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337B1 -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337B1
KR970005337B1 KR1019930008174A KR930008174A KR970005337B1 KR 970005337 B1 KR970005337 B1 KR 970005337B1 KR 1019930008174 A KR1019930008174 A KR 1019930008174A KR 930008174 A KR930008174 A KR 930008174A KR 970005337 B1 KR970005337 B1 KR 97000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lower body
footrest
exercise
body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섭
Original Assignee
김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섭 filed Critical 김인섭
Priority to KR101993000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337B1/ko
Priority to JP09864094A priority patent/JP350993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337B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로서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운동기구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에서 발판 발뒤축부분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 발판의 발뒤축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2 : 기부판
3 : 발판 4 : 경사로
5 : 축수수용부 6 : 피보트연결구
7 : 롤러 8 : 축수
9 : 힌 10 : 벨트
11 : 벨트브레이크 12 : 노브
13 : 기어부재 14 : 키이
본 발명은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특히 둔부와 대퇴부의 둔근, 박근 및 내전근을 발달시키고 괄약근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중년의 남녀 성인은 하루하루를 과다한 업무와 복잡하고 긴장된 생활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규칙적인 운동을 할 수 없어 신체의 전반적인 근력악화가 초래된다.
또한, 생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성생활도, 그에 필요한 근력의 약화 및 그밖의 다른 심인성 요인들로 원만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생활의 활기를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
종래, 신체를 단련하기 위하여 달리기를 하고 실내에서는 바벨기구와 같은 운동기구를 사용하였으나, 이들 기구는 신체의 순발력, 지구력의 강화를 위한 것으로 직접적으로 성기능 향상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최근에 유행하는 에어로빅은 체조로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신체의 전체적인 유연성 및 근력의 강화에 도움이 되지만 성생활에 직접 필요한 근육의 근력강화에 직접적이며 효과적이지만는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성생활에 필요한 둔근, 박근, 내전근 및 괄약근의 근력강화를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착되어 배치된 2개의 축수수용부를 지닌 기부판과 상기 기부판 각각에 장착된 사용자용의 2개의 발판, 상기 발판이 각각 수평회전 및 수직방햐응로 피보트 가능하도록 각각의 발판을 기부판에 장착하는 피보트연결구 및 발판의 수평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2개의 발판을 연결하는 운동강도 조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1)는 기부판(2)과 그 상부면에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2개의 사용자 발판(3)을 포함한다. 기부판(2)은 가정용 체중계와 같은 정도의 크기로 될 수 있으며 전반부는 수평으로된 한편, 후반부에는 양쪽 측방에서 중심쪽으로 융기된 경사로(4)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편의상 덮개를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발판(3)은 그 전반부가 기부판(2)의 전반부에 고착된 원통형의 축수 수용부(5)에 결합되는 피보트연결구(6)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후반부는 즉 발뒤축부분은 기부판(2)의 경사로(4)에서 구름이동할 수 있는 롤러(7)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발판(3)의 내측에는 측부 지지판이 형성되어 두 발판을 모으는 동작시 발판(3)이 힘을 받게 한다.
상기 피보트연결구(6)는 축수부분(8)과 힌지(9)를 포함하며, 축수부분(8)은 기부판(2)의 축수수용부(5)에 끼워맞춰지거나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나사가 형성되어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나사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수단 없이도 발판(3)이 축수수용부(5)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아서 안전하다. 이로써, 발판(3)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자재하면서 동시에 힌지(9)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피보트될 수 있다
따라서, 발판(3)이 피보트회전할 때 발판(3)의 발뒤축부분이 기부판(2)의 경사로(4)상에서 이동하더라도 제4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듯이 발판이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으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자세가 안정된 상태로 운동 할 수 있다.
발판(3)의 정변선단에는 제1도와 2도에서 볼 수 있듯이 단부가 고정된 탄력있는 벨트(10)가 제공된다.
벨트(10)는 사용자가 발판(3)을 각각 외측방향으로(제1도 화살표 방향)회전시키는, 즉 발뒤축을 모으려 할때 그 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저항력을 제공하여 하체의 둔근, 대퇴근 및 괄약근에 힘이 들게 하고 이로써 운동이 된다.
벨트(10)의 저항력은 벨트브레이크(11)에 의해 조정가능하다. 즉, 노브(12)을 회전시켜 벨트(10)를 미리 눌러놓으면 발판(3)의 발뒤축부분을 모으도록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더 큰힘을 가해야 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더 큰 힘으로 양 발의 뒤축을 모아야 하므로 운동의 강도가 커진다. 사용자가 다리에 힘을 빼면 벨트(10)의 탄력에 의해 발판(3)은 원위치로 돌아온다.
상기 벨트(10)는 스프링이나 고무줄등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자재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두 발판(3) 각각의 축수부분(8)에는 키이(14)로 결합되는 기어부재(13)를 2개의 기어가 맞물리게 연결하여 발판의 움직임을 보다 부드럽고 서로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발판(3)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에 자압효과를 주도록 돌기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는 실내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조작이 용이하며, 직접적이고도 효과적으로 하체의 둔부와 대퇴부의 근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도 도면을 참고하여 사용자의 하체 근력강화운동과 운동기구의 각 요소들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발판(3)에 두발로 올라서 벌어진 양 발의 뒤축을 서로 모으는 동작을 취한다.
이때, 발앞쪽의 발판(3) 전반부는 피보트연결구(6)와 회전자재하게 결합된 지지지축(5)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발판의 후반부, 즉 발뒤축부분이 경사로(4)에서 구름이동하는 롤러(7)에 의해 경사로(4)를 따라 올라가며 이때 융기된 경사로(4)의 구조로 운동효과가 크게 증대된다.
이와같이 사용자가 발판(3)에 올라서서 벨트브레이크(11)로 설정된 벨트(10)의 장력 및 벨트(10) 자체의 탄력보다 더 큰 힘을 가하면서 두발의 뒤축을 모으는 동작을 취하면 하체의 둔부와 대퇴부의 근육 및 괄약근에 힘이 들어가게 되므로 발뒤축을 모으는 동작의 반복운동으로 둔근, 내전근, 박근 및 괄약근의 근력이 강화되어 결국 성생활에 필요한 근력이 강화되므로 성생활을 능동적으로 활기있게 영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판(3)이 운동중에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인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가 자세를 바르게 한 상태에서 안정되게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1)에서 피보트연결구(6), 벨트(10)및 벨트브레이크(11)의 구조는 도면에 예시된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발명사상내에서 동일기능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

Claims (3)

  1. 기부판과 발판을 지니는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이격되어 고착된 2개의 축수수용부(5)를 지니는 기부판(2), 기부판(2)에 이격되어 배치된 발판(3), 축수수용부(5)에 정착되어 발판(3)을 수평회전자재하고 수직방향으로 피보트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피보트연결구(6) 및 상기 발판(3)의 수평회전에 방해하는 방향으로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2개의 발판(3)에 연결된 운동강도조정수단(10,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판(2)에는 양측방에서 중심쪽으로 융기된 경사로(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보트연결구(6)는 기부판(2)의 축수수용부(50에 결합되는 축수부분(8)과 그 위에 형성된 힌지(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발판(3)은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재(15)로 연결되어 있으며, 운동강도 조정수단은 2개의 발판(3) 각각에 단부가 결합된 탄력있는 재질의 벨트(10)와 그에 장력을 미리 설정하는 벨트브레이크(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KR1019930008174A 1993-05-13 1993-05-13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KR97000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174A KR970005337B1 (ko) 1993-05-13 1993-05-13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JP09864094A JP3509930B2 (ja) 1993-05-13 1994-05-12 下半身筋力強化用運動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174A KR970005337B1 (ko) 1993-05-13 1993-05-13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337B1 true KR970005337B1 (ko) 1997-04-15

Family

ID=1935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174A KR970005337B1 (ko) 1993-05-13 1993-05-13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09930B2 (ko)
KR (1) KR970005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954B1 (ko) * 2001-04-30 2003-11-20 박남영 괄약근 운동기구
KR101668041B1 (ko) * 2014-12-19 2016-10-20 주식회사 메디시온 괄약근 운동기구
KR101668038B1 (ko) * 2015-01-16 2016-10-20 주식회사 메디시온 괄약근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67981A (ja) 1995-03-14
JP3509930B2 (ja) 200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1607B1 (en) Compact exercise device
US5577985A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5518473A (en) Exercise device
US5911649A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6709368B1 (en) Foot exercise device
US5284131A (en) Therapeutic exercise device for legs
US4998720A (en) Exercise device
US5330402A (en) Exercising device
KR100395514B1 (ko) 허리운동기구
US20040053757A1 (en) Hip exerciser
WO1990014865A1 (en) Exercise and toning apparatus
KR101953236B1 (ko)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US4678187A (en) Exercise device to support user's body
US20010011053A1 (en) Compact exercise device
KR970005337B1 (ko) 하체 근력강화용 운동기구
US3802700A (en) Therapeutic exercise skate
US5437588A (en) Multifunctional treadmill having a seat
CN111790097A (zh) 桌子及沙发用腿部运动器材
IL149678A (en) Exercising device for abdominal muscles
KR200334067Y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030058556A (ko) 요실금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골반근육 강화 운동기구
KR102382357B1 (ko) 케겔운동기구
KR200384409Y1 (ko) 복근 운동기구
CN111714837A (zh) 一种老年健身用多功能健身机构及其使用方法
KR101015992B1 (ko) 하지 재활용 자전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