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261Y1 -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261Y1
KR200411261Y1 KR2020050037017U KR20050037017U KR200411261Y1 KR 200411261 Y1 KR200411261 Y1 KR 200411261Y1 KR 2020050037017 U KR2020050037017 U KR 2020050037017U KR 20050037017 U KR20050037017 U KR 20050037017U KR 200411261 Y1 KR200411261 Y1 KR 200411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ulley
rope
tension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2020050037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고 후 재활 치료나 운동 선수들의 근력 강화 운동을 위하여 상부면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발뒤꿈치부를 안착 지지하는 받침부가 소정 넓이를 가지는 판 형상의 패드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을 고정 결속하기 위한 밴드의 좌우측 및 후방측에 연결된 로프를 포함하는 운동장력부가 상기 받침부 상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로프의 안내를 위한 풀리와,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풀리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프 단부를 축에 연결한 모터를 포함하는 가동부가 상기 밴드 좌우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로프의 장력이 증대됨에 따라 버티거나 당기는 등의 동작에 의하여 근육과 인대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드부, 받침부, 보조 받침부, 운동장력부, 가동부, 밴드, 고리, 장력, 풀리, 모터

Description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Physical training apparatus for muscles and ligament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받침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운동장력부와 가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패드부 20...받침부
21...안착홈 25...보조 받침부
30...운동장력부 31...밴드
33...고리 35...로프
40...가동부 41...풀리
43...모터 50...케이싱부
본 고안은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고 후 재활 치료나 운동 선수들의 근력 강화 운동을 위하여 밴드에 결속된 발로 상기 밴드와 모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모터 가동에 의하여 증대되는 로프의 장력을 이기는 버팀 동작 또는 당김 동작을 행함으로써 근육과 인대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프로 스포츠 선수는 크고 작은 부상에 상시 접하게 되며, 그 부상의 대부분은 급격한 방향 전환이나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요하는 동작으로 인한 근육 또는 인대 부위의 손상인 경우가 많다.
특히 프로 스포츠 선수 뿐 아니라 사고 등으로 근육과 인대의 손상이 있는 일반인 환자의 재활 치료 목적으로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부상 방지 또는 부상 후 재활 훈련의 목적으로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을 실시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발등 또는 발바닥 전방측에 탄성재질의 밴드를 걸어 상기 밴드를 발의 전후좌우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때, 선수는 상기 밴드의 당김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발을 움직이거나 상기 밴드의 당김 동작에 끌려가지 않도록 버티는 등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거나 빠른 재활을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동작들은 사용자 일개인이 실시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정확한 동작을 행하기 힘들기 때문에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 개인의 능력에 맞는 운동 강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매우 힘 든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일개인이 운동을 실시할 경우에는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운동을 행할 우려가 많으므로, 자세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오히려 근육 및 인대의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안정된 자세로 운동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장력 증대에 따른 버팀 또는 당김 동작을 사용자 각각의 운동 능력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여 행함으로써 근육 및 인대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 넓이를 가지는 판 형상의 패드부; 상기 패드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발뒤꿈치부를 안착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상부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발을 고정 결속하기 위한 밴드와, 상기 밴드 좌우측 및 후방측에 연결되어 발의 좌우측 또는 후방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로프로 이루어진 운동장력부; 및 상기 밴드 좌우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운동장력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가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부는 각각 좌우측 및 후방측으로 상기 운동장력부의 장력을 증대시키는 동작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밴드 좌우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프 를 안내하는 풀리와,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풀리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 단부가 축과 연결되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 상에는, 상기 받침부 전방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패드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방측에 각각 완·급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삼각대 형상의 보조 받침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 상에는, 전방측이 개방되고 좌우측 및 후방측이 밀폐되어 상기 풀리 및 모터의 엄폐를 위한 것으로, 내측면의 상부측에 풀리가 장착되고 상기 풀리 하부측에 모터가 장착되는 케이싱부가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는 크게, 패드부(10), 받침부(20), 운동장력부(30) 및 가동부(4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부(40)의 엄폐를 위한 케이싱부(50)가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패드부(10)는 사용자의 몸을 거치할 수 있는 정도의 넓이를 가지는 판 형상의 것이며, 몸을 거치하여 운동을 행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적절한 탄성을 지닌 것이 채택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부(20)는 탄성복원력과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뛰어난 고탄성 소 재로, 상기 패드부(10) 상에 벨크로 또는 단추 등의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뒤꿈치부를 안착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원 고안에 따른 상기 안착홈(21)의 형상은 부채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뒤꿈치부를 감싸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패드부(10) 상에는 상기 받침부(20) 전방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패드부(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방측에 완만한 경사로 된 경사면(27)과 후방측에 급한 경사로 된 경사면(29)을 각각 구비한 삼각대 형상의 보조 받침부(25)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받침부(25)는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상기 받침부(20)에 안착시킨 후 다양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그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패드부(10) 상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경사면(27, 29)에 각각 허벅지와 종아리를 안정적이고 바르게 거치하여 바른 자세로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받침부(25)의 각 경사면(27, 29)에는 허벅지 및 종아리를 밀착시켜 안정된 자세로 운동에 임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운동장력부(30)는 받침부(20) 상부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크게 밴드(31)와 로프(35)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발을 고정 결속하게 된다.
상기 밴드(31)는 사용자의 피부에 친화적이면서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로 제작된 띠 형상의 것을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형, 즉 발 크기에 따라 그 긴장도를 조정가능하도록 양 단부에 구비된 벨크로 또는 단추(미도시) 등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프(35)는 상기 밴드(31)의 좌우측 및 후방측에서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 좌우측 또는 후방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밴드(31) 좌우측 및 후방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33) 등과 같은 다양한 연결수단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로프(35)는 버팀 또는 당김 동작에 따른 운동 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탄성 소재의 것이 채택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로프(35)의 단부에는 손쉬운 교체와 함께, 상기 고리(33)와의 착탈 결합이 용이하도록 후크와 같은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동부(40)는 크게 풀리(41)와 모터(43)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43)와 연결된 로프(35)의 장력을 증대시키는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풀리(41)는 상기 밴드(31)의 좌우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어 모터(43)와 연결된 상기 로프(35)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31) 후방측의 풀리(41)는 상기 밴드(31)에 고정 결속된 사용자의 발이 버팀 또는 당김 동작을 행할 때 상기 밴드(3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밴드(31) 좌우측의 풀리(41)에 비하여 다소 낮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43)는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 가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풀리(41)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43)의 구동축 단부에는 고리(33)와 연결된 상기 로프(35)의 단부를 고정하여 권취하는 권취 풀리(41')가 부가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43)는 좌우측 및 후방측으로 상기 로프(35)의 장력을 증대시키는 회전 동작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로프(35)의 장력 증대에 따른 버팀 또는 당김 동작은 상기 로프(35)의 장력이 증대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수행되게 되므로, 상기 운동장력부(30) 좌우측 및 후방측에 각각 배치된 모터(43)는 각각 개별적으로 가동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터(43)는 그 구동축이 한 펄스 입력 당 소정 각도만큼 저속으로 회전하는 스텝 모터와 같은 것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원 고안에서는 상기 밴드(31) 후방측의 풀리(41)를 상기 밴드(31) 좌우측의 풀리(41)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장착하여 모터(43)의 구동축과 직접 연결된 상태, 즉 권취 풀리(41')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케이싱(5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상기 풀리(41) 및 권취 풀리(41')의 개수 및 위치를 적절히 변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드부(10) 상에는 상기 풀리(41) 및 모터(43)의 엄폐를 위하여 케이싱부(50)가 부가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케이싱부(50)는 전방측이 개방되고 좌우측 및 후방측이 밀폐되어 세 측 면이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구조로, 그 소재 및 형상은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목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소재를 사용하여 직선 또는 곡선이 주를 이루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풀리(41)는 케이싱부(50) 내측면의 상부측에 형성된 고정편(51)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43)는 상기 케이싱부(50)의 하부측, 즉 상기 풀리(41) 하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풀리(41)와 모터(43)를 외부로부터 엄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원 고안의 주요부인 받침부(20)의 자세한 구성을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a)는 받침부의 측단면 개념도를, 도 2(b)는 받침부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받침부(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의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자세히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바닥 후방측은 좁고, 전방측으로 갈수록 넓게 펴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목 후방측의 아킬레스건과 함께 발바닥 중앙, 즉 장심부에 이르는 발뒤꿈치부 전체를 폭넓게 감싸 지지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홈(21)의 형상이 부채꼴 형상인 것은 사용자가 발을 좌우측 및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며 운동할 때 상기 안착홈(21)에 발뒤꿈치가 폭넓게 안착 지지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자세 구현을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에 따른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의 작동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운동장력부와 가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 도 3은 운동장력부의 밴드 좌우측으로 가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 4는 운동장력부의 밴드 후방측으로 가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모터(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적인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의 조작으로 밴드(31) 우측의 모터(43)에 전원을 넣으면, 도 3(a)와 같이 상기 밴드(31)와 연결된 로프(35)는 풀리(41)의 안내를 받아 상기 모터(43)의 회전 동작으로 권취 풀리(41', 도 1 참고)에 권취되며, 이에 따른 상기 로프(35)의 장력(Fr)이 증대되기 시작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장력(Fr)이 발생되는 방향의 반대측으로 상기 장력(Fr)에 상응하는 힘(Ff)을 주어 버티는 동작, 즉 제자리를 유지하려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모터(43)가 계속 회전하여 상기 로프(35)의 장력(Fr)과 상기 장력(Fr)에 대항하는 사용자의 힘(Ff) 또한 최대치에 근접하게 되면, 리모트 콘트롤러의 조작으로 상기 모터(43)를 정지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모터(43)가 정지된 상태에서 밴드(31)에 결속된 발을 좌측으로 당기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발목 뿐 아니라 종아리와 무릎에 이르는 부위의 근육과 인대를 자극하여 강화하는 운동을 지속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 조작으로 상기 모터(43)를 역회전하여 밴드(31)와 로프(35)를 원위치시킴으로써 버팀 동작 또는 당김 동작에 의한 운동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상기 밴드(31) 좌측으로의 운동은 도 3(a)를 설명한 밴드(31) 우측으로의 운동과 동일한 순서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의 조작으로 밴드(31) 후방측의 모터(43)에 전원을 넣으면, 도 4와 같이 상기 밴드(31)와 연결된 로프(35)는 상기 모터(43)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상기 모터(43)의 구동축과 연결된 풀리(41)에 권취되며, 이에 따른 상기 로프(35)의 장력(Fr)이 증대되기 시작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장력(Fr)이 발생되는 방향의 반대측, 즉 사용자의 몸 쪽으로 상기 장력(Fr)에 상응하는 힘(Ff)을 주어 발을 버티는 동작, 즉 제자리를 유지하여는 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모터(43)가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프(35)의 장력(Fr)과 상기 장력(Fr)에 대항하는 사용자의 힘(Ff) 또한 최대치에 근접하게 되면, 리모트 콘 트롤러의 조작으로 상기 모터(43)를 정지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모터(43)가 정지된 상태에서 밴드(31)에 결속된 발을 발등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발목뿐 아니라 종아리와 무릎에 이르는 부위의 근육과 인대를 자극하여 강화하는 운동을 지속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모터(43)를 역회전하여 밴드(31)와 로프(35)를 원위치시킴으로써 버팀 동작 또는 당김 동작에 의한 운동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안정된 자세로 운동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장력 증대에 따른 버팀 또는 당김 동작을 사용자 각각의 운동 능력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여 행함으로써 근육 및 인대 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원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발과 다리뿐 아니라 손을 결속하여 손과 팔의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을 행할 수도 있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원 고안에 따른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모터 가동에 의하여 증대되는 로프의 장력에 버티는 동작이나 당기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근육 및 인대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므로 본 운동 실시전에 행하는 사전 운동의 목적은 물론, 운동 부상 또는 사고후 재활 치료 등 의료용 목적으로도 폭넓은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하여 회전 및 정지를 제어가능한 모터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의 능력에 맞게 운동 강도를 조절 가능하므로, 남녀노소 일반인은 물론 프로 스포츠 선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패드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 및 보조 받침부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게 신체를 안정적이고 올바르게 거치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자세 교정 및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측이 개방되고 좌우측 및 후방측이 밀폐된 케이싱부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발 또는 손 근육 및 인대의 미세한 움직임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함은 물론, 근육의 발달 상황도 체크하면서 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흥미 및 지속적인 운동 욕구 유발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소정 넓이를 가지는 판 형상의 패드부(10);
    상기 패드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안착홈(21)이 형성되어 발뒤꿈치부를 안착 지지하는 받침부(20);
    상기 받침부 상부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발을 고정 결속하기 위한 밴드(31)와, 상기 밴드 좌우측 및 후방측에 연결되어 발의 좌우측 또는 후방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로프(35)로 이루어진 운동장력부(30); 및
    상기 밴드 좌우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운동장력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가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부는 각각 좌우측 및 후방측으로 상기 운동장력부의 장력을 증대시키는 동작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40)는,
    상기 밴드(31) 좌우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안내하는 풀리(41)와,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풀리 하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 단부가 축과 연결되는 모터(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 상에는,
    상기 받침부(20) 전방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패드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방측에 각각 완·급경사진 경사면(27, 29)을 구비하는 삼각대 형상의 보조 받침부(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 상에는,
    전방측이 개방되고 좌우측 및 후방측이 밀폐되어 상기 풀리 및 모터의 엄폐를 위한 것으로, 내측면의 상부측에 풀리가 장착되고 상기 풀리 하부측에 모터가 장착되는 케이싱부(50)가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KR2020050037017U 2005-12-30 2005-12-30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KR200411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017U KR200411261Y1 (ko) 2005-12-30 2005-12-30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017U KR200411261Y1 (ko) 2005-12-30 2005-12-30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261Y1 true KR200411261Y1 (ko) 2006-03-10

Family

ID=4176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017U KR200411261Y1 (ko) 2005-12-30 2005-12-30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2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8193A (zh) * 2022-04-15 2022-07-22 孙成 一种踝关节康复训练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8193A (zh) * 2022-04-15 2022-07-22 孙成 一种踝关节康复训练设备
CN114768193B (zh) * 2022-04-15 2023-12-19 深圳依讯诺科技有限公司 一种踝关节康复训练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01784B1 (en) Portable therapeutic strengthen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resistance
US9814930B2 (en) Exercise apparatus
US6764431B2 (en) Swim machine
KR101445135B1 (ko) 근육 운동 장치
EP2407215B1 (en) Rowing machine exercise-assisting device
US5490823A (en) Water therapy and fitness device
ES2640581T3 (es) Dispositivo de entrenamiento
US20100204025A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KR101180093B1 (ko) 싸이클에서 나오는 동력을 활용하는 녹색 저탄소 안마 기구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US8328702B2 (en) Lower back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JP2021097757A (ja) ランニングシューズ、及びランニング補助システム
CN211659185U (zh) 一种健美操柔韧训练辅助装置
KR200411261Y1 (ko)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 장치
KR20210001936U (ko) 종아리 근육 강화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668041B1 (ko) 괄약근 운동기구
JP2010158506A (ja) 受動式健康器具
JPH08322893A (ja) サイクル運動器
JP2008237785A (ja) 重力負荷運動装置
JP2008237785A5 (ko)
KR101476989B1 (ko) 하체운동기구
KR101868334B1 (ko) 전신운동기구
JP2004181195A (ja) 走歩等室内訓練用運動器具
KR101015992B1 (ko) 하지 재활용 자전거 운동기구
JP2001178847A (ja) 足関節用運動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