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041B1 - 괄약근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괄약근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041B1
KR101668041B1 KR1020140185004A KR20140185004A KR101668041B1 KR 101668041 B1 KR101668041 B1 KR 101668041B1 KR 1020140185004 A KR1020140185004 A KR 1020140185004A KR 20140185004 A KR20140185004 A KR 20140185004A KR 101668041 B1 KR101668041 B1 KR 10166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haft
sphincter
stato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250A (ko
Inventor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시온
한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시온, 한상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시온
Priority to KR102014018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041B1/ko
Priority to PCT/KR2015/013979 priority patent/WO2016099215A1/ko
Publication of KR20160075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Abstract

본 발명은 괄약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양 발을 안짱걸음 형태로 발판에 올려놓은 뒤 양발을 신체측으로 이동하면서 발뒷꿈치를 회전시켜 효과적인 괄약근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양 발을 회전시킬 때의 회전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괄약근 운동을 할 수 있는 괄약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 발이 놓이며 후방 하부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축(101)이 결합되고 중간부 영역에는 이동축(180)이 결합하는 발판(100); 일단이 상기 연결축(101)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판(15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운동자의 발 움직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140); 상기 발판(1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부재(140)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180)이 결합하는 장공(131)이 형성되는 하우징(130); 상기 회전부재(140)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부재(1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150); 상기 회전판(15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되, 벨트(111)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부하를 조절하는 부하조절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괄약근 운동기구{Sphincter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괄약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양 발을 안짱걸음 형태로 발판에 올려놓은 뒤 양발을 신체측으로 이동하면서 발뒷꿈치를 회전시켜 효과적인 괄약근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양 발을 회전시킬 때의 회전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괄약근 운동을 할 수 있는 괄약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과잉 영양으로 인한 하체비만이나 좌식문화 또는 운동부족 등의 원인에 의해 허벅지 안쪽 근육인 내전근(內轉筋)이 약화되어 휜다리, 골반틀어짐 등이 발생된다. 상기 휜다리와 골반틀어짐의 치료는 교정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현재 교정을 위한 클리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아울러, 노화 및 운동 부족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임신 및 출산에 의해 관상기관(항문 및 요도)을 에워싸고 배출을 조절하는 근육인 괄약근(括約筋)이 약화된다. 상기 괄약근의 기능저하는 운동할 때나 활동할 때 정상적인 괄약근의 수축 및 이완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요실금이나 변실금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내전근과 괄약근을 운동시키기 위해 각각 별도의 운동기구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내전근은 일반적으로 헬스클럽에 마련되어 양다리를 중앙에서 측면으로 밀거나 측면에서 중앙으로 모으는 운동기구에 의해 근육을 강화시키고 있으며, 괄약근은 발의 회전에 의해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비교적 장치가 간단하여 가정용으로 많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허등록 제10-0405954호에는 괄약근 운동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의 상부에 힌지회동되는 발판(2) 한 쌍을 결합시켜 사용자 발의 전방측을 회전축으로 하고 뒷꿈치를 좌우로 회동시켜 비틀림에 의한 괄약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도 실용신안등록 제20-0397823호의 괄약근 단련장치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 상부에 힌지회동되는 발판(4)을 구비시키고, 몸체부의 측면에는 회전력조절수단(5)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와 접촉정도를 조절하여 발판의 회전력정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내전근을 운동시키는 기구의 부피가 커서 가정용으로는 부적합하다. 또한, 괄약근 운동기구도 발뒤꿈치만 회동시켜 운동이 이루어짐으로 가정용 괄약근운동에는 적합하나 측면으로의 이동폭이 좁아서 내전근까지 운동시키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내전근과 괄약근을 운동시키기 위해서는 개별부위의 운동기기를 모두 구입해야 함으로 가정에서 운동하기에는 경제적인 요인과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운동기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10-405954호 등록실용신안 20-39782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양 발을 안짱걸음 형태로 발판에 올려놓은 뒤 발뒷꿈치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괄약근을 이완 및 수축시키면서 괄약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양 발을 회전시킬 때의 회전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괄약근 운동을 할 수 괄약근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 발이 놓이며 후방 하부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축(101)이 결합되고 중간부 영역에는 이동축(180)이 결합하는 발판(100); 일단이 상기 연결축(101)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판(15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운동자의 발 움직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140); 상기 발판(1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부재(140)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180)이 결합하는 장공(131)이 형성되는 하우징(130); 상기 회전부재(140)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부재(1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150); 상기 회전판(15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되, 벨트(111)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부하를 조절하는 부하조절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하조절부(120)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자(121); 상기 고정자(121)의 상단부와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자(121)가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축(122); 및 상기 고정자(121)의 각 하부 외측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13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지지축(124)에 결합되어 고정자(121)와 회전자(125)의 거리를 일정거리 유지시켜주는 탄성체(1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괄약근 운동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자(121)의 하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와이어(161); 상기 와이어(161)를 지지하는 제1 롤러(162); 상기 제1 롤러(162)를 통하여 인출되는 와이어(161)의 방향을 바꿔주는 제2 롤러(163); 및 하우징(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161)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조절버튼(16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하조절부(120)는 자석식 부하 장치, 제너레이터, 알터네이터, DC모터, 또는 전기를 이용한 자기부하장치 중의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하조절부(120)의 회전축(127)에는 일방향 클러치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하조절부(120)의 회전축(127)의 상부에 상기 벨트(111)를 포함하는 연결수단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에 의하면,
첫째, 양 발을 안짱걸음 형태로 발판에 올려놓은 뒤 양발을 모으면서 발뒷꿈치를 회전시켜 괄약근 운동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특히 양 발을 회전시킬 때의 회전력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효과적인 운동효과를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발을 회전함과 동시에 다리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일석이조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발판을 회전시킬 때 회전력의 강도를 조절하여 회전시킬 수 있어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괄약근을 반복적으로 수축 및 이완시켜 괄약근 약화로 인해 발행되는 요실금이나 변실금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운동 기구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이 간편하고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의 괄약근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자석을 이용한 부하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영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을 이용한 부하조절부의 모습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는, 양 발이 놓이며 후방 하부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축(101)이 결합되는 발판(100)이 구비된다. 상기 발판(100)은, 발의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의 판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판(100)은, 그 상부면에, 양 발끝을 모았을 때 내측의 각도가 70도~110가 되도록 하기 위한 발 삽입부(10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발뒷꿈치를 상기 발 삽입부(102)에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발뒷꿈치가 회전시 힘을 가하는 부분이므로 발뒷꿈치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발판(100)의 후방 하부에는 연결축(101)이 결합되고, 중간부 영역에는 이동축(180)이 결합되어 있다. 연결축(101)은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부재(140)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이동축(180)은 하우징(130) 상부에 형성된 장공(131)에 결합되어, 발판의 회전시 원활한 회전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판(1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축(101)에 연결된 회전부재(140)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발판(100)의 이동축(180)이 결합하는 장공(131)이 형성되는 하우징(130)이 구비된다. 장공(131)은 발판(100)의 회전운동시 운동자의 체중을 분산시키면서 발판(100)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발판(100)은 발판(100)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역할도 하게 되어, 장공(131)이 형성된 범위내에서 발판(100)은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회전부재(140)는 상기 발판(100)의 후방 하부에 연결된 회전축(101)에 결합되어 운동자의 발 움직임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회전부재(140)는 막대형상으로서, 일단은 회전축(101)과 결합하고, 타단은 회전판(15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판(1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결축(101)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된다. 즉, 발판(100)의 좌우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140)가 회전판(1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회전판(150)이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회전판(150)과 벨트(111)와 같은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부하조절부(120)가 하우징(130)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는 운동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자석을 이용한 부하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하조절부(120)는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부하조절부(120)는 벨트(111)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회전판(15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부하조절부(120)의 회전축(127)의 상부에는 벨트(111)와 같은 연결수단이 연결되고 회전축(127)의 하부에는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위치한다.
부하조절부(120)에 대하여 도 7 및 도 9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부하조절부(120)는, 중앙에 위치하는 회전축(127)을 중심으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자석으로 만든 한 쌍의 고정자(121)와, 상기 고정자(121)의 상단부와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자(121)가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축(122) 및 상기 고정자(121)의 각 하부 외측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13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지지축(124)에 결합되어 고정자(121)와 회전자(125)의 거리를 일정거리 유지시켜주는 탄성체(123)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123)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회전자(125)와 고정자(121)가 서로 반대극의 자성체이기 때문에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125) 및 고정자(121)는 서로 반대 극성이 마주보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상기 발판(100)을 회전시킬 시 서로 당겨지는 자력에 의해 발판(100)이 회전되는 강도가 세지거나 약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자(121)는, 상기 회전자(125)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부하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일단부가 상기 고정자(121)의 하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와이어(161)와, 상기 와이어(161)를 지지하는 제1 롤러(162)와, 상기 제1 롤러(162)를 통하여 인출되는 와이어(161)의 방향을 바꿔주는 제2 롤러(163) 및 하우징(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161)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조절버튼(164)이 설치된다.
한편, 회전축(127)에는 일방향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일 방향으로 회전시에만 부하가 걸리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무부하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즉, 발뒷꿈치를 모으는 방향으로 회전시에만 부하가 걸리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무부하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 조절버튼(164)을 하우징(130)의 가장자리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와이어(161)도 동시에 당겨지게 되므로 고정자(121)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자(121)와 회전자(125) 간의 간격도 멀어지게 되어 자력이 약해져 힘을 덜 들이고도 발판(100)을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양 조절버튼(164)을 하우징(130)의 중간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와이어(161)도 동시에 느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자(121) 간의 거리도 서로 멀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자(125)와 고정자(121) 간의 거리도 가까워지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자(125)와 고정자(121) 간의 자력도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발판(100)을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더 들게 되어 강도 높은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벨트(111)에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롤러(113)를 설치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30)의 전방 즉, 발판(100)의 전방에는 운동자가 서서 운동을 할 시 손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변형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변형예는 상기한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부하조절부(120)가 일측에만 구성되고, 각 회전부재(140)의 외주면에 벨트(126)를 X형태로 결속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일측의 발판(100)만 회전시키더라도 양 발판(100)은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운동의 강도는 일측에만 구성되는 부하조절부(120)를 통하여 조절하면서 괄약근 강화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운동자는 조절버튼(164)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부하가 걸리도록 조절을 한 상태에서, 발판(100)의 상부에 안짱걸음 형태로 발을 올려놓고 손잡이(170)를 파지하게 된다.
이후 발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즉, 발의 뒤꿈치가 서로 닿을 수 있도록 오므리는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이후, 발을 오므리면서 다리가 신체측으로 이동되도록 양 다리를 끌어당기게 되는데 이때 발판(100)의 하부에 결속되는 장공(131)을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괄약근 운동을 하는 것 외에 동시에 다리 운동까지 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부하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면 조절버튼(164)을 이용하여 회전자와 고정자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괄약근 운동기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발판
101 : 연결축
120 : 부하 조절부
130 : 하우징
140 : 회전부재
150 : 회전자
170 : 손잡이
180 : 이동축

Claims (6)

  1. 양 발이 놓이며 후방 하부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축(101)이 결합되고 중간부 영역에는 이동축(180)이 결합하는 발판(100);
    일단이 상기 연결축(101)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판(15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운동자의 발 움직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140);
    상기 발판(1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회전부재(140)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180)이 결합하는 장공(131)이 형성되는 하우징(130);
    상기 회전부재(140)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부재(1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150);
    상기 회전판(15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되, 벨트(111)를 포함하는 연결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부하를 조절하는 부하조절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조절부(120)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자(121);
    상기 고정자(121)의 상단부와 축결합되어 상기 고정자(121)가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회전축(122); 및
    상기 고정자(121)의 각 하부 외측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130)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는 지지축(124)에 결합되어 고정자(121)와 회전자(125)의 거리를 일정거리 유지시켜주는 탄성체(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괄약근 운동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자(121)의 하단부 각각에 결합되는 와이어(161);
    상기 와이어(161)를 지지하는 제1 롤러(162);
    상기 제1 롤러(162)를 통하여 인출되는 와이어(161)의 방향을 바꿔주는 제2 롤러(163); 및
    하우징(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161)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조절버튼(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조절부(120)의 회전축(127)에는 일방향 클러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기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조절부(120)의 회전축(127)의 상부에 상기 벨트(111)를 포함하는 연결수단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괄약근 운동기구.
KR1020140185004A 2014-12-19 2014-12-19 괄약근 운동기구 KR10166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004A KR101668041B1 (ko) 2014-12-19 2014-12-19 괄약근 운동기구
PCT/KR2015/013979 WO2016099215A1 (ko) 2014-12-19 2015-12-18 괄약근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004A KR101668041B1 (ko) 2014-12-19 2014-12-19 괄약근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250A KR20160075250A (ko) 2016-06-29
KR101668041B1 true KR101668041B1 (ko) 2016-10-20

Family

ID=5612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004A KR101668041B1 (ko) 2014-12-19 2014-12-19 괄약근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8041B1 (ko)
WO (1) WO2016099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153B1 (ko) * 2019-11-29 2021-06-10 김창성 둔근 강화용 운동기구
CN114470675B (zh) * 2022-01-12 2023-02-03 綦萍萍 一种智能控压型妇产科产后盆底肌康复锻炼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954B1 (ko) 2001-04-30 2003-11-20 박남영 괄약근 운동기구
KR200397823Y1 (ko) 2005-07-25 2005-10-07 김석몽 괄약근 단련장치
KR101162335B1 (ko) 2011-09-29 2012-07-04 김제영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337B1 (ko) * 1993-05-13 1997-04-15 김인섭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KR200261719Y1 (ko) * 2001-09-28 2002-01-24 박봉훈 더블 트위스트 판
KR200311333Y1 (ko) * 2003-01-16 2003-04-26 손종은 괄약근 운동기구
US7959544B2 (en) * 2009-01-29 2011-06-14 Palmer Dennis D Exercise device with resistance
KR101323261B1 (ko) * 2012-05-18 2013-10-30 김제영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954B1 (ko) 2001-04-30 2003-11-20 박남영 괄약근 운동기구
KR200397823Y1 (ko) 2005-07-25 2005-10-07 김석몽 괄약근 단련장치
KR101162335B1 (ko) 2011-09-29 2012-07-04 김제영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9215A1 (ko) 2016-06-23
KR20160075250A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135B1 (ko) 근육 운동 장치
FI126770B (fi) Kuntoutuslaite ja sen käyttö olkapään alueen harjoittamiseen
US7314431B1 (en) Vibrating device for stretching leg muscles
US20070197360A1 (en) Machine for improved curve and stretching device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KR101953236B1 (ko)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US8016731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JP2014528272A (ja) 内転筋及び括約筋強化複合運動器具
KR101730089B1 (ko) 괄약근 및 골반저근 운동기구
KR101668041B1 (ko) 괄약근 운동기구
KR20130032040A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CN103933706A (zh) 仰卧式引体向上装置
KR101162335B1 (ko)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KR101311947B1 (ko)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KR101323261B1 (ko)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복합운동기구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200384409Y1 (ko) 복근 운동기구
KR100582108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1239994B1 (ko) 운동기구
KR20160001422A (ko) 발끝 치기 기능을 구비하는 발 및 다리 운동기구
TWM301670U (en) Passive and constant-speed muscle-strength-training-instrument
KR200411261Y1 (ko)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KR200323368Y1 (ko) 복부 운동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