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439B1 -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 Google Patents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439B1
KR101826439B1 KR1020160112713A KR20160112713A KR101826439B1 KR 101826439 B1 KR101826439 B1 KR 101826439B1 KR 1020160112713 A KR1020160112713 A KR 1020160112713A KR 20160112713 A KR20160112713 A KR 20160112713A KR 101826439 B1 KR101826439 B1 KR 10182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pright
rotating plate
rehabilitation exercise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호
피재열
김지현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는 환자가 양손으로 지지하면서 보행훈련을 수행하는 평행 바 조립체(100); 및 상기 환자의 하지에 장착되어, 상기 환자가 상기 평행 바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보행훈련시 상기 환자의 하지를 보호하는 보행보조기(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행 바 조립체에 회전판을 장착하여, 하지근력저하 환자의 보행훈련으로 방향전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A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FOR LOWER EXTREMITY MUSLCE WEAKNESS PATIENT}
본 발명은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 바 조립체에 회전판을 장착하여, 하지근력저하 환자의 보행훈련으로 방향전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하지의 근력이 저하된 환자들은 보행훈련이 필요하다. 그러나 비대칭적인 체중부하로 인해 선 자세 및 보행시 균형을 잃거나, 손상 측에 충격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행보조기를 이용하여 보행 주기 중 초기접지(Initial Contact)-하중반응(Loading Response)-중간입각기(Mid Stance)에 대한 훈련을 수행한다.
참고로 도 10을 참조할 때, 보행 주기는 크게 1) 입각기(Stance Phase)와 2) 유각기(Swing Phase)로 구분되며, 1) 입각기는 발이 지면에 붙어있는 동안의 움직임을 의미하고, 2) 유각기는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있는 동안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1) 입각기는 초기접지, 하중반응, 중간입각기, 말기입각기 및 전유각기를 포함하고, 2) 유각기는 초기유각기, 중간유각기 및 말기 유각기를 포함한다.
초기접지(Initial Contact)는 전체 보행주기의 0~10%를 차지하는 단계로, 발 뒷굽이 바닥에 접촉하는 단계(heel strike)이다. 하중반응(Loading Response)은 전체 보행주기의 0~10%까지의 단계로 체중흡수단계이다. 즉, 초기 접지부터 foot flat까지를 의미한다. 중간입각기(Mid stance)는 전체 보행주기의 10~30%까지의 단계이며, 단하지 입각기(Single Leg Support)기간으로 체중이 반대 발을 통과하는 시점이다. 말기입각기(Terminal Stance)는 전체 보행주기의 30~50%까지의 단계로 발뒤꿈치가 들리는(heel off) 시기이다. 전유각기(Preswing)는 전체 보행주기의 50~60%까지의 단계로서 유각기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지지한 발의 발가락 들기(toe off)가 일어나는 시점이다.
또한, 초기유각기(Initial Swing)는 전체 보행주기의 60~73%까지의 단계로써,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전방으로 가속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중간유각기(Mid Swing)는 전체 보행주기의 73~87%까지의 단계로써, 체중을 지지하고 있는 다리에 근접한 순간으로, 반대 발은 중간입각기 상태이다. 말기 유각기(Terminal Swing)는 전체 보행주기의 87~100%까지의 단계로써, 초기접지를 위하여 감속하여 발뒤꿈치가 초기입각(heel strice)하는 시점을 말한다.
종래의 보행보조기를 이용한 훈련에서는 평행 바(Parallel Bar)를 이용하여 전방을 향해 보행하는 훈련이 대부분이었으므로, 환자의 보행시 반환전환능력을 훈련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하지근력 저하 환자 중 발 처짐(Foot drop) 현상 및 보행 시 폄 패턴(Extensor Pattern)으로 인한 원 회전 걸음걸이(Circumduction Gait) 양상을 나타내는 환자는 보행 시 방향전환능력의 개선이 필요하였으나,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보조기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71720호 (2008.11.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지근력 저하 환자 중 발 처짐(Foot drop) 현상 및 보행 시 폄 패턴(Extensor Pattern)으로 인한 원 회전 걸음걸이(Circumduction Gait) 양상을 나타내는 환자는 보행 시 방향전환능력의 개선할 수 있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는 환자가 양손으로 지지하면서 보행훈련을 수행하는 평행 바 조립체(100); 및 상기 환자의 하지에 장착되어, 상기 환자가 상기 평행 바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보행훈련시 상기 환자의 하지를 보호하는 보행보조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평행 바 조립체(100)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복수 개의 평행 바(110); 상기 평행 바(110)를 지지하도록, 상기 평행 바(110)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120); 및 상기 평행 바(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경사면(13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사이에는 평탄면(132)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132)의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대(120)가 고정되는 받침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행 바 조립체(100)는, 상기 받침판(130)의 상기 평탄면(132)에 복수 개가 내삽되며,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원통형태의 회전판(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140)은, 원통형태의 상부회전판(141); 상기 상부회전판(141)과 중심축을 공유하고, 단면이 톱니바퀴 형상이며, 상기 상부회전판(141)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톱니바퀴부(142);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중심축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회전축(143); 및 상기 상부회전판(141)과 평행하고,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하면에 접하며, 상기 회전축(143)이 삽입되는 삽입홀(144)을 구비한 원통형태의 하부회전판(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140)은, 상기 상부회전판(141)과 상기 하부회전판(14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톱니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구 형태의 회전체(1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140)은, 상기 상부회전판(141)의 하면에 상기 회전체(146)가 접할 수 있는 상부홈(141-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회전판(145)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체(146)가 접할 수 있는 하부홈(14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행보조기(200)는, 상기 환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 받침부(210); 일단이 상기 발 받침부(210)와 힌지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업라이트(220); 일단이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의 타단과 힌지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업라이트(230); 및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환자의 허벅지에 고정되는 고리 형태의 고정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행보조기(200)는,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와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 사이의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팬-락(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락(250)은, 부채꼴 형태의 몸체(251);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의 측면에 상기 몸체(251)를 고정하는 고정핀(252); 상기 몸체(251)의 호(arc)와 평행하도록 관통형성된 가이드홀(253); 및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253)에 삽입되는 가이드핀(2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행보조기(200)는, 상기 발 받침부(210),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 및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를 상기 환자의 하지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스트랩(2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평행 바 조립체에 회전판을 장착하여, 하지근력저하 환자의 보행훈련으로 방향전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행보조기의 장착으로 인해, 환자의 보행훈련시 균등한 체중부하 및 보행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치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보행훈련시 지면으로부터 환자의 하지에 가해지는 충격ㅇ 흡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중 평행 바 조립체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회전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중 보행보조기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의 제 1 실시 예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의 제 2 실시 예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의 스트랩의 예시도.
도 10은 보행주기를 설명하는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중 평행 바 조립체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는 환자가 양손으로 지지하면서 보행훈련을 수행하는 평행 바 조립체(100) 및 상기 환자의 하지에 장착되어, 상기 환자가 상기 평행 바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보행훈련시 상기 환자의 하지를 보호하는 보행보조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평행 바 조립체(100)는, 평행 바(110), 지지대(120), 받침판(130)을 포함한다. 평행 바(110)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두 개의 평행 바(110)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도 있다.
지지대(120)는 상기 평행 바(110)를 지지하도록, 상기 평행 바(110)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받침판(130)은 상기 평행 바(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경사면(13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사이에는 평탄면(132)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132)의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대(120)가 고정된다.
따라서, 하지근력저하 환자는 양손으로 상기 평행 바(110)를 잡고, 전방으로 보행훈련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경사면(131)을 올라선 후 상기 평탄면(132)을 통과하여, 반대편 경사면(131)으로 내려오는 훈련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지근력저하 환자의 체중 중 일부는 양손을 통해 상기 평행 바(110), 상기 평행 바(110)를 지지하는 지지대(120) 및 상기 바닥판(130)을 통해 지면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환자의 하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안전하게 보행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평행 바 조립체(100)는, 상기 받침판(130)의 상기 평탄면(132)에 복수 개가 내삽되며,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원통형태의 회전판(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140)은 하지근력 저하 환자 중 발 처짐(Foot drop) 현상 및 보행 시 폄 패턴(Extensor Pattern)으로 인한 원 회전 걸음걸이(Circumduction Gait) 양상을 나타내는 환자의 보행 시 방향전환능력의 개선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회전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회전판(140)은, 상부회전판(141), 톱니바퀴부(142), 회전축(143), 하부회전판(145), 회전체(146)를 포함한다.
상부회전판(141)은 원통형태로써, 상기 환자의 발이 상면에 접하게 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상부회전판(141)의 상면에는 후술할 스트랩(260)으로 형성된 반원형 고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리에는 후술할 발 받침부(210)에 안착된 상기 환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환자는 전방으로의 보행훈련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판(140)을 이용하여 보행 시 방향전환훈련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톱니바퀴부(142)는 상기 상부회전판(141)과 중심축을 공유하고, 단면이 톱니바퀴 형상이며, 상기 상부회전판(141)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회전축(143)은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중심축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하부회전판(145)은 상기 상부회전판(141)과 평행하고,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하면에 접하며, 상기 회전축(143)이 삽입되는 삽입홀(144)을 구비한 원통형태이다. 회전체(146)는 상기 상부회전판(141)과 상기 하부회전판(14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톱니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구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상부회전판(141)의 하면에 상기 회전체(146)가 접할 수 있는 상부홈(141-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회전판(145)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체(146)가 접할 수 있는 하부홈(145-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환자가 보행 시 방향전환훈련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회전판(141)을 스트랩(260)을 통해 회전시키며, 이때 하부회전판(145)은 상기 받침판(130)에 고정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 상부회전판(141)이 회전하면서, 상기 톱니바퀴부(142)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톱니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회전체(146) 역시 같이 회전한다. 즉, 회전체(146)가 종전의 상부홈(141-1) 및 하부홈(145-1)에서 이탈되어, 회전방향에 형성된 다른 상부홈(141-1) 및 하부홈(145-1)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환자의 방향전환훈련에서 충분한 저항을 가함으로써 훈련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부회전판(141)이 급격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중 보행보조기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할 때, 상기 보행보조기(200)는, 발 받침부(210), 하부 업라이트(220), 상부 업라이트(230), 고정부(240), 팬-락(250), 스트랩(260)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10)는 상기 환자의 발이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써, 후술할 스트랩(260)에 의해, 환자의 발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회전판(141)의 상면에 형성된 스트랩(260)에 의해, 상기 상부회전판(141)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업라이트(upright, 220)는 일단이 상기 발 받침부(210)와 힌지로 체결되는 구성요소로써,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부 업라이트(230)는 일단이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의 타단과 힌지로 체결되는 구성요소로써,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환자의 체중, 하지근력 저하상태 등에 따라서,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 및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가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240)는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환자의 허벅지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써 고리 형태일 수 있다.
팬-락(Fan-lock, 250)은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와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 사이의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팬-락(250)은, 몸체(251), 고정핀(252), 가이드홀(253), 가이드핀(254)을 포함한다.
몸체(251)는 부채꼴 형태이고, 고정핀(252)은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의 측면에 상기 몸체(251)를 고정시킨다. 가이드홀(253)은 상기 몸체(251)의 호(arc)와 평행하도록 관통형성되며, 가이드핀(254)은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253)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핀(254)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는 상기 가이드홀(253) 에 의해 제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환자의 무릎관절의 굽힘 각도 및 폄 각도를 일정 범위에서만 허용함으로써, 환자의 보행훈련시 하지근력저하로 인해 관절이 손상되는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스트랩(260)은 상기 발 받침부(210),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 및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를 상기 환자의 하지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랩(260)이 상부회전판(141)의 상면에 고리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에 발 받침부(210)에 안착된 상기 환자의 발이 삽입되어, 상기 환자가 방향전환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의 제 1 실시 예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의 제 2 실시 예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할 때,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는 하부 업라이트(220) 및 상부 업라이트(230)가 한 개씩 적용되었고, 도 8을 참조할 때, 상기 제 2 실시 예에서는 하부 업라이트(220) 및 상부 업라이트(230)가 두 개씩 적용되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체중, 하지근력 저하상태 등에 따라서,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 및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를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평행 바 조립체
110 평행 바
120 지지대
130 받침판
131 경사면
132 평탄면
140 회전판
141 상부회전판
141-1 상부홈
142 톱니바퀴부
143 회전축
144 삽입홀
145 하부회전판
145-1 하부홈
146 회전체
200 보행보조기
210 발 받침부
220 하부 업라이트
230 상부 업라이트
240 고정부
250 팬-락
251 몸체
252 고정핀
253 가이드홀
254 가이드핀
260 스트랩

Claims (10)

  1. 환자가 양손으로 지지하면서 보행훈련을 수행하는 평행 바 조립체(100); 및
    상기 환자의 하지에 장착되어, 상기 환자가 상기 평행 바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보행훈련시 상기 환자의 하지를 보호하는 보행보조기(200);
    를 포함하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에 있어서,
    상기 평행 바 조립체(100)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복수 개의 평행 바(110);
    상기 평행 바(110)를 지지하도록, 상기 평행 바(110)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120);
    상기 평행 바(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경사면(13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사이에는 평탄면(132)이 형성되며, 상기 평탄면(132)의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대(120)가 고정되는 받침판(130); 및
    상기 받침판(130)의 상기 평탄면(132)에 복수 개가 내삽되며,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원통형태의 회전판(140);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140)은,
    원통형태의 상부회전판(141);
    상기 상부회전판(141)과 중심축을 공유하고, 단면이 톱니바퀴 형상이며, 상기 상부회전판(141)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톱니바퀴부(142);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중심축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회전축(143); 및
    상기 상부회전판(141)과 평행하고,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하면에 접하며, 상기 회전축(143)이 삽입되는 삽입홀(144)을 구비한 원통형태의 하부회전판(14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40)은,
    상기 상부회전판(141)과 상기 하부회전판(14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톱니바퀴부(142)의 톱니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구형태의 회전체(14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판(141)의 하면에 상기 회전체(146)가 접할 수 있는 상부홈(141-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회전판(145)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체(146)가 접할 수 있는 하부홈(14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기(200)는,
    상기 환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 받침부(210);
    일단이 상기 발 받침부(210)와 힌지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업라이트(220);
    일단이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의 타단과 힌지로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업라이트(230); 및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환자의 허벅지에 고정되는 고리 형태의 고정부(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기(200)는,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와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 사이의 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팬-락(2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팬-락(250)은,
    부채꼴 형태의 몸체(251);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의 측면에 상기 몸체(251)를 고정하는 고정핀(252);
    상기 몸체(251)의 호(arc)와 평행하도록 관통형성된 가이드홀(253); 및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253)에 삽입되는 가이드핀(25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기(200)는,
    상기 발 받침부(210), 상기 하부 업라이트(220) 및 상기 상부 업라이트(230)를 상기 환자의 하지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스트랩(26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KR1020160112713A 2016-09-01 2016-09-01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KR10182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713A KR101826439B1 (ko) 2016-09-01 2016-09-01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713A KR101826439B1 (ko) 2016-09-01 2016-09-01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439B1 true KR101826439B1 (ko) 2018-02-08

Family

ID=6123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713A KR101826439B1 (ko) 2016-09-01 2016-09-01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3590A (zh) * 2019-05-31 2019-08-16 武汉轻工大学 康复装置
CN114392134A (zh) * 2022-02-25 2022-04-26 河南科技大学 一种下肢康复训练机器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3590A (zh) * 2019-05-31 2019-08-16 武汉轻工大学 康复装置
CN114392134A (zh) * 2022-02-25 2022-04-26 河南科技大学 一种下肢康复训练机器人
CN114392134B (zh) * 2022-02-25 2023-09-01 河南科技大学 一种下肢康复训练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3293B2 (ja) 脳卒中患者の歩行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ロボット
US5891002A (en) Orthopedic device ankle exerciser and method
US58974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kle exercise
KR101839912B1 (ko) 회전 저항 시스템
US3986502A (en) Ambulation assistance device
JP7365356B2 (ja) 医療用歩行器
ES2864032T3 (es) Equipo de ejercicio para la realización de ejercicios excéntricos y concéntricos de los isquiotibiales
KR101682450B1 (ko) 발목관절 보조기
US11406859B2 (en) Gait pattern training device
CN105853041B (zh) 腿部正畸矫形装置
KR102112966B1 (ko) 하체운동기구
KR101826439B1 (ko) 하지근력 저하 환자용 재활운동기기
KR101413329B1 (ko) 보행 보조 장치
Handzic et al. Design and pilot study of a gait enhancing mobile shoe
CN104399232B (zh) 一种用于脚踝防扭伤锻炼与扭伤康复的训练器
KR101469628B1 (ko) 보행 보조기
AU773133B2 (en) Orthotic bracing walking trainer
CN211050087U (zh) 下肢关节功能训练装置
CN211023890U (zh) 一种腿部骨伤辅助运动恢复装置
CN108771836A (zh) 一种多功能医疗康复设备
KR102243602B1 (ko) 재활장치
RU2345692C1 (ru) Кресло-качалка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ое
JP2005211323A (ja) 筋力トレーニング器具
ES2595405T3 (es) Aparato para estimulación excéntrica de los músculos isquiotibiales
KR101036611B1 (ko) 발목관절 재활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