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461B1 - 근력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근력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461B1
KR101754461B1 KR1020150024170A KR20150024170A KR101754461B1 KR 101754461 B1 KR101754461 B1 KR 101754461B1 KR 1020150024170 A KR1020150024170 A KR 1020150024170A KR 20150024170 A KR20150024170 A KR 20150024170A KR 101754461 B1 KR101754461 B1 KR 10175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ase
arm
arm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500A (ko
Inventor
이서원
Original Assignee
이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원 filed Critical 이서원
Priority to KR102015002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46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목적에 따라 특정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다양한 운동 부위를 사용자 목적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중심축,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면서 케이스 일측과 중심축 일측에 연결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통형의 텐션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케이스와 일정 각도를 가지고 케이스와 결합되어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암부를 포함하는 근력 운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근력 운동 장치{Apparatus For Excercise of Muscle}
본 발명은 근력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다양한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근력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은 크게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 및 혼합운동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유산소 운동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고, 오랜 시간동안 운동이 이루어지며, 율동성이 강한 운동으로서 심폐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비만을 치료하는 데 적합한 운동이다. 무산소 운동은 상대적으로 단시간에 큰 힘을 내는 운동으로서 근력, 근지구력이 향상(민첩성, 유연성)될 수 있다. 혼합 운동은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일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운동이다.
한편, 현대인에게 운동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각종 운동기구가 제공되고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각종 운동기구는 헬스장 등에 비치되어 제공되는 형태이거나, 특정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형태에 지나지 않고 있다. 즉, 종래 운동기구의 경우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운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운동을 시행하더라도 신체의 국부적인 근육 단련이 이루어짐으로서 편향된 운동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정 운동 기구 예컨대 러닝 머신과 같은 고가의 비용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운동 기구들은 고가의 구입비용과 설치장소를 요구하며, 휴대성이 나쁜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5135호(2014.09.2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목적에 따라 특정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다양한 운동 부위를 사용자 목적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력 운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중심축,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스 일측과 상기 중심축 일측에 연결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통형의 텐션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와 일정 각도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근력 운동 장치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암부와 일정 사잇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제2 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암부 또는 제2 암부는 상기 텐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기둥부들, 상기 기둥부들을 연결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력 운동 장치는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암부 또는 제2 암부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텐션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봉 또는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력 운동 장치는 상기 제1 암부 일측 및 상기 제2 암부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암부 및 상기 제2 암부가 위치 변형 후 탄성에 의해 복귀하는 동안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각도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부는 통형의 상기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 중심에 일정 길이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상기 중심축,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중심축이 회전하는 동안 탄성이 증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 부재, 상기 케이스 상단 개구부를 덮는 상부 덮개, 상기 케이스 하단 개구부를 덮는 하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보다 더 돌출된 상기 중심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축 고정부, 상기 제1 축 고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부 덮개, 상기 하부 덮개보다 더 돌출된 상기 중심축이 삽입 고정되는 제2 축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케이스와 체결되며 상기 하부 덮개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심축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텐션 연결부, 상기 제1 텐션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하부 덮개 방향으로 상기 제1 텐션 연결부를 통해 노출된 중심축이 삽입 고정되는 제2 텐션 연결부, 상기 제2 텐션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의 일측 및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암부 또는 제2 암부는 상기 중심축과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텐션 연결부, 상기 텐션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내측 바디부, 상기 내측 바디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데 상기 내측 바디부의 표면을 따라 일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내측 바디부의 끝단에서 상기 내측 바디부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외측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 바디부는 상기 텐션 연결부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암부 또는 제2 암부는 굴곡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력 운동 장치는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의 초기 사잇각이 일정 각도로 가지도록 체결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력 운동 장치는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 일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특정 이동 상태에서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가 지정된 각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세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 각도에서 가압되는 힘에 대응하여 길이가 늘어나고 상기 가압되는 힘이 제거됨에 대응하여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력 운동 장치는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고, 상기 텐션부의 탄성에 의해 위치 복원되는 동안 위치 복원 속도를 저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슬로우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로우백 모듈은 상기 텐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력 운동 장치는 상기 제1 암부, 제2 암부 또는 상기 텐션부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암부 또는 제2 암부, 또는 상기 텐션부의 운동 동작을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표시하는 카운터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부는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일측에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 회전 시 같이 회전하면서 탄성이 증가하도록 마련된 텐션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링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체결되는 날개부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회전시 회전하는 회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링은 상기 중심축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외곽을 감싸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체결되는 날개부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회전시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텐션링이 삽입될 수 있는 모듈 삽입구, 상기 모듈 삽입구를 개폐하는 삽입구 덮개, 상기 삽입구 덮개에 연결되어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텐션링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듈 푸싱판, 상기 모듈 푸싱판에 탄성을 제공하는 푸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링은 상기 케이스 내측 삽입 위치에 따라 공회전하거나 또는 탄성이 증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력 운동 장치는 상기 케이스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된 텐션링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력 운동 장치는 상기 텐션부의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력 운동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텐션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력에 맞는 운동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희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여 휴대와 운동 등의 상황에 맞게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력 운동 장치는 별도의 설치 공간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 없이 운동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의 채용으로서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대량 생산과 판매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추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4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5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영역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6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6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형태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7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8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9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톱퍼를 포함한 제10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이퍼를 포함한 제11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2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2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슬로우백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슬로우백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로우 백 모듈이 탑재된 제13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제1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로우 백 모듈이 탑재된 제14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제2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로우 백 모듈이 탑재된 제15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제3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운트 기능의 제16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7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텐션부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링의 제1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링의 제2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8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텐션링 삽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9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텐션링 위치 조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운용 형태를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 는 제11 암부(110), 제12 암부(120), 제1 텐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암부(110)와 제12 암부(120)는 제1 텐션부(130)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제1 텐션부(130)를 중심으로 일정 사잇각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텐션부(130)의 조절에 따라 제11 암부(110)와 제12 암부(120)의 사잇각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텐션부(130)는 예컨대 단면이 일정 면적(예: 일정 직경을 가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을 가지는 기둥형상일 수 있다. 일예로서,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1 텐션부(130)를 원통형으로 예시하였다. 제1 텐션부(130)의 일측에는 제11 암부(110)의 일측과 제12 암부(120)의 일측이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텐션부(130)의 타측에는 제11 암부(110)의 타측과 제12 암부(120)의 타측이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텐션부(130)는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제11 암부(110) 또는 제12 암부(120)가 회전 운동을 수행한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텐션부(130) 내부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일방향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1 암부(110)는 제1 텐션부(13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1 기둥부(111), 제1 텐션부(130)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12 기둥부(112), 제11 기둥부(111)와 제12 기둥부(112)를 연결하는 제1 손잡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기둥부(111)는 제1 텐션부(130)의 단면과 수직하게 또는 일정 각도를 가지거나 휘어지면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될 수 있다. 제11 기둥부(111)의 길이는 지원되는 운동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거나 또는 다양한 길이로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2 기둥부(112)는 제11 기둥부(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제11 기둥부(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113)는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특정 신체 부위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손잡이부(113)는 표면에 특정 무늬나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제11 암부(110)는 운동 특성에 대응하여 특정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1 암부(110)는 일정 크기 이상의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 물질 또는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비금속 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2 암부(120)는 제1 텐션부(13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1 기둥부(121), 제1 텐션부(130)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2 기둥부(122), 제21 기둥부(121)와 제22 기둥부(122)를 연결하는 제2 손잡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기둥부(121)는 제1 텐션부(130)의 단면과 수직하게 또는 일정 각도를 가지거나 휘어지면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될 수 있다. 제22 기둥부(122)는 제11 기둥부(111)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제21 기둥부(121)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손잡이부(123)는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특정 신체 부위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손잡이부(113)가 사용자의 한손에 파지된 경우, 제2 손잡이부(123)는 사용자의 다른 한손에 파지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접촉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2 암부(120)는 제11 암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2 암부(120)는 제11 암부(110)와 다른 재질로 마련되데, 동일한 강성을 가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1 암부(110)와 제12 암부(120)는 제1 텐션부(130)와 연결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텐션부(130)와 연결되는 제11 암부(110)는 제1 텐션부(130)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텐션부(130)와 연결되는 제12 암부(120)는 제1 텐션부(130)의 케이스와는 독립된 형태로 마련되거나, 제1 텐션부(130)를 지지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암부(110)는 제12 암부(120)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힌지 회전할 수 있다.
제1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 는 추가적으로 제1 케이스(203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손잡이(140)는 예컨대, 제11 암부(110)의 제1 손잡이부(113) 또는 제12 암부(120)의 제2 손잡이부(123)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된 기둥부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12 암부(120)에 제1 보조 손잡이(140)가 배치되는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제12 암부(120)는 제1 보조 손잡이(140) 연결을 위하여 제1 체결부(125) 및 제2 체결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25) 및 제2 체결부(126)는 제1 보조 손잡이(1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 형상 또는 관통 고정될 수 있는 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손잡이(140)는 예컨대 제1 체결부(125)에 삽입 고정되는 제1 손잡이 연결부(141), 제2 체결부(126)에 삽입 고정되는 제2 손잡이 연결부(143), 제1 손잡이 연결부(141)와 일정 각도(예: 수직하게)를 가지며 연결되는 제1 손잡이 기둥부(142), 제2 손잡이 연결부(143)와 일정 각도를 가지며 연결되는 제2 손잡이 기둥부(144), 제1 손잡이 기둥부(142)와 제2 손잡이 기둥부(144)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조 손잡이(140)는 예컨대, "C"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1 암부(110) 또는 제12 암부(120)의 끝단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보조 손잡이(140) 중 제1 손잡이 연결부(141)와 제2 손잡이 연결부(143)는 제1 텐션부(130)와 같이 일정 방향에 대하여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 는 신체의 적어도 일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부분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팔의 상박 운동을 위해 제1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 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보조 손잡이(140)를 이용하여 손목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는 제21 암부(210) 및 제22 암부(220), 제2 텐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텐션부(230)는 예컨대 원통형 또는 일정 단면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 텐션부(230)의 일측에는 제21 암부(210)의 일측과 제22 암부(220)의 일측이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텐션부(230)는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제21 암부(210) 또는 제22 암부(220)가 회전 운동을 수행한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텐션부(230) 내부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일방향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1 암부(210)는 제2 텐션부(230)의 상단 일측에 연결되고, 제2 텐션부(230)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일정 각도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1 암부(210)는 제2 텐션부(230)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1 암부(210)는 제2 텐션부(230)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제2 텐션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1 암부(210)는 제2 텐션부(230)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텐션부(23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제21 암부(210)는 예컨대, 일정 크기의 사용자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가진 재질(예: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 등)로 마련될 수 있다. 제21 암부(210)의 일정 부분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표면의 일정 부위가 일정 무늬 또는 일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암부(210)의 일정 부분은 제21 암부(210) 전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2 암부(220)는 제2 텐션부(230)의 상단 일측에 연결되고, 제2 텐션부(230)의 상단 일측으로부터 일정 각도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2 암부(220)는 제2 텐션부(230)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22 암부(220)가 제21 암부와 다른 제2 텐션부(230) 지점에 배치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제22 암부(220)는 예컨대, 제21 암부(210)와 동일한 제2 텐션부(230)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2 암부(220)는 제2 텐션부(230)에 연결되는 연결 형상을 제외하고 제21 암부(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22 암부(220)는 제2 텐션부(230)의 일정 지점에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어, 제21 암부(210)가 힌지 운동을 하는 동안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1 암부(210)는 제2 텐션부(230)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제2 텐션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1 암부(210)는 제2 텐션부(230)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텐션부(23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제21 암부(210)는 예컨대, 일정 크기의 사용자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가진 재질(예: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 등)로 마련될 수 있다. 제21 암부(210)의 일정 부분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표면의 일정 부위가 일정 무늬 또는 일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암부(210)의 일정 부분은 제21 암부(210) 전체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는 제21 암부(210) 및 제22 암부(220)를 연결하는 각도 유지부(케이스(2031))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유지부(250)는 예컨대, 제21 암부(210)의 중심부나 상단부 일 지점과 제22 암부(220)의 중심부나 상단부 일 지점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도 유지부(250)는 예컨대, 탄성이 없는 줄이나 금속 줄이거나 또는 일정 탄성을 가지는 줄로 마련될 수 있다. 각도 유지부(250)는 제21 암부(210)와 제22 암부(220) 사이의 사잇각이 일정 각도를 넘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도 유지부(250)는 제21 암부(210)와 제22 암부(220)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각도 유지부(250)의 양쪽 끝단은 갈고리 형태로 마련되거나 또는 갈고리와 연결될 수 있다. 제21 암부(210)와 제22 암부(220)는 일정 지점에 갈고리가 걸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는 사용자가 제21 암부(210)의 하부 끝단(예: 제2 텐션부(230)와 결합된 지점과 대향된 위치) 및 제22 암부(220)의 하부 끝단을 파지하고 제21 암부(210) 및 제22 암부(22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운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는 양손으로 제21 암부(210) 및 제22 암부(220)를 파지하고 가슴을 모으는 가슴 운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추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는 각도 유지부(250)가 제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도 유지부(250)가 제거됨에 따라,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는 제2 텐션부(230)가 제공 가능한 또는 제21 암부(210) 및 제22 암부(220)가 벌어질 수 있는 최대 사잇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는 예컨대, 제1 손잡이(211) 및 제2 손잡이(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211)는 예컨대, 제21 암부(210)의 끝단부에 연결되데 일정 각도(예: 제21 암부(210)가 신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손잡이(211)는 예컨대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표면에 일정 무늬 또는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손잡이(211)는 제21 암부(210) 일측에 마련된 홈 또는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암부(210)의 홈 또는 홀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경우, 삽입부 표면은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손잡이(221)는 예컨대, 제22 암부(220)의 끝단부에 연결되데 일정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손잡이(221)는 예컨대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표면에 일정 무늬 또는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손잡이(221)는 제22 암부(220) 일측에 마련된 홈 또는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손잡이(221)는 제1 손잡이(2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손잡이(221)는 상황에 따라 제1 손잡이(211)가 배치된 위치에 대체될 수도 있다. 제1 손잡이(211) 또는 제2 손잡이(221)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는 제2 보조 손잡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손잡이(240)는 제21 암부(210) 또는 제22 암부(220) 배치된 제1 손잡이(211) 또는 제2 손잡이(221)의 양 끝단과 체결되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조 손잡이(240)는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제1 보조 손잡이(140)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손잡이(240)는 제1 손잡이(211) 또는 제2 손잡이(221)에 연결되데 힌지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 손잡이(240)는 제1 손잡이(211) 또는 제2 손잡이(221)가 제공하는 일정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기반으로 텐션 운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손잡이(211) 및 제2 손잡이(221)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보조 손잡이(240)의 텐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2 보조 손잡이(240)의 운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타입 근력 운동 장치(300)는 제31 암부(310), 제32 암부(320), 제3 텐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타입 근력 운동 장치(300)는 제3 텐션부(330)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제31 암부(310)가 배치되고, 타 방향으로 제32 암부(320)가 배치되며, 제31 암부(310)와 제32 암부(320)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사잇각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31 암부(310)는 제32 암부(320)를 지지대로하여 제3 텐션부(330)의 일부가 일방향 힌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32 암부(320)는 제3 텐션부(330)의 나머지 일부를 고정시킴으로써, 제32 암부(320)의 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텐션부(330)는 예컨대, 케이스(331), 상부 덮개(332), 하부 덮개(333), 중심축(334), 탄성부재(335), 고정부 덮개(336), 제1 축 고정부(337), 제2 축 고정부(338), 베어링(339)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31)는 예컨대 속이 빈 일정 크기의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케이스(331)는 다양한 형태의 속이 빈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케이스(331) 내측에는 탄성부재(335)와 중심축(334)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331) 내측 일정 지점에는 탄성부재(335)의 일정 지점이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331)의 상부에는 상부 덮개(332)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하부 덮개(3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덮개(332)는 케이스(331)의 개구된 상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중심부에 중심축(33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마련될 수 있다. 중심축(33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은 중심축(33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축(334)이 사각 기둥인 경우 삽입공은 사각홀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부 덮개(332)에 마련되는 삽입공은 중심축(334)이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334)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덮개(333)는 케이스(331)의 개구된 하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중심부에 중심축(33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마련될 수 있다. 중심축(33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은 중심축(334)의 단면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축(334)이 사각 기둥인 경우 하부 덮개(333)의 삽입공은 사각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덮개(333)의 적어도 일부는 중심축(33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덮개(333)의 중심부 일정 영역은 외곽부를 지지대로 하여 중심축(33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덮개(333)의 중심부 영역과 외곽부 사이의 경계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이 배치되어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334)은 예컨대, 케이스(331)의 전체 길이 또는 상부 덮개(332)와 하부 덮개(333)가 결합된 길이보다도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334)의 일측은 상부 덮개(332)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되며 또한 중심축(334)의 타측은 하부 덮개(333)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334)의 적어도 일정 지점에는 탄성부재(335)의 일부가 고정될 수 있다. 중심축(334)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이 될 수 있다.
탄성부재(335)는 케이스(33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35)의 일정 지점은 중심축(334)에 고정되고, 다른 지점은 케이스(331)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335)는 중심축(334)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중심축(334)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35)는 예컨대, 용수철, 롤링된 판 스프링, 또는 일정 각도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 고정부(337)는 상부 덮개(332) 방향으로 돌출된 중심축(334)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축 고정부(337)는 중심축(334)의 단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단면을 가지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 고정부(337)의 외형은 예컨대 원통형일 수 있다. 제1 축 고정부(337)의 외측면은 베어링(339)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축 고정부(338)는 하부 덮개(333) 방향으로 돌출된 중심축(334)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축 고정부(338)는 제32 암부(320)의 제2 케이스(2031)(32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축 고정부(338) 일측은 하부 덮개(333)와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축 고정부(338)는 예컨대 원판형의 형상에 중심부가 중심축(334)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 덮개(336)는 제1 축 고정부(337)를 감싸도록 배치되면서, 상부 덮개(332)와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 덮개(336)는 제1 축 고정부(337)의 단면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 덮개(336)의 외부는 일정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일정 홈에는 제32 기둥부(322) 일측이 삽이되거나 다른 보조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339)은 고정부 덮개(336) 내측에 배치되데, 제1 축 고정부(337)의 외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339)은 제1 축 고정부(337)가 중심축(334)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동안 원활한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31 암부(310)는 제3 텐션부(330)의 하부 덮개쪽 일부와 결합하는 제1 텐션 연결부(311), 제31 기둥부(312), 제31 손잡이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텐션 연결부(311)는 제3 텐션부(330)의 하부 덮개(33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텐션 연결부(311)는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덮개(333)의 외측에는 제1 텐션 연결부(311)와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텐션 연결부(311) 일측은 제2 축 고정부(338)의 테두리 및 제2 축 고정부(338)의 전면 일부와 대면될 수 있다. 제31 기둥부(322)는 제1 텐션 연결부(311)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신장될 수 있다. 제32 손잡이부(323)는 제31 기둥부(322)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신장될 수 있다.
제32 암부(320)는 제3 텐션부(330)의 하부 덮개쪽 일부와 결합하는 제2 텐션 연결부(321), 제32 기둥부(322), 제32 손잡이부(323), 제33 기둥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텐션 연결부(321)는 중심축(334)의 일측을 고정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텐션 연결부(321)의 중심부에는 중심축(334)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텐션 연결부(321)는 제1 텐션 연결부(311)와 힌지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텐션 연결부(321)는 중심부에 홈이 형성된 링 형상의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텐션 연결부(321)의 돌출부는 제2 축 고정부(338)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2 텐션 연결부(321)는 중심축(334)을 고정시켜, 케이스(331)가 회전 운동하면서 탄성에 의해 복원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32 기둥부(322)는 제2 텐션 연결부(321)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신장되데 제31 기둥부(322)와 일정 사잇각을 가지도록 신장될 수 있다. 제32 손잡이부(323)는 제31 기둥부(322)의 끝단에서 제31 기둥부(322)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일정 길이로 신장될 수 있다. 제33 기둥부(324)의 일측 끝단은 제32 손잡이부(323)의 끝단과 연결되고, 제32 손잡이부(323)에 수직하게 신장되며 타측 끝단은 고정부 덮개(336) 일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32 암부(320)는 제3 텐션부(330)의 중심축(334) 및 고정부 덮개(336)를 고정시킴으로써, 제31 암부(310)가 제3 텐션부(330)의 케이스(331)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4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타입 근력 운동 장치(400)는 제41 암부(410), 제42 암부(420) 및 제4 텐션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텐션부(430)는 예컨대, 케이스(431), 케이스(431)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축(434), 케이스(431)의 상부를 덮는 상부 덮개(432), 케이스(431)의 하부를 덮는 하부 덮개(433), 중심축(434)을 제42 암부(420)에 고정시키는 축 고정부(438), 케이스(431) 내부에서 일측이 중심축(434)에 고정되고 타측이 케이스(431) 내측에 고정되는 탄성부재(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텐션부(430)는 중심축(434)이 상부 덮개(432) 내측까지만 돌출되어 상부 덮개(432)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부 덮개(432)는 중심축(434)이 고정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삽입공의 주변 영역은 케이스(431)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덮개(432)는 삽입공이 배치된 중심부 일정 영역과 주변부 영역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케이스(431) 회전에 따라 중심부 일정 영역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주변부 영역이 회전될 수 있다. 제4 텐션부(430)는 케이스(431)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탄성부재(435)의 탄성력이 응축되어, 응축된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431)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제41 암부(410)는 케이스(431)를 회전시키도록 제4 텐션부(430) 일측 예컨대 하부 덮개(433)쪽에 연결되는 회전 텐션 연결부, 회전 텐션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상부 기둥부 및 상부 기둥부 끝단에서 상부 기둥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상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2 암부(420)는 중심축(434)을 고정시키도록 제4 텐션부(430) 일측 예컨대 하부 덮개(433)쪽에 연결되는 고정 텐션 연결부, 고정 텐션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하부 기둥부 및 하부 기둥부 끝단에서 하부 기둥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하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4 타입 근력 운동 장치(400)는 예컨대 "E"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4 텐션부(430)가 사용자의 관절 등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41 암부(410) 또는 제42 암부(42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제4 타입 근력 운동 장치(400)는 제41 암부(410) 또는 제42 암부(420) 중 적어도 하나는 발 등에 걸쳐서 운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5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타입 근력 운동 장치(500)는 제5 텐션부(530), 제51 암부(510) 및 제52 암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텐션부(530)는 예컨대, 속이 빈 일정 길이의 케이스(531), 케이스(531)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및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각각 돌출된 길이를 가지는 중심축(534), 케이스(531)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535),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중심축(534)을 고정시키는 제1 축 고정부(537),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중심축(534)을 제52 암부(520)에 고정시키는 제2 축 고정부(538), 제1 축 고정부(537)를 감싸는 고정부 덮개(536), 제1 축 고정부(537)의 회전 운동을 돕도록 고정부 덮개(536) 내측에서 제1 축 고정부(537)의 외측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베어링(539)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 덮개(536)는 제51 암부(510)의 제51 텐션 연결부(511)의 끝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정부 덮개(536)의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 덮개(536)의 외측에는 다른 장치들과의 결합을 위한 홈이 일정 깊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51 암부(510)는 제51 텐션 연결부(511), 제51 기둥부(512), 제51 손잡이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51 텐션 연결부(511)는 제2 축 고정부(538)의 일단과는 비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며, 케이스(531)와는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51 텐션 연결부(511) 중 중심축(534)이 제2 축 고정부(538)와 결합되는 영역에 인접한 영역은 제52 암부(520)이 일측이 관통되도록 배치홀이 마련될 수 있다. 제51 텐션 연결부(511) 중 중심축(534)이 제1 축 고정부(537)와 결합되는 영역에 인접한 영역은 고정부 덮개(536)와의 결합을 위하여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차진 영역의 표면에는 숫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제51 기둥부(512)는 예컨대, 제51 텐션 연결부(511)의 배치홀이 마련된 영역에서 제51 텐션 연결부(511)에 수직하게 신장될 수 있다. 제51 손잡이부(513)는 제51 기둥부(512)에 일정 각도로 구부러져 연결될 수 있다.
제52 암부(520)는 제52 텐션 연결부(521), 제52 기둥부(522), 제52 손잡이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52 텐션 연결부(521)는 중심부가 일정 높이만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의 중심부에는 중심축(534)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의 표면은 제2 축 고정부(538)와 대면되도록 배치되면, 제2 축 고정부(538)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52 텐션 연결부(521)는 중심축(534)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제51 텐션 연결부(511)가 케이스(531)를 회전시키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52 기둥부(522)는 제52 텐션 연결부(521) 중 돌출부가 형셩된 영역에서, 제52 텐션 연결부(521)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2 손잡이부(523)는 제52 기둥부(522)에 일정 각도로 구부러져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A"영역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5 타입 근력 운동 장치(500)의 일부는 제5 텐션부(530) 중 제2 축 고정부(538), 중심축(534), 제51 텐션 연결부(511), 제52 텐션 연결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축 고정부(538)는 일정 두께의 원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축 고정부(538)는 중심부에 중심축(534)이 관통 배치될 수 있도록 삽입공(538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축 고정부(538)는 제52 텐션 연결부(521)에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538b)과, 체결홀(538b)에 삽입되는 체결 유닛(538c)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체결홀(538b)이 4개가 배치되고, 체결 유닛(538c)이 4개가 사용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체결홀(538b)의 개수 및 체결 유닛(538c)의 개수는 설계자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51 텐션 연결부(511)는 제52 텐션 연결부(521)의 돌출된 돌출부가 삽입 배치되는 배치홀(511a), 배치홀(511a)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제5 텐션부(530)의 외관을 감싸는 통형의 바디부(511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511b)의 내부 빈 영역의 직경은 배치홀(51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511b) 내측은 케이스(53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부(511b) 내측 중 적어도 일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531)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51 텐션 연결부(511) 중 제2 축 고정부(538)의 일측이 대면되는 영역에는 축 베어링(514)이 배치될 수 있다. 축 베어링(514)은 제51 텐션 연결부(511)가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제2 축 고정부(538)와의 마찰력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51 텐션 연결부(511) 일측에는 제1 자성체(515a)가 배치되고, 제2 축 고정부(538) 일측에는 제2 자성체(515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성체(515a)와 제2 자성체(515b)는 서로 대면되도록 배치되고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축 고정부(538)와 제51 텐션 연결부(511)가 상호 간에 척력에 의해 밀려남으로써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제52 텐션 연결부(521)는 일정 두께 및 제1 직경의 제1 원형 레이어(521a)와, 제1 원형 레이어(521a) 상에서 일정 두께 및 제2 직경(예: 제1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형 레이어(521b)(앞서 설명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원형 레이어(521b)의 중심부에는 중심축(534)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원형 레이어(521b)에는 삽입홈이 마련될 수도 있다. 삽입홈은 중심축(534)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제2 원형 레이어(521b)의 측면부에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원형 레이어(521b)의 측면부에 대응되는 제51 텐션 연결부(511) 영역에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1 텐션 연결부(511)가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 제52 텐션 연결부(521)와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6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타입 근력 운동 장치(600)는 제61 암부(610), 제62 암부(620), 제6 텐션 연결부(631), 제6 텐션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801 상태를 참조하면, 제61 암부(610)는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제6 텐션 연결부(631)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62 암부(620)는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제6 텐션 연결부(631)의 x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데 z축 방향으로 제61 암부(610)와 일정 사잇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62 암부(620)는 제6 텐션 연결부(631)를 축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62 암부(620)는 제6 텐션 연결부(631)에 고정될 수 있다.
제6 텐션부(630)는 중심축(634)의 일부가 케이스(631) 내측에 배치되고, 일부가 케이스(63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6 텐션부(630)는 일정 길이의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데, 끝단에서 중심축(634)의 일부가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중심축(634)의 돌출된 일부는 제61 암부(610)와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61 암부(610)의 끝단에는 중심축(63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은 제61 암부(610)와 제6 텐션부(63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634)의 돌출된 일부의 외측 표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6 텐션부(6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중심축(634)의 돌출된 일부를 이용하여 제61 암부(610)와 결합시키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
801 상태에서 제6 텐션부(630)를 제61 암부(610)로부터 분리시켜, 제6 텐션 연결부(631)에 결합하는 경우 제6 타입 근력 운동 장치(600)는 80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6 텐션 연결부(631) 일측에는 제6 텐션부(630)의 중심축(634)의 돌출된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에는 중심축(634)의 돌출된 일부에 형성된 숫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6 텐션부(630)는 결합되면서, 케이스(631)가 제61 암부(6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6 텐션부(630)의 중심축(634)은 제6 텐션 연결부(631)에 결합 고정되고, 케이스(631)는 제61 암부(6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6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형태 변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1 상태에서와 같이, 제61 암부(610)는 제6 텐션 연결부(611)에 힌지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62 암부(620)는 제6 텐션 연결부(611)에 고정되데, 제61 암부(610)와 일정 사잇각을 형성하면 고정될 수 있다. 제6 텐션부(630)는 제61 암부(610) 또는 제62 암부(620)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6 텐션 연결부(61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되는 과정에서 케이스()는 제61 암부(610)에 결합되고, 중심축(634)은 제6 텐션 연결부(611)에 고정될 수 있다.
903 상태에서와 같이, 제6 타입 근력 운동 장치(600)에서, 제61 암부(610)는 제61 내측 바디부(610a)와, 제61 내측 바디부(610a)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61 외측 바디부(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61 외측 바디부(610b)는 제61 내측 바디부(610a)를 축으로 상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61 내측 바디부(610a)는 일측이 분절되어 일 방향으로 꺽일 수 있다. 제61 외측 바디부(610b)는 제61 내측 바디부(610a) 전체를 감싸는 동안 분절된 끝단 일부 및 연결 고리는 제61 외측 바디부(610b)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관측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제62 암부(620)는 제62 내측 바디부(620a)와, 제62 내측 바디부(620a)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62 외측 바디부(6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62 외측 바디부(620b)는 제62 내측 바디부(620a)를 축으로 상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62 내측 바디부(620a)는 일측이 분절되어 일 방향으로 꺽일 수 있다. 예컨대, 제62 내측 바디부(620a)의 끝단 일부는 분절되고, 끝단 일부는 일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와 연결될 수 있다. 제62 외측 바디부(620b)는 제62 내측 바디부(620a) 전체를 감쌀 수 있으며, 끝단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62 내측 바디부(620a)의 분절된 끝단을 노출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905 상태에서와 같이, 제6 타입 근력 운동 장치(600)에서 제61 암부(610)의 끝단이 일방향으로 꺽여 배치됨에 따라 제61 외측 바디부(610b)와 제61 내측 바디부(610a)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62 암부(620)의 끝단이 일방향으로 꺽여 배치됨에 따라 제62 외측 바디부(620b)와 제62 내측 바디부(620a)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61 외측 바디부(610a) 및 제62 외측 바디부(620b)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61 내측 바디부(610a) 및 제62 내측 바디부(620a)는 기둥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텐션부(630)를 축으로 가압에 의하여 회전되고, 제6 텐션부(630)의 텐션에 의하여 탄성 복원될 수 있다. 제6 텐션부(630)의 탄성은 최초 가압되는 과정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7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타입 근력 운동 장치(700)는 제71 암부(710), 제71 텐션 연결부(711), 제7 텐션부(730), 제72 텐션 연결부(721), 제72 암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텐션부(730)는 중심이 빈 케이스(731)와, 케이스(731) 내측을 관통하면서 배치되는 중심축(7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7 텐션부(730)는 일측이 중심축(734)에 고정되고, 타측이 케이스(731)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731)는 예컨대, 제71 텐션 연결부(711)에 고정될 수 있다. 중심축(734)은 제72 텐션 연결부(721)에 고정될 수 있다.
제71 텐션 연결부(711)의 일측은 제7 텐션부(730)의 케이스(731)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731)에 연결된 제71 텐션 연결부(711)는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71 텐션 연결부(711) 회전 시 연결된 케이스(731)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734)에 연결된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여 제71 텐션 연결부(71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제71 텐션 연결부(711)의 타측은 제71 암부(710)에 연결되데 일방향 예컨대 제71 텐션 연결부(711)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71 텐션 연결부(711)와 제71 암부(710)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72 텐션 연결부(721)의 일측은 제7 텐션부(730)의 중심축(734)에 연결될 수 있다. 중심축(734)에 연결된 제72 텐션 연결부(721)는 고정될 수 있다. 제71 텐션 연결부(711)가 회전하는 동안 제72 텐션 연결부는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72 텐션 연결부(721)는 제71 텐션 연결부(711)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중심축(734)에 연결된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72 텐션 연결부(721)의 타측은 제72 암부(720)에 연결되데 일방향 예컨대 제72 텐션 연결부(721)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72 텐션 연결부(721)와 제72 암부(720)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71 암부(710)는 예컨대, 제71 내측 바디부(710a)와 제71 외측 바디부(7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71 외측 바디부(710b)는 제71 내측 바디부(710a)의 표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71 외측 바디부(710b)는 제71 내측 바디부(710a)의 전체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001 상태에서와 같이, 제71 외측 바디부(710b)는 제71 텐션 연결부(711)의 상측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71 외측 바디부(710b)가 제71 텐션 연결부(711)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동안 제71 내측 바디부(710a)는 제71 텐션 연결부(7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72 암부(720)는 제72 내측 바디부(720a)와 제72 외측 바디부(7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72 외측 바디부(720b)는 제72 내측 바디부(720a)의 표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72 외측 바디부(720b)는 제72 내측 바디부(720a)의 전체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001 상태에서와 같이, 제72 외측 바디부(720b)는 제72 텐션 연결부(721)의 상측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72 외측 바디부(720b)가 제72 텐션 연결부(721)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동안 제72 내측 바디부(720a)는 제72 텐션 연결부(721)에 고정될 수 있다.
1003 상태에서와 같이, 제71 외측 바디부(710b)는 제71 텐션 연결부(711)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제71 내측 바디부(710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72 외측 바디부(720b)는 제72 텐션 연결부(721)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제72 내측 바디부(720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1005 상태에서와 같이, 제71 내측 바디부(710a)는 제71 텐션 연결부(711)를 축으로 일방향(예: 제7 텐션부(730) 및 제71 텐션 연결부(711)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72 내측 바디부(720a)는 제72 텐션 연결부(721)를 축으로 일방향(예: 제7 텐션부(730) 및 제72 텐션 연결부(721)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72 내측 바디부(720a)는 제71 내측 바디부(710a)가 회전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제71 내측 바디부(710a)와 제72 내측 바디부(720a)는 y축을 기준으로 일정 사잇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1007 상태에서와 같이, 제71 외측 바디부(710b)는 제71 내측 바디부(710a) 끝단 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71 내측 바디부(710a) 끝단에 형성된 제1 분절부(710c)가 제71 외측 바디부(710b)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72 외측 바디부(720b)는 제72 내측 바디부(720a) 끝단 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72 내측 바디부(720a) 끝단에 형성된 제2 분절부(720c)가 제72 외측 바디부(720b)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1009 상태에서와 같이, 제1 분절부(710c)는 제71 내측 바디부(710a)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71 외측 바디부(710b)는 제1 분절부(710c)를 축으로 제71 내측 바디부(710a)에 수직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72 외측 바디부(720b)는 제2 분절부(720c)를 축으로 제72 내측 바디부(720a)에 수직하게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71 외측 바디부(710b)와 제72 외측 바디부(720b)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71 외측 바디부(710b)가 일방향으로 힌지 동작하는 경우 제7 텐션부(730)의 케이스(731)가 회전하면서 중심축(734)에 연결된 탄성부재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동작 동안 제72 텐션 연결부(721), 제72 내측 바디부(720a) 등은 중심축(734)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8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타입 근력 운동 장치(800)는 제8 텐션부(830), 제81 암부(811), 제82 암부(812), 제83 암부(813), 제84 암부(814), 제81 연결부(810), 제82 연결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텐션부(830)는 예컨대 원통형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중심축, 중심축과 케이스에 각각 일측이 연결되어 케이스 또는 중심축의 회전 동작에 대하여 탄성이 증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텐션부(830)의 케이스는 예컨대, 제81 암부(811) 및 제82 암부(81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제8 텐션부(830)의 중심축은 예컨대, 제83 암부(813) 및 제84 암부(814)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제81 연결부(810)는 제8 텐션부(830)와 연결되지 않은 제81 암부(811)의 끝단과 제82 암부(812)의 끝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81 연결부(810)는 예컨대, 중심봉과, 중심봉을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중심봉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심봉은 제81 암부(811) 및 제82 암부(812)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82 연결부(820)는 제8 텐션부(830)와 연결되지 않은 제83 암부(813)의 끝단과 제84 암부(814)의 끝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82 연결부(820)는 제81 연결부(810)와 유사하게 중심봉과, 중심봉을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중심봉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82 연결부(820)의 중심봉은 제83 암부(813) 및 제84 암부(814)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81 암부(811), 제82 암부(812), 제83 암부(813), 제84 암부(814)는 일정 굴곡률을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제81 암부(811)와 제83 암부(813)는 제8 텐션부(830)를 기준으로 일정 사잇각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82 암부(812)와 제84 암부(814)는 제8 텐션부(830)를 기준으로 일정 사잇각(제81 암부(811)와 제83 암부(813)가 형성한 사잇각과 동일한 사잇각)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81 연결부(810) 또는 제82 연결부(820) 중 적어도 하나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8 텐션부(830)를 축으로 일 방향(예: 제81 연결부(810)와 제82 연결부(820) 사이의 거리를 줄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81 연결부(810)에 연결된 제8 텐션부(830)의 케이스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내부 탄성부재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가하는 압력을 줄임으로써, 제81 연결부(810)와 제82 연결부(820)가 원래의 위치가 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일정한 압력을 신체의 일정 근육에 지속적으로 가함에 따라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9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타입 근력 운동 장치(900)는 제9 텐션부(930), 제91 암부(911), 제92 암부(912), 제91 연결부(910), 제92 연결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9 텐션부(930)는 예컨대, 원통형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중심축, 중심축과 케이스에 각각 일측이 연결되어 케이스 또는 중심축의 회전 동작에 대하여 탄성이 증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9 텐션부(930)의 케이스는 제91 암부(911)(또는 제92 암부(9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9 텐션부(930)의 중심축은 예컨대, 제92 암부(912)(또는 제91 암부(9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91 연결부(910)는 제9 텐션부(930)와 연결되지 않은 제91 암부(911)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91 연결부(910)는 예컨대, 중심봉과, 중심봉을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중심봉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심봉은 제91 암부(91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92 연결부(920)는 제9 텐션부(930)와 연결되지 않은 제92 암부(912)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92 연결부(920)는 제91 연결부(910)와 유사하게 중심봉과, 중심봉을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중심봉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92 연결부(920)의 중심봉은 제92 암부(912)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91 암부(911) 및 제92 암부(912)는 일정 굴곡률을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제91 암부(911)는 제9 텐션부(930)를 기준으로 제92 암부(912)와 일정 사잇각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91 연결부(91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물리력에 대응하여 제92 연결부(920)와 가까워지는 형태로 회전되면 제91 연결부(910)에 연결된 제9 텐션부(930)의 케이스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내부 탄성부재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공된 물리력이 해제되면 제91 연결부(910)와 제92 연결부(920)가 원래의 위치가 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톱퍼를 포함한 제10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0)는 제101 암부(1010), 제102 암부(1020), 제10 텐션부(1030), 스톱퍼(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 텐션부(10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와, 케이스 내측에 삽입된 중심축, 중심축과 케이스를 연결하며 케이스 회전 운동에 따라(또는 중심축 회전 운동에 따라) 탄성이 증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0 텐션부(1030)의 케이스 일단은 제101 암부(1010)의 일단이 결합하고, 제10 텐션부(1030)의 중심축(1034) 일단은 제102 암부(1020)의 일단이 결합할 수 있다.
제101 암부(1010)는 일단이 제10 텐션부(1030)의 케이스에 결합하는 기둥부와, 기둥부에 일정 각도로 꺽여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와 손잡이부는 일정 형상 예컨대 "ㄱ"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02 암부(1020)는 일단이 제10 텐션부(1030)의 중심축에 결합하는 기둥부와, 기둥부에 일정 각도로 꺽여 연결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2 암부(1020)는 제101 암부(101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톱퍼(1040)는 예컨대, 제10 텐션부(1030) 일측에 배치되는 스톱 바디(1041), 스톱 바디(1041)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042), 관통홀(1042)에 결합되는 고정핀(104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톱 바디(1041)는 예컨대 원판형일 수 있으며, 고정핀(1043)이 관통홀(1042)에 삽입됨에 따라 제101 암부(1010)와 제102 암부(1020) 사잇각이 일정 각도로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톱 바디(1041)는 제101 암부(1010)가 제102 암부(1020)에 대하여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톱퍼(1040)는 제102 암부(1020)에 대하여 제10 텐션부(1030)의 케이스와 연결된 제1 101 암부(1010)의 회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스톱퍼(1040)는 제101 암부(1010)에 대하여 제10 텐션부(1030)의 중심축과 연결된 제102 암부(1020)의 회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추가로, 제10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0) 중 제101 암부(1010) 또는 제102 암부(102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핀(1043)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핀 부착홈(1043a)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0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0)는 고정핀(1043)과 제101 암부(1010) 또는 제102 암부(1020) 중 적어도 하나에 줄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0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0)는 제101 암부(1010)와 제102 암부(1020) 사잇각이 예각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상태를 가지도록 제101 암부(1010)를 힌지 동작시킨 후, 스톱퍼(1040)를 이용하여 해당 사잇각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제10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0)는 수평 상태의 제101 암부(1010)와 제102 암부(1020)의 사잇각을 변형하여 일정 각도로 배치시킨 후 스톱퍼(1040)를 이용하여 변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변형된 각도에 따라 제10 텐션부(1030)의 탄성부재에 기본적으로 형성된 탄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0 타입 근력 운동 장치(1000)는 스톱퍼(1040)를 이용하여 제10 텐션부(1030)의 기본 탄성을 조정하여 순간 운동량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이퍼를 포함한 제11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 타입 근력 운동 장치(1100)는 제111 암부(1110), 제112 암부(1120), 제11 텐션부(1130), 세이퍼(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텐션부(1130)는 케이스, 중심축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1 암부(1110)는 케이스에 연결되고, 제112 암부(1120)는 중심축에 연결될 수 있다. 제111 암부(1110) 또는 제112 암부(112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1 텐션부(1130)의 탄성은 증가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1 텐션부(1130)의 탄성은 감소할 수 있다.
제112 암부(1120)(또는 제111 암부, 이하 제112 암부(1120)를 기준으로 설명) 측부에는 세이퍼(1140)가 배치될 수 있다. 세이퍼(1140)는 예컨대 제112 암부(1120)의 측면에 배치되며 제112 암부(1120)의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이동부(1141), 이동부(1141) 일측 끝단에서 이동부(1141)에 일정 각도를 가지며 배치되는 걸림부(1142), 이동부(1141) 일측에 배치되는 돌기(1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143)는 제112 암부(1120)에 형성된 레일홈(1144)을 따라 이동하다가, 레일홈(1144)의 양측 끝단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세이퍼(1140)를 일시 고정시킬 수 있다.
걸림부(1142)는 제112 암부(1120)의 측면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세이퍼(1140)는 제112 암부(1120)의 측면을 따라 제11 텐션부(11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세이퍼(1140)가 제112 암부(1120)의 측면을 따라 제11 텐션부(113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걸림부(1142)는 제112 암부(112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11 텐션부(1130)를 넘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1142)는 제111 암부(1110)가 제112 암부(1120)와 나란한 방향 이하로 운동되지 않도록 제111 암부(11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통하여, 제11 타입 근력 운동 장치(1100)는 제111 암부(1110)와 제112 암부(1120)의 사잇각이 일정 각도(예: 수평각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관절 등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2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2 타입 근력 운동 장치(1200)는 제121 암부(1210), 제122 암부(1220), 제12 텐션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텐션부(1230)는 케이스, 중심축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1 암부(1210)는 케이스에 연결되고, 제122 암부(1220)는 중심축에 연결될 수 있다. 제121 암부(1210) 또는 제122 암부(122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2 텐션부(1230)의 탄성은 증가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2 텐션부(1230)의 탄성은 감소할 수 있다.
제121 암부(1210) 또는 제122 암부(1220) 중 적어도 하나의 암부는 길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121 암부(1210)의 길이가 변형 가능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21 암부(1210)는 예컨대, 제12 텐션 연결부(1214), 제121 외측 바디부(1211), 제121 내측 바디부(1212), 길이 조절 부재(1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텐션 연결부(1214)는 예컨대, 제12 텐션부(1230)의 케이스에 연결되어 힌지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21 외측 바디부(1211)는 제12 텐션 연결부(1214)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21 외측 바디부(1211) 내측은 제121 내측 바디부(1212)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21 내측 바디부(1212)는 통형으로 마련되며, 제121 외측 바디부(1211) 내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21 내측 바디부(1212)는 길이 조절 부재(1213)에 연결되는 기둥부와, 기둥부 끝단에서 기둥부와 일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 부재(1213)는 예컨대 스프링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1 내측 바디부(1212)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21 내측 바디부(1212)가 제121 외측 바디부(1211)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부재(1213)는 제121 내측 바디부(1212)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는 경우 제121 내측 바디부(1212)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상태는 제121 암부(1210)와 제122 암부(1220)가 제1 사잇각(A1)을 형성한 상태로서, 제121 내측 바디부(1212)가 원래의 위치에 배치된 형태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2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2 타입 근력 운동 장치(1200)는 도 14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1 내측 바디부(1212)가 제121 외측 바디부(1211)의 내측을 따라 일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타입 근력 운동 장치(1200)는 제2 사잇각(A2)을 이루기 위해 제121 내측 바디부(1212)에 물리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21 내측 바디부(1212)는 제121 외측 바디부(1211)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21 암부(1210)의 길이가 제1 사잇각 상태에 비하여 길어진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121 암부(1210)는 제2 사잇각 상태가 제1 사잇각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 원래의 길이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제122 암부(1220)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2 암부(1220)도 제121 암부(1210)와의 사잇각 변형에 대응하여 길이가 변형될 수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슬로우백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타입 슬로우백 모듈(11)은 제1 프레임(51) 및 제2 프레임(52)을 포함하고, 제1 프레임(51)과 제2 프레임(52)을 관통하는 중심축(54), 제1 프레임(51) 내측에서 중심축(54)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1 기어(21), 제1 기어(21)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연결 기어(22), 제2 연결 기어(22)와 연결되는 제3 기어(23), 제3 기어(23)와 맞물려 돌아가며 중심축(54)의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 기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51)은 예컨대, 중앙이 빈 통형이고 일측은 폐구되는 반면 타측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폐구된 일측의 중심부에는 중심축(5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51)은 제2 프레임(52)과 결합하여 중앙에 기어들이 배치되는 모듈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51)의 중심부 바닥에는 제1 기어(21)의 일측이 대면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51)의 주변부 바닥에는 제3 기어(23)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2 프레임(52)은 제1 프레임(51)과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 프레임(51) 내측에 배치된 기억들을 감싸는 덮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프레임(52)은 중앙에 중심축(5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54)은 제1 프레임(51)과 제2 프레임(52)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감속 기어(24)는 운동하는 방향으로 근력 운동 장치가 운동하는 동안에는 기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근력 운동 장치가 운동하는 동안에 감속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감속 기어(24)는 텐션부에 의한 과도한 탄성력에 의한 복원에 의해 사용자의 근육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 슬로우백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타입 슬로우백 모듈(12)은 제1 프레임(51) 및 제2 프레임(52)을 포함하고, 제1 프레임(51)과 제2 프레임(52)을 관통하는 중심축(54), 제1 프레임(51) 내측에서 중심축(54)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1 회전축(25), 제1 회전축(25)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벨트(26), 벨트(26)와 연결되는 벨트 연결 기어(23), 벨트 연결 기어(23)와 맞물려 돌아가며 중심축(54)의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 기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제2 타입 슬로우백 모듈(12)은 도 15a에서 설명한 벨트 연결 기어(23)를 대체하여 벨트(26)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타입 슬로우백 모듈(12) 역시 제1 타입 슬로우백 모듈(11)과 같이 운동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근력 운동 장치가 운동하는 경우 복원되는 힘을 상쇄시키는 감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로우 백 모듈이 탑재된 제13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제1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3 타입 근력 운동 장치(1300)의 일부는 제13 텐션부(1330) 중 고정부 덮개(1336), 제1 축 고정부(1337), 베어링(1339), 슬로우백 모듈(10), 중심축(133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로우백 모듈(10)은 도 15a 또는 도 15b에서 설명한 제1 타입 슬로우백 모듈(11) 또는 제2 타입 슬로우백 모듈(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중심축(1334)은 슬로우백 모듈(10)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슬로우백 모듈(10)을 관통하는 동안 감속 기어와 제2 연결 기어 및 제1 기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제1 축 고정부(1337)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축 고정부(1337)는 고정부 덮개(1336) 내측에 배치된 베어링(1339)을 통하여 고정부 덮개(1336)와의 마찰력을 제거하고, 일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슬로우백 모듈(10)은 고정부 덮개(1336) 내측에 배치되데, 회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고정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슬로우백 모듈(10)의 제1 프레임 외곽 중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부 덮개(1336) 내측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부 덮개(1336) 내측에는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로우 백 모듈이 탑재된 제14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제2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4 타입 근력 운동 장치(1400)의 일부는 제141 텐션 연결부(1411), 제142 텐션 연결부(1421), 제2 축 고정부(1438), 슬로우백 모듈(10), 중심축(14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41 텐션 연결부(1411)는 도시되지 않은 제14 텐션부의 케이스 외관을 감쌀 수 있도록 내측이 빈 바디부와, 바디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배치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배치홀에는 제142 텐션 연결부(1421)에 마련될 돌출부(1421a)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421a)의 상단 전면에는 제2 축 고정부(1438)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축 고정부(1438)의 중심부에는 중심축(1434)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중심축(1434)은 제2 축 고정부(1438)의 중심을 관통하고 돌출부(1421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421a) 중심에는 중심축(1434)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슬로우백 모듈(10)은 제2 축 고정부(1438)와 대면되는 위치에 마련되면, 제141 텐션 연결부(1411)의 바디부 내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슬로우백 모듈(10)은 바디부 내측에서 고정되기 위하여 표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바디부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슬로우백 모듈(10)은 바디부 내측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고정될 수도 있다. 중심축(1434)은 슬로우백 모듈(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제2 축 고정부(1438)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슬로우백 모듈(10)은 케이스와 연결된 제141 텐션 연결부(1411)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별도의 기어에 영향을 주지 않다가,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중심축(1434)의 지지를 받으면 텐션부의 케이스 복원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슬로우백 모듈(10)은 예컨대, 도 15a 또는 도 15b에서 설명한 제1 타입 슬로우백 모듈(11) 또는 제2 타입 슬로우백 모듈(1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로우 백 모듈이 탑재된 제15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제3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5 타입 근력 운동 장치(1500)의 일부는 예컨대, 중심축(1534), 슬로우백 모듈(10)이 안착되는 제1 프레임(1551), 슬로우백 기능을 수행하는 기어들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프레임(1552), 일측은 중심축(1534)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 프레임(1551) 일측에 고정되는 탄성부재(1535), 제1 프레임(1551)의 개구 영역을 덮으면서 중심축(1534)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덮개(15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5 타입 근력 운동 장치(1500)는 예컨대 슬로우백 모듈(10)과 텐션부가 일체형으로 마련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5 타입 근력 운동 장치(1500)는 제1 프레임(1551) 내에 슬로우백 모듈(10)과 탄성부재(1535)가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1534)이 지정된 방향으로 운동하는 동안에는 탄성부재(1535)의 탄성이 응축되어 커지고, 지정된 방향으로의 물리력 해제에 따라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동안에는 슬로우백 모듈(10)이 중심축(1534)의 회전 또는 제1 프레임(1551)의 회전을 감속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운트 기능의 제16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6 타입 근력 운동 장치(1600)는 예컨대, 제161 암부(1610), 제162 암부(1620), 제16 텐션부(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61 암부(1610), 제162 암부(1620) 및 제16 텐션부(1630) 중 적어도 일측에는 제161 암부(1610)와 제162 암부(1620) 사이의 거리 또는 사이의 사잇각이 일정 각도 이하로 줄어드는 경우 이를 검출하는 카운터 센서(1640)가 배치될 수 있다. 카운터 센서(1640)는 예컨대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6 타입 근력 운동 장치(1600)는 예컨대,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운동 명칭, 제16 텐션부(1630)의 파워 정도, 운동 횟수, 운동 분석 자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위치는 사용자 희망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여 위치 보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6 타입 근력 운동 장치(1600)는 예컨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운동 명칭, 제16 텐션부(1630)의 파워 정도, 운동 횟수, 운동 분석 자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6 타입 근력 운동 장치(1600)는 제161 암부(1610)와 제162 암부(1620) 사이의 사잇각 크기에 따라 운동 부위 및 운동 종류를 판단하고, 근거리 통신에 의한 센서 정보를 지정된 전자 장치 예컨대 스마트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탑재될 수 있다. 제16 타입 근력 운동 장치(160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7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텐션부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7 타입 근력 운동 장치(1700)는 제17 텐션부(1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7 텐션부(1730)는 예컨대 양측이 개구된 케이스(1731),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중심축(1734), 중심축(1734)의 일측 끝단을 고정시키는 제1 축 고정부(1737), 제1 축 고정부(1737)를 감싸는 고정부 덮개(1736), 제1 축 고정부(1737)와 고정부 덮개(1736)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1739), 중심축(1734)에 삽입되어 케이스(1731) 내측에 배치되는 텐션링(1780)을 포함할 수 있다. 텐션링(17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의 원판형으로 마련되고, 중앙에는 중심축(1734)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 텐션링(1780)은 중심축(1734)을 통하여 케이스(1731) 내측에 관통되면서, 케이스(1731)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텐션링(1780)은 중심축(1734)과 연결된 일부 또는 중심부는 고정되고, 케이스(1731)와 고정 연결된 주변부는 케이스(1731)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링의 제1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타입 텐션링(1780a)은 고정링(1781) 및 회전링(178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1781)은 일정 두께의 원판으로 마련되며 내측에 탄성부재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링(1781)의 중심부에는 중심축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781a)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링(1781)은 중심축 삽입에 따라 중심축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회전링(1782)은 고정링(1781)과 대면되며 날개부(1782a)를 제외하고 동일한 면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회전링(1782)은 탄성부재의 다른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회전링(1782)의 중심부에는 중심축이 삽입되데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홀(1782b)이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1782a)는 텐션부의 케이스 내측에 마련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날개부(1782a)는 케이스 회전에 따라 회전링(178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링(1782)이 케이스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동안 중심축에 일측이 고정된 탄성부재의 탄성이 증가하여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량을 소비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텐션링의 제2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타입 텐션링(1780b)은 고정부(1783) 및 회전부(178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783)는 일정 두께의 원판으로 마련되며 내측에는 탄성부재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783)의 중심부에는 중심축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783a)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783)는 중심축이 삽입홀(1783a)을 통해 삽입되면 중심축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회전부(1784)는 고정부(1783)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784)는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1784a)가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1784a)는 케이스 내측에 마련된 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1784)는 날개부(1784a)가 삽입 고정된 케이스가 회전 운동하는 동안 일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1784)에는 탄성부재의 타측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1784)가 회전하는 동안 탄성부재의 탄성이 증가할 수 있다. 회전부(1784)와 고정부(1783) 경계 영역에는 베어링이 배치되어 고정부(1783)와의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8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텐션링 삽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8 타입 근력 운동 장치는 제18 텐션부(1830)를 포함하며, 제18 텐션부(1830)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링(1880)을 포함할 수 있다. 텐션링(1880)은 각각 일정 크기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내장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8 텐션부(1830)는 텐션링(1880)의 개수 조절에 따라 일회 운동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8 텐션부(1830)는 예컨대 하부 또는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1831)와, 케이스(1831) 중심부를 관통하는 중심축(1834)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8 텐션부(1830)는 케이스(1831) 상부 또는 하부를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텐션링(1880)은 개구된 하부 또는 상부를 통하여 중심축(1834)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2301 상태도에서와 같이 제18 텐션부(1830)는 모듈삽입구(1880a)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삽입구(1880a)는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8 텐션부(1830)는 모듈삽입구(1880a)를 덮는 삽입 커버(1880b)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커버(1880b)가 일측 예컨대 좌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2303 상태도에서와 같이 모듈 푸싱판(1880c)이 좌측으로 밀려나면서 케이스(1831) 내측에 일정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모듈삽입구(1880a)를 통하여 해당 공간에 텐션링(1880)이 삽입된 후, 삽입 커버(1880b)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 2305 상태도에서와 같이 모듈 푸싱판(1880c)이 텐션링(1880)을 중심축(1834)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케이스(1831) 내측에는 모듈 푸싱판(1880c)을 일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싱 부재(1880d)가 배치될 수 있다. 푸싱 부재(1880d)는 탄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9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텐션링 위치 조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9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제19 텐션부(1930)는 예컨대, 케이스(1931), 회전 동작하는 제1 중심축(1934a), 회전동작하지 않는 제2 중심축(1934b), 텐션링(198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싱 손잡이(1990)는 케이스(1931) 내에 텐션링(1980)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텐션링(1980)의 위치 조정 완료 후, 푸싱 손잡이(1990)를 홀(1990a)에 삽입시켜 텐션링(1980)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푸싱 손잡이(1990)의 위치를 기반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텐션링(1980)들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푸싱 손잡이(1990)를 이동시켜 일회 운동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텐션링(1980)들은 제1 중심축(1934a)에 삽입되거나 또는 제2 중심축(1934b)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중심축(1934a)에 삽입되는 텐션링(1980)들은 케이스(1931)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중심축(1934a)에 삽입된 텐션링(1980)들은 근력 운동 장치의 형태가 변형되는 동안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중심축(1934b)에 삽입되는 텐션링(1980)들은 케이스(1931)와 상관없이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중심축(1934b)에 삽입된 텐션링(1980)들은 근력 운동 장치의 형태가 변형되는 동안 별도의 탄성력을 제공하지 않고 제2 중심축(1934b)과 함께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를 나타낸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0)는 제20 텐션부(2030), 제201 암부(20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01 암부(2010)는 예컨대, 제20 텐션부(2030)와 연결되는 제201 텐션 연결부(2011), 제201 텐션 연결부(2011)에 연결되는 제201 기둥부(2012), 제201 기둥부(2012)와 연결되는 제201 손잡이부(20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01 텐션 연결부(2011)는 제20 텐션부(2030)와 결합할 수 있는 일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01 텐션 연결부(2011)는 제20 텐션부(2030)의 케이스(2031) 일측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숫나사산 또는 암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01 텐션 연결부(2011)는 중앙이 빈 홀 형상이며, 중심부에는 제2 축 고정부(2038)가 배치될 수 있다.
제201 기둥부(2012)는 제201 텐션 연결부(2011)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01 기둥부(2012)는 일정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201 기둥부(201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01 기둥부(2012)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파이프 형상 또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01 손잡이부(2013)는 제201 기둥부(2012)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01 손잡이부(2013)는 예컨대, 제201 기둥부(2012)의 끝단에서 제20 텐션부(2030)가 배치된 방향과 반대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201 손잡이부(2013)는 제201 기둥부(2012)의 끝단을 축으로 좌측 도는 우측 중 어느 하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도면에서 제시된 제201 손잡이부(2013)는 설계 방식에 따라 또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반대편 방향으로 이동 배치될 수도 있다.
제20 텐션부(2030)는 예컨대 케이스(2031), 중심축(2034)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31)는 에컨대, 중앙에 중심축(2034)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031) 내측에는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의 일측은 케이스(2031) 일측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중심축(2034)에 고정될 수 있다. 중심축(2034) 중 제201 텐션 연결부(2011) 방향으로 돌출된 일부는 다른 구조물 예컨대, 의자나 쇼파 등에 형성된 고정 홈 또는 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정 홈 또는 홀의 형상은 중심축(2034)의 단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이거나, 중심축(2034)이 지정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마련된 형상일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0)는 제201 암부(2010) 및 제20 텐션부(2030)와 함께 추가적으로 제202 암부(202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01 암부(2010)는 제201 텐션 연결부(2011), 제201 기둥부(2012), 제201 손잡이부(20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02 암부(2020)는 제202 텐션 연결부(2021), 제202 기둥부(2022), 제202 손잡이부(20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202 암부(2020) 중 제202 텐션 연결부(2021)는 제20 텐션부(2030)에 포함된 중심축(2034) 중 제2 축 고정부(2038) 방향으로 돌출된 일측과 고정될 수 있다. 제202 텐션 연결부(2021)는 예컨대, 중심축(2034)의 일측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홈 및 홈을 포함하는 일정 크기의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는 일정 크기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구조물에 고정된 형태로서 다른 구조물의 표면으로 돌출된 형상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제202 기둥부(2022)는 제202 텐션 연결부(2021)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02 기둥부(2022)는 제202 텐션 연결부(2021) 중 제20 텐션부(2030)와 연결된 부위의 인접된 영역에서 제202 텐션 연결부(2021)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02 손잡이부(2023)는 제202 텐션 연결부(2021)의 끝단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02 손잡이부(2023)는 제201 손잡이부(2013)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02 기둥부(2022)는 제201 기둥부(2012)와 일정 크기의 사잇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의 운용 형태를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0)는 제1 구조물(2701) 또는 제2 구조물(270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구조물(2701)은 예컨대, 의자 형상일 수 있다. 제2 구조물(2702)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0)의 일정 지점 예컨대, 제201 텐션 연결부(2011) 쪽으로 돌출된 중심축(2034)의 일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홀이 배치될 수 있다. 홀에는 예컨대, 암나사산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에는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0)의 중심축(2034) 끝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조물(2701)은 제20 텐션부(2030) 중 중심축(2034)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0)의 제201 손잡이부(2013)를 파지하고 일정 방향으로 운동시킴으로써, 케이스(2031)의 텐션 기능에 의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구조물(2701)은 예컨대 팔걸이부와 등받이부 등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조물(2702)은 예컨대, 일정 단면의 기둥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2 구조물(2702)의 형상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구조물(2702)은 원기둥 형상이거나 삼각 기둥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구조물(2702)은 다른 구조물에 고정된 형태 또는 다른 구조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조물(2702)의 적어도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홀은 제2 구조물(2702)의 하단, 중단, 상단 등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0 타입 근력 운동 장치(2000)의 위치를 조정하여 다리 운동 또는 팔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기반으로 다양한 운동 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신체의 다양한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 수행을 지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근력 운동 장치()는 분리와 결합을 통하여 운동 방식을 보다 다양화하거나 또는 필요한 부분의 근육 운동만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6)

  1. 케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중심축,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케이스 일측과 상기 중심축 일측에 연결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통형의 텐션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와 일정 각도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암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암부와 일정 사잇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제2 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는
    통형의 상기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 중심에 일정 길이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상기 중심축;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중심축이 회전하는 동안 탄성이 증가하도록 배치되는 탄성 부재;
    상기 케이스 상단 개구부를 덮는 상부 덮개;
    상기 케이스 하단 개구부를 덮는 하부 덮개;
    상기 상부 덮개보다 더 돌출된 상기 중심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축 고정부;
    상기 제1 축 고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부 덮개;
    상기 하부 덮개보다 더 돌출된 상기 중심축이 삽입 고정되는 제2 축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텐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기둥부들;
    상기 기둥부들을 연결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텐션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봉 또는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 일측 및 상기 제2 암부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1 암부 및 상기 제2 암부가 위치 변형 후 탄성에 의해 복귀하는 동안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각도 유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케이스와 체결되며 상기 하부 덮개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중심축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텐션 연결부;
    상기 제1 텐션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기둥부;
    상기 제1 기둥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하부 덮개 방향으로 상기 제1 텐션 연결부를 통해 노출된 중심축이 삽입 고정되는 제2 텐션 연결부;
    상기 제2 텐션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의 일측 및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중심축과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텐션 연결부;
    상기 텐션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내측 바디부;
    상기 내측 바디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데 상기 내측 바디부의 표면을 따라 일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내측 바디부의 끝단에서 상기 내측 바디부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외측 바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바디부는
    상기 텐션 연결부를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는
    굴곡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 또는 상기 제2 암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 각도에서 가압되는 힘에 대응하여 길이가 늘어나고 상기 가압되는 힘이 제거됨에 대응하여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고, 상기 텐션부의 탄성에 의해 위치 복원되는 동안 위치 복원 속도를 저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슬로우백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우백 모듈은
    상기 텐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 제2 암부 또는 상기 텐션부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암부 또는 제2 암부, 또는 상기 텐션부의 운동 동작을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를 표시하는 카운터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일측에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 회전 시 같이 회전하면서 탄성이 증가하도록 마련된 텐션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링은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체결되는 날개부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회전시 회전하는 회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링은
    상기 중심축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외곽을 감싸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체결되는 날개부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회전시 회전하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텐션링이 삽입될 수 있는 모듈 삽입구;
    상기 모듈 삽입구를 개폐하는 삽입구 덮개;
    상기 삽입구 덮개에 연결되어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텐션링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듈 푸싱판;
    상기 모듈 푸싱판에 탄성을 제공하는 푸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24. 삭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된 텐션링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의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구조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 장치.
KR1020150024170A 2015-02-17 2015-02-17 근력 운동 장치 KR10175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70A KR101754461B1 (ko) 2015-02-17 2015-02-17 근력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70A KR101754461B1 (ko) 2015-02-17 2015-02-17 근력 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500A KR20160101500A (ko) 2016-08-25
KR101754461B1 true KR101754461B1 (ko) 2017-07-06

Family

ID=5688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170A KR101754461B1 (ko) 2015-02-17 2015-02-17 근력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626513U (zh) * 2018-08-24 2019-03-22 庄龙飞 多位置运动调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793B1 (ja) * 2000-11-15 2001-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
KR200249810Y1 (ko) * 2001-05-29 2001-11-16 정해일 운동기구
KR100878856B1 (ko) * 2007-09-14 2009-01-15 엄정태 회전 스텝머신
KR101445135B1 (ko) * 2013-01-21 2014-10-01 이서원 근육 운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793B1 (ja) * 2000-11-15 2001-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
KR200249810Y1 (ko) * 2001-05-29 2001-11-16 정해일 운동기구
KR100878856B1 (ko) * 2007-09-14 2009-01-15 엄정태 회전 스텝머신
KR101445135B1 (ko) * 2013-01-21 2014-10-01 이서원 근육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500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9140B2 (en) Wrist and forearm exercise device
JP3186421U (ja) フィットネス機器
US20100267523A1 (en) Universal multidirectional exerciser for exercising hand, wrist and forearm in multiple planes of motion with adjustable resistance
US20040102292A1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EP3023086B1 (en) Exercise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of hand grip and wrist
WO2009086162A3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with selectively variable stabilization
US20100197470A1 (en) Exercise Grip Device
US20100248923A1 (en) Twisting and leaping exercise apparatus
CN215195278U (zh) 一种舞蹈形体训练装置
CN207755686U (zh) 一种扩胸训练器材
KR101754461B1 (ko) 근력 운동 장치
CN205516253U (zh) 一种新型手指训练康复板
JP2014057763A (ja) 指機能回復訓練装置
CN202777581U (zh) 扭力棒
US8574137B2 (en) Upper limb training device
CN210589276U (zh) 一种上肢外骨骼机器人
CN216963474U (zh) 一种帕金森患者用多功能手部拉伸锻炼装置
KR20180048118A (ko) 운동기구
TW201414465A (zh) 手指關節復健裝置
CN110051988B (zh) 一种康复科用术后恢复装置
TWI685333B (zh) 手部物理復健裝置及其操作方法
CN108970017B (zh) 一种康复科护理用手指康复锻炼器及其操作方法
JP3162679U (ja) フィットネス・トレーニング器具
RU24605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рук
CN108159652A (zh) 手部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