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암버클과 숫버클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허리지지부(20) 및 상기 허리벨트(21)는 상기등판부(11)와 일체형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감을 좋게 하고 그 폭에 의하여 허리를 보호하게 되며 자세를 안정화시키게 된다. 이 허리벨트(21)의 양분된 부분은 제3연결부(b3)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때 제3연결부(b3)는 양분된 벨트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착탈 되는 버클(b3')(b3")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허리벨트(21)의 뒤쪽 역삼각형 모양의 하부에는 본 발명을 위해 특수 제작된 연결고리(c)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고리(c)를 매개로 다리부에 견인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1신축견인줄(31)이 연결되고 상기 제1신축견인줄(31)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고리(c)를 매개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1하부연결끈(15)이 설치되고 상기 제1하부연결끈(15)은 제5연결부(b5)에 의하여 발목연결대(45)에 연결되며 상기 제5연결부(b5)는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착탈되는 버클(b5')(b5")이다.
또한, 상기 허리벨트(21)의 양 옆에는 하향 경사방향으로 제4연결부(b4)가 설치되고 상기 제4연결부(b4)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2하부연결끈(16)이 연결된다. 상기 제2하부연결끈(16)의 단부에는 연결고리(c)가 설치되고 이 연결고리(c)를 매개로 제2신축견인줄(32)이 연결되며 상기 제2신축견인줄(32)의 단부에는 연결고리(c)를 매개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3하부연결끈(17)이 설치된다. 상기 제3하부연결끈(17)은 제6연결부(b6)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제4연결부(b4)와 제6연결부(b6)는 연결, 또는 분리되는 각각 버클(b4')(b4")와 (b6')(b6")이다.
이때, 상기 제2하부연결끈(16)은 마비된 다리 무릎 쪽에 밀착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고정밴드(55)로 감싸준다.
한편, 상기 제1신축견인줄(31)과 상기 제2신축견인줄(32)은 신장 및 복원수축력이 우수한 파이프형태의 고무재로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고리(c)와의 연결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리(c)의 일 측에는 구멍이 있다. 이 구멍에 파이프형 고무재를 삽입한 후 고무 속에 구슬 같은 볼을 삽입하여 파이프형 고무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리신축견인부(40) 및 상기 발목연결대(45)에 발뒤꿈치를 걸었을 때, 발목 앞쪽을 감싸는 걸개(45a)가 상기 발목연결대(45)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신축견인줄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상기 발목연결대(45)를 벗지 않고서는 벗겨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100)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머리를 가로연결끈(14)과 등판부(11)사이에 넣은 상태에서 어깨지지부(10)를 상체에 착용하고, 허리벨트(21)를 고정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체형 및 신장의 크기에 따라 상부연결끈(13), 가로연결끈(14)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후 마비된 발은 다리신축견인부(40)의 발목연결대(45)에 끼워 넣은 후, 제1,2신축견인줄(31)(32)을 연결하면, 도 6, 도 7에 도시한바 같이 제1,2신축견인줄(31)(32)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걷게 되면 사용자의 뒤쪽 제1신축견인줄(31)은 신장 및 수축이 반복되면서 다리의 뒷 부분에 견인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사용자의 앞쪽에서 대칭으로 연결된 제2신축견인줄(32)은 다리의 앞부분에 견인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순간적인 추진력을 갖게 된다.
추진력을 갖게 되는 이유는 마비된 다리는 마비되지 않은 다리보다 뒤쪽에 있기 때문에 마비되지 않은 앞쪽에서 제2신축견인줄(32)의 당겨지는 힘으로 마비된 다리는 들어 올려짐과 동시에 순간적인 추진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마비된 다리가 마비되지 않은 다리 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추진력을 갖는 것은 뒤쪽의 제1신축견인줄(31)이 마비된 다리 뒷부분을 들어 올려줌과 동시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한편, 마비된 다리는 다리 자체의 무게로 인해 다시 내려가게 되며 이러한 동작은 계속해서 반복되고 사용자는 본 발명으로 인해 편하게 걸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더 빨리 더 높게 걷기를 원한다면, 상기 제1,2하부연결끈(15)(16)을 줄여 상기 제1,2신축견인줄(31)(32)의 탄성을 높여주면 되며, 상기와 같은 걷기를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마비된 다리 운동도 강화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걷기를 하지 않을 때 마비된 쪽 팔을 운동할 수 있도록 발목연결대(45)를 착용하고 제6연결부(b6)에 손잡이(56)가 달린 팔운동을 할 수 있는 제3신축견인줄(33)을 연결한 후 마비된 손을 끼우고 마비되지 않은 손을 이용하여 앉은 자세에서 당겨주고 풀어 주는 방식을 반복함으로 뇌졸중으로 인해 운동하지 않으면 계속 진행되는 팔 강직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편마비환자는 오른쪽이 마비될 수 있고 왼쪽이 마비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어느 쪽이 마비되더라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1,2신축견인줄(31)(32)의 위치를 변경,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는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지지부와, 허리에 착용 되는 허리지지부와 다리에 견인력과 추진력을 동시에 제공하는 다리신축견인부를 포함함으로써 몸에 착용한 상태에서 마비된 다리로 인하여 걷기가 힘든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데 특히, 층계를 오르내리거나 도로상에서 튀어나온 부분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허리벨트(21)와 일체형인, 사용자의 등판부(11)와 상기 등판부(11)의 양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어깨상부끈(12)이 허리벨트(21)의 양 옆 상부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연결끈(13)과 제1연결부(b1)에서 자비조로 연결되는 것;과,
    등판부(11)와 일체형이며, 사용자의 허리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하는 허리벨트(21);및
    상기 허리벨트(21)의 뒤쪽 역삼각형 모양의 하부에 연결고리(c)를 매개로 제1신축견인줄(31)이 연결되고 상기 제1신축견인줄(31)의 단부에 상기 연결고리(c)를 매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하부연결끈(15)이 다리신축견인부(40)의 제5연결부(b5)에 연결되는 것;과,
    상기 허리벨트(21)의 양 옆 하향 경사방향으로 제4연결부(b4)가 설치되며 상기 제4연결부(b4)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하부연결끈(16)이 단부에 연결고리(c)를 매개로 제2신축견인줄(32)과 연결되고 상기 제2신축견인줄(32)의 단부에 연결고리(c)를 매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3하부연결끈(17)이 사용자의 앞, 즉 대칭으로 다리신축견인부(40)의 제6연결부(b6)에 연결됨;으로
    사용자의 다리에 견인력과 추진력을 동시에 제공하고, 이때, 제2하부연결끈(16)이 고정밴드(55)에 의하여 마비된 다리 무릎에 밀착될 수 있도록 묶어주는 역할을 하며, 오른쪽 마비환자나 왼쪽 마비환자 모두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리신축견인부(40)의 발목연결대(45)만 착용한 후 손잡이(56)가 상기 연결고리(c)를 매개로 제3신축견인줄(33)과 연결되고 상기 제3신축견인줄(33)의 단부에 상기 연결고리(c)를 매개로 상기 제6연결부(b6)와도 연결될 수 있는 제7연결부(b7)가 설치되며 상기 제7연결부를 제6연결부(b6)에 끼운 후 앉아서 팔운동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첨가된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KR1020060127641A 2006-12-14 2006-12-14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KR100767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641A KR100767192B1 (ko) 2006-12-14 2006-12-14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641A KR100767192B1 (ko) 2006-12-14 2006-12-14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192B1 true KR100767192B1 (ko) 2007-10-17

Family

ID=3881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641A KR100767192B1 (ko) 2006-12-14 2006-12-14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1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87B1 (ko) 2012-07-12 2014-02-18 연제옥 의료 보조기구
US10576010B2 (en) 2016-12-28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1994183A (zh) * 2020-09-17 2020-11-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基于3dp技术个性化定制部队训练辅助行走机器人
KR20210079762A (ko) * 2019-12-20 2021-06-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 운동기기에 장착되는 암 밴드
KR102323812B1 (ko) * 2021-07-15 2021-11-11 김광수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6A (ja) * 1995-06-19 1997-01-07 Takao Iida ベッド用足踏み健康器具
KR19990041097U (ko) * 1998-05-13 1999-12-15 성치도 저굴 내반족 보조기
KR20020066103A (ko) * 2001-02-09 2002-08-14 김팔만 체력단련구
KR200395879Y1 (ko) * 2005-06-23 2005-09-14 오광철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6A (ja) * 1995-06-19 1997-01-07 Takao Iida ベッド用足踏み健康器具
KR19990041097U (ko) * 1998-05-13 1999-12-15 성치도 저굴 내반족 보조기
KR20020066103A (ko) * 2001-02-09 2002-08-14 김팔만 체력단련구
KR200395879Y1 (ko) * 2005-06-23 2005-09-14 오광철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787B1 (ko) 2012-07-12 2014-02-18 연제옥 의료 보조기구
US10576010B2 (en) 2016-12-28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79762A (ko) * 2019-12-20 2021-06-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 운동기기에 장착되는 암 밴드
KR102301770B1 (ko) * 2019-12-20 2021-09-1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재활 운동기기에 장착되는 암 밴드
CN111994183A (zh) * 2020-09-17 2020-11-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基于3dp技术个性化定制部队训练辅助行走机器人
KR102323812B1 (ko) * 2021-07-15 2021-11-11 김광수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025B1 (en) Gait training harness
RU2423954C2 (ru) Ре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тягивания пениса
JP4541426B2 (ja) 歩行訓練装具
KR100767192B1 (ko)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JP2011036367A (ja) 歩行支援装具
WO2019156002A1 (ja) 歩行補助具、歩行補助方法
JP2007185246A (ja) 吊り具
JP2011514821A (ja) 運動靴の下体筋肉強化補助器具
CN217123169U (zh) 脚踝辅助外骨骼支架
CN109996523B (zh) 移乘协助、起立协助等辅助工具
CN214968570U (zh) 一种病人康复用提拉工具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JP3505143B2 (ja) 歩行補助具
CN213431482U (zh) 一种辅助行走的下肢骨骼架
CN210785275U (zh) 足踝骨科医疗康复辅助步行器
JP3171272U (ja) 歩行補助具
JP3157654U (ja) トレーニング用足具及びトレーニング器具
JP2010029480A (ja) 腰部負担軽減用具
CN200973806Y (zh) 下肢康复助行器
JP3119871U (ja) 歩行安全補助具
JP3223952U (ja) 健康歩行具
TWI720836B (zh) 無動力源之步行及登高輔助裝置
JP6651166B2 (ja) ストレッチ及び整復ベルト
KR100660636B1 (ko) 전신운동기구
TWM485715U (zh) 行動輔助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