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295A - 하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295A
KR20090128295A KR1020080054388A KR20080054388A KR20090128295A KR 20090128295 A KR20090128295 A KR 20090128295A KR 1020080054388 A KR1020080054388 A KR 1020080054388A KR 20080054388 A KR20080054388 A KR 20080054388A KR 20090128295 A KR20090128295 A KR 20090128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exercise
main board
roller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직
Original Assignee
이상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직 filed Critical 이상직
Priority to KR102008005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8295A/ko
Publication of KR2009012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하체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체 운동기구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판재형상의 메인보드; 메인보드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강도조절부재;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메인보드와 결합되는 한 쌍의 운동부재; 및 강도조절부재와 운동부재에 양 단이 고정되며 운동부재의 운동시 탄성을 갖도록 연결되는 탄성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쉽게 하체, 특히 괄약근을 단련할 수 있는 효과가 도모된다.
하체, 운동, 가이드레일, 메인보드, 탄성

Description

하체 운동기구{Athletic apparatus for lower part of body}
본 발명은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고 쉽게 하체, 특히 괄약근을 단련할 수 있는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근육은 각자 역할과 기능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룰때, 가장 효과적인 힘의 완성을 이룰 수 있는 것이고, 미적인 측면에서도 균형미를 이룰 수 있다. 그중에서도 하체(下體)는 우리가 활동할 때 온몸의 전체무게를 받쳐주는 근육이므로 파워, 그리고 기초체력 부분에서 무척이나 중요한 부위이다. 기초가 튼튼한 건물이 지진에 강하며, 뿌리깊은 나무가 강한 바람에도 흔들리지 아니하듯 우리 몸의 체중을 지탱하고 있는 하체가 강해야 힘도 그만큼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중장년의 경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생식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신경지배 구조인 내외 항문 괄약근, 내폐쇄근, 항문 괄약근 및 모든 회음근 등의 근력이 약화 되므로 요실금, 조루, 치루, 변비, 체중증가 등과 제반 기능이 저하되는 증상을 앓게 되며, 더 나아가 우울증과 조급함, 허약체질, 갱년기 증상, 편두통 및 만성 변비와 체중감량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외항문과 생식세포 주변의 유기체로 연관된 괄약근을 강화시키는 운동(예컨대, 미국 케겔 박사가 창한한 소위 케겔운동, 중국의 채일번 교수의 괄약근 수련법, 일본의 각 체위에 의한 하타요가의 괄약근 운동법 등)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일정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꾸준한 반복운동을 요하며, 단순 반복운동으로 인한 싫증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지속적인 단련운동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가장 간편하고 효율적인 운동방법으로 꾸준한 걷기나 등산을 택할 수 있으나, 급격히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특성상 자신만의 운동시간을 별도로 분배하여 이를 빠짐없이 지킨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하체 운동기구는 주로 괄약근 강화만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운동량이 미비하여 하체 전체를 단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신체의 균형적 단련이 아닌 부분적 단련의 경우 운동효율이 떨어지고, 단조로운 운동의 반복으로 쉽게 싫증을 내게 되어 소기의 목적을 쉽게 달성할 수 없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특별한 시간할애나 복잡한 도구의 활용 없이도 하체(下體)를 단련시킬 수 있는 하체 운동기구의 개발은 매우 시급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체(下體)의 단련운동, 특히 괄약근 단련운동을 간편하고 쉽게 할 수 있는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판재형상의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강도조절부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기 메인보드와 결합되는 한 쌍의 운동부재; 및 상기 강도조절부재와 상기 운동부재에 양 단이 고정되며 상기 운동부재의 운동시 탄성을 갖도록 연결되는 탄성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운동부재는, 상기 메인보드의 하측면에 밀착되며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운동부재; 및 상기 메인보드의 상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2 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체 운동기구는, 상기 제1 운동부재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체 운동기구 이용시 상기 제1 운동부재와 직교하도록 펼쳐지는 한 쌍의 하체 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조절부재는, 상기 메인보드 상측부에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태엽; 상기 태엽의 상측부에서 상기 태엽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탄성연결수단 일단부가 고정되는 강도조절롤러; 및 상기 태엽의 임의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태엽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조절부재는, 상기 태엽이 감긴 정도에 따라 운동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강도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조절부재는, 상기 강도표시부를 초기값으로 리셋할 수 있는 리셋버 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도조절부재는, 상기 메인보드 하측면에서 상기 메인보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태엽과 상호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 부재의 회전시 상기 태엽이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강도조절롤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보드 양 측에 삼각형태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를 거쳐 상기 제2 운동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수단은, 높낮이를 달리하여 구성되는 제1 탄성연결수단 및 제2 탄성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체 운동기구는, 상기 탄성연결수단 외측을 감싸는 피복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동자가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판재형상의 메인보드, 메인보드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운동부재 및 운동시 탄성을 갖도록 연결되는 탄성연결수단을 지닌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현대인의 심각한 문제점 중 하나인 하체 운동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특히 괄약근 단련운동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나이증가에 따른 괄약근 약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탄성연결수단이 연결되는 경로를 나타낸 요부도이고, 도 3은 도 1의 롤러부와 탄성연결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강도조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는 메인보드(100), 운동부재(200), 하체 밀착부재(400), 강도조절부재(500), 롤러부(600) 및 탄성연결수단(700)을 포함한다.
메인보드(100)는 하체 운동기구(1)의 기본틀이 되는 판재형상 부재로,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10)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10)은 운동부재(200)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운동부재(200)의 운동범위를 한정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100)의 양단부에 두 줄로, 또한 메인보드(100)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 다만, 가이드레일(110)은 메인보드(100)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한 줄로 제작될 수 있다(미도시).
운동부재(200)는 메인보드(10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제1 운동부재(210) 및 메인보드(100)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제2 운동부재(220)를 포함한다.
물론, 운동부재(200)는 하나의 부재로만 제작될 수 있으나, 하체 단련운동시의 안정적인 움직임 및 조립의 편의를 고려하여 제1 운동부재(210) 및 제2 운동부 재(220)로 나누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운동부재(200)를 나누어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운동부재(210)는 판재형상의 부재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1)를 포함하며, 제2 운동부재(220)는 판재형상의 부재로 제1 운동부재(210)의 돌출부(21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221)을 포함한다. 즉, 메인보드(100)의 가이드레일(110)을 사이에 두고 제1 운동부재(210)와 제2 운동부재(220)는 돌출부(211) 및 삽입홈(221)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하체 운동기구(1)의 사용시 일체로 움직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운동부재(220)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제1 고정판(223) 및 제2 고정판(225)을 더 포함한다.
제1 고정판(223)은 제2 탄성연결수단(720) 일단이 고정되는 부분이며, 제2 고정판(225)은 제1 탄성연결수단(710) 일단이 고정되는 부분으로, 각 탄성연결수단의 연결경로는 도 3의 롤러부(600)와 함께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는, 제1 운동부재(210) 일단에 제1 운동부재(200)와 수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하체 밀착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하체 밀착부재(400)는 판재형상의 부재로, 하체 운동기구(1)의 사용시 운동자의 하체 넓적다리 부분에 밀착하여 제1 운동부재(210)와 함께 움직이나, 하체 운동기구(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힌지를 이용하여 접음으로써 수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강도조절부재(500)는 태엽(510), 강도조절롤러(520), 태엽제어유닛(530), 강도표시부(540) 및 리셋버튼(550)을 포함한다.
강도조절부재(500)는 운동자의 능력에 따라 하체 운동기구(1)의 운동강도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갖춰진 부분으로, 메인보드(100) 상측부에 결합된다.
태엽(510) 및 강도조절롤러(520)는 일체로 결합되어 추후 손잡이 부재(533, 도 5 참조)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하체 운동기구(1)의 운동강도를 조정한다.
태엽제어유닛(530)은 일단부가 태엽(510)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밀착되어, 태엽(510)의 임의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 부재(533)는 반원형상의 제1 손잡이부재(534) 및 제2 손잡이부재(535)를 포함하며 상호 힌지 결합된다. 평상시 또는 하체 운동기구(1)를 사용한 운동시 손잡이 부재(5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메인보드(100)의 하측면에 결합된 상태로 마련되나, 태엽(510)을 회전하는 경우, 제1 손잡이부재(534) 및 제2 손잡이부재(535)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손으로 움켜쥘 수 있는 손잡이 부재(533)를 만들어 태엽(510)의 용이한 회전을 도모한다.
강도표시부(540)는 강도조절롤러(520) 상측부에 결합되어 하체 운동기구(1) 현재상태의 강도를 표시하거나 강도조절기(530)에 의한 변화된 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강도표시부(540)는 탄성연결수단(700)의 탄성강도를 측정하여 이를 엘씨디 화면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며, 운동자가 원하는 경우 강도를 초기상태(표시 숫자가 '0'인 상태 등)으로 리셋할 수 있도록 리셋버튼(550)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강도조절부재(500)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에 있어서 강도표시부(540) 및 리셋버튼(550)은 생략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를 반복 사용하는 경우, 탄성연결수단(700)의 신축 반복으로 탄성력이 약화 되므로, 강도조절부재(500)는 운동자가 원하는 양의 강도를 임의로 조절하게 할 수 있는 효과뿐만 아니라, 하체 운동기구(1)의 반복사용에 따른 탄성연결수단(700)의 노화에 대비하여 탄성력을 복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운동부재(200)와 결합되는 탄성연결수단(700)은 롤러부(600)에 의해 연결되며, 롤러부(600)는 메인보드(100)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 롤러(610), 제2 롤러(620) 및 제3 롤러(630)를 포함한다.
강도조절부재(500)의 강도조절롤러(520)와 일단이 연결된 탄성연결수단(700)은 제1 롤러(610), 제2 롤러(620) 및 제3 롤러(630)를 감싸며 연장되고, 다시 제2 운동부재(220)에 고정됨으로써 하체 운동기구(1)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롤러(610), 제2 롤러(620) 및 제3 롤러(630)를 감싸며 연장되는 탄성연결수단(700)의 연결형태를 알 수 있다.
즉, 탄성연결수단(700)은 그 일단부가 강도조절롤러(520) 일측면에 고정되고, 다시 제1 롤러(610)를 거쳐 제2 롤러(620)로 연장되며, 제2 롤러(620)에서 제3 롤러(630)로 연장된 후 제2 운동부재(220)에 고정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하체 운동기구(1)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준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탄성연결수단(700)은 메인보드(100)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정확한 대칭이 아니라 상호 뒤바뀐 형태에서의 대칭, 거울대칭) 제1 롤러(610), 제2 롤러(620) 및 제3 롤러(630)를 감싸고 다시 제2 운동부재(220)에 고정된다.
탄성연결수단(700)은 탄성을 가진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와이어 일부를 절개하여 스프링으로 대체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탄성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탄성연결수단(700)은 바람직하게는 2단으로 구성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제1 탄성연결수단(710) 및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탄성연결수단(72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탄성연결수단(710)은 그 일단부가 강도조절롤러(520)에 고정된 후 제1 롤러(610)로 연장되고, 제1 롤러(610)를 감싸고 연장되어 제2 롤러(620) 및 제3 롤러(630)를 지난 후, 제2 운동부재(220)에 마련된 제2 고정판(225) 상측에 그 타단부가 고정된다.
또한, 제2 탄성연결수단(720)은 그 일단부가 제2 운동부재(220)에 마련된 제1 고정판(223)에 고정되고, 제1 롤러(610), 제2 롤러(620) 및 제3 롤러(630)로 연장된 후 그 타단부가 메인보드(100) 반대측의 제2 고정판(225)에 고정된다.(전술한 탄성연결수단(700)의 고정경로는 도 1의 좌측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우측의 고정경로는 거울대칭을 이룸을 밝혀둔다.)
하체 운동기구(1)의 사용시, 탄성력을 발휘하는 주된 부분은 제1 탄성연결수단(710)으로, 제2 탄성연결수단(720)은 제1 탄성연결수단(710)의 탄성력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인바 임의로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하체 운동기구(1)의 사용시 제2 탄성연결수단(720)은 그 길이가 단축됨으로써 탄성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피복부재(730)를 더 포함하여 탄성력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부재(730)는 신축이 잘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이하에서는 하체 운동기구(1)의 구성에 관한 사항의 이해를 바탕으로 본 실시예의 하체 운동기구(1)를 사용한 운동과정을 상술하기로 한다.
하체 운동기구(1)를 사용하여 하체, 특히 괄약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제1 운동부재(210) 일단에 힌지 결합된 하체 밀착부재(400)를 제1 운동부재(210)와 직교하도록 펼치고, 다음으로 운동자의 넓적다리 안쪽을 하체 밀착부재(400)에, 운동자의 넓적다리 상측부를 제1 운동부재(210)밀착시킨 후, 소정의 고정수단(미도시, 끈 등)을 사용하여 운동자의 넓적다리와 제1 운동부재(210)를 고정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고정수단없이 운동자가 메인보드(100) 양측을 움켜쥠으로써 운동준비를 끝내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운동자가 힘을 가해 양다리를 안쪽으로 오무리는 운동을 하게되면, 이에 따라 제1 운동부재(210) 및 제1 운동부재(210)와 일체로 결합된 제2 운동부재(220)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메인보드(100)의 중앙부분으로 움직이게 되 며, 가이드레일(110) 끝단까지 제1 운동부재(210) 및 제2 운동부재(220)를 움직인 후 가해진 힘을 풀게 되면 탄성연결수단(700)의 탄성에 의해 제1 운동부재(210) 및 제2 운동부재(22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1 탄성연결수단(710)은 그 일단이 강도조절롤러(520)에 타단은 고정판(22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운동자의 운동시 힘을 강요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힘의 제거시 제1 운동부재(210) 및 제2 운동부재(220)를 원위치시킬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강도조절부재(500)의 강도표시부(540)는 탄성연결수단(700)의 현 탄성강도를 나타내게 되고, 필요에 따라 손잡이 부재(533)를 회전시킴으로써 손잡이 부재(533)와 결합된 태엽(510)의 회전으로 운동강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손잡이 부재(533)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태엽(510)을 회전시키면, 강도조절롤러(520)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탄성연결수단(700)이 더 팽팽하게 당겨짐으로써 운동강도가 강화되게 된다.
강화된 운동강도는 강도표시부(540)에 반영되어 시각적으로 제공되게 되며, 리셋버튼(550)을 누름으로써 강도표시를 원하는 최초상태(예컨대, '0')로 되돌릴 수 있다.
전술한 운동과정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운동자는 하체, 특히 괄약근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본 하체 운동기구(1)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지루하지 않게 하체단련운동을 반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도모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 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탄성연결수단이 연결되는 경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롤러부와 탄성연결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강도조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손잡이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체 운동기구 100 : 메인보드
110 : 가이드레일 200 : 운동부재
210 : 제1 운동부재 211 : 돌출부
220 : 제2 운동부재 221 : 삽입홈
223 : 제1 고정판 225 : 제2 고정판
400 : 하체 밀착부재 500 : 강도조절부재
510 : 태엽 520 : 강도조절롤러
530 : 태엽제어유닛 533 : 손잡이 부재
534 : 제1 손잡이부재 535 : 제2 손잡이부재
540 : 강도표시부 550 : 리셋버튼
600 : 롤러부 610 : 제1 롤러
620 : 제2 롤러 630 : 제3 롤러
700 : 탄성연결수단 710 : 제1 탄성연결수단
720 : 제2 탄성연결수단

Claims (9)

  1.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판재형상의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강도조절부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도록 상기 메인보드와 결합되는 한 쌍의 운동부재; 및
    상기 강도조절부재와 상기 운동부재에 양 단이 고정되며 상기 운동부재의 운동시 탄성을 갖도록 연결되는 탄성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재는,
    상기 메인보드의 하측면에 밀착되며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운동부재; 및
    상기 메인보드의 상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제2 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동부재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체 운동기구 이용시 상기 제1 운동부재와 직교하도록 펼쳐지는 한 쌍의 하체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조절부재는,
    상기 메인보드 상측부에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태엽;
    상기 태엽의 상측부에서 상기 태엽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탄성연결수단 일단부가 고정되는 강도조절롤러; 및
    상기 태엽의 임의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태엽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조절부재는,
    상기 태엽이 감긴 정도에 따라 운동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강도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조절부재는,
    상기 강도표시부를 초기값으로 리셋할 수 있는 리셋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조절부재는,
    상기 메인보드 하측면에서 상기 메인보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부재는 상기 태엽과 상호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 부재의 회전시 상기 태엽이 연동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강도조절롤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보드 양 측에 삼각형태로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를 거쳐 상기 제2 운동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수단은,
    높낮이를 달리하여 구성되는 제1 탄성연결수단 및 제2 탄성연결수단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KR1020080054388A 2008-06-10 2008-06-10 하체 운동기구 KR20090128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88A KR20090128295A (ko) 2008-06-10 2008-06-10 하체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88A KR20090128295A (ko) 2008-06-10 2008-06-10 하체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295A true KR20090128295A (ko) 2009-12-15

Family

ID=4168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388A KR20090128295A (ko) 2008-06-10 2008-06-10 하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82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23B1 (ko) * 2010-10-28 2013-04-09 차명신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160032486A (ko) * 2014-09-16 2016-03-24 정승명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23B1 (ko) * 2010-10-28 2013-04-09 차명신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160032486A (ko) * 2014-09-16 2016-03-24 정승명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5650A (en) Flat stomach machine
US20090098983A1 (en) Dual track exercise device
CN104324480B (zh) 多功能、多固定模式综合训练器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US20130130873A1 (en) Portable gymnic machine
US20210154515A1 (en) Gymnastics Swing Shape Trainer
US10406396B2 (en) Double ended exercise device
JP2008508928A (ja) シットアップボード
KR20090128295A (ko) 하체 운동기구
CN113069728B (zh) 一种健美操柔韧训练辅助装置
KR20170074669A (ko) 종합 유연성 트레이닝 및 측정기
George et al. Acute effect of whole-body vibration combined with stretching on bridge performance in artistic gymnasts.
US20110065553A1 (en) Body Mounted Muscular Brace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WO2018150710A1 (ja) 訓練用具および訓練用具を用いた訓練方法
RU2765935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азвития балетной выворотности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RU26784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зической тренировки людей
KR101668041B1 (ko) 괄약근 운동기구
CN102430233A (zh) 一种后扒技术性力量训练装置及方法
CN202410070U (zh) 一种后扒技术性力量训练装置
Massey The anatomy of Pilates
RU2784176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азвития продольного шпагата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RU61143U1 (ru) Скамья тренажера для ягодичной мышцы
JP6784469B1 (ja) 運動機能向上のためのバランストレーニング器具
CN208493095U (zh) 一种便携力矩式调重哑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