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135B1 - 근육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근육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135B1
KR101445135B1 KR1020130006339A KR20130006339A KR101445135B1 KR 101445135 B1 KR101445135 B1 KR 101445135B1 KR 1020130006339 A KR1020130006339 A KR 1020130006339A KR 20130006339 A KR20130006339 A KR 20130006339A KR 101445135 B1 KR101445135 B1 KR 101445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center support
center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102A (ko
Inventor
이서원
Original Assignee
이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원 filed Critical 이서원
Priority to KR102013000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135B1/ko
Priority to CN201480005527.1A priority patent/CN104955533A/zh
Priority to EP17179721.0A priority patent/EP3257557A1/en
Priority to PCT/KR2014/000231 priority patent/WO2014112743A1/ko
Priority to US14/761,213 priority patent/US20150360071A1/en
Priority to JP2015552575A priority patent/JP6059823B2/ja
Priority to EP14740311.7A priority patent/EP2946815A4/en
Publication of KR2014009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135B1/ko
Priority to US15/597,599 priority patent/US2017024649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2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with surfaces rolling against each other without substantial slip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63B21/025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6Bars; Tubes;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made of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steel wool, intended to be compress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9Rotation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8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elbow joint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양측에 연결대들이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상부 지지봉, 양측에 연결대들이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부 지지봉, 상기 상부 지지봉의 연결대들과 상기 하부 지지봉의 연결대들이 체결되되 상기 상부 지지봉 및 상기 하부 지지봉이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상기 상부 지지봉 및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을 지원하는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근육 운동 장치{Apparatus For Excercise of Muscle}
본 발명은 근육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사용 형태에 따라 다양한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이용 가능한 근육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은 크게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 및 혼합운동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유산소 운동은 운동수행에 요구되는 대부분의 에너지공급을 유산소성 대사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 운동을 말한다. 무산소 운동은 유산소 운동과는 반대로 산소의 이용 없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운동을 말한다. 혼합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이 혼합된 운동을 말한다.
유산소 운동은 걷기, 단전호흡, 에어로빅, 조깅, 마라톤, 수영, 싸이클, 등산과 같이 강도가 낮고, 오랜 시간동안 운동이 이루어지며, 율동성이 강한 운동으로서 심폐기능을 강화시켜서 젊음을 유지하고, 노화를 지연시키며, 지방을 에너지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만을 치료하는 데 적합한 운동이다. 무산소 운동은 중량(weight)운동, 잠수, 투척, 역도나 단거리(100m) 달리기처럼 단시간에 큰 힘을 내는 운동으로서 근력, 근지구력이 향상(민첩성, 유연성)되며, 심박수가 상당히 높아지고 운동 강도가 높으며 근육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에너지 생성 과정에서 젖산(=피로물질)이 많이 쌓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산소 운동, 무산소 운동 및 혼합운동은 각각의 특징이 있기 때문에 어떤 운동은 나쁘고 어떤 운동은 좋은 운동이라고 할 수 없다. 단지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운동을 혼합하여 실시하거나 혼합운동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현대인에게 운동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각종 운동기구가 제공되고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각종 운동기구는 특정 부위의 근육을 발달시키거나 풀어주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운동기구의 경우 올바른 자세를 통한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신체에 무리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오히려 척추나 근육에 역효과가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가 따른다.
또한, 종래 운동기구의 경우 신체의 국부적인 근육의 단련이 이루어짐으로서 편향된 운동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러닝머신과 같이 전신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별도의 모터를 이용한 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품의 구입에 따른 비용뿐만 아니라 제품을 이용하는데에도 추가적인 비용 예컨대 전기 사용료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런닝 머신 및 벤치 프레스와 같은 기구는 각각 별도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운동 기구들의 구입비용을 많이 지불해야 되고, 또한 기구들의 크기가 크고 일정지지 기반이 요구되기 때문에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설치에 제한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유산소 운동 및 무산소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어느 한가지의 운동을 하기에만 적합하도록 제작된다. 이에 따라 종래 운동 기구들은 어느 한 부위의 근육이나 장기를 단련하기 위한 운동에만 적합하고 여러 종류의 근육이나 장기를 단련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운동 기구를 구매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운동 기구들은 고가의 구입비용과 설치장소를 요구하며, 휴대성이 나쁜 단점이 있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등록 제3172793호(2011.12.1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에 제한이 없으면 다양한 운동 부위를 사용자 목적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육 운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한 구조의 채용으로서 제작이 용이하며 배치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지원하는 근육 운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연결대들이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상부 지지봉, 양측에 연결대들이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부 지지봉, 상기 상부 지지봉의 연결대들과 상기 하부 지지봉의 연결대들이 체결되되 상기 상부 지지봉 및 상기 하부 지지봉이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상기 상부 지지봉 및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을 지원하는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지지봉은 상기 중심 지지대의 일단에 체결되는 제1 상부 연결대, 상기 중심 지지대의 타단에 체결되는 제2 상부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봉은 상기 중심 지지대의 일단에 체결되는 제1 하부 연결대, 상기 중심 지지대의 타단에 체결되는 제2 하부 연결대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 지지대는 상기 상부 지지봉 및 상기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 수행 시 상기 휨 동작 수행에 따른 상기 지지봉들의 위치 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 지지대는 롤링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표면은 엠보싱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봉 및 상기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는 롤링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는 상기 지지봉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중심 지지대까지 굴곡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대는 상기 지지봉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신장되는 신장부, 상기 신장부에서 상기 중심 지지대까지 굴곡진 굴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 지지대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판형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근육 운동 장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양 끝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들, 상기 연결부들과 일정 각도를 가지며 끝단에서 신장되는 신장부들, 상기 신장부들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중심 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보조 기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육 운동 장치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지지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되 탄성에 의해 제1 손잡이의 구부러짐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1 관절 상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되 일정 탄성에 따라 원래의 위치 복귀를 지원하는 제1 관절 하부, 상기 제1 관절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심 지지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여 제1 보조 장치와,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손잡이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되 탄성에 의해 제2 손잡이의 구부러짐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2 관절 상부,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되 일정 탄성에 따라 원래의 위치 복귀를 지원하는 제2 관절 하부, 상기 제2 관절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중심 지지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제2 보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측에 제1 상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1 상부 지지봉, 일측에 제1 하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1 하부 지지봉, 일측에 상기 제1 상부 지지봉의 제1 상부 연결대와 상기 제1 하부 지지봉의 제1 하부 연결대가 체결되되 상기 제1 상부 지지봉 및 상기 제1 하부 지지봉이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1 상부 지지봉 및 제1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을 지원하는 제1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 근육 운동 장치는 타측에 제2 상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2 상부 지지봉, 타측에 제2 하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2 하부 지지봉, 타측에 상기 제2 상부 지지봉의 제2 상부 연결대와 상기 제2 하부 지지봉의 제2 하부 연결대가 체결되되 상기 제2 상부 지지봉 및 상기 제2 하부 지지봉이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2 상부 지지봉 및 제2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을 지원하는 제2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는 별도의 근육 운동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별도의 근육 운동 장치는 상기 제1 상부 연결대와 상기 제2 상부 연결대 및 상기 제1 하부 연결대와 상기 제2 하부 연결대가 서로 대면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근육 운동 장치는 타측에 제2 상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2 상부 지지봉, 타측에 제2 하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2 하부 지지봉, 타측에 상기 제2 상부 지지봉의 제2 상부 연결대와 상기 제2 하부 지지봉의 제2 하부 연결대가 체결되되 상기 제2 상부 지지봉 및 상기 제2 하부 지지봉이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2 상부 지지봉 및 제2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을 지원하는 제2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는 별도의 근육 운동 장치와, 상기 제1 상부 지지봉과 제2 상부 지지봉, 상기 제1 하부 지지봉과 상기 제2 하부 지지봉, 상기 제1 중심 지지대와 상기 제2 중심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쌍을 연결하는 결합 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지지봉 양단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대들을 포함하는 제1 모듈, 하부 지지봉과 상기 하부 지지봉 양단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대들들을 포함하는 제2 모듈, 상기 상부 연결대들과 상기 하부 연결대들의 끝단에 체결하는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대들 및 상기 하부 연결대들은 끝단이 상호 마주보며 체결되도록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 지지대는 상기 단차부들이 결합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연결대의 단차부에는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중심 지지대를 축으로 일정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회전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링이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연결대의 단차부는 상기 중심 지지대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홀, 상기 핀홀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상부 연결대의 단차부에 배치된 상기 텐션링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결합핀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연결대는 상기 핀홀의 개방부를 덮는 핀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연결대의 단차부는 상기 결합핀이 관통하는 중심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연결대의 회전을 지원하는 베어링, 상기 텐션링 삽입을 지원하는 삽입홀이 배치된다.
상기 텐션링은 외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 상기 외곽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 지지대에 배치되는 결합 너트와 체결되는 링 나사산, 상기 결합핀이 삽입 체결되는 핀 삽입홀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연결대는 삽입홀의 내벽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에 체결되는 레일 돌기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서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 기구 구매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다양한 근육 발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는 별도의 설치 공간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 없이 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는 간단한 구조의 채용으로서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대량 생산과 판매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의 운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를 이용한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를 이용한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의 또 다른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와 제1 보조 기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와 제1 보조 기구 장치를 이용한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와 제2 보조 기구 장치 및 그의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에 채용되는 텐션링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텐션링 채용 구조를 가지는 근육 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의 운동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중심 지지대(200), 중심 지지대(200)의 양단과 결합되어 하부 지지봉 운동을 수행하는 제1 모듈(100), 중심 지지대(200)의 양단과 제1 모듈(100)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되되 제1 모듈(100)이 일정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제2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며,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상호 간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휨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이 제공되어 원래의 위치로 환원되도록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중심 지지대(200)를 신체의 일정 부분 중 지지가 가능한 관절 부분에 배치하고,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제1 모듈(100) 또는 제2 모듈(300)을 일정 방향으로 휨 운동함으로써 근력 발달을 위한 운동량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고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ㄷ"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운동 수행자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 내측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신체의 일부를 용이하게 삽입 배치하고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휨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지지대(200)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이루는 사잇각이 줄어드는 방향으로의 제1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사잇각이 증가하는 방향으로의 제2 탄성력을 동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운동 수행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근력 발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1 모듈(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봉(130), 상부 지지봉(130)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2 상부 연결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지지봉(130)은 원통형의 일정 길이를 가지는 관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상부 지지봉(130)은 운동 수행자의 운동 과정에서 근육이나 피부 등에 물리적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부 지지봉(130)이 상술한 원통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상부 지지봉(130)은 길이 방향으로 타원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단부, 하단부 및 중단부 등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봉(130)의 표면은 마사지 효과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반구형 돌기들이 마련되거나 요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봉(130)은 내부 중심봉과, 내부 중심봉을 감싸는 외부 원통의 구조로 마련된 후, 외부 원통이 내부 중심봉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내부 중심봉과 외부 원통 사이에 베어링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제1 상부 연결대(110)는 일측이 상부 지지봉(130)의 양측 단부 중 일 단부와 체결되며, 타측이 중심 지지대(200)의 일 단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제1 상부 연결대(110)는 상부 지지봉(130)을 중심 지지대(20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상부 연결대(110)는 상부 지지봉(130)의 일 단부 및 중심 지지대(200)의 일 단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부 연결대(120)는 제1 상부 연결대(11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부 지지봉(130)의 일단부 및 중심 지지대(200)의 일단부 사이에 체결된다. 제2 상부 연결대(120)는 제1 상부 연결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상부 연결대(120)는 상부 지지봉(130)을 지지하면서 운동 수행자로부터 발생한 물리력이 상부 지지봉(130)에 전달되는 경우 해당 물리력을 중심 지지대(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상부 지지봉(130),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2 상부 연결대(120)는 일정 강성을 유지하여 운동 수행자의 근력 운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특정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 또는 일정 강성 제공이 가능한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모듈(100)은 철, 알루미늄, 구리나 그 외 기타 합금, 목재, 플라스틱 등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각 부위에 따라 다른 재질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2 상부 연결대(120)는 금속 재질이 채용될 수 있으며, 상부 지지봉(130)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거부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또는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나, 카본, 폴리머 재질 등이 적용되거나 또는 케이스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듈(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봉(330), 하부 지지봉(330)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제1 하부 연결대(310) 및 제2 하부 연결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지지봉(330)은 앞서 설명한 제1 모듈(100)의 상부 지지봉(130)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제1 하부 연결대(310) 및 제2 하부 연결대(320)는 상술한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2 하부 연결대(320)와 동일한 재질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모듈(300)은 중심 지지대(20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제1 모듈(100)과 각도를 가지며 배치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모듈(300)은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심 지지대(200)는 양 단부가 제1 모듈(100)의 연결대들 및 제2 모듈(300)의 연결대들과 체결된다. 이때 중심 지지대(200)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일정 방향으로 휨 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함께 중심 지지대(200)는 휨 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중심 지지대(200)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초기에 이루는 사잇각이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심 지지대(200)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최초 가진 사잇각을 가지도록 하는 방향 예컨대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현재 형성하고 있는 사잇각을 감소시키는 방향 또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현재 형성하고 있는 사잇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중심 지지대(200)는 도시된 도면에서 원통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중심 지지대(200)는 적어도 하나의 용수철이 조합된 형상,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 조합된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판스프링이 감겨진 판 루프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중심 지지대(200)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의 휨 동작을 원복 시킬 수 있는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심 지지대(200)는 상술한 탄성 부재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탄성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신체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탄성 부재들을 감싸는 별도의 구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심 지지대(200)는 상술한 다양한 구성들 즉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사전 설계된 일정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일정 물리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부재들과, 탄성 부재를 감싸는 일정 형상의 통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들이 운동 수행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지원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로는 실리콘, 고무, 발포 고무, 라텍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에서는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모두 휨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중심 지지대(200)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 지지대(200)는 제1 모듈(100)과 별도의 휨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지지대(200)는 제1 모듈(100)과 "ㅁ"형상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지지대(200)와 추가 체결되는 제2 모듈(300)만이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일정 각도로 휨 동작을 수행하도록 체결되며, 휨 동작 수행 시 동작되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추가로 중심 지지대(200)가 판스프링이 롤링된 태엽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운동 수행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공되는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심 지지대(200)는 탄성력의 크기 조절을 위한 레벨 조절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레벨 조절기(50)를 이용하여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중심 지지대(200)가 제공하는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벨 조절기(50)는 중심 지지대(200)에 마련되는 탄성 부재들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위치 예컨대 중심 지지대(200)의 양측단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중심 지지대(200)가 별도의 탄성력을 제공하지 않고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이 직접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근육 운동 장치(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중심 지지대(200) 일측에 제1 모듈(100)을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부를 마련하며, 또한 제2 모듈(300)을 고정할 수 있는 제2 고정부를 마련할 수 있다. 이때 근육 운동 장치(10)에 포함되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은 각각 탄성력을 가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1 모듈(100)의 구성 중 제1 상부 연결대(110)와 제2 상부 연결대(120)는 중심 지지대(200)에 체결되는 부위를 가압에 따라 휘어지고 그에 대응하여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부재들 예컨대 판스프링이나 용수철 형상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동일한 형상으로 제2 모듈(300)의 구성 중 제1 하부 연결대(310)와 제2 하부 연결대(320)가 중심 지지대(200)와 체결되는 부위가 판스프링이나 용수철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중심 지지대(200)는 별도의 탄성력 제공을 수행하지 않고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300)이 최초 배치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대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모듈(100)을 제2 모듈(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제1 모듈(100)을 제2 모듈(30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근육 운동 장치(10)는 연결대들에 형성된 탄성 부재들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10)는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일정 사잇각을 가지며 배치되며, 운동 수행자의 가압에 대항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수행자의 근력 운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30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이 일어나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300)의 사잇각이 감소되도록 배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도 2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중심 지지대(200)에 마련된 탄성 부재들 또는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의 연결대들에 마련된 탄성 부재들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형태를 복원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운동 수행자의 근육에 일정 물리력이 제공되면 이에 따라 운동 수행자의 근육 강화 또는 발달이 발생하도록 지원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상술한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를 이용한 운동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를 이용하는 운동 수행자(1)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를 신체의 특정 부위에 배치하고, 구부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운동 수행자(1)는 301 상태도에서와 같이 제1 모듈(100)의 상부 지지봉(130)을 앞 가슴에 배치하며, 중심 지지대(200)를 허리에 위치시키며, 제2 모듈(300)의 하부 지지봉(330)을 허벅지에 배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운동 수행자(1)는 제1 모듈(100)과 중심 지지대(200)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관통부를 관통하여 제2 모듈(300)과 중심 지지대(200) 사이에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관통부를 관통하도록 신체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 수행자(1)의 키나 몸의 크기 등에 따라 근육 운동 장치(10)의 위치가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에서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은 길이 변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듈(100)의 제1 상부 연결대(110)와 제2 상부 연결대(120) 및 제2 모듈(300)의 제1 하부 연결대(310)와 제2 하부 연결대(320)는 모두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추가로 상부 지지봉(130)과 하부 지지봉(330) 및 중심 지지대(200) 역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들은 각각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트 너트 형상을 채용하거나, 추가적인 보조물을 더 마련할 수 있다.
한편 301 상태도에서와 같이 근육 운동 장치(10)를 배치한 후, 운동 수행자(1)는 303 상태도에서와 같이 전방에서 지면을 향하여 구부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운동 수행자(1)는 등근육과 복근, 허벅지 근육과 대퇴부 근육 등을 강화시킬 수 있다. 특히 근육 운동 장치(10)는 등근육 중 기립근과 할배근 및 복근에 운동량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허리 디스크 등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무릎을 일정 각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상체 구부림 동작을 수행할 경우 운동 수행자(1)는 허리를 보호하면서 복근과 등근육 등의 집중적인 발달을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운동 수행자(1)는 401 상태도 및 403 상태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 중 제1 모듈(100)을 등 쪽에 배치하고, 중심 지지대(200)를 복부에 배치하며, 제2 모듈(300)을 허벅지 뒤쪽에 배치하도록 신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형태를 수행할 경우,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운동 수행자(1)가 전방에서 지면 방향으로 구부림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중심 지지대(200)가 복부를 직접적으로 가압하면서 등 근육 중 상부 근육들을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복부의 집중적인 운동뿐만 아니라 복부를 직접 마사지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복부에 뭉쳐진 지방들의 분산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극적인 효과 제공을 위하여 근육 운동 장치(10)는 중심 지지대(200)의 표면이 엠보싱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지지대(200)는 운동 수행자(1)의 구부림 동작 수행 동안 운동 수행자(1)의 피부 등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롤링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엠보싱 처리된 중심 지지대(200)의 표면이 운동 수행자(1)의 구부림 동작 동안 부드럽게 복부를 마사지하면서 복부 근육에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복부 운동 효과를 배가시키도록 지원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운동 수행자(1)는 501 상태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 중 제1 모듈(100)을 허벅지 상부에 배치하고, 중심 지지대(200)를 구부려진 무릎 관절 뒤편에 배치하며, 제2 모듈(300)을 발목의 전방에 배치하도록 신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운동 수행자(1)는 503 상태도에서와 같이 구부린 무릎 관절을 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300)은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직하방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운동 수행자(1)는 허벅지 근육과 종아리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운동 수행자(1)는 초기 601 상태도에서와 같이 근육 운동 장치(10) 중 제1 모듈(100)을 허벅지 뒤편에 배치하고, 중심 지지대(200)를 무릎과 허벅지가 만나는 경계 영역에 배치하며, 제2 모듈(300)을 아킬레스건이 위치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신체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 수행자(1)는 603 상태도에서와 같이 무릎을 일정 각도로 구부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근육 운동 장치(10)는 운동 수행자(1)의 무릎이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운동 수행자(1)는 종아리 근육과 허벅지 근육의 발달을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운동 수행자(1)는 의자 등에 착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를 서로 결합할 경우 앞서 도 1 등에서 설명한 근육 운동 장치와 동일한 형상과 운동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를 통합한 구성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근육 운동 장치(10)와 동일한 명칭과 도면 번호를 할당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는 단순히 도 1 등에서 설명한 근육 운동 장치를 분리 형태로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운동 수행자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10) 및 그의 운동 방법, 기타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운동 장치(20) 또는 제2 운동 장치(30)만으로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독립된 구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두 개의 구성 모두를 이용하여 운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먼저, 제1 운동 장치(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심 지지대(210), 제1 상부 지지봉(131), 제1 상부 연결대(110), 제1 하부 지지봉(331), 제1 하부 연결대(31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운동 장치(20)는 제1 중심 지지대(210)의 일단부에 제1 상부 연결대(110)의 일측이 휨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또한 제1 중심 지지대(210)의 동일한 단부에 제1 하부 연결대(310)의 일측이 휨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운동 장치(20)는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 중 적어도 하나가 휨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상부 지지봉(131)의 일단은 제1 상부 연결대(110) 중 제1 중심 지지대(210)와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 타단과 체결된다. 이러한 제1 상부 지지봉(131)은 제1 상부 연결대(110)와 고정 체결되거나 또는 롤링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봉(131)의 타단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상부 지지봉(131)의 타단은 제2 운동 장치(30)와의 연결을 위하여 일정 구조물 예컨대 너트 구조물이나 볼트 구조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상부 지지봉(131)뿐만 아니라 제1 하부 지지봉(331), 후술하는 제2 상부 지지봉(132) 및 제2 하부 지지봉(332) 역시 롤링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봉들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지지봉들은 롤링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중심 지지대(210)는 일단에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가 동시에 결합되며, 타단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제1 중심 지지대(210)의 타단 역시 제2 운동 장치(30)의 제2 중심 지지대(220)와의 체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구조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제1 중심 지지대(210)는 원통형으로 나타내었으나 다른 형상으로도 제작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중심 지지대(210)는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들이 휨 동작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거나 그 자체가 탄성 부재로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가 가압된 물리력에 대항하여 직접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1 중심 지지대(210)는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가 원래의 배치 구조를 가지도록 지지대 역할만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중심 지지대(210)는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 각각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가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제1 중심 지지대(210)가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를 각각 고정 체결하는 경우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가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안 각각의 연결대의 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중심 지지대(210)가 직접적으로 연결된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를 지지하는 경우 연결대들의 힘 동작 동안연결대들의 축을 고정하는 역할과 함께 연결대들의 결합 지점을 받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중심 지지대(210)의 구조는 앞서 도 1 등에서 설명한 근육 운동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2 운동 장치(30)는 제2 중심 지지대(220), 제2 상부 지지봉(132), 제2 상부 연결대(120), 제2 하부 지지봉(332), 제2 하부 연결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운동 장치(30)는 제1 운동 장치(20)와 방향성이 다르게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운동 장치(30)는 회전 방향을 조절할 경우 제1 운동 장치(20)와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운동 장치(30)는 제1 운동 장치(20)와 독립적으로 별도의 운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거나 또는 제1 운동 장치(20)와 함께 동시 운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제2 운동 장치(30)는 제1 운동 장치(2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동 수행자(1)의 양팔 운동, 양다리 운동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제1 운동 장치(20)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운동 장치(30)는 제1 운동 장치(20)와 결합되어 도 3 내지 도 6 등에서 설명한 운동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운동 장치(30)의 일단에는 제1 운동 장치(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상부 지지봉(132)의 일단 중 제2 상부 연결대(120)와 결합되지 않은 부위에 제1 상부 지지봉(131)과의 결합을 위하여 볼트 구조물 또는 너트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 하부 지지봉(332)의 일단 중 제2 하부 연결대(320)와 결합되지 않은 부분에는 제1 하부 지지봉(331)과 결합을 위하여 볼트 구조물 또는 너트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중심 지지대(220)의 끝단부에도 제1 중심 지지대(2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운동 장치(20) 또는 제2 운동 장치(30)를 이용한 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운동 장치(30)를 기준으로 운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운동 수행자(1)는 801 상태도에서와 같이 엎드린 자세에서 또는 서있는 자세에서 제2 운동 장치(30)의 구성 중 제2 상부 지지봉(132)을 힙에 배치하고, 제2 중심 지지대(220)를 허벅지와 무릎의 경계 영역에 배치하며, 제2 하부 지지봉(332)을 발목 뒤편에 배치하도록 신체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 수행자(1)는 803 상태도에서와 같이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을 위한 물리력 행사를 수행한다. 그러면 제2 운동 장치(30)는 무릎이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운동 수행자(1)의 근육에 일정 물리력에 제공함으로써 근력 강화 운동이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운동 수행자(1)는 제2 운동 장치(30)를 대신하여 제1 운동 장치(20)를 착용할 수 있으나, 운동을 수행하지 않는 반대편 다리와 운동 장치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봉과 중심대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부위가 신체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운동 장치를 선택하거나 운동 장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운동 수행자(1)는 상술한 운동을 통하여 양 다리 중 특정 다리의 대퇴부 근육과 종아리 근육 및 인대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운동 수행자(1)는 901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정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제2 운동 장치(30) 중 제2 상부 지지봉(132)을 허벅지 상부에 배치하고, 제2 중심 지지대(220)를 구부려진 무릎의 뒤편에 배치하며, 제2 하부 지지봉(332)을 발목의 전방부에 배치하도록 신체 동작 또는 운동 장치 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운동 수행자(1)는 903 상태도에서와 같이 제2 운동 장치(30)를 착용한 다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펴는 상태로 동작함으로써 다리 근력 강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운동 수행자(1)는 양팔을 의자의 팔걸이 등을 파지함으로써 몸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 수행자(1)는 제2 운동 장치(30) 또는 제1 운동 장치(20)를 이용하여 근력 강화가 필요한 특정 다리만의 근력 강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운동 수행자(1)는 1001 상태도에서와 같이 팔을 편 상태에서 제2 운동 장치(30)의 제2 상부 지지봉(132)을 상박 이두박근 위치에 배치하고, 제2 중심 지지대(220)를 상박과 하박을 연결하는 팔 관절의 인접된 영역에 배치하며, 제2 하부 지지봉(332)을 팔목의 일단에 배치하도록 신체 동작이나 장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운동 수행자(1)는 1003 상태도에서와 같이 편 상태의 팔을 구부림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제2 운동 장치(30)에 물리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운동 장치(30)는 운동 수행자(1)의 운동 방향과 상반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팔의 근력 강화를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운동 장치(30)는 운동 수행자(1)의 이두박근 등 팔 관절과 관계된 근력을 강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운동 수행자(1)는 1101 상태도에서와 같이 팔을 구부린 상태에서 제2 운동 장치(30)의 제2 상부 지지봉(132)을 상박 삼두박근 위치에 배치하고, 제2 중심 지지대(220)를 구부려진 팔 관절 내측에 배치하며, 제2 하부 지지봉(332)은 팔목에 배치하거나 손으로 파지하도록 신체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 수행자(1)는 1103 상태도에서와 같이 구부려진 팔 관절을 펴도록 근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 수행자(1)의 팔은 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2 운동 장치(30)는 펴지 팔을 다시 구부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동 수행자(1)는 운동 방식 예컨대 팔의 편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제2 운동 장치(30)를 이용하여 근력 중 근지구력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탄성력 또는 인장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레벨 조절기를 마련함으로써 운동 강도를 조절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는 운동 수행자의 희망에 따라 제1 운동 장치(20)와 제2 운동 장치(30)의 운동 강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운동 강도의 차등적 배분은 근력이 차등적으로 발달한 운동 수행자 또는 근력에 파손이 발생하거나 운동 범위에 제한을 받거나 재활이 필요한 부분적 근력을 가지는 운동 수행자에 보다 최적화된 운동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2 운동 장치(30)만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운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운동 수행자(1)의 희망에 따라 제1 운동 장치(20)와 제2 운동 장치(30)를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운동 수행자(1)는 제1 운동 장치(20)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팔 운동 중 왼팔 운동을 수행함과 아울러 제2 운동 장치(30)를 이용하여 오른팔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운동 수행자(1)는 제1 운동 장치(20)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다리 운동 중 왼쪽 다리 운동을 수행함과 아울러 제2 운동 장치(30)를 이용하여 오른쪽 다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수행자(1)는 제1 운동 장치(20)를 이용하여 양팔 중 어느 하나의 팔 운동을 수행하면서 제2 운동 장치(30)를 이용하여 양다리 중 어느 하나의 다리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의 다양한 결합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를 서로 결합하되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1 결합 구조물(401)을 이용하여 제1 중심 지지대(210)와 제2 중심 지지대(220)만을 체결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상부 지지봉(131)과 제2 상부 지지봉(132)이 제1 결합 구조물(401)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하부 지지봉(331)과 제2 하부 지지봉(332)이 제1 결합 구조물(401)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결합 구조물(401)은 제1 중심 지지대(210)의 직경 및 제2 중심 지지대(2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 구조물(401)의 내측에는 너트 형상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중심 지지대(210) 및 제2 중심 지지대(220)의 끝단에는 볼트 형상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중심 지지대(210) 및 제2 중심 지지대(220)의 끝단은 제1 결합 구조물(401)의 내측에 형성된 너트와 결합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상부 지지봉(131)과 제2 상부 지지봉(132) 사이의 개방부 및 제1 하부 지지봉(331)과 제2 하부 지지봉(332) 사이의 개방부를 제공함으로써 운동 수행자의 장치 착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개방부들을 가지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운동 완료 후 개방부들을 통하여 운동 장치의 착용 상태 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 구조물을 가지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상부 지지봉(131)과 제2 상부 지지봉(132) 및 제1 하부 지지봉(331) 및 제2 하부 지지봉(332)들에 별도의 결합 구조물 마련을 수행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들이 마련된 위치가 서로 대면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연결대들, 지지봉들, 중심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결합 구조물 예컨대 볼트/너트 구조물, 후크 구조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육 운동 장치(10)는 연결대들의 결합을 위해서 상술한 구조물 이외에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은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2 상부 연결대(120) 또는 제1 하부 연결대(310) 및 제2 하부 연결대(320)의 두께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연결대들이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대들의 폭 방향으로 삽입되어 연결대들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운동 장치(20) 및 제2 운동 장치(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들이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되되 제2 결합 구조물(402)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배치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결합 구조물(402)은 제1 중심 지지대(210)의 일측과 제2 중심 지지대(220)의 일측과 결합할 수 있는 일정 형태 예컨대 스프링 볼이 원통의 표면에 다수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중심 지지대(210)의 중앙 및 제2 중심 지지대(220)의 중앙에는 제2 결합 구조물(402)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나 홈이 마련되며, 홀이나 홈 내면에는 스프링 볼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음각된 볼 홈이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볼은 직하방 가압이나 측면 가압에 의하여 볼이 눌려진 후, 가압이 해제되면 돌출되는 볼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프링 볼은 상술한 홀이나 홈에 내측에 마련된 볼 홈에 삽입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물리력이 발생하기 전까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제2 결합 구조물(402)은 제1 중심 지지대(210)와 제2 중심 지지대(220)를 고정 결합하되, 제1 상부 연결대(110), 제2 상부 연결대(120), 제1 하부 연결대(310), 제2 하부 연결대(320)들이 휨 동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연결대들이 서로 다른 시점에 각각 동작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운동 수행자의 다양한 운동 방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운동 수행자는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상부 지지봉(131)을 이용한 한 팔 운동과, 제2 상부 연결대(120) 및 제2 상부 지지봉(132)을 이용한 다른 팔 운동을 각각 다른 시점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동 수행자는 제1 하부 연결대(310) 및 제1 하부 지지봉(331)을 이용한 한쪽 다리 운동과, 제2 하부 연결대(320) 및 제2 하부 지지봉(332)을 이용한 다른 쪽 다리 운동을 각각 다른 시점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2 결합 구조물(402)이 제1 중심 지지대(210)와 제2 중심 지지대(220)들을 상호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결합 구조물(402)은 제1 상부 지지봉(131)과 제2 상부 지지봉(13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상부 지지봉(131)과 제2 상부 지지봉(132)을 고정 체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제2 결합 구조물(402)은 제1 하부 지지봉(331)과 제2 하부 지지봉(33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하부 지지봉(331)과 제2 하부 지지봉(332)을 고정 체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운동 장치(20)와 제2 운동 장치(30)의 운동 시점을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운동 수행자(1)는 제1 운동 장치(20)를 이용한 운동 및 제2 운동 장치(30)를 이용한 운동을 교번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운동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봉(130)과 상부 지지봉(130)의 양측 끝단에 연결되며 일정 크기로 마련된 중심 지지대(200) 방향으로 굴곡된 제1 굴곡 상부 연결대(111) 및 제2 굴곡 상부 연결대(121)를 가지는 제1 모듈(100), 제1 모듈(100)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며 중심 지지대(200)에 제1 굴곡 하부 연결대(311) 및 제2 굴곡 하부 연결대(321)를 가지는 제2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굴곡진 연결대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신장부와, 신장부의 끝단에서 중심 지지대(200)의 일측까지 굴곡진 형태로 마련되는 굴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봉이 일정 간격 이격된 제1 상부 지지봉(131) 및 제2 상부 지지봉(132)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 지지봉이 일정 간격 이격된 제1 하부 지지봉(331) 및 제2 하부 지지봉(332)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300) 및 중심 지지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제1 모듈(100)은 상부 지지봉(130)과 제1 상부 굴곡부(112) 및 제2 상부 굴곡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듈(300)은 하부 지지봉(330)과 제1 하부 굴곡부(312) 및 제2 하부 굴곡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부 굴곡부(112)와 제2 상부 굴곡부(122)는 각각 상부 지지봉(130)과 중심 지지대(200)를 연결하되 제2 모듈(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굴곡부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들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모듈(100)은 상부 지지봉(130)과 중심 지지대(200)를 연결하는 제1 굴곡부(113) 및 제2 굴곡부(123)를 포함하며, 제2 모듈(300)은 하부 지지봉(330)과 중심 지지대(200)를 연결하는 제3 굴곡부(313) 및 제4 굴곡부(3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굴곡부(113) 및 제2 굴곡부(123)는 각각 하부 지지봉(330)이 배치된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 중 굴곡부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1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지지대가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판형 중심 지지대 201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근육 운동 장치(10) 중 제1 모듈 101은 판형 중심 지지대 201의 일단의 양 끝 모서리에 연결되며, 제2 모듈 301은 판형 중심 지지대 201의 타단 양 끝 모서리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모듈 101 및 제2 모듈 201을 각각 판형 중심 지지대 201의 중심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일정 운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와 결합될 수 있는 보조 기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1 보조 기구 장치(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530), 제1 손잡이 지지부(510) 및 제2 손잡이 지지부(520)를 포함한다. 제1 손잡이 지지부(510) 및 제2 손잡이 지지부(520)는 손잡이부(530)의 양 끝에 손잡이부(530)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511) 및 제2 연결부(521), 제1 연결부(511)와 일정 각도를 가지며 제1 연결부(511)의 끝단에서 신장되는 제1 신장부(512), 제2 연결부(521)와 일정 각도를 가지며 제2 연결부(521)의 끝단에서 신장되는 제2 신장부(522), 제1 신장부(512)의 끝단에서 제1 신장부(512)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제1 돌출부(513), 제2 신장부(522)의 끝단에서 제2 신장부(522)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제2 돌출부(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513)는 중심 지지대(200)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며, 제2 돌출부(523)는 중심 지지대(200)의 타단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특히 제1 돌출부(513) 및 제2 돌출부(523)는 제1 보조 기구 장치(500)가 일정 방향으로 휨 동작 가능하도록 중심 지지대(200)에 체결될 수 있다. 중심 지지대(200)의 중심 홈에는 제1 보조 기구 장치(500) 삽입 시 제1 모듈(100) 또는 제2 모듈(300)과 일정 각도를 가지며 배치되도록 일정 패턴의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513) 및 제2 돌출부(523)의 끝단은 중심 지지대(200)의 중심 홈에 마련된 패턴 홈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와 제1 보조 기구 장치(500)를 이용한 운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운동 수행자(1)는 제1 모듈(100)을 앞 가슴 쪽에 배치하고, 중심 지지대(200)를 허리 부근에 배치하며, 제2 모듈(300)을 허벅지 상부 또는 종아리 전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보조 기구 장치(500)는 운동 수행자(1)에 의하여 파지되고 일정 방향 예컨대 전면에서 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에서 전면 방향으로 휨 동작할 수 있다. 운동 수행자(1)는 근육 운동 장치(10)를 신체에 착용하여 지지하며 제1 보조 기구 장치(500)를 이용하여 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와 결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보조 기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보조 기구 장치(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지지대(200)의 일단에 체결되는 제1 보조 장치(610) 및 중심 지지대(200)의 타단에 체결되는 제2 보조 장치(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보조 장치(610)는 제1 손잡이(611), 제1 지지부(613), 제1 상부 관절(612), 제1 하부 관절(614) 및 제1 결합부(6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손잡이(611)는 일정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며, 운동 수행자의 파지가 가능한 길이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부 관절(612)은 제1 손잡이(611)와 제1 지지부(613)를 연결하며, 제1 손잡이(611)가 일정 방향으로 구부려지도록 지원한다. 이때 제1 상부 관절(612)은 스프링 장치와 같이 탄성력 제공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어 제1 손잡이(611)가 일정 방향으로 구부려진 이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지원한다.
제1 하부 관절(614)은 제1 지지부(613)와 제1 결합부(615)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결합부(615)를 축으로 제1 지지부(613)가 일정 방향으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1 하부 관절(614) 역시 탄성력이 제공되는 재질로 마련되어 제1 지지부(613)가 일정 방향으로 구부려지는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보조 장치(620)는 제2 손잡이(621), 제2 지지부(623), 제2 관절 상부(622), 제2 관절 하부(624) 및 제2 결합부(6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보조 장치(620)는 실질적으로 제1 보조 장치(610)와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제1 보조 장치(610)와 마주보는 형태로 중심 지지대(200)에 체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보조 기구 장치(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수행자가 제1 손잡이(611) 및 제2 손잡이(621)를 파지한 상태에서 몸 안쪽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운동 수행자는 근육 운동 장치(10)의 제1 모듈(100)을 다리 쪽에 착용하며, 중심 지지대(200)를 복부 쪽에 배치하고, 제2 모듈(300)을 허리 쪽에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 수행자는 앉아 있는 자세로 운동을 시작할 수 있으며, 제2 보조 기구 장치(600)를 몸 안쪽으로 당기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노 젖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보조 기구 장치(600)는 관절부들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노 젖기 동작이 실질적인 일정 근력을 운용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10)는 단순한 구조를 기반으로 다양한 운동 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신체의 다양한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수행을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분리와 결합을 통하여 운동 방식을 보다 다양화하거나 또는 필요한 부분의 근육 운동만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4는 근육 운동 장치(10) 구성 중 제1 모듈(100)과 제2 모듈(300) 및 중심 지지대(200)들 간의 연결 관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5는 도 24의 절단선 A-Aㅇ를 직하방으로 적용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모듈(100) 중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2 모듈(300) 중 제1 하부 연결대(310) 간의 연결 관계를 대표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연결대(110)와 제1 하부 연결대(310)가 서로 맞물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며, 제1 상부 연결대(110) 일측에 중심 지지대(200)와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마련된 텐션링(700)이 배치된다.
특히 제1 하부 연결대(310)의 단차부 영역에는 단차부를 관통하는 핀홀(34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부 연결대(310)에 마련된 핀홀(340)에는 결합핀(230)이 삽입되며, 추가로 결합핀(230)이 핀홀(340)에 삽입된 이후 결합핀(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핀커버(2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결합핀(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연결대(310)에 형성된 핀홀(340)을 관통하여 제1 상부 연결대(110)의 일측에 배치된 베어링(114)을 관통하며 추가로 텐션링(700)에 형성된 관통부와 체결된다. 이때 결합핀(230)은 제1 하부 연결대(310)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텐션링(700)을 회전시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형태의 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부 연결대(110)의 단차부 영역에는 제1 하부 연결대(310)의 핀홀(340)이 배치된 영역과 마주보는 영역에 핀홀(340)과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어링(114)이 배치된다. 여기서 베어링(114)의 두께는 제1 상부 연결대(110)의 단차부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어링(114)과 연장된 단차부 영역에는 텐션링(7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삽입홀에는 제1 상부 연결대(110)의 단차부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레일 돌기가 마련되며, 이 레일돌기들에는 텐션링(700)에 형성된 레일홈이 삽입되어 텐션링(700)의 외곽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심 지지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끝단에는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지지대(200)의 끝단에는 결합 너트(403)가 마련된다. 결합 너트(403)는 중심 지지대(200)의 끝단과 텐션링(700)의 끝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베어링(114)과 텐션링(700)이 분리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상부 연결대(110)에 베어링(114)과 텐션링(700)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부가 마련되며 베어링(114)과 텐션링(700)이 일체형으로 마련된 후 해당 관통부에 삽입 고정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하부 연결대(310)가 제1 상부 연결대(110)와 트위스트 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텐션링(700)이 회전하여 제1 하부 연결대(310)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제1 상부 연결대(110)가 제1 하부 연결대(310)와 트위스트 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베어링(114)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텐션링(700)의 탄성력이 압축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10)는 제1 상부 연결대(110) 및 제1 하부 연결대(310)가 중심 지지대(200)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면 텐션링(700)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며, 이 복원력은 근육의 운동량을 증대시켜 근력 강화를 지원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텐션링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텐션링(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연결대(110)에 마련된 관통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외곽부(701), 외곽부(701) 내측에 마련되어 결합핀(230)이 삽입 고정된 후 결합핀(23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부(703)를 포함한다. 외곽부(701)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709)이 마련되며, 이 레일홈(709)은 제1 상부 연결대(110)의 관통부에 텐션링(700)이 삽입되는 경우 관통부에 마련된 레일돌기들과 체결된다. 외곽부(701)의 상단에는 상술한 레일홈(709)이 일정 부분이 마련되며 외곽부(701)의 하단은 중심 지지대(200)의 결합 너트(403)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링 나사산(711)이 마련된다.
한편 텐션링(700)의 내부에는 탄성 구조물(707)이 배치되어 중심부(703)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텐션이 작용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중심부(703)의 중앙에는 결합핀(23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핀 삽입홀(705)이 마련된다. 외곽부(701)와 중심부(703) 사이에는 중심부(703)가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 구조물(707)은 일단은 중심부(703)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곽부(701)에 연결되어 중심부(703)와 외곽부(701)의 서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에 따라 발생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탄성 구조물(707)로는 스파이럴, 압축, 신장, 토션, 고무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근육 운동 장치 설명을 위한 일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육 운동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텐션링(700)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상부 연결대(110)의 단차부 영역에는 베어링(114)과 연이어 형성된 관통부를 연장하여 텐션링(7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링 삽입관(115)이 마련될 수 있다. 링 삽입관(115)의 끝단에는 결합 너트(403)와 체결을 위한 관 나사산(116)이 마련되며, 링 삽입관(115) 내측에는 텐션링(700)에 마련된 레일홈(709)과 체결될 수 있는 레일 돌기(117)들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부 연결대(310)의 단차 영역에는 결합핀(230)이 삽입될 수 있는 핀홀이 마련되며, 결합핀(230)은 핀홀에 삽입되어 링 삽입관(115) 중심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핀커버(240)는 결합핀(230)이 제1 하부 연결대(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삽입관(115)에는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텐션링(700)이 복수개가 삽입될 수 있으며, 텐션링(700) 삽입 이후 결합 너트(403) 및 중심 지지대(200)가 링 삽입관(115)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텐션링(700)은 각각이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보다 많은 개수의 텐션링(700)이 제공되는 경우 보다 큰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면 그에 따른 운동량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 강도 조절을 위하여 텐션링(70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텐션링(700)의 개수 조절을 통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텐션링(700)에 구비된 탄성 구조물의 탄성계수의 조절을 통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텐션링(700)의 교체를 통하여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육 운동 장치 구조 중 제1 상부 연결대(110)와 제2 모듈(300) 및 중심 지지대(200)의 연결 부위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9는 제1 상부 연결대(110)와 텐션링(7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상부 연결대(110)의 끝단과 제1 하부 연결대(310)의 끝단은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부 연결대(310)의 원반 중심부에는 결합핀(230)이 삽입되는 핀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핀(230)은 제1 하부 연결대(310)의 원반을 지나 제1 상부 연결대(110)의 원반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1 상부 연결대(110)의 원반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링(7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18)이 마련된다. 삽입홀(118)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일 돌기(119)들이 배치된다. 이 레일 돌기(199)들은 텐션링(700)에 형성된 레일홈(709)과 체결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상부 연결대(110)의 원반 중심부에는 결합핀(230)이 관통하는 중심부를 가지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베어링은 제외되고 텐션링(700) 만이 원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제1 하부 연결대(310)가 결합핀(230)을 통하여 텐션링(700)에 체결되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제1 상부 연결대(110)의 회전 운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텐션링(700)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근육 운동 장치
100 : 제1 모듈
200 : 중심 지지대
300 : 제2 모듈
401, 402 : 결합 구조물
500, 600 : 보조 기구 장치

Claims (29)

  1. 양측에 연결대들이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상부 지지봉;
    양측에 연결대들이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하부 지지봉;
    상기 상부 지지봉의 연결대들과 상기 하부 지지봉의 연결대들이 체결되되 상기 상부 지지봉 및 상기 하부 지지봉이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상기 상부 지지봉 및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을 지원하며, 롤링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중심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봉은
    상기 중심 지지대의 일단에 체결되는 제1 상부 연결대;
    상기 중심 지지대의 타단에 체결되는 제2 상부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봉은
    상기 중심 지지대의 일단에 체결되는 제1 하부 연결대;
    상기 중심 지지대의 타단에 체결되는 제2 하부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지지대는
    상기 상부 지지봉 및 상기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 수행 시 상기 휨 동작 수행에 따른 상기 지지봉들의 위치 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지지대의 표면은 엠보싱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봉 및 상기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는
    롤링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지지봉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중심 지지대까지 굴곡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지지봉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신장되는 신장부;
    상기 신장부에서 상기 중심 지지대까지 굴곡진 굴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지지대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판형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양 끝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들, 상기 연결부들과 일정 각도를 가지며 끝단에서 신장되는 신장부들, 상기 신장부들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중심 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보조 기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지지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되 탄성에 의해 제1 손잡이의 구부러짐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1 관절 상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되 일정 탄성에 따라 원래의 위치 복귀를 지원하는 제1 관절 하부, 상기 제1 관절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심 지지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여 제1 보조 장치;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손잡이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되 탄성에 의해 제2 손잡이의 구부러짐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2 관절 상부,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되 일정 탄성에 따라 원래의 위치 복귀를 지원하는 제2 관절 하부, 상기 제2 관절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중심 지지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제2 보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2. 일측에 제1 상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1 상부 지지봉;
    일측에 제1 하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1 하부 지지봉;
    일측에 상기 제1 상부 지지봉의 제1 상부 연결대와 상기 제1 하부 지지봉의 제1 하부 연결대가 체결되되 상기 제1 상부 지지봉 및 상기 제1 하부 지지봉이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1 상부 지지봉 및 제1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을 지원하는 제1 중심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타측에 제2 상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2 상부 지지봉, 타측에 제2 하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2 하부 지지봉, 타측에 상기 제2 상부 지지봉의 제2 상부 연결대와 상기 제2 하부 지지봉의 제2 하부 연결대가 체결되되 상기 제2 상부 지지봉 및 상기 제2 하부 지지봉이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2 상부 지지봉 및 제2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을 지원하는 제2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는 별도의 근육 운동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별도의 근육 운동 장치는 상기 제1 상부 연결대와 상기 제2 상부 연결대 및 상기 제1 하부 연결대와 상기 제2 하부 연결대가 서로 대면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타측에 제2 상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2 상부 지지봉, 타측에 제2 하부 연결대가 배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제2 하부 지지봉, 타측에 상기 제2 상부 지지봉의 제2 상부 연결대와 상기 제2 하부 지지봉의 제2 하부 연결대가 체결되되 상기 제2 상부 지지봉 및 상기 제2 하부 지지봉이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체결되며 상기 제2 상부 지지봉 및 제2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을 지원하는 제2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는 별도의 근육 운동 장치;
    상기 제1 상부 지지봉과 제2 상부 지지봉, 상기 제1 하부 지지봉과 상기 제2 하부 지지봉, 상기 제1 중심 지지대와 상기 제2 중심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쌍을 연결하는 결합 구조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지지대는
    상기 상부 지지봉 및 상기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의 휨 동작 수행 시 상기 휨 동작 수행에 따른 상기 지지봉들의 위치 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지지대는
    롤링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지지대의 표면은 엠보싱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봉 및 상기 하부 지지봉 중 적어도 하나는
    롤링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지지봉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중심 지지대까지 굴곡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지지봉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신장되는 신장부;
    상기 신장부에서 상기 중심 지지대까지 굴곡진 굴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지지대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판형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양 끝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들, 상기 연결부들과 일정 각도를 가지며 끝단에서 신장되는 신장부들, 상기 신장부들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중심 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보조 기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지지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되 탄성에 의해 제1 손잡이의 구부러짐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1 관절 상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되 일정 탄성에 따라 원래의 위치 복귀를 지원하는 제1 관절 하부, 상기 제1 관절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중심 지지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여 제1 보조 장치;
    제2 손잡이, 상기 제2 손잡이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손잡이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되 탄성에 의해 제2 손잡이의 구부러짐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제2 관절 상부,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되 일정 탄성에 따라 원래의 위치 복귀를 지원하는 제2 관절 하부, 상기 제2 관절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중심 지지대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제2 보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4. 상부 지지봉과 상기 상부 지지봉 양단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대들을 포함하는 제1 모듈;
    하부 지지봉과 상기 하부 지지봉 양단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대들들을 포함하는 제2 모듈;
    상기 상부 연결대들과 상기 하부 연결대들의 끝단에 체결하는 중심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연결대들 및 상기 하부 연결대들은 끝단이 상호 마주보며 체결되도록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심 지지대는 상기 단차부들이 결합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연결대의 단차부에는 상기 제1 모듈 및 상기 제2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중심 지지대를 축으로 일정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회전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링이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대의 단차부에는
    상기 중심 지지대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홀;
    상기 핀홀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상부 연결대의 단차부에 배치된 상기 텐션링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결합핀;
    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대의 단차부에는
    상기 핀홀의 개방부를 덮는 핀커버;
    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대의 단차부에는
    상기 결합핀이 관통하는 중심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연결대의 회전을 지원하는 베어링;
    상기 텐션링 삽입을 지원하는 삽입홀;
    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링은
    외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레일홈;
    상기 외곽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 지지대에 배치되는 결합 너트와 체결되는 링 나사산;
    상기 결합핀이 삽입 체결되는 핀 삽입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대에 형성되는 삽입홀의 내벽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에 체결되는 레일 돌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운동 장치.
KR1020130006339A 2013-01-21 2013-01-21 근육 운동 장치 KR10144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339A KR101445135B1 (ko) 2013-01-21 2013-01-21 근육 운동 장치
CN201480005527.1A CN104955533A (zh) 2013-01-21 2014-01-09 肌肉锻炼器材
EP17179721.0A EP3257557A1 (en) 2013-01-21 2014-01-09 Muscular exercise equipment
PCT/KR2014/000231 WO2014112743A1 (ko) 2013-01-21 2014-01-09 근육 운동 장치
US14/761,213 US20150360071A1 (en) 2013-01-21 2014-01-09 Muscular exercise equipment
JP2015552575A JP6059823B2 (ja) 2013-01-21 2014-01-09 筋肉運動装置
EP14740311.7A EP2946815A4 (en) 2013-01-21 2014-01-09 Muscular exercise equipment
US15/597,599 US20170246493A1 (en) 2013-01-21 2017-05-17 Muscular exercis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339A KR101445135B1 (ko) 2013-01-21 2013-01-21 근육 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102A KR20140094102A (ko) 2014-07-30
KR101445135B1 true KR101445135B1 (ko) 2014-10-01

Family

ID=5120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339A KR101445135B1 (ko) 2013-01-21 2013-01-21 근육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50360071A1 (ko)
EP (2) EP3257557A1 (ko)
JP (1) JP6059823B2 (ko)
KR (1) KR101445135B1 (ko)
CN (1) CN104955533A (ko)
WO (1) WO20141127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500A (ko) 2015-02-17 2016-08-25 이서원 근력 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35B1 (ko) 2013-01-21 2014-10-01 이서원 근육 운동 장치
DE202013104026U1 (de) * 2013-09-06 2014-12-08 New Balls Training Concepts Gmbh Therapie- und Trainingsgerät
US20150258368A1 (en) * 2013-12-20 2015-09-17 Arrowhead Medical Recources, LLC Method and Portable Apparatus, With Adjustable Resistance, for Exercising The Upper Extremities
FI125023B (fi) * 2014-04-28 2015-04-30 Omavalmentaja Kajaani Oy Kuntoilurullaväline irrotettavasti kiinnitettävin tuin
KR200474966Y1 (ko) * 2014-08-19 2014-10-27 임형빈 전신운동기구
CN107019880B (zh) * 2017-05-31 2019-04-19 新昌县羽林街道伟玉机械厂 一种膝盖韧性训练装置
CN106984009B (zh) * 2017-05-31 2019-04-26 新昌县羽林街道巨晖机械厂 一种推压式膝盖韧性训练装置
USD913386S1 (en) * 2017-08-04 2021-03-16 Ennevor Channer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CN107854810B (zh) * 2017-11-13 2023-08-01 天津工业大学 一种简易肌肉锻炼器械
US10220251B2 (en) * 2018-02-22 2019-03-05 Robert F. Cullison Portable back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WM566597U (zh) * 2018-04-02 2018-09-11 鄧哲農 Multifunctional bending training device
JP1656446S (ko) * 2019-03-21 2020-03-30
USD910126S1 (en) * 2019-05-29 2021-02-09 John DiMarco Body stretching bar
USD937946S1 (en) * 2019-07-10 2021-12-07 Gyu Woong Kim Push-up bar
PT3808415T (pt) 2019-10-17 2021-10-27 Chrobok Thomas Dispositivo de treino portátil
US11571604B2 (en) * 2020-03-11 2023-02-07 Mohammed Hassan Aref Abdominal exercise device
US11779799B2 (en) * 2020-11-12 2023-10-10 Proteus Motion Inc. Exercise hand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917U (ko) * 1997-07-10 1999-02-05 린이션 다기능 운동기구
US6090023A (en) * 2000-01-25 2000-07-18 Liu; Chao-Jih Body exerciser
KR200449833Y1 (ko) 2009-11-05 2010-08-25 김기수 다기능 운동기구
JP3172793U (ja) * 2011-09-22 2012-01-12 株式会社アテックス 身体鍛錬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824A (en) * 1900-10-27 1901-07-02 John Holmes Device for developing muscles of the hands and fingers.
DE2338756A1 (de) * 1973-07-31 1975-02-20 Heinz Namyslo Gymnastikgeraet
US4681315A (en) * 1985-06-26 1987-07-21 Yang Tai Her Dumbbell with double cover hand protector and grasping training function
US5224914A (en) * 1992-09-22 1993-07-06 Friedman Andrew M Abdominal exercise device
US5626545A (en) * 1993-06-04 1997-05-06 Newman; Geraldine Exercise device
US5413548A (en) * 1993-10-27 1995-05-09 Hoffman; Ned Body gym exerciser
US5669862A (en) * 1994-10-05 1997-09-23 Sayman; Gunduz Portable exercise device
RO111545B1 (ro) * 1996-04-05 1996-11-29 Alexandru Iacob Aparat polivalent pentru antrenarea musculaturii
US5759138A (en) * 1997-03-21 1998-06-02 Boland; Kevin O'brien Abdominal and arms muscles exercise device
US5964685A (en) * 1997-03-21 1999-10-12 Boland; Kevin O'brien Abdominals and arms muscles exercise device
DE29712019U1 (de) * 1997-07-08 1997-09-25 Lin I Shun Allzweck-Trainingsgerät
US5921904A (en) * 1998-03-16 1999-07-13 Toups; Lanny J. Portable inclimetric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6152858A (en) * 1999-03-16 2000-11-28 Kolb; Mark Hand, wrist and forearm exercise device
TW592144U (en) * 2002-09-16 2004-06-11 I-Min Chung Bun exerciser
US7101328B2 (en) * 2003-09-08 2006-09-05 Lu-Ying Chiu Abdominal exercise device
GB2409176B (en) * 2003-12-16 2007-08-01 Sam Tsai Portable exercise device
US7008354B2 (en) * 2004-04-15 2006-03-07 Sum Sporting Goods Works Adjustable scissors-action exerciser
US20070027008A1 (en) * 2005-02-10 2007-02-01 Thane International, Inc. Abdominal exercise device
US20080287272A1 (en) * 2007-05-17 2008-11-20 Gerald Luckadue Exercise apparatus
US20090042701A1 (en) * 2007-08-09 2009-02-12 Jao-Hsing Tsai Portable exercise device
CN201132030Y (zh) * 2007-12-25 2008-10-15 农文明 一种健身阻尼器
US20090275447A1 (en) * 2008-05-02 2009-11-05 Fishman Michael N Grip sleeve for exercise bar
US8900105B2 (en) * 2011-01-18 2014-12-02 Xiangjun Zhu Slimming machine
US20140076487A1 (en) * 2012-09-14 2014-03-20 Eaton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multi-colored printed surfaces on flexible implement grips
KR101445135B1 (ko) 2013-01-21 2014-10-01 이서원 근육 운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917U (ko) * 1997-07-10 1999-02-05 린이션 다기능 운동기구
US6090023A (en) * 2000-01-25 2000-07-18 Liu; Chao-Jih Body exerciser
KR200449833Y1 (ko) 2009-11-05 2010-08-25 김기수 다기능 운동기구
JP3172793U (ja) * 2011-09-22 2012-01-12 株式会社アテックス 身体鍛錬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500A (ko) 2015-02-17 2016-08-25 이서원 근력 운동 장치
KR101754461B1 (ko) * 2015-02-17 2017-07-06 이서원 근력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02906A (ja) 2016-02-01
US20150360071A1 (en) 2015-12-17
US20170246493A1 (en) 2017-08-31
EP2946815A1 (en) 2015-11-25
JP6059823B2 (ja) 2017-01-11
EP3257557A1 (en) 2017-12-20
EP2946815A4 (en) 2017-01-11
CN104955533A (zh) 2015-09-30
WO2014112743A1 (ko) 2014-07-24
KR20140094102A (ko)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135B1 (ko) 근육 운동 장치
US6878102B1 (en) Leg-ankle-foot exercise assembly
US11020630B2 (en) Unsupported pelvic / spine, third class lever exercise system and method
US9005090B2 (en) Full body exercise band system
US11529545B2 (en)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US9199121B2 (en)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US20130225378A1 (en) Leg Stretch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Stretching All Stride Muscles And Method Of Using
US9033855B2 (en) Athletic speed training device using biofeedback
KR20220130619A (ko) 무릎 재활훈련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100606336B1 (ko) 다목적 운동기구
US20190217152A1 (en) Exercise method and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upper leg portions and hips while protecting knee and ankle joints
JP2019098189A (ja) 骨盤強化用運動器具
US20220249895A1 (en) Spring exercise system and method of exercising
KR100828198B1 (ko) 몸통 근육 단련구
CN207871373U (zh) 一种健身踏步器
US8556777B2 (en) Individual workout system
KR200450114Y1 (ko)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JP2001178847A (ja) 足関節用運動器具
WO2012162266A1 (en) Full body exercise band system
KR20230127040A (ko)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KR20140065913A (ko) 운동기구
Collins Stretching Basics: Stretching & Flexibility for Sport, Lifestyle and Injury Prevention with Australia's Body Coach
McNulty Having a Ball with Fitness B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