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611B1 -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611B1
KR101036611B1 KR1020080115849A KR20080115849A KR101036611B1 KR 101036611 B1 KR101036611 B1 KR 101036611B1 KR 1020080115849 A KR1020080115849 A KR 1020080115849A KR 20080115849 A KR20080115849 A KR 20080115849A KR 101036611 B1 KR101036611 B1 KR 10103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joint
upper panel
socket
connecting ro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856A (ko
Inventor
박상해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시 filed Critical (주)아이티시
Priority to KR102008011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6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무게추를 발목의 힘을 이용하여 들었다 내려놓는 동작의 반복으로 발목관절을 운동하되 무게추는 다양한 방향 및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방향에 대한 발목관절 운동을 할 수 있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둘레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부와, 상기 상부패널의 상부면 후방부에서 사용자 발의 뒤꿈치가 지지될 수 있도록 입설된 뒤꿈치지지부와, 상부패널 또는 측벽부로부터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며 고정 지지하는 고정끈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부패널의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하단부에 연결 고정되며 외주연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홀더부와, 상기 중심축과 관통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제1연결소켓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연결봉지지부와, 상부패널과 연결봉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회전소켓부와; 상기 제1연결소켓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봉 및 연결봉의 단부에 고정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무게추

Description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Rehabilitation sports apparatus of ankle joint}
본 발명은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위치에 연결된 무게추를 발목의 힘을 이용하여 들었다 내려놓는 동작의 반복으로 발목관절을 운동할 수 있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들은 대개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게 되고, 이로 인해 하체 운동량이 줄어들어 상체에 비해서 하체의 근육 발달이 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식생활의 발달로 섭취하는 영양에 비해서 소비되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상체의 상대적 비대화가 가속되고, 이를 지탱하는 하체에 스트레스가 과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운동량 부족과 함께 상체 비대화로 인해 현대인들의 하체는 날로 약해져가고 있으며 이는 무릎이나 발목 등에 이상이 발생하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과격한 운동 및 빙판길에서 넘어지는 등 각종 안전사고 발생시에도 약해진 하체는 쉽게 골절되거나 인대가 손상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병원치료와 함께 하체 근력을 회복하는 재활운동이 이루어졌다.
하체 근력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운동기구에는 다양한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대부분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을 단련시키며 무릎관절을 회복시키기 위한 것들로 발목의 근력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운동기구는 많지 않았다.
또한, 선행기술로 제안된 발목 운동기구로는 대부분 펌핑 방식을 적용한 발목 펌프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발목을 이용하여 펌핑수단을 밟았다 놓는 과정을 반복함으로 발목 근력을 강화시키고, 오랫동안 발목의 움직임이 없던 환자에게는 관절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재활운동용 기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펌핑방식에 의한 발목운동기구는 운동방법이 한 가지 동작에 의한 한 방향 운동에 한정된 것으로, 발목의 좌우 움직임 또는 대각선방향 움직임 등의 발목관절 운동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펌핑방식에 의한 발목운동기구는 그 힘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없어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게추를 발목의 힘을 이용하여 들었다 내려놓는 동작의 반복으로 발목관절을 운동하되 무게추는 다양한 방향 및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방향에 대한 발목관절 운동을 할 수 있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둘레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부와, 상기 상부패널의 상부면 후방부에서 사용자 발의 뒤꿈치가 지지될 수 있도록 입설된 뒤꿈치지지부와, 상부패널 또는 측벽부로부터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며 고정 지지하는 고정끈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부패널의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하단부에 연결 고정되며 외주연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홀더부와, 상기 중심축과 관통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제1연결소켓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연결봉지지부와, 상부패널과 연결봉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회전소켓부와; 상기 제1연결소켓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봉 및 연결봉의 단부에 고정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에 의하면, 본체 전방부에 무게추 및 연결봉과의 착탈수단을 형성하고, 또한, 무게추 및 연결봉의 위치를 방사상으로 회전 및 고정하여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소켓부를 구비함으로 다양한 방향에 대한 발목관절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방향에 대한 발목운동이 가능하므로 재활치료중인 사용자에게 발목관절의 기능을 빨리 회복시키거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리치료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2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의 회전소켓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에 고정 지지되는 본체(100)와, 본체(100) 전방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봉과의 착탈수단을 형성하며 방사상으로 연결봉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소켓부(200)와, 본 체(100) 후방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바퀴부(300), 그리고, 무게추(410) 및 연결봉(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사용자가 마치 신발을 신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발 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상부패널(110)과, 상기 상부패널(110)의 둘레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해 절곡되거나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부(120)와, 상기 상부패널(110)의 상부면 후방부에서 사용자 발의 뒤꿈치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패널(110)과 일체로 상방향 입설된 뒤꿈치지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발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서는 고정끈(140)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끈(140)은 측벽부(120)의 좌우 측벽에 각각 형성된 고정끈관통공(121)을 관통한 후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며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끈관통공(121)은 사용자 발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 및 위치에 따른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방부는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곡선형태를 갖음이 바람직하며, 상부패널(110)과 측벽부(120)는 상호 대응되는 곡선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100) 전방부에 형성된 측벽부(120)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통공(122)이 구비된 것으로, 이는 후술되는 연결봉(420) 및 제1연결소켓(232)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 및 형태를 갖는 것이다.
본체(100)의 좌우 측방향에도 무게추(410) 및 연결봉(420)을 연결할 수 있도 록, 측벽부(120)의 좌우측벽 중앙에는 측방향관통공(123)을 형성하고, 본체(100)의 내측 중앙에는 상부패널(11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2연결소켓(150)이 마련된다. 이는 연결봉(420)이 상기 측방향관통공(123)을 관통하여 제2연결소켓(150)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의 제2연결소켓(150)은 상부패널(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되, 하측은 그 단부에 인접하도록 측방향결합공(151)이 형성되어 연결봉(420)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측방향결합공(151)에 끼움 결합된 연결봉(420)을 상측으로 밀어 끼움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2연결소켓(150)의 하부에는 제2압축스프링(152)이 형성되고, 제2압축스프링(152)의 하단에는 제2압축스프링(152)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와셔 및 볼트 등의 고정부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부패널(110) 또는 제2연결소켓(150)측에 고정된다.
또한, 연결봉(420)의 측방향 결합을 위해 측방향관통공(123)과 측방향결합공(151)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무게추(410) 및 연결봉(420)을 측방향 결합함으로써 발목관절의 측방향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뒤꿈치지지부(130)의 후방측에는 연결봉(420)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제3연결소켓(131)이 더 마련된 것으로, 무게추(410) 및 연결봉(420)을 발목관절의 후방측에 연결함으로 발목관절의 후방측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도 가능한 것이다.
본체(100)의 전방측 상부패널(110) 저면에는 사각 수용홈이 형성된 T형블록연결소켓(161)이 상부패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T형블록연결소켓(161)의 사각 수용홈측에 끼움 결합되는 'T'자 형태를 갖는 T형블록(16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후술되는 바퀴부(300)와 대응되는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본체(100)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본체(100)를 지지하는 것이다.
회전소켓부(200)는 본체(100)의 전방측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봉(420)이 끼움 결합되되 그 위치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소켓부(200)는, 상부패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패널(11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210)과, 상기 중심축(210)의 하측 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외주연에는 다수의 결합홈(221)이 형성된 홀더부(220)와, 내측에 중심축관통공(231)이 형성되어 중심축(210)과 관통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연결봉(42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는 제1연결소켓(232)이 돌출 형성된 연결봉지지부(230)와, 상기 중심축(210)의 외주연에 관통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부패널(110)과 연결봉지지부(230) 사이에 형성되며, 연결봉지지부(230)를 하측 방향으로 밀어 제1연결소켓(232)이 홀더부(220)의 결합홈(221)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압축스프링(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홈(221)은 홀더부(220)의 상단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연결소켓(232)이 결합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측이 개방된 형태를 갖으며, 홀더부(220)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퀴부(300)는 본체(100)의 후방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의 발목운동시 지지축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여 다양한 동작에 의한 발목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바퀴부(300)는, 측벽부(120)의 좌우 측벽 사이에 연결 형성된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연결된 바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게추(410) 및 연결봉(420)은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의 운동량을 조절해주는 것이다.
무게추(410)는 구별된 무게에 따라 교체 가능한 것으로 연결봉(420)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가 상호 관통된 무게추관통공(411)을 형성하며, 외주연 소정의 위치에는 체결통공(412)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관통 후 연결봉(420)측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연결봉(420)은 무게추(410)와 관통 결합되며 일측 선단부는 본체(100)에 구비된 제1,2,3연결소켓(232,150,131)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무게추(410)의 고정 위치에 따라서도 구분된 운동량을 갖도록 연결봉(420)에는 다수의 눈금이 형성되어 무게추(410)와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의 회전소켓부에서 무게추의 위치변경 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소켓부(200)는 끼움 결합된 무게추(410) 및 연결봉(4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끼움 결합된 무게추(410) 및 연결봉(420)을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홀더부(220)의 결합홈(221)에 수용되어 연결봉(420)을 지지하는 제1연결소켓(232)이 결합홈(221)으로부터 이탈하고 제1연결소켓(232)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봉지지부(230)를 누르고 있던 제1압축스프링(240)은 압착된다.
이때, 연결봉(420) 및 제1연결소켓(232)이 관통 연결된 가이드통공(122)의 높이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연결봉(420) 및 제1연결소켓(232)의 상측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봉(420) 및 제1연결소켓(232)을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221) 중 어느 한 곳으로 회전 이동시킨 후 내려놓으면 압착상태에 있던 제1압축스프링(240)은 다시 연결봉지지부(230)를 하측 방향으로 누르게되며 제1연결소켓(232)은 위치한 결합홈(221)측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는 사용자 발에 고정되며 사용자는 발목관절을 이용하여 연결된 무게추(410)를 들었다 내려놓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발목운동은 재활치료중인 사용자에게 발목관절의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게추(410)가 연결된 연결봉(420)은 다양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 하며, 측방향 및 후방향에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부위의 발목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의 회전소켓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의 회전소켓부에서 무게추의 위치변경 동작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상부패널
120 : 측벽부 121 : 고정끈관통공
122 : 가이드통공 123 : 측방향관통공
130 : 뒤꿈치지지부 131 : 제3연결소켓
140 : 고정끈 150 : 제2연결소켓
151 : 측방향결합공 152 : 제2압축스프링
160 : T형블록 161 : T형블록연결소켓
200 : 회전소켓부 210 : 중심축
220 : 홀더부 221 : 결합홈
230 : 연결봉지지부 231 : 중심축관통공
232 : 제1연결소켓 240 : 제1압축스프링
300 : 바퀴부 310 : 회전축
320 : 바퀴 410 : 무게추
411 : 무게추관통공 412 : 체결통공
420 : 연결봉

Claims (7)

  1. 사용자의 발바닥과 접촉되는 상부패널(110)과, 상기 상부패널(110)의 둘레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측벽부(120)와, 상기 상부패널(110)의 상부면 후방부에서 사용자 발의 뒤꿈치가 지지될 수 있도록 입설된 뒤꿈치지지부(130)와, 상부패널(110) 또는 측벽부(120)로부터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며 고정 지지하는 고정끈(140)을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부패널(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210)과, 상기 중심축(210)의 하단부에 연결 고정되며 외주연에는 다수의 결합홈(221)이 형성된 홀더부(220)와, 상기 중심축(210)과 관통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제1연결소켓(23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연결봉지지부(230)와, 상부패널(110)과 연결봉지지부(230)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압축스프링(240)을 포함하는 회전소켓부(200)와;
    상기 제1연결소켓(232)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봉(420) 및 연결봉(420)의 단부에 고정되는 무게추(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221)은 홀더부(220)의 외주연 상단측에서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홀더부(220)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전방부에 형성된 측벽부(120)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통공(122)이 형성되며, 연결봉(420) 및 제1연결소켓(232)은 상기 가이드통공(122)에 관통 결합되어 가이드통공(1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20)의 좌우측벽 중앙에는 측방향관통공(123)이 형성되며, 본체(100)의 내측 중앙에는 제2연결소켓(150)이 상부패널(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되 제2연결소켓(150)의 양측에는 측방향결합공(151)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방향관통공(123) 및 측방향결합공(151)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무게추(410)가 고정된 연결봉(420)이 측방향관통공(123)을 관통하여 측방향결합공(15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지지부(130)의 후방측에는 제3연결소켓(131)이 형성되어 무게추(410)가 고정된 연결봉(420)을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후방측에는 지면과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는 바퀴부(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110)의 전방측 저면에는 사각 수용홈이 형성된 T형블록연결소켓(161)이 상부패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T형블록연결소켓(161)의 사각 수용홈에 끼움 결합되는 'T'자 형상의 T형블록(16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T형블록(160)과 T형블록연결소켓(161)의 끼움 결합으로 본체(100) 전방부를 바닥에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KR1020080115849A 2008-11-20 2008-11-20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KR101036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49A KR101036611B1 (ko) 2008-11-20 2008-11-20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849A KR101036611B1 (ko) 2008-11-20 2008-11-20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56A KR20100056856A (ko) 2010-05-28
KR101036611B1 true KR101036611B1 (ko) 2011-05-24

Family

ID=4228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849A KR101036611B1 (ko) 2008-11-20 2008-11-20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2346U1 (ru) * 2023-10-10 2023-12-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асноя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Профессора В.Ф. Войно-Ясенец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функции ходьбы при центральном гемипарез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425B1 (ko) * 2016-12-16 2020-04-07 최해용 하지 혈액 순환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678A (en) 1983-06-02 1986-03-04 Steve Lamb Lower extremity muscle conditioner device
JPH03101513U (ko) * 1990-02-05 1991-10-23
US5203321A (en) 1990-12-11 1993-04-20 Sutter Corporation Passive anatomic ankle-foot exerciser
US20050239611A1 (en) 2001-08-21 2005-10-27 Commisso Luis A Leg-ankle-foot exercise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678A (en) 1983-06-02 1986-03-04 Steve Lamb Lower extremity muscle conditioner device
JPH03101513U (ko) * 1990-02-05 1991-10-23
US5203321A (en) 1990-12-11 1993-04-20 Sutter Corporation Passive anatomic ankle-foot exerciser
US20050239611A1 (en) 2001-08-21 2005-10-27 Commisso Luis A Leg-ankle-foot exercis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2346U1 (ru) * 2023-10-10 2023-12-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асноя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Профессора В.Ф. Войно-Ясенец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функции ходьбы при центральном гемипарез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56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066B1 (ko) 뇌졸중 환자의 보행재활 치료용 로봇
KR101904468B1 (ko) 와상환자용 보행 재활장치
ES2742294T3 (es) Sistema médico de apoyo para la pierna adaptado para aumentar la amplitud del movimiento de una pierna para ayudar en la curación y en el fortalecimiento de huesos, músculos y/u otros tejidos dañados, heridos y/o substituidos de la pierna
JP2992286B2 (ja) 運動装置とその使用方法
JP3420546B2 (ja) 下肢運動装置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CN104399232B (zh) 一种用于脚踝防扭伤锻炼与扭伤康复的训练器
KR101036611B1 (ko)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KR20160048458A (ko) 기능성 다리 운동기구
JP2012192107A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CN112221084A (zh) 一种康复医学用关节术后康复训练装置
KR20190029003A (ko) 골반 및 척추 교정을 위한 운동장치
CN111544844A (zh) 一种骨科踝关节锻炼装置
KR101661534B1 (ko) 능동형 발목재활기구
RU96331U1 (ru) Тренажер (варианты)
JP6612386B2 (ja) 健康器具
KR200235046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826439B1 (ko)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CN108771836A (zh) 一种多功能医疗康复设备
WO20020983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deep vein thrombosis
WO2013163755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11723884U (zh) 一种手脚并动的踝泵运动辅助器
CN109925657A (zh) 一种康复健身训练器
JP2008237785A (ja) 重力負荷運動装置
JP3152047U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